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상관물

객관적 상관물

작성일 2024.04.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여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과 대조될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나요?



유리왕_황조가 꾀꼬리는 정다움

화자는 슬픔



허난설현_봄비에서 봄비는 쓸쓸함

화자는 쓸쓸함





#객관적 상관물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차이 #객관적 상관물 예시 #객관적 상관물 뜻 #객관적 상관물 종류 #객관적 상관물 시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문제 #객관적 상관물 작품 #객관적 상관물 효과 #객관적 상관물 개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여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과 대조될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나요?

유리왕_황조가 꾀꼬리는 정다움 - 화자는 슬픔

허난설현_봄비에서 봄비는 쓸쓸함 - 화자는 쓸쓸함

-그렇습니다. 다음 설명 참조하시길

*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과 감정 이입(感情移入, empathy einfulung)

1)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 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킨다. 시작(詩作)의 한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어떤 정서나 사상을 그대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그것을 나타내 주는 사물, 정황이나 혹은 일련의 사건을 발견하여 표현해야 한다. 이러한 사물, 정황, 사건을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한다.

* 펄펄 나는 저 꾀꼬리 /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워라, 이 내 몸은 / 뉘와 함께 돌라갈꼬. -황조가-

-객관적 상관물(자연물)인 '꾀꼬리'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 저 산에도 가마귀, / 서산에는 해 진다고 / 지저귑니다. -가늘 길(김소월)-

-'가마귀'를 통해 화자가 느끼는 이별의 슬픔과 안타까움을 드러냄

2) 감정 이입(感情移入, empathy einfulung)이란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시켜 마치 대상이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다. 본래 감정 이입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중략>

이 둘을 엄밀히 구별하자면 객관적 상관물은 감정을 표현하는데 동원된 대상인 반면, 감정이입은 그러한 사고의 과정 자체를 나타낸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은 드러내고자 하는 감정과 일치할 필요가 없지만, 감정이입은 객체와 주체간의 감정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따라서 감정 이입이란 시적 화자의 감정을 객관적 상관물인 대상 속에 이입하여, 대상이 자신의 감정과 동일한 감정을 느끼고 인식하는 것처럼 인격화(人格化)하여 표현하는 방법(의인법)이다.

-자세한 내용이 더 필요하면 출처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5.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 : 카페 (naver.com)

허난설헌 규원가 객관적 상관물

허난설헌 규원가에서 창밖에 핀 매화 언제 피었다 졌는가 부분에서 매화가 왜 객관적 상관물인가요? 허난설헌 규원가에서 창밖에 핀 매화 언제 피었다 졌는가 부분에서...

객관적 상관물 감정이입

... 이건 객관적 상관물인가요 감정이입인가요? 시에서 감정이입물은 객관적 상관물입니다.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 김소월 <초혼 > (상략)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화자의 분신을 객관적 상관물로 볼 수...

동동이라는 시에서 화자의 분신을 객관적 상관물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국지기 샘입니다. 고려가요<동동> 이 작품은 현존하는 작품 중 가장 오래된 월령체 작품으로 전...

객관적 상관물인가요 감정이입인가요?

... 이게 객관적 상관물일까요 감정이입일까요? 이유도 같이 적어주세요.ᐟ 1. 객관적 상관물은 시적 자아의 정서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자연물을 가리킵니다. (1) 감정 이입된...

객관적 상관물

안녕하세여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과 대조될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나요? 유리왕_황조가 꾀꼬리는 정다움 화자는 슬픔 허난설현_봄비에서 봄비는 쓸쓸함 화자는...

객관적 상관물

객관적 상관물이 적용된 문학 작품들의 예시와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객관적 상관물이 적용된 문학 작품들의 예시와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자세한...

동동 객관적 상관물

... 정월 냇물은 아아, 얼려 녹으려 하는데, (시적자아와 대조되는 객관적상관물 : 냇물) 세상에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2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등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