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레코딩 처음부터

홈레코딩 처음부터

작성일 2008.02.1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홈레코딩 하고싶은데요...

 

사실 홈레코딩이란게 정확히 어떤건지도 잘 모르고, 친구한테 얼핏 들어서

하면 좋겠다 싶어서 질문 드려요..

 

홈레코딩이 정확히 뭔지부터, 어떤어떤 장비가 필요하고, ....

어떤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어떻게 사용하는지까지 좀 알려주세요!

취미로 하고싶은거구요.............. 취미보다 더 깊게 배우고싶어서 도전해봅니다~

아직 학원다닐 여력이 안되고 또한 그쪽 인맥도 없어서..;

직접 설명 주셔도 감사하구요, 메일로 주셔도 좋구, 그런 설명이 나와있는 사이트 알려주셔도 좋아요!

제가 궁금한 것을 골라 알기엔 사이트보단 설명이 좋을것 같아요 ^^;

 

아! 친구가 그러는데, 일렉기타를 컴퓨터 본체에 연결해서

컴퓨터상에 있는 이펙터로 그 일렉기타 사운드가 컴퓨터 스피커로 출력이 된다고 했었는데

그런게 정말 있나요? 그게 홈레코딩과 관련이 있는건가요?

 

초짜라고 하기에도 부족한 왕왕초짜입니다.

자세하게 성의있는 답변 부탁드릴게요! (_ _)

추가내공 +20있어요!

[!]내공 얻으시려고 사이트에 있는거 복사 말구요, 아시는분들 답변 원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집에서 녹음을 하면 그게 홈 레코딩입니다~

 

너무 성의없나요? ㅎㅎ..

 

예전에는 음악작업을 하려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서 작업을 했어야 했는데요

컴퓨터가 무지하게 발전을 하게 되면서 음악쪽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고가의 하드웨어 장비를 사용하거나 스튜디오에서 할수 있는 작업들이

개인용 컴퓨터로도 어느정도 가능하다 보니까 굳이 스튜디오까지 안가더라도 많은 작업들을

혼자서 할수 있게 됐지요 (물론 스튜디오+고가의 장비로 작업한 퀄리티에는 모자라겠지만요)

전문성을 갖춘 고급 장비들의 가격이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진 영향도 있습니다.

고로, 홈레코딩이라해서 별뜻이 있다기 보다는 말 그대로 해석을 해도 무리가 없습니다.

 

기타 녹음을 말씀 주셨는데

컴퓨터와 소프트웨어가 발전하지 않았던 예전에는

기타 소리를 녹음하려면

기타 - 이펙터 - 앰프 - 마이크 - 레코더(하드웨어)... 이 정도는 거쳐야 그나마 녹음을 할수 있었을텐데

요즘에는 기타만 딸랑 컴퓨터와 연결을 했어도

소프트웨어로 이펙터는 물론 유명한 앰프들의 소리까지도 소프트웨어로 어느정도 구현을 할수 있습니다.

홈 레코딩의 단적인 예 라고 할수 있지요

 

컴퓨터음악(MIDI)에 대해서 설명하려면 끝도 한도 없을거 같아서 대략적인 아웃라인만 말씀드릴께요

취미보다 깊게 알고 싶으시다면 어쨋든 혼자 심도있게 공부를 하셔야합니다.

 

홈레코딩을 하려면 일단 ....

- 컴퓨터

- 음원 (악기를 말합니다. 하드웨어로 된 악기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가상악기도 있습니다)

- 입력장치 (보통 건반으로 되어있는 장치인데, 신디사이저류는 건반+음원 으로 되어있는 장비구요

                  음원없이 건반만 있는 장치도 있습니다. 건반이 없으면 마우스로 입력할수도 있습니다~)

 

정말 최소한의 장비만을 말씀드렸습니다.... 정말 최소한의 장비군요 ㅎ..

 

솔직히 위 장비만 있어도 홈레코딩을 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소스(녹음된 결과물)의 퀄리티라든가 작업 용이성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장비들을 추가하게 되는데

위 상태에서 1차적으로 추가를 해야할 장비가 있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 입니다.

보통 단순하게 오디오카드라고도 하는데요, (내장형도 있고 외장형도 있습니다)

컴에 달려있는 일반적인 사운드카드 로도 홈레코딩이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만

위에 말씀드린 소스의 퀄리티, 작업 용이성등 여러 면에서 음악적으로 특화된 제품입니다.

외장 (하드웨어) 장비들을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컴퓨터와 연결하게 됩니다.

 

이런 장비들을 연결했다면

컴퓨터에서 이런 작업들을 종합할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하는데요

시퀀스프로그램이라고해서 작곡프로그램(?)이라고 불리우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대중적으로 가장 알려지고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으로는

큐베이스와 소나.. 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안에서 여러 작업들을 컨트롤하게 됩니다.

소프트웨어로 된 가상악기라든가 여러가지 플러그인들 역시 시퀀스프로그램 안에서 컨트롤합니다.

(물론 독자적으로 쓰여지는 프로그램들도 있지요)

 

이런식으로 작업을해서 본인이 만든곡으로 씨디도 만들수있고

기타 녹음은 물론 더빙, 믹스 등등... 여러 작업을 집에서 혼자서도 할 수가 있습니다.

 

자....

지금까지 일단 아웃라인만 말씀드렸는데요..

제가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다면..

말만 들었을땐 쉬워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절대 쉬운 작업이 아니라는걸 먼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본인이 음악적으로 재능이 뛰어나다... 중요하지요

하지만 음악적인 재능외에 엔지니어적인 여러 과정을 어느정도라도 섭렵을 해야만

일정한 수준의 퀄리티를 뽑아낼수가 있습니다.

(취미보다 깊게 하고 싶으시다니까 어느정도 마음가짐은 갖추셨겠지만요..)

 

학원다닐 입장은 아니라고 하셨는데요

제가 1차적으로 추천드리고 싶은건

위에 말씀드린... 시퀀스프로그램이라고해서 큐베이스, 소나를 말씀드렸습니다.

두개만 말씀드렸지만 종류는 많습니다.

맥킨토시라면 프로툴, 로직 등등.... 그 외에도 다수...

어찌됐건 메인 프로그램이니까 어느 하나를 정해서 사용법을 습득하셔야 하는데요

큐베이스나 소나는 시중에 큰 서점에 가시면 활용서들이 몇 권 나와있을겁니다

한두권 구입하세요~

그런 활용서들은 앞부분에 미디에 대해서 전반적인 설명을 하고 넘어가기 때문에

초보 입장에서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미디에 대한 개념부터 확실히 배우시고 여러 프로그램 운용법을 하나하나 익혀가시면

자신도 모르게 일정 수준에 올라있을겁니다.

 

이런곳에 질문을 하더라도 뭘 알아야 질문을 할수가 있는 법입니다.

포괄적으로 지금처럼 질문주시면 내용이 너무 광범위해서 답변으로 책을 써야되는데

답변달리기가 힘들겠지요..

 

꼭 책 한두권 구입하시길 진심으로 권해드립니다~

 

개인적으로 100번째 답변이라 말이 길어졌네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3&dir_id=30612&eid=PCrsD73X+ZEQC61O05N/+CsPkKn8cAVD&qb=yKi9usaptfC/wA==

 

위의 글 몇가지 참고하세요.

 

일렉기타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몇년전만해도 POD라는 장치가 있어야 했지만 요즘 나오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은 Hi-z 이라고 해서 기타 입력을 바로 받고요.  그리고 이펙터는 NI 기타릭이나, IK의 앰플리튜브 같은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이번에 나온 기타릭3 같은 경우는 대단하더라구요.  만약 기타만 전문적으로 연결하시려면 기타쪽에 가까운 오디오 인터페이스인 기타릭3 하드웨어 패키지를 구입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상업용음반을 제작하는 스튜디오의 수준높은 장비들이 크기나 가격, 퀄리티가 낮춰져

취미활동 혹은 그이상을 자신의 생활공간에서 해결할 수 있게 하는것을 홈레코딩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스튜디오에서 하는 작업을 내방으로 가져온것이라 할 수 있죠.

 

일반적으로 홈레코딩은 구성하는 시스템의 용도에 따라 크게 두가지 작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실제악기를 사람이 직접 연주하는 것을 레코딩하는 순수한 레코딩시스템과

다른하나는 악기들을 실제로 연주하는 것이아니라 악기의 소리가 저장된 장비를 통해 음악을 만들고 녹음하는

미디+레코딩시스템. 이렇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것으로 인해 장비의 구성과 사용하는 프로그램등이 달라지게 됩니다.

물론 미디작업과 실제연주를 동시에 하는 경우도 있는데, 결국 두번째와 같은것 입니다.

 

취미삼아서 혹은 취미이상의 작업을 하시려는 초보분이라면

모든기능이 포함된 하나의 장비로 시작하시길 권해드리겠습니다.

http://blog.naver.com/seshop

홈레코딩에 필요한 장비에대한 소개와 정보들로 꾸며진 블로그 입니다.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이곳에 가셔서 USB마이크 포스트를 보시면 G-TRACK 이라는 특별한 마이크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홈레코딩의 시작부터 취미이상의 작업에도 충분히 유용한 장비입니다.

 

 

 

홈레코딩 처음부터

... 집에서 녹음을 하면 그게 홈 레코딩입니다~ 너무 성의없나요? ㅎㅎ.. 예전에는 음악작업을 하려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서 작업을 했어야 했는데요 컴퓨터가 무지하게 발전을...

보컬 홈레코딩 처음부터 끝까지ㅠㅠ!

... 서울에 홈레코딩 기기 파는 전문적인 가게 나... 보컬용 홈레코딩 장비는 몇가지로 추려볼 수 있습니다. 제가... 대부분 홈레코딩마이크라고 하면 다이나믹 마이크와 컨댄서...

오디오카드+SM58 있는데, 홈레코딩에...

... 제 생각에는 지금 상태에서 믹서 하나만 추가하셔서 홈레코딩 하는것을 추천드리고요. 처음부터 장비를 확장해서 쓰시는것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그럼 좋은 선택...

홈레코딩 하려고 합니다...

... ㅜㅜ 홈레코딩을 어느 정도 수준까지 할지가 중요합니다만, 일단 홈레코딩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 마이크가 기본입니다. 처음부터 비싼걸 살필요는 없구요....

홈레코딩 준비 중인데요

... 스테인버그 레코딩팩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너무 비싼 패키지는 필요가 없고... https://blog.naver.com/utopia_11/221951687487 적당하게 쓰다가 업그레이드를 할 용도로 요...

홈레코딩 녹음

미디 를 배워서 집에서 홈레코딩 을 할려고하는데요 녹음 할려하는데 그래서 질문... 처음부터 무턱대로 사람을 불러 레슨을 하기 보다 자기가 해보다가 안되면 원포인트...

홈레코딩 하는 법

한번 도 해본 적 없지만 앞으로 꾸준히 할생각으로 홈레코딩을 할껀데요. 처음부터 하나하나 알려주세요. 1. 장비 2. 프로그램 3.비용 (저렴하게 최대한) 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