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리우드 이데올로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

헐리우드 이데올로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

작성일 2003.09.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영화산업에 있어서 헐리우드 이데올로기에 관한 광범위하든 구체적이든 좋은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이데올로기ː(Ideologie 독)[명사]
정치나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 사상 경향. 관념 형태

--------------------------------


몇몇 급진적인 평론가들은 헐리우드 영화가 지배적인 제도들과 전통적인 가치들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재현 관습들은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제도와 가치들이란 개인주의, 자본주의, 가부장제, 민중주의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재현 관습은 주제만이 아니라 형식까지도 포괄하는데 형식적 관습들은 스크린 위에서 벌어지는 것이 어떠한 특정한 시각에서 만들어진 구성물이 아니라 객관적인 사태의 중립적인 기록인듯한 환상을 만들어 내고 이를 통해서 이데올로기를 주입한다는 것이다.
영화는 세계를 반영한다기 보다는 세계를 투사하는 역할을 하는 재현적 요소들의 선택과 조합에 의해서 수사적인 언술을 펼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영화는 관객에게 특정 입장이나 시점을 강요하고 형식적 관습은 영화적인 인위성의 기호를 지움 으로써 관객을 이러한 입장에 가두어 놓는다. 주제상의 관습들은 현실효과를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제도에 연계시킴으로써 이것들이 불변하는 세계의 자연스런, 혹은 자명한 특성인 것처럼 보이게 하며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를 촉진시킨다. 관습 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사회질서의 기본적인 가정들을 받아들이도록 하고 불합리성이나 부정을 도외시하게 만든다.
전쟁이나 범죄처럼 사회구조적인 쟁점들보다 개인의 인생사를 우위에 놓음으로써 현존 질서 자체가 도덕적이고 선한 것 처럼 보이게 한다. 또한 공적인 질서의 재현에 대한 개인적인 동일시는 착취와 지배의 체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심리 적인 기질을 만들어낸다. 사실 헐리우드 영화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 대부분은 방급 언급한 의미에서 이데올로기적이다.
그러나 헐리우드 내러티브의 사실주의적인 생산물 전부가 내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인 것만은 아니다. 영화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그러한 파악방식은 서로 다른 역사적 계기에 생산된 서로 다른 영화들이 지닐 수 밖에 없는 필연적 차이점들을 평면화 하고 변화하는 사회 상황 속에서 영화의 수사적, 재현적 전략이 보여주는 다양성과 차이들을 간과하게 한다. 영화의 정치 적인 의미는 일종의 특수한 쟁점, 구체적인 재현 전략, 개연성있는 효과의 문제이다.

1. 헐리우드 영화의 위장된 이데올로기
헐리우드 영화는 뚜렷한 이데올로기를 지닌다. 헐리우드 영화가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그 이데올로기가 두 개의 상반된 얼굴을 지닌다는 점이다. 즉, 부르주아 이데올로기 또는 지배 이데올로기가 숨겨진 얼굴 이라면, 오락으로서의 영화 이데올로기 또는 환상주의는 밖으로 드러나는 얼굴이다. 오락으로서의 영화 이데올로기는 영화가 이데올로기적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관점은 "영화가 순수하게 재미를 위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무해하다.
영화는 단순히 생활에 지친 시민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며.... 그들에게 상상을 경험케하는 매개체이다"라고 한 데이비드 쿤즐의 말에서 두드러진다. 또한 크리스티앙 메츠는 영화산업과 관객의 관계에 대한 언급에서 영화산업의 임무가 관객의 욕망을 받아들여 '좋은 대상'으로서의 영화를 제작하여 불쾌감보다는 '영상의 기쁨'을 제시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결국 헐리우드 영화에서 감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관객을 스크린 세계로 끌어들이기 위해 영화의 감성적 측면들을 여하히 다루느냐 하는데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오늘날 헐리우드 영화의 이데올로기 연구에 있어 보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부분은 지배 이데올로기이다. 헐리우드 영화는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집요하게 지배적 제도와 전통적 가치를 긍정하고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헐리우드 영화가 옹호하는 지배적 가치는 크게

① 개인주의 (자아신뢰-정부불신)
② 자본주의의 가치 (경쟁, 적자생존)
③ 가부장적 제도 (남성의 지배적 역할과 여성의 부차적 지위)
④ 인종차별주의 (사회적 힘의 불공평한 분할) 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위해 헐리우드 영화는 객관적 사실의 중립적 기록이 아니라 특정 관점에서 조작된 환상의 제시를 위해 발전되어온 형 식의 컨벤션을 사용하며 또한 몇 가지 주제상의 컨벤션을 사용한다. (남성영웅의 모험 heroic male adventure, 낭만적 탐색 romantic quest, 여성 멜로 드라마 female melodrama, 구원의 폭력 redemptive violence, 인종과 범죄의 상투화 racial & criminal stereotyping 등) 이러한 주제는 무엇보다도 관객으로 하여금 사회질서를 받아들이고 비이성과 불의를 거부하도록 조장하는 것이다.
흔히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는 여느 사회에서 지배적인 경향이 있으며(즉 여타 이데올로기는 무시하거나 억압한다), 오직 한 계급에 대해서만 관심과 지지를 표명한다. 로빈 우드는 헐리우드 영화가 지니고 있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고 있다.

① 자본주의, 소유권, 사기업, 개인의 이니시어티브 : 정착
② 노동 윤리 : '정직한 일'은 도덕적으로 찬미하고 ①과 이것은 서로 인정하고 강화한다.
③ 결혼(적법한 이성과의 일부일처제)과 가족 : 남성 지배사회에서 소유원칙이 개인적 관계로 확장. ①,②의 확인
④ a - 토지분배주의로서의 자연 : 에덴 동산으로서의 처녀지
b - 황무지로서의 자연, 문명에 복종한 인디언
⑤ 진보, 기술, 도시
⑥ 성공과 부
⑦ 로즈버드 신드롬 : 돈이 전부가 아니다.
⑧ 모든 사람이 행복하고 행복해질 수 있는 땅으로서의 미국 : 기존 체제의 강화
⑨ 이상적 남성 : 강인한 모험가, 능력있고 자유로운 행동가
⑩ 이상적 여성 : 아내이자 어머니, 완벽한 동반자, 언제나 의존할 수 있는 가정의 기둥
⑪ 믿을 수 있지만 무능한 정착한 남편/아버지
⑫ 매혹적이지만 배신하기 쉬운 위험한 여자

호르탠스 파우더 메이커가 자신의 저서에서 명명한 이래로 헐리우드는 '꿈의 공장'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 의미는 헐리우 드 영화가 대중의 꿈을 충족시켜준다는 것과 함께 현실을 왜곡시킨다는 뜻도 포함되어 있다. 헐리우드 영화의 환상주의와 지배 이데올로기는 상호 의존관계에 있다. 즉, 지배 이데올로기를 관객이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관객을 수동적으로 만드는 환상주의 또는 오락으로서의 영화 이데올로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흔히 예술, 특히 영화가 현실 의 반영이라는 관점에서 많이 이야기 되지만,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헐리우드 영화가 관객에게 끊임없이 주입시키는 지배 이데올로기가 사실은 반영의 현실이라는 점이다.

2. 헐리우드 영화의 이데올로기 변천
1980년대 이후의 헐리우드 영화의 이데올로기를 살펴보기 위해서 '80년대 헐리우드 영화만으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것은 그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핵심적 사상이 독립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계승으로서든 대안으로서든 과거로 부터 파생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헐리우드 영화의 중요한 맥락을 차지하고 있는 아메리칸 드림과 '60년대, '70년대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먼저 살펴보기로 하겠다.
아메리칸 드림은 미국적 이상의 총화인 동시에 미국문화가 직면하고 있는 딜레마이기도 하다.
긍정적 측면에서 광의의 아메리칸 드림은 ① 미국적 평등, ② 미국적 민주주의, ③ 새롭게 약속받은 땅을 의미하며, 협의의 그것은 누구나가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꿈 또는 새로운 땅에서 새로운 인간의 낙원을 건설하려는 꿈을 의미한다.
아메리칸 드림의 부정적 측면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의 주요사건, 즉 산업화와 남북전쟁에서의 북부의 승리, 서부 개척시대의 종말이 출발점이 되었다. 산업화는 도시적 산업주의와 전원적 농업주의 사이의 괴리를 낳았고, 이에 따라 '전원의 꿈'이 좌절되는 결과를 낳았다. 남북전쟁에서의 북부의 승리는 농본주의에 대한 산업적 자본주의의 승리를 의미 하는 것이며, 서부개척 시대의 종말은 문명의 발전에 따라 '자유의 땅'에 대한 희망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주요 사건의 결과는 곧 개인주의의 지나친 강조와 물질주의의 범람을 낳았다. 또한 낙원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인디 언의 멸종, 흑인의 노예화, 종교적 박해 등 지배계급만을 위한 사회구조, 인종차별주의 등 많은 희생과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문학의 경우 아메리칸 드림의 좌절은 이미 오래전부터 거론되어 왔으나 영화에 있어서는 '헐리우드 영화의 혁명적 해'로 기록되는 1967년 이후가 되어서야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초에는 '잠행적 좌파주의'가 등장하면서 종래에는 다루지 않았던 소재와 사회비판적 시각을 지닌 영화들이 제작 되었다. 인종차별 비판, 성억압 비판, 핵 이데올로기의 비판, 냉전사고의 비판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다. 그 결과 1960년대 말에는 소외/반항적 젊은이들이 양산되었다. 소외에 대한 전형적 작품으로는 Mike Nichols 감독의 (The Graduate 1967)과 Arthur Penn 감독의 (Bonnie and Clyde 1967), Dennis Hopper의 (Easy Rider 1969) 등이 있다.
소위 '청년영화(Youth film)'라 불리우는 이들 영화의 공통점은 '질서로부터의 이탈'을 시도한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급진주의와 자유주의는 1970년대 중반에 들어 좌절되기 시작했다. 사회적 분위기는 소위 '복귀의 정치(Politics of Return)’가 암시하듯 전통적 가부장 제도와 가치, 군국주의가 새로이 등장하였다. 다시 말해서 보수주의가 급격히 상승 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79년의 이란 인질사태는 맹목적 애국주의와 신우파 등장의 기폭제가 되었다. 그리고 헐리우드 영화는 이에 발맞추어 급진주의와 자유주의를 추방하고 아메리칸 드림의 전통적 가치와 도피적 환상으로의 회귀를 꾀하였다.
이러한 미국 사회 전반과 헐리우드의 흐름은 곧 '영웅의 재등장 (Return of Hero)’을 탄생시켰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재 등장한 영웅은 철저한 개인주의자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들 새영웅의 또다른 특징은 과거의 서부극의 주인공이 그랬던 것처럼 자연을 동경한다는 점이다. 이들의 가장 큰 적은 극단적 이성과 과학, 진보적 시각이었다. 이러한 영웅이 등장하는 대표적 영화가 '스타워즈', '로키', '수퍼맨' 등이다.
스타워즈 시리즈는 신보수주의의 이념, 즉 개인주의와 엘리트에 의한 통솔, 정부 통제로부터의 자유 등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 시리즈에서 Han Solo야말로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개인사업을 하는 개인주의자의 전형이다. 또한 이 시리즈는 군국주의에의 동경과 적으로서의 공산주의의 치환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1980년대에 '강력한 미국'의 재건을 부르짖은 레이건 대통령의 신냉전 이데올로기와도 맞아 떨어지는 것이었 다. 때문에 1980년대의 미국은 '람보와 레이건의 시대'로 규정지어도 무방할 것이다. 1980년대 초에 부활한 보수주의 사회운 동은 로널드 레이건의 지도력 아래서 과거 50년대 자유주의의 사회적인 성과들 중 많은 것을 철회하려는데에 노력을 기울였 다. 페미니즘(애정의 조건 Terms of Enderament), 전쟁(람보), 경제(위험한 사업), 사회구조(Return of the Jedi)와 관련 해서 우익적인 입장을 고무하는 영화들이 이 시기를 풍미했다. 80년대 초반에서 80년대 중반 사이에 가장 인기있던 영화 들은 보수적인 가치, 도피적인 환상, 전통적인 사회 형태로의 영화적 퇴행이 경제위기나 그로 인한 불안에 의해 탈진상태에 빠진 관객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들은 기운을 회복한 가부장적인 가족의 이미지(On Golden Pond), 남성중심의 낭만적인 커플의 재현(An Officer and a Gentleman), 새롭게 장식된 군인영웅(StarWars)과 새로운 유형의 보다 강한 남성영웅(Indiana Jones), 미국주의의 승리 (베트남으로 되돌아가는 영화들)와 자신을 기꺼이 동일시하였다.
그러나 60년대의 사회운동들은 70년대와 80년대까지도 이어져왔으며 사회적 불의, 핵무기, 미국의 대외정책에 반대하는 의미 있는 영상적인 발언들 또한 지속되어 왔다.
헐리우드 영화의 주요 역할 가운데 하나는 '협의의 이데올로기'를 조장하는데 있다. 단 그것은 지배 이데올로기와 자본 주의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하는데만 한한다. 그것이 일반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그러나 이러한 지배 이데올 로기는 그 모습을 직접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환상주의의 외형 밑에 숨겨진다. 헐리우드 영화를 본 관객은 배우가 연기하는 주인공이나 차에 매료되고 그들과 함께하거나 소유하고 싶다는 소비적 욕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욕구를 자신이 속한 사회가 충족 시켜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곧 미국을 동경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미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긍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헐리우드 영화에 대한 문제제기는 단순히 상업적 측면에서 벗어나 이데올로기적 영향에 대해서도 보다 깊이있는 연구와 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1999.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화산업에 있어서 헐리우드 이데올로기에 관한 광범위하든 구체적이든 좋은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있어서는 '헐리우드 영화의 혁명적 '로 기록되는 1967년 이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