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기행

무진기행

작성일 2003.08.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무진기행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무엇일까요?


#무진기행 #무진기행 줄거리 #무진기행 전문 #무진기행 해석 #무진기행 페미니즘 #무진기행 안개 #무진기행 명문장 #무진기행 부끄러움 #무진기행 디시 #무진기행 안개 의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작품에서 무진기행의 시대적 배경은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닌 것 같은데요.
오히려 공간적 배경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과, 해석에 있어 더 많은 논제의 거리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 검색해서 무진기행에 대한 자료를 올려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무진 기행」은 1964년 10월 ꡔ사상계ꡕ 139호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김승옥의 대표작인 이 작품은 현실주의적 전통의 일탈이라는 1960년대 소설의 고유한 형상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무진 기행」에서 무진(霧津)이란 ‘안개 나루’란 뜻으로, 안개가 자욱하여 무엇하나 뚜렷한 것이 없는 공간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한 사물이 아닌 4.19의 좌절에서 오는 허무 의식과 세속적 출세주의를 암시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1960년대, 아침이면 짙은 안개로 덮이는 무진이란 공간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주인공이 일상의 삶에 대한 부정을 통하여 새로운 삶을 모색하려는 과정을 일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형상화하고 그렸다. 자기 세계의 확립을 위해 현실에서 끊임없이 탐색하는 모습과, 자아를 상실한 인산의 모습을 풍속의 차원에서 묘사한 이 작품은 두 세계를 한꺼번에 다룸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상의 「날개」속의 주인공을 연상시키는 윤희중은 서른셋의 나이로 자의식이 강한 사람이다. 첫 결혼에 실패를 한 후, 젊고 부유한 미망인과 결혼을 해서 제약회사의 전무가 될 처지에 놓이게 된다.‘나’는 어머니의 묘가 있고 어린 시절을 보낸 무진으로 내려간다. 잠시 동안의 휴가인 셈이다. ‘나’에게 있어 무진의 의미는 각별하다. 무진은 수심이 얕은 바다와 연접해 있어 안개의 고장이며, 그것은 권태와 단조로움 속에 졸음이 오는 죽음의 마을 풍경과 홉사하다. 그무진은 ‘나’ 가 자라온 고향으로 동시에‘나’의 어둡던 청년시절의 참담한 경험이 도사린 의식의 공간이다
무진에 온 첫날, 나는 중학교 교사인 후배 박을 만난다. 그는 회사 전무로 승진하게 된 나와 세무서장이 된 동창 조를 출세자로 꼽았다. 조를 방문하였을 때 그 곳에서 동석한 하인숙이란 음악 선생을 소개받았다. 하인숙은 나에게서 풍기는 서울 냄새를 즐기며 나를 유혹한다. 이튿날, 어머니 산소를 다녀오는 길에 방죽 밑에서 자살한 여인의 시체를 보고 이상스럽게 정욕마저 끓어오른다. 약속 시간이 되자 하인숙을 만나 바다로 뻗은 긴 방죽을 걸으며 개구리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급기야 나는 폐병으로 요양했던 바닷가의 옛집에서 그 여인과 관계를 맺는다. 그 여인에게 연민의 정을 느끼고 사랑을 고백하고자 한다. 다음날, 나는 급상경을 요구하는 아내의 전보를 받고 갈등을 겪고 나서 서울로 가겠다고 작정한다. 하인숙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쓰나 곧 찢어버린다. 나는 무진을 떠나며 심한 부끄러움을 느낀다.

「무진 기행」은 ‘서울→무진→서울’의 귀향 모티프를 통하여 작가의 세계관이 가장 잘 응축되어 있는 작품이다. 출세한 촌놈인 주인공 윤회중이 세속적이고 현실적인 가치의 중심인 서울의 괴로운 일상을 벗어나(떠남),추억과 옛 사람들을 만나서 새로운 만남을 경험한 다음(체험),다시 서울로 귀향한다는 것(회귀)이 작품의 골격을 이룬다.
주인공이 갖는 의식이 추이는 서울로 표상되는 일상의 현실적인 공간과 그로부터의 일탈이라는 두 가지의 내면적 갈등이 존재한다. 그의 의식 속에는 언제나 고향으로부터의 탈출, 전쟁의 상처, 고통의 성장 과정, 일상인으로 안주 등이 겹쳐있다. 그는 이와 같이 내면에 겹쳐 있는 장면들을 확인하고 일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무진에 귀향한다. 그러나 안개 덮힌 무진은 항상 쓸쓸하고 괴로웠던 청춘의 편린이었으며, 그 가운데 하인숙이란 여인을 만난다. 그 여인 역시 시존의 사회 체제에 순응하기 위해 그녀 자신의 세계를 잃어버린 존재였다. 그 여인에게서 자신 과거를 되살려내듯 의식을 조작해낸다. 그리하여 그는 서둘러 무진을 떠나 자기 일상의 공간으로 돌아오고야 만다. 주인공의 귀향은 결코 고양된 자기인식의 경지에 이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즉 과거의 부끄러운 자신의 삶을 부정하고 생활인으로서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 역시 최인훈의 「웃음소리」처럼 ‘떠남→경험→복귀’의 과정을 통하여 자기 세계를 확립해 나가고 있는 작품이다.
「무진 기행」은 1950년대 전후 문학이 보여준 인생 낙오자들의 자학이라는 무거운 주제 의식에게 벗어나 1960년대적 삶을 일목요연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무의지적이고 수동적인 주인공의 의식이 점차 깨어나 자기 환경과 상황을 뚜렷이 인식하여 그 상황을 극복하려 자세이다. 특히 작가 김승옥이 「무진 기행」에서 소시민적 개인의 일상성과 함께 참신한 감각적 언어를 구사하여 감수성의 혁명이란 새로움 장을 연 것은 경이로운 수확으로 평가된다.

작품 요약
주제 : 일상적 삶의 통한 새로운 삶의 추구.
인물 : 나(윤희중) ­제약 회사 전무로 승진할 예정이며, 이 작품의 주인공. 허무의 심연에서 벗어나고자 하인숙이라는 여인과 새로운 만남을 시도하지만 결국 자신의 부끄러운 삶을 부정하고 일상의 공간으로 돌아오는 정적 인물.
하인숙 ­‘나’의 고향인 무진 중학교 음악 선생. 윤희중을 만나 현실의 허무를 극복하기 위해 무진을 떠나고 싶어하면서도 현실의 타락한 삶을 수용하면서 살아가는 정적 인물.
조, 박 ­‘조’는 ‘나’의 동창생이며,‘박’은 하인숙을 사랑하는 순정적 인물.
배경 : 1960년대, 안개로 유명한 무진 마을.(공간적 배경은 어린 시절의 허무를 물씬 풍기는 무진과 현실적 타락의 공간인 서울이며, 시간적 배경은 현재의 시간에서 출발하여 과거를 회상하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일시적 시간이다.)

김승옥 무진기행

김승옥님의 무진기행 책 엙고 국어국문학과랑 연계시켜서... 무진기행 책 엙고 국어국문학과랑 연계시켜서 발표해야하는데 어떻게 연계시켜야할까요? 소설 <무진 기행; 김승옥...

무진기행 소설 질문

무진기행 글 속에 전보여, 새끼손가락을 내밀어라. 나는 거기에 내 새끼손가락을 걸어서... 이는 주인공이 이야기 속에서 무진기행(모험)을 하게 될 때의 열망과 도전, 결의를...

김승옥의 무진기행과 역사의 공통점과...

무진기행과 역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급해요 제발 김승옥의 무진기행과 역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진기행은 김승옥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무진기행 요약

무진기행 요약 제곧내 중요 내용만 [무진기행]배경이 갖는 의미 ▶ 1960년대는안개가 낀... [무진기행]갈등 구조 ▶ '무진 기행'에는 선명하게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이 있는데...

무진기행의 무진

무진기행에 나오는 무진을 차경수법을 지닌 한국식 정원으로... 저는 무진기행의 무진이 떠올라서 이렇게 해보기로 했습니다. 무진기행에 나오는 무진과 정원을 엮어보는것이...

소설 무진기행 도와주세요~

... 무진기행이라는 책을 읽었는데요 거기서 주요소재의 의미와 기능을 찾고 무진기행의 표현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무진기행의 주요소재의 의미와 기능이 무엇인가요?...

소설 무진기행을 읽고 던질 수 있는

소설 무진기행을 읽고 던질 수 있는 질문 어떤게 있을까요 토론느낌으로요ㅠ 무진기행은 실제로... 무진기행과 작가 김승옥에 대해 더 읽어보시고...

무진기행에 대한 질문..

무진기행에 대한 질문 3가지만 할께요^- ^ 1. 무진기행에서 '무진'의 의미 2. 무진기행에서 '편지'의 의미와 '전보'와의 차이 3. 무진기행의 인물들에 대한 설명 이해하기 쉽게...

오발탄과 무진기행의 문제,,,,

오발탄과 무진기행 이해와감상 같은 걸 알고싶어요,, 그리고 주관식으로 나올 만한... 무진기행입니다. 무진기행은... 한 인물이 고향으로 돌아가 체험하는 내용인데.. 현실과...

김승옥 선생님의 무진기행에 대하여

제가 김승옥 선생님의 무진기행을 읽고서 물음에 답해야하는 수행평가를 해야합니다... 무진기행의 배경 및 배경의 역할 2. 무진기행의 구성 3. 인물의 성격 및 갈등 양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