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 작가 공모전 질문이요~

웹소설 작가 공모전 질문이요~

작성일 2024.05.16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웹소설 작가 공모전을 시도해보려고 하는데요
단순히 취미로 시작하게 됐다가 제가 나름
추천도 조금씩 받고 있고 사람들이랑 댓글로 소통하는
재미도 많이 느끼게되면서 공모전을 준비해보려고 하는건데요
처음에는 취미로 했지만 지금은 웹소설 작가를 직업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웹소설 작가되서 공모전 당선되면
수입은 어느정도 될까요? 그리고 만약에 당선이 안되면 웹소설 작가를 직업으로 하는 것은 그만둬야할까요 ㅠㅠ? 조언좀 부탁드릴게요


#웹소설 작가 수입 #웹소설 작가 현실 #웹소설 작가 현실 디시 #웹소설 작가 되는 법 #웹소설 작가 수입 순위 #웹소설 작가 수익 #웹소설 작가 수입 현실 #웹소설 작가 수입 디시 #웹소설 작가 사망 #웹소설 작가 커뮤니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웹소설 작가 공모전이 요새 많이 뜨더라구요!

단번에 웹소설 작가로 이름을 알리기에

공모전만큼 효과적인건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취미로 시작하셨지만

직업적인 부분으로 나아갔을 때, 걱정되는 것도 사실이에요

웹소설 작가로 이름을 알리게 되면

솔직히 요즘 드라마나 영화 원작도 다

웹소설을 기준으로 많이 쓰긴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연봉적인 면에서도

힘든것도 사실이에요 ㅠㅠ

나라에서는 웹소설 작가를 희망하시는 분들을

예술가로 칭해서 지원하는 제도가 있는데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아래 블로그로

오셔서 확인해보세요!

예술인활동증명 받아서 웹소설 작가 활동

이어 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웹소설 작가 연봉이랑 예술인활동증명 제도에 관해서

링크 달아두겠습니다!!!

[예술인활동증명] 예술활동증명 지원금 받기! .. : 블로그 (naver.com)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회. 공모전 콘테스트코리아입니다.

웹소설 작가 수입은 월 몇만원 수익인 작가부터 억단위의 인기작가까지 천차만별인 것은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처음부터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작가도 있겠지만, 부업으로 본업과 병행하시면서 공모전 도전부터 , 카카오, 문피아, 조아라등 전용 플랫폼에 연재하면서 점수을 쌓아가는 작가분이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하면서 웹소설 작가의 정보를 꾸준히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정보도 참고해 보세요.

특히, 성인이시라면 아래 웹소설 작가되기 위한 오프라인 무료 교육도 좋은 방법 중 한가지입니다.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분들과 오프라인에서 교육을 받으며, 강사진과 교육생과의 직접 소통을 하면서

여러 정보를 얻기 좋은 방법입니다.

1. 웹소설 실태조사 자료(https://tinyurl.com/2yqxmc2p)

2. 웹소설 작가되기 위한 무료 교육

+ 웹소설 공모전 도전반 (https://tinyurl.com/22q6ohjq)

+ 웹소설 기초반 (https://tinyurl.com/2c3hszwa)

3. 웹소설 공모전 부문 (https://tinyurl.com/2dn6ysmd)

참고해 보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입은 지금 알수 없어요. 또 공모전에 떨어진다고 포기할것도 아닙니다. 흥미를 느끼고 재미있게 꾸준히 한다면 언젠가는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게 됩니다.

당장은 현업에 종사하면서 글을 써보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X 문피아 지상최대 웹소설공모전 (2024)

https://cafe.naver.com/lordby/147761

【2024 웹소설】

1라운드: 5.8~6.16

2라운드:

【2023 웹소설】

1라운드: 5.10~6.18

2라운드: 9.15~10.5 (로맨스/로판)

【2022 웹소설】

1라운드: 5.11~6.19

2라운드: 8.1~8.22

【2021 웹소설】

1라운드: 6.10~8.31

2라운드 : 9.1~11.26

【2020 웹소설】

6월15일~7월30일

【2019 웹소설】

총4회 (1기+2기+3기+4기)

https://cafe.naver.com/lordby/59694

공모전·백일장 특기자대회 (1년일정달력)

①출판사에 원고 직접 투고

②웹소설 플랫폼 연재

③웹소설 공모전

웹소설 작가를 위해 공모전 및 연재를 합니다.

출판사에 직접 투고하는 방식은 본인 작품을

사전에 공개하고싶지 않을 때 많이 사용됩니다.

웹소설, 카카오 페이지 등에서 연재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자유롭게 연재하다가

연재소설이 인기를 얻어 유료로 전환됩니다.

그 이후로도 독자층을 확보해가는 식입니다.

기획자들이 무료연재 작품을 둘러보기도합니다.

좋은 콘텐츠면 짧은연재 기간에 출판계약 컨택이

들어오기도합니다.

가장 확실한 건 공모전입니다. 웹소설 공모전,

카카오 공모전, 월드와이드 공모전 등 규모가 있는

대회들인 신인작가-기성작가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당선되면 상금도 크고, 대부분 계약을 맺게됩니다.

방송사-제작사-영화사-출판사 등에서 계약을 맺고

작품화되기도합니다.

【웹소설작가 자격】

웹소설 플랫폼에서 연재해도 웹소설 작가입니다만,

공모전당선-연재처-기업-출판사에서 공식적으로

컨택이 들어와 데뷔하면 공식 웹소설작가입니다.

웹소설작가는 성별-연령 제한이 따로 없습니다.

재택근무가 기본이며, 가끔씩 작품계약-재계약

할 때에만 출판사-기업-연재처를 만나게됩니다.

【웹소설작가 투잡&전업작가】

웹소설 시장이 워낙 커지고 있기때문에 구매-대여

등이 작가수익으로 빠르게 이어집니다. 장르소설

작가들이 전업작가 글먹이 가능해지며 억대연봉

웹소설 작가도 생겨나고 있고 플랫폼에 몰립니다.

다만 대다수 많이벌지 못합니다. 대다수 웹소설

작가는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의 수입이라

인기가 생기고 들어오는 수입에 여유가 생기면

그 때 전업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웹소설작가 수입】

웹툰작가처럼 미니멈 개런티로 원고료를 받거나,

아니면 유료판매 금액을 정산받는 방식입니다.

2010년 이후에는 후자의 판매정산이 많습니다.

작가7:플랫폼3 방식으로 수익을 정산합니다.

회차당100원 정도를 받게되며 따로 매니지먼트

계약이 되어있다면 수익을 2차로 배분하게됩니다.

개별활동은 무료연재 → 인지도상승 → 유료화

과정을 거치는데 좋은 글을 써내야 가능합니다.

『웹소설 원작 웹툰화』

『웹소설 원작 영화화』

『웹소설 원작 드라마』

웹소설은은 <미디어믹스>로도 수입을 많이 올립니다.

카카오페이지-웹소설 등 인기웹소설 작품은

거의 대부분 웹툰화-영화화 작업이 이뤄집니다.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웹툰이 인기를 끌게된다면,

이를 통해서 웹소설이 홍보되어 매출이 일어납니다.

애초에 원작 웹소설 프로모션 푸쉬를 하기도합니다.

【웹소설원작 작품화 】

△ JTBC <재벌집 막내아들>(2022)

  1. 《웹소설 원작 드라마》

  2. *파친코

  3. *저스티스

  4. *우리 집에 엄마가 산다

  5. *재벌집 막내아들

  6.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7. *해를 품은 달

  8. *성균관스캔들

  9. *김비서가 왜 그럴까

  10. *금혼령: 조선혼인금지령

  11. *괴이한 미스터리

  12. 《웹소설 원작 웹툰》

  13. *나혼자만 레벨업

  14. *내가 키운 S급들

  15. *전지적 독자시점

  16. *나노마신

  17. *절대검감

  18. *사상최강

  19. *광마회귀

  20. *장씨세가 호위무사

  21. *운명을 보는 회사원

  22. *칼에 취한 밤을 걷다

  23. 《웹소설 원작 영화》

  24. *삼생삼세 십리도화

  25. *전지적 독자시점

그 외 웹소설 원작이 드라마-웹드라마-영화 등으로

믹스되며 수 천만원씩 저작권료를 받기도합니다.

저작권료&유료판매 등의 매출로 수익을 얻습니다.

'원 소스 멀티 유즈(One-Source Multi-Use)' 인데

웹소설로 론칭된 작품이 웹툰으로, 또는 드라마로,

또는 영화로 새롭게 태어나는 식입니다.

결론적으로 인기웹소설이 웹툰원작 / 영화원작이

되는경우가 워낙 많으며, 연극-뮤지컬-게임-애니

등의 원작소스가 되어가는 추세입니다.

【웹소설 쓰는법】

①매력적인 발상

②한 줄로 사로잡는 로그라인

③기획력-딜레마

④입체적 캐릭터설정

⑤플롯설정 (끊임없는 갈등)

⑥서스펜스 vs 서프라이즈

⑦빠져드는 대사구성

⑧기다려지게하는 엔딩

문예창작과가 웹소설 창작관련 학과입니다.

광범위한 스토리텔링+작법을 배웁니다. 다만

혼자 독학하거나 비관련 출신학과도 있습니다.

동국대 wise캠퍼스, 광주대, 청강대, 한국영상대

웹소설에 적극적입니다. 최근에는 상위권 문예창작

주요대학들인 중앙대-서울예대-한예종-동국대 등도

순수문학 뿐 아니라 장르문학 수업에 적극적입니다.

독학으로 웹소설-스토리텔링을 잘 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만 전문적으로 배우는 게 유리합니다.

실기100%에 가깝게 동국대(서울캠)-서울예대

등이 A4한 장 분량의 실기를 보기때문입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53069

웹소설과-문예창작과 실기 (수업문의·커리큘럼)

https://cafe.naver.com/lordby/27423

웹소설과-문예창작과 실기 (문장구성트레이닝)

https://cafe.naver.com/lordby/16354

웹소설과-문예창작과 실기 (묘사트레이닝)

https://cafe.naver.com/lordby/21215

웹소설과-문예창작과 실기 (기출서적·기출영상)

http://cafe.naver.com/lordby/26856

웹소설과-극작과 실기 (콩트형)

https://cafe.naver.com/lordby/26010

웹소설과-영화과 실기 (시놉시스형)

https://cafe.naver.com/lordby/47659

웹소설과-영화과 실기 (작문형)

http://cafe.naver.com/lordby/23042

웹소설과-영화과 실기 (스토리구성형)

https://cafe.naver.com/lordby/59694

공모전+백일장 특기자전형 (1년 일정달력)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웹소설과-문예창작과 실기 (기출·후기·합격작해설)

△ 웹소설과-문예창작과-극작과

(등급컷·전형비율)

문예창작과는 중앙대, 서울예대, 한예종, 동국대의

인지도가 높습니다. 그 외 명지대, 단국대, 숭실대,

추계예대의 인기가 높습니다. 동국대 wise캠퍼스,

광주대, 청강대, 한국영상대 등이 웹소설과입니다.

작가학과는 국영 or 국영탐 위주로 반영하고 실기

70~90%여서 실기에 달려있습니다. 서울예대,

동국대, 중앙대 문예창작과 위주로 준비합니다.

학과특성상 문-이과 구분도 없고 계열도 구분없이

실기선발합니다. 성적보다 실기에 달려있습니다.

문창과는 학과특성상 주요대학들이 실기전형을

통해서 선발하고, 수학미반영에 입결도 낮습니다.

△ 중앙대 문창과 실기전형 (평균등급컷)

△ 서울예대 극작과·문예창작과 실기전형 (평균등급컷)

△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과 실기전형 (평균등급컷)

△ 청강대 웹소설과 실기전형 (평균등급컷)

【서울예대 문창과】

서울예대 문창과는 국내 탑임에도 불구하고 실기

94%입니다. 8등급 대에서도 합격자가 나옵니다.

재작년에는 8.2였으며 지난 해에는 7이었습니다.

글을 잘 쓰는 수험생을 선발하려는 취지가있어서

그렇습니다. 물론 성적도 좋으면 유리하겠지만

실기가 핵심이라 실기로 뒤집고 합격을합니다.

【동국대 문창과】

동국대가 문창과 중에서는 입결이 가장 높은데 정시

비실기 수능은 1.7 이지만, 수시 실기전형 합격자

최저합격등급은 5전후입니다. 상위10과목입니다.

상위10과목이라 동국대식으로 환산하면 두 세 등급

정도가 오르기때문에 6~7등급대에서 지원가능하고

합격자가 나오는 셈입니다.

【청강대 웹소설학과】

청강대 웹소설과는 수시1차 실기34명 선발합니다.

청강대 웹소설과는 수시2차 실기15명 선발합니다.

실기60%+내신40% 방식으로 적용합니다.

수시1차 실기전형 등급컷은 7.3입니다.

수시2차 실기전형 등급컷은 6.4입니다.

7등급+최우수1개학기 실질적인 실기100%입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동국대 문예창작과 실기

△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실기

△ 청강대 웹소설과 실기

△ 한국영상대 웹소설과 실기

https://cafe.naver.com/lordby/26220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26659

동국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cafe.naver.com/lordby/26855

중앙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80400

숭실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83413

숭실대 문예창작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45308

​서울예대 극작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77578

​서울예대 문창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42509

중앙대 문창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78141

동국대 문창과 합격후기

실기는 대학마다 공통으로 산문(에세이,수필,콩트)

이나 운문(시)중에 택1해서 A4용지1~2장을 쓰며

문장력, 표현력, 상상력을 통해 평가합니다.

출제의도는 극적구성, 장면구성, 캐릭터구축, 풍자,

플롯설정 등등이 목적이니 맞춰서 준비해야합니다.

배경설정 후 묘사해주면 좋습니다.

『기승전결』

기승전결을 갖추고 인과(因果)에 의한 플롯구성

형성여부가 가장 중요하고, 알레고리를 담아내면

가산점이 크게 들어갑니다.

주제, 줄거리, 인물, 집필의도가 드러나는 형태와

안타고니스트-프로타고니스트에 대한 설정방식이

있습니다. 입시패턴이 있으니 설정하면 됩니다.

△ 웹소설과-문예창작과

(개설대학)

《문창과-극작과 합격최저커트라인》

단국대 문예창작과 (6등급대)

동국대 문예창작과 (5.7등급)

중앙대 문예창작과 (4.8전후)

명지대 문예창작과 (6.2전후)

숭실대 문예창작과 (4.8전후)

조선대 문예창작과 (6.0등급)

순천대 문예창작과 (6.5등급)

추계예대 문예창작과 (6등급)

백석예대 극작과 (7등급후반)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9등급)

한양여대 문예창작과 (7등급대)

한예종 극작과-서창과(5등급대)

명지전문대 문예창작과 (7등급대)

문창과는 실기전형은 등급 컷도 일반학과에 비해

낮게 형성되며, 수학도 반영않는 곳이 많습니다.

수시실기전형/정시실기전형 구분없습니다.

성적은 너무 걱정말고 실기대비 위주로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웹소설과-문창과-극작과 입시정보를 포함,

문예창작과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필요하면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웹소설 공모전 질문

... 웹소설 공모전은 보통 언제 열리나요?(플랫폼 별로) 2. 타 연재사이트에 무료로... 만약 웹소설 작가를 지망하고 계시고 추가적인 질문 사항이 있으시다면 링크 및 번호...

웹소설 표지 작가 연봉

... 각 웹소설 플랫폼에서는 표지 제작 공모전을 진행하며... 웹소설 작가 커뮤니티: 웹소설 작가 커뮤니티에서 다른... 오픈카톡에 질문 남겨주시면 답변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