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투리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오사카, 후쿠이, 후쿠오카)

일본 사투리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오사카, 후쿠이, 후쿠오카)

작성일 2013.08.2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일본어를 공부중인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애니, 버라이어티, 드라마 등을 보다가,

일본사투리가 나오길래 궁금해서 여쭙니다.

 

일본도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같이

지역 사투리가 있는것으로 아는데,

관심있는 사투리가 오사카벤, 후쿠이벤입니다.

그리고 후쿠오카도 사투리를 쓰는지...

 

일본표준어를 기준으로 3지역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예를들어 오사카벤 같은경우 난데야넹 같이,

자세히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국은 중앙집권 체제가 일찍 갖춰진 이후 줄곧 유지해 온 탓에 지역별 사투리 차이가 비교적 덜 심한 편이

죠. 적어도 못 알아 들을 정도의 차이는 아니잖아요?

 

하지만 일본은 예로부터 '번' 단위의 통치, 지방 영주의 통치 등의 체제가 오래 유지된 탓에, 상대적으로

주민들의 생활권이 단절된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바로 옆 도시와 비교해도 말이 다를 정도로

엄청난 수의 벤(=사투리)이 존재합니다. 표준어(?)와 비교해서 알아 들을 수 있는 말보다 못 알아 듣는 말이

더 많은 벤도 부지기수이고 말이죠.

 

간사이벤, 토사벤 등은 비교적 잘 알려진 편이어서 현지인들은 물론이고, 외국인들도 비교적 많이 알아 듣

지만, 그 외 지역의 벤들은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아는 사람만 압니다.

 

오사카벤, 교토벤, 고베벤은 분명 나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오늘날에는 일부 혼용하게 된 탓에,

어떤 게 원래 교토벤이고, 어떤 게 원래 오사카벤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린 표현들이 더러 있습니다.

 

그래서 '오사카벤'이라기보다는 '간사이벤'의 특징을 몇 가지 보여드리자면

 

1. 축약

 

가령... '틀리다', '아니다' 등의 의미로 쓰이는 '치가우'를 오사카벤은 '챠우'라고 축약해서 말하며..

'재미있다'인 '오모시로이'를 '오모로이'라고 하며..

 

소레와(그것은) -> 소라

고레와(이것은) -> 고라

 

 

2. 모든 경우에 그런 건 아니지만 'ㅅ'를 'ㅎ'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음..

 

스즈끼상! -> 스즈끼항!

스미마셍(미안합니다, 실례합니다) -> 스미마헹

 

 

2-1. 1+2의 예

 

와까리마셍(모르겠습니다) -> 와까라헹

 

 

3. 어말어미 '다'를 '야'로 발음함.. 이게 간사이벤의 반이라고 보아도 좋습니다.

간사이벤 처음 듣는 사람도 '저거 표준어 아닌 거 같은데?'하고 눈치 챌 수 있을 정도로 가장 큰

특징이죠..

 

 소우다(그렇다!) -> 세야!

 이야다(싫어!) -> 이야야!

 

 

4. 아깐

 ~~다메(~~안돼!) - ~~아깐!

 

ex) 하잇타라다메!(들어오면 안돼!) -> 하이타라아깐! ( -> 작은 '쯔っ'는 곧이곧대로 발음하기보단

 생략합니다.) , (하이타라당! ☜ 이렇게 말하기도 합니다. ; 개인적으로 명탐정 코난에서 핫토리가

'하이타라당'이라고 쓰는 걸 딱 한 번 들어 봤을 뿐, 실제 회화에서는 들어 본 적이 없긴 합니다.)

 

 

5. 우찌

 

표준어만해도 '나'를 뜻하는 단어가 수도 없이 많지만.... 간사이 사람들은 '우찌'도 곧잘 씁니다.

원래 '우찌'는 '우리', '우리 쪽', '내 쪽' 정도의 의미이죠.  

 

 

6. 오루, 시모우 

 

'오루'는 '이루'의 고어체이기도 하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히로시마, 간사이 지방에서 여전히 '이루'가

아닌 '오루'를 씁니다.

와깟떼이루, 와깟떼루(알고 있다) → 와깟떼오루, 와깟또루

 

'시마우'도 간사이에서는 '시모우'를 씁니다.

아아, 신데시맛따나, 신지맛따나, 신쟛따나(아~ 죽어 버렸네.) ← 아아, 신데시못따나

 

 

7. 종조사

 

요 → 넹 

조, 제 → 데 (도쿄에서는 남자는 '조, 제', 여자는 '와'의 빈도가 비교적 극명하지만, 간사이에서는

여자도 '데' 곧잘 씁니다. 오히려 '와'도 남자들도 곧잘 씁니다.)

 

한편 도쿄 사람들은 종조사 '사'를 굉장히 많이 쓰는데, 간사이 사람들은 좀처럼 쓰지 않습니다.

 

 

※ 명탐정 코난에 나온 적 있는 것 한 가지 더 소개해 드리자면, 원래 '카라이'라는 표현이 '맵다', '짜다'

둘 다 쓰이는 표현인데 '짜다'의 경우는 '시오(소금)카라이'의 준말 정도로서 '짜다'라는 표현을 나타내는

것인데.... 도쿄 사람들은 '카라이'를 '맵다'의 뜻으로만 씁니다. '짜다'는 보통 '숏파이'를 쓰죠.

그런데 간사이에서는 여전히 '카라이'를 '맵다'라는 뜻으로도 쓰고, '짜다'라는 뜻으로도 씁니다.

 

---------------------------------------------------------------------------------------

 

간사이벤 말고도 토사벤, 이바라키벤, 하카타벤, 히로시마벤 등 사소하게 부분적으로 몇 가지 정도는 알고

있는 게 많긴 하지만, 토사벤을 제외한다면 나름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특히나 후쿠오카벤이나 후쿠이벤은 솔직히 아는 게 전혀 없습니다.

그 둘은 현지 유학 경험이 있는 분이 답변을 달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벤'에 관심이 대단히 많아

서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후쿠이벤

1. 호쿠리쿠지역 사투리의 특징인 간투인터네이션이 있습니다.
    간투 인터네이션은 문절 끝에서 음절이 상하로 떨리는걸 말하며, 어미나 대화의 단락에서
    「あのね→あのぉんねぇ」「えっとね→えっとぉんねぇ」이렇게 되는걸 말합니다.

    예를들자면, 「〜のお」、「〜ざあ」、「〜わあ」、「〜しい」등이 있습니다.


2. 단음절 단어를 발음할때는 「目え」「手え」와같이 2음절로 늘입니다.
    (이 현상은 호쿠리쿠나 칸사이주변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3. 「が」가 비탁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의 일본어에서는 「が」는 비탁음이 었지만, 현재 표준어에서는 비음이 아닌 탁음으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4. 악센트는 단어의 구분을 하지 않는 무악센트지대입니다.
    무악센트는 「箸・橋・端」 등 동음이의러를 전부 같은 높이로 발음하는 것으로, 호쿠리쿠지역에서는
    꽤 특이한 악센트입니다.

5. 문법은 대체석으로 니시니혼사투리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さいた(刺した)」「だいた(出した)」와 같이 サ행의 イ음편이 사용됩니다. (괄호안은 표준어 음편)
   또 「こおた(買った)」「しろおなる(白くなる)」 와 같이 ウ음편도 사용됩니다.
 

하카타벤

후쿠오카 후쿠오카시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사투리를 하카타벤이라고 칭합니다.
후쿠오카사투리라고 말씀하셨는데, 아마 하카타사투리를 말씀하시는 것 같아 몇자 적어봅니다.

하카타벤은 원래는 후쿠오카시 하카타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사투리를 말하지만,
현재는 후쿠오카시 전역은 물론 후쿠오카지방의 치쿠전, 이토지마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말을 총칭합니다.

1. 다른 큐슈지역 사투리와 마찬가지로 「何ばしようと(しよっと)?」라는 표현을 사용함
   저 표현을 표준어로 표현하자면 何をしている?가 됩니다.
   일반적인 큐슈지역 사투리는 조사 を를 ば로 표현합니다.

2. 「どげん」「っちゃん」「〜やけん」라는 표현을 사용함
    どげん은 표준어의 どう / っちゃん 은 표준어의 んだ / やけん은 표준어의 だから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3. 악센트는 도쿄식악센트를 사용

4. 이 외의 문법적인 특징(?)은 아래에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표준어  하카타벤
 ~だ/じゃ ~や/たい 
 부정 ない  부정 ん
 동작 て形+いる  동작 ます形+よる/よう
 상태 ている  상태 とる/とう
 ~ていた  とった/よった
 ~ようとしている  ~よる/よう
 ~てある  ~とる/とう
 ~よ  ~ばい
 주의 ~て/ 자기주장 んだ  ~と/とって/っちゃん
 い형용사 い  い형용사 か
 ~よね/かな  ~っちゃろう
 ~じゃないか  ~ろうもん
 ~から  ~けん
 ~けど  ~ばってん
 ~かな  ~かいな
 ~ないで/ないの  ~んと

이중에서 몇가지 예를들어보자면

始まらない > 始まらん 行くかもしれない > 行くかもしれん
話している > 話しよる
乗っている > 乗っとる
寝ていた > 寝とった
行くよ > 行くばい
美味しい > 美味しか

우선 이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5. (확실하지는 않으나) 일단동사의 명령형을 ~ろ가아닌 ~れ로 만듭니다.
   食べろ > 食べれ  寝ろ > 寝れ
   구마모토벤일 가능성이 있기에 확실하지 않다는 표현을 적어봅니다.

이 외에도 표현의 차이는 엄청나게 많아서 일일이 적어드리기가 힘드네요 ;
대표적은걸로 치우다 라는 표현을 표준어에서는 片付ける라고하지만 큐슈에서는 直す라고 많이 합니다.

칸사이벤은 다른분이 자세히 올려주셔서 두가지만 올려볼께요 :-)
조금이나마 질문자님의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사투리에관한 수업을 들은지 오래되어서 100%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일본 사투리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 사투리오사카벤, 후쿠이벤입니다. 그리고 후쿠오카사투리를 쓰는지... 일본표준어를 기준으로 3지역의 다른... 어떤 원래 교토벤이고, 어떤 원래 오사카벤인지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