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후일> , <진달래꽃> 김소월 시

<먼 후일> , <진달래꽃> 김소월 시

작성일 2019.09.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먼 후일> 김소월 시 중에서 마지막 연이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인데 말하는 이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이 이 시의 나타낸 것과 가장 유사한게

<진달래꽃>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와 가장 유사하다는데 그 이유와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 후일> 김소월 시 중에서 마지막 연이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인데 말하는 이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이 이 시의 나타낸 것과 가장 유사한게

김소월 <진달래꽃>과 가장 유사하다는데 그 이유와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반어법

-너무나도 큰 슬픔이지만 참고 인내하겠다는 것으로 고조된 감정을 승화시킨 반어적 표현

*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 반어법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란 표현은 화자의 마음에만 담아 두었던 본심을 언뜻 드러내는 시구이다. 화자는 제1연~제3연에서 계속 '잊었노라'라고 강조하지만 이는 실상 '결코 잊지 못하는 마음'을 반어적으로 드러낸 표현이다. 이러한 반어는 끝 행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밖에 없다.

김소월이랑 먼 후일 이라는 시에 대해 서

... 먼 후일의구조 표현기법 김소월 - '먼 후일'이라는 시에 대해서 1. 김소월 시의 경향... 대표작 -진달래꽃, 산유화, 초혼, 가는 길, 접동새, 산수갑산, 길, 산, 먼 후일 등 3. ...

김소월진달래꽃의 질문입니다.

... 이어 《먼 후일(後日)》 《죽으면》 《허트러진 모래 동으로》 등을 《학생계... 향가 고려 속요 시조 자유시 도솔가 가시리 황진이의 시조 진달래꽃 김소월 시의 '이별'과...

국어수업때문인데요 , 김소월-진달래꽃

국어시간에 수업을 하게됬는데요 , 김소월- 진달래꽃 이요 ,, 어떤식으로 수업을... 이어 《먼 후일(後日)》 《죽으면》 《허트러진 모래 동으로》 등을 《학생계(學生界)...

김소월 진달래꽃 슬픔의 초극?

... 먼저 진달래꽃의 4연을 대다수 교재나 샘들은 <반어법>으로 해석하고 있답니다.... 또한 시중 교재나 선생님들이 잘못 지도하는 것 중에 김소월<먼 후일>이라는 작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