고1 국어(하) 눈길/허생전 용어질문드려요

고1 국어(하) 눈길/허생전 용어질문드려요

작성일 2007.08.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 고1학생입니다 ㅜㅜ

 

부끄러운말이지만,, 저랑아주친한,, 한사람이

 

방학이.. 1일남았는데.. 방학동안 활동하는걸로 학교를다니거든요..

 

아침에가서., 밤 7시 ~ 9시에 옵니다 ㅜㅜ 그래도 숙제한다고,, 저러는걸보면

 

정말안쓰러운데 ㅜㅜ 남자라면 신경을안쓸텐데.. 여자입니다 ㅜ

 

그리고 학교가 다르구요,,

 

저희는 2학기 책을받지못했는데 저사람은,, 책을 처음부터 받았나봅니다

 

 

다름이아니고,,

 

제가 책이있다면,, 찾아볼텐데.. 지식인에 숙제의뢰를 하다니 부끄럽군요 ㅜㅜ

 

숙제가..

 

 

국어(하) 1-2 학기   허생전/눈길

 

이라는 . 작품에서요

 

 

각각 어려운단어 50개이상씩 찾아오라네요;;

 

고1숙제지만.. 이건좀심하다는거같아요 ㅜㅜ

 

50개 뜻도 다..간략하게나마 찾아야하고..

 

지금.. 다른곳에서  허생전 용어뜻을 좀찾아봤는데요.

 

장인바치 - 도구를 사용하여 물품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운종가 - 종로거리.

읍(揖)하다 - 인사하는 예(禮)의 하나인데 두 손을 맞잡아 얼굴을 앞으로 들어올리고 허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림.

자제(子弟) - 남의 아들의 존칭.

실띠 - 실을 꼬아 만든 띠.

삼남(三南) - 충청 남북도, 전라 남북도, 경상 남북도 세 지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망건 - 상투를 튼 사람이 머리에 두르는 그물 모양의 물건.

부가옹(富家翁) - 부잣집 늙은이.

요족 - 살림이 넉넉함.

백곡 - 온갖 곡식.

구휼(救恤) - 빈민 이재민에게 금품을 주어 구조함.

의관 - 옷과 갓. 옷차림.

구제(救濟) -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

사양 - 겸사하고 받지 아니함.

흔연히 -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이 매우 좋아서.

정의(情誼) - 사귀어 두터워진 정.

물화(物貨) - 물품과 재화.

베잠방이 - 초야에 묻혀 사는 가난한 선비를 일컫는 말.

소요 -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구왕(九王) - 온 세계. 고대 중국에서 전국을 통치하기 위하여 나누었던 9개 주(州)에서 온 말.

위항(委巷) , 여염 - 일반 백성들이 생활하는 곳.

구종 - 지난 날 벼슬아치를 모시고 다니던 하인.

와룡선생 - 제갈량.

삼고초려 - 중국 촉한의 임금 유비가 남양 땅에 있는 제갈량의 초옥을 세 번 찾아가 간청하여 드디어 제갈량을 군사(軍師)로 삼았다는 고사에서 유래. '인재를 찾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뜻.

훈척(勳戚) - 나라에 공훈을 세운 인척들.

권귀(權貴) - 권세와 부귀를 누리는 사람들.

백구지국(伯舅之國) - 존경 받는 제후 나라로서의 지위.

변발 - 남자 머리의 주위를 깎고 중앙의 머리만을 따서 뒤로 길게 늘인 머리.

호복 - 오랑캐들의 옷. 야만인들의 복제

 

 

이거 까지밖에 못찾았습니다.,.  귀찮으시겠지만..

 

허생전에서 이단어를제외한.. 나머지와  눈길에서 어려운단어..최대한..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앞으로.. 지식인에 숙제의뢰같은건 하지않겠습니다 ㅠ 죄송합니당..


#고1 국어 하 평가문제집 답지 #고1 국어 하 자습서 답지 #고1 국어 하 천재 박 평가문제집 답지 #고1 국어 자습서 하 #국어 평가문제집 고1 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에궁...... 도와줘야 되나, 아님 그냥 두나.....  조금만....

 

 

허생전에서...

 

묵적골墨積洞〕:  서울의 남산 밑에 있던 동네의 이름
사립문 : 잡목의 가지로 엮어 만든 문. 싸리문. 시비(柴扉).
칸 :  집의 간살의 수효를 세는 말 참고 칸: 공간의 구획이나 넓이를 세는 단위
품 :  어떤 일에 드는 힘 또는 수고
풀칠 : 근근히 먹고 삼. 연명(延命)

술 : 가마, 기, 띠, 끈이나 여자의 옷 등에 장식으로 다는 여러 가닥의 실
갖신 : 가죽으로 만든 신
도포(道袍) : 예복으로 입던 겉옷
비굴(卑屈) : 용기가 없고 마음이 비겁함. 줏대가 없고 품성이 천함.
중언부언(重言復言) :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함
오만(傲慢) : 잘난 체하며 방자함. 〔傲거만할 오, 慢거만할 만〕
입수(入手) : 수중에 들어옴 또는 수중에 넣음
좌우(左右)하다 :  좌지 우지(左之右之)하다. 마음대로 뒤흔들다
포목(布木) : 베와 무명. 목포(木布).
말총 : 말의 갈기나 꼬리의 털

대경해서 : 크게 놀라서
양민 : 선량한 백성
필 : 마소를 세는 단위
울 : '울타리'의 준말
온전 : 결점이나 흠이 없이 완전함
비축 :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여 저축하여 둠
호 : 집의 수효를 나타내는 말
속주 : 한 나라에 속하여 있는 주
구휼 : 빈민이나 이재민 등을 돕고 보살핌
연후 : 그러한 뒤
용납 : 남의 언행을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임

장마에서....

 

혼곤하다 : 정신이 흐릿하고 고달프다

강마른 : 딱딱하게 마르다

청청하다 : 말이나 소리가 똑똑하게 잘 들리다

잡도리하다 : 아주 요란스럽게 닥달하거나 족치다

아적부텀 : '아침부터'의 방언

후사 : 뒷일

봉창 : 창호지로 바른 창을 뜻하는 방언

소롯길 : 작고 매우 좁다란 길

무시로 : 일정한 때가 없이

진시 : 오전 일곱시에서 아홉시 사이

뜨적뜨적 : 말이나 행동이 매우 느린 모양

창창히 : 앞이 멀어서 아득하게

근천 : 어렵고 궁한 상태

짓쳐들어오는 걸 : 세게 몰아쳐 들어오는 걸

단매에 : 단 한 번에 때리는 매에

요절을 내다 : 못 쓰게 될 만큼 깨어지거나 해어지게 하다

요량 : 앞일 따위를 잘 헤아려 생각하는 것

애오라지 : 오직

되알지게 : 몹시 야무지게

창사구 : 창자를 뜻하는 방언

대갈 : 큰 소리로 꾸짖음

충그리다 : '머물러서 웅크리고 있거나 머뭇거리다'의 방언

자꼬 : 자꾸의 방언

묘방 : 매우 교묘한 꾀

속수무책 : 어쩔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함

참빗 :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한 빗

도래소반 : 둥근 모양의 자그마한 밥상

공지 : 빈 땅

뒤란 : 집 뒤 울타리의 안

시종일관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함

한 다래끼 : 한 판을 뜻하는 방언

야한티서 : 얘한테서

터주 : 집터를 지키는 귀신

까라지다 : 기운이 빠져 축 늘어지다

구완 :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의 시중을 드는 일

고역 : 몹시 힘들고 고된 일

 

 

끝입니다....

고1 국어(하) 눈길/허생전 용어질문드려요

... 국어(하) 1-2 학기 허생전/눈길 이라는 . 작품에서요 각각 어려운단어 50개이상씩 찾아오라네요;; 고1숙제지만..... 다른곳에서 허생전 용어뜻을 좀찾아봤는데요. 장인바치...

고1국어(하) 허생전 질문

허생전 질문 몇가지만 써주세요. 망할선생이 진도 나가지도않고 세미나식으로 한다고... 저는 어제 중간고사쳐서 국어 부분 다 끝냇는데요 일단 좀 중요한질문 으로 골라서...

고1국어(하)내신 허생전 문제에 관하여....

국어(하) 2단원의 '허생전'에 대한 문제를 풀다가 ebsi선생님이 말한 것 과 문제집의 답이 틀려서 질문합니다. 문제) '변씨는 한숨만 내쉬고 돌아갔다' 이 부분에서 나타난 '변씨...

고1국어 허생전/삼대 등등 질문

... '허생전' 첫 부분에서 허생의 아내의 말에 담긴 의미 18.... 이유 ---------------------- 질문복사해서 그아래에 써주세요... 국어 (하) 부분만 하겠습니다. 11. 세종어제훈민정음 에...

교육과학기술부 고1 국어(하) 작품 목록

개정 7차 말고 교육과정 7차 교과부 고1 국어 작품 목록... 확인해보고 하나라도 빠져있으면 채택 안해드려요... (2) 허생전 / 박지원, 이우성 옮김 보충 학습 : 박이문, '영상...

예비고1 국어 문법 문제집

... 채택해드려요!!' 안녕하세요! 국어 공부에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 것 같아 너무 좋아요. 예비고1 국어 문법 문제집을... 기본적인 국어 용어와 문법 개념을 다시 한 번 훑어보고...

고 1 국어 (하) 허생원 본문

... 고1 국어 (하) 허생원 본문 좀 부탁드려용~ㅎㅎ ⑵ 허생전(許生傳) 박지원(朴趾源) 이우성(李佑成) 옮김 허생은 묵적골[墨積洞]에 살았다. 곧장 남산(南山) 밑에 닿으면, 우물...

고1 국어 비음화 질문

... 부탁드려요 그리고 ㄱㄷㅂ가 유음 ㄹ을 만나서 같은 울림소리인 ㅇㄴㅁ로 바뀌니까... 그런데 결국 바뀐 음이 양쪽 다 비음이라는 점에서 상호동화라는 용어를 쓰기도...

고1국어 고대국어

... 안녕하세요 국어(하) 고대국어 파트를 공부하는 고 1 입니다 시험이 일주일 남았는데... 설명부탁드려요 >>> 맨 처음 질문에 경덕왕이 시행했던 방식이라는 말이 보이는군요...

고1국어 눈길에 대해서

눈길에서 옷궤의 상징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나와 어머니가 느끼는 옷궤의 상징의미 내공 50드려요 옷궤는 과거의 삶이 투영된 상관물이다. 옷궤에는 커다란 집에서 살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