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길-정호승'와 '모란이 피기까지에는-김영랑' 공통점과 차이점

'봄길-정호승'와 '모란이 피기까지에는-김영랑' 공통점과 차이점

작성일 2023.05.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 두 시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2개 씩 찾아야 하는데 뭐가 있을까요?

공통점
1. 역설법을 통해 '봄길'에서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와 '모란이 피기까지에는'에서 '찬란한 슬픔의 봄을'이라는 구절을 통해 모순적이게 표현함.
2. '봄길'에서 '강물', '새', '하늘', '땅'와 '모란이 피기까지에는'에서의 '모란'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부정적인 상황을 부각시켜줌.

차이점
1. '' '보라.'라는 명령형을 통해 화자의 의지를 전달하고 " '-네요.'라는 경어체를 통해 섬세한 정서를 형성하고 부드러운 어감으로 여성적인 어조를 드러냄.
2. " '봄'은 화자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시기를 의미하고 " '봄'은 화자가 기다리고 추구하는 모란이 피어나는 계절을 의미함.

이 중에서 틀린 게 있다면 고쳐주시고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봄을 주제로 한 시: 두 시 모두 봄이라는 계절을 시의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봄은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하는 계절로서, 시인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소재가 되었습니다.

슬픔과 희망의 역설적 표현: 두 시 모두 슬픔과 희망이라는 상반되는 감정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정호승 시인은 '찬란한 슬픔의 봄을’이라고 말하며, 김영랑 시인은 '모란이 피기까지는’이라고 말합니다. 이들은 봄이라는 계절에 슬픔을 겪으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기다리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의 형식과 언어: 정호승 시인의 '봄길’은 자유시로서, 정해진 운율이나 구조가 없습니다. 그는 맑고 부드러운 언어로 서정적인 감성을 담아냅니다. 반면 김영랑 시인의 '모란이 피기까지에는’은 순수시로서, 4연 14행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수미상관식 구성과 부드러운 시어로 주제를 강조합니다.

상징적 의미: 정호승 시인의 '봄길’은 길이라는 단어를 상징적으로 사용하여, 인간의 삶과 운명을 의미합니다. 그는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고 말하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극복할 수 있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반면 김영랑 시인의 '모란이 피기까지에는’은 모란이라는 단어를 상징적으로 사용하여, 절대적인 가치와 소망을 의미합니다. 그는 모란이 피기까지 기다리며, 찬란한 슬픔의 봄을 바라봅니다.

꽃과 정호승봄길 공통점, 차이점

김춘수의 꽃하고 정호승봄길이라는 두 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좀 알려주세요... 자연(꽃, ) 4) 성격 ; 희원(원망)적 2. <[1] 꽃; 김춘수>과 <[2] 봄길; 정호승>의 차이점 1)...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독을 차고의...

김영랑의 시인 모란이 피기까지는 과 독을 차고 두 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알려주세 김영랑의 시인 모란이 피기까지는 과 독을 차고 두 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알려주세...

김영랑시인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학교숙제인데 잘 모르겠어서 질문이요ㅜㅜ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나오는 중요한 시어들과 김영랑시인이 이 시를... 이것은 어느 면에서 인간의 인생과 공통점을 지닌다. 결국...

김영랑모란이피기까지는!!!급ㅎㅔ요

국어숙젠데요ㅋㅋ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에대해서알아오는건데 1. 김영락... 가령 영랑의 「오월」 같은 시는 들판의 약동하는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인데 시각적...

모란이 피기까지는 연계 작품

모란이 피기까지는 작품과 유사한 작품중에 추가로 연계해서 더 공부할 수 있는... 살아 있는 날은(이해인) * 봄 길(정호승) * 배를 매며, 배를 밀며(장석남) * 민지의 꽃(정희성)

모란이 피기까지는 공통점과 차이점...

... 내공 100걸어요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 / 모란이 피기까지는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해주세요!!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과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백석>의 비교 1....

김영랑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에...

... 이것은 어느 면에서 인간의 인생과 공통점을 지닌다. 결국... 김영랑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주제로 삼았다. 모란이 피기까지 그는 아직 봄을 기다린다. 아름다운 모란을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