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무브먼트와 붓다베이비 ik

랩 무브먼트와 붓다베이비 ik

작성일 2011.02.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rap 에빠진사람인대염

 

1.무브먼트와붓다베이비ik가어떤건지자세히알려주세요그리고

 

2.여기에소속해잇는그룹이나사람이누구잇는지알려주세요

 

3.또슈프림팀은무브먼트인지ik인지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무브먼트 - 타이거 JK, 에픽하이, 다듀 등등 실력있고 인기많은 멤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마디로 가장 유명한 크루입니다

 

붓다베이비 - 아시다시피 수장이 엠씨 스나이퍼인데 라임 문제로 제법 싫어하기도 하지만
시적인 가사도 괜찮고 그런 스타일을 좋아하는 리스너들도 많습니다

 

I.K - 쌈디가 주축이 되어 만들었는데 요즘 슈프림팀이 유명하니 더 주목 받는거 같습니다


슈프림 팀은 뭅먼에서 나왔다는 말이 없는 것을 보면 그 소속이며 IK는 당연히 맞습니다


그럼 멤버들 소개합니다

 

Movement  무브먼트

리더: Tiger JK (Drunken Tiger) 

국내파 - Dynamic Duo(개코, 최자), T, Sean2Slow, Insane Deegie, Buga Kingz(Bobby Kim, Juvie Train, Gan-D), Epik High(Tablo, Mithra 진, DJ Tukutz), TBNY(톱밥, 얀키), 리쌍(개리, 길), 양동근, 은지원, Thanos, Mango Fresh, Double K, 도끼 (前 All Black), Microdot (前 All Black), mc K, Bizzy, Supreme Team(Simon Dominic, E-Sens)

해외파 - DJ JHiG (Drunken Tiger), Roscoe Umali (Drunken Tiger), Micki Eyes (Drunken Tiger), Xrae, EXP aka Ex-Plicit Linez

 

Buddha Baby  붓다베이비

리더: MC Sniper
멤버: 배치기(무웅, 탁), Ugly Picture(Room9, MC BK), KTC.O.B.(DJ Road, DJ R2), Outsider, Illinit (前 Vespid)

 

Illest Konfusion  혼란속의 형제들

리더: Simon Dominic (Supreme Team)
멤버: Rocky L aka Absotyle, Mr. Jinx, Jae Hoodz, Beatbox D.G., J-Tong, Beenzino, Kalchang, Louis Ali, Swings, E-Sens (Supreme Team), DJ Freekey, DJ Pumkin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Movement [크루]

2000년 Drunken Tiger 2집 수록곡 "The Movement"가 계기가 되어 친해진 Drunken Tiger, T, CB Mass가 만든 크루. 대중에게 인기가 높은 Drunken Tiger, Epik High, Dynamic Duo 등이 속해있어, 실로 우리나라의 메인스트림 힙합씬에서 최대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집단이다. 실제로 공중파 방송에서 "힙합 특집"을 방영할 때 가장 많이 초대되는 크루이기도 하며, 거의 모든 멤버가 메인스트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들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노래 "Movement"는 이후 후속작이 계속 만들어졌으며, 멤버들이 대거 참여했던 CB Mass 2집 수록곡 "Movement III"는 상당한 이슈를 불러일으켰다. 네번째 "Movement"는 이후로 오랫동안 나오지 않았으나 2008년 Bizzy EP에서 드디어 작업되었으며,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Movement 멤버가 참여한 장장 8분 짜리 곡이다.

Movement는 원래 국내와 국외의 멤버들로 나뉘어져 있으나, 현재는 딱히 구분을 두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으로 처음 창립 멤버들 중에서도 굳은 친분을 자랑하는 Tiger JK, Dynamic Duo, T, 리쌍 등은 "무사파"라는 이름으로 크루 안의 '크루'를 만들고 있기도 하다.

C.E.O./리더: Tiger JK (of Drunken Tiger)

멤버:
국내파: Dynamic Duo(개코, 최자), T, Sean2Slow, Insane Deegie, Buga Kingz(Bobby Kim, Juvie Train, Gan-D), Epik High(Tablo, Mithra 진, DJ Tukutz), TBNY(톱밥, 얀키), 리쌍(개리, 길), 양동근, 은지원, Thanos, Mango Fresh, Double K, 도끼 (前 All Black), Microdot (前 All Black), mc K, Bizzy, 커빈, DJ Shine (前 Drunken Tiger), Ann

해외파: DJ JHiG (of Drunken Tiger), Roscoe Umali (of Drunken Tiger), Micki Eyes (of Drunken Tiger), Xrae, EXP aka Ex-Plicit Linez, Hep Tha Tightest, DYP Tha Goldchild, Entice

사이트 : http://www.drunkencamp.com (영문)
==================================================================================

YG Entertainment [레이블]

1996년 서태지와 아이들 해체 후 양현석이 만든 "현기획"이 그 시초로, 첫 결과물인 킵식스의 저조한 실적 이후 현재처럼 흑인 음악 전문 레이블 YG 엔터테인먼트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후 지누션, 1TYM의 연이은 성공으로 입지를 다졌으며, 1999년 소속 아티스트들을 모아 YG Family라는 프로젝트 팀을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상당히 메인스트림적 경향이 강하여, 상업적이라며 비난을 하는 이들이 많았으나, 요즘 들어서는 Teddy, Perry, Masta Wu 등의 실력파와 Skul1의 미국 진출 성공, YG 언더그라운드 등의 사업 및 특유의 세련된 사운드로 호평을 받고 있다. 또 대부분의 가수들이 무조건적으로 재계약하는 등 양현석 및 멤버들 간의 의리로 주목받기도 하였다.

한편 One Concert라는 이름으로 2003년부터 합동 공연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
1999년 Famillenium
1999년 Best of Album
2002년 YG Family ll (97-YG-02)
2006년 YG 10th - YG 패밀리 10주년 기념 앨범

여타 활동:
*2007년 초까지 R&B 레이블 M-Boat와 제휴. 휘성, 거미, Big Mama, Soulstar 등의 가수를 배출.
*박한별, 구혜선 등의 연기자 매니지먼트 병행.
*2005년부터 "YG 언더그라운드"라는 이름의 부속 레이블 운영. 언더그라운드의 실력 있는 아티스트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함. 멤버 리스트는 아래에.
*"YG Bounce"라는 이름의 잡지를 한동안 발행했으며, 폐간되었다가 2008년 5월 웹진으로 재시작함.
*"YG Japan", "YG America" 등의 해외 진출 목적 부속 레이블을 설립. Se7en, Big Bang, Stony Skunk의 일본, 미국 데뷔 및 활동을 추진시킴.
*2008년 4월 M.net Media와 상호 지분 보유 등을 통해 파트너쉽 구축.

C.E.O./리더: 양현석 aka 양군, YG

멤버:
1TYM(Teddy, 오진환, 송백경, Danny), 지누션(지누, 션), Perry, Seven, 지은, Big Bang(G-Dragon, 승리, 태양, 대성, TOP), 무가당(Phryme, 송백경, 이은주, 김우근), 2NE1(박봄, 공민지, 산다라 박, CL), 거미, 킵식스 (심영호, 이새영, 박동호), Lexy, 메이다니, 안내영 (前 Swi.T), 성미현 (前 Swi.T)

YG Underground: Stony Skunk(Kush, Skul1), YMGA(Masta Wu, Digital Masta), 용감한 형제(장흑철, 장동철), 45RPM(Smash, J-Kwondo, G.R.)

사이트 : http://www.ygfamily.co.kr
==================================================================================


Master Plan [레이블]

1993년 음악 감상 및 평론 모임으로 시작, 멤버들의 공동 투자로 신촌의 락 클럽 푸른굴양식장을 인수, 힙합 클럽인 클럽 Master Plan으로 만들면서 본격적인 MP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클럽 MP는 BLEX를 비롯한 여러 아티스트들의 주 무대가 되어, 가리온, Da Crew, Side-B, 주석으로 대표되는 한국 힙합 언더그라운드 1세대가 생겨났다. 그러면서 Side-B를 시작으로 대표 아티스트들의 음반도 발매하였으며, 일본 힙합 레이블 Future Shock과의 교류도 있어 2001년에는 합동 공연 Shock 2 Da MP를 성황리에 치르기도 하였다.

2001년에는 마지막 라이브 공연 Still-A-Live를 끝으로 문을 닫고 레이블로 변하였고, 주석을 대표 아티스트로 가요계를 공략하였다. 또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네 장의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2007년에는 "장르를 뛰어넘어 프로페셔널한 음악을 하겠다"라는 말을 모토로, 시즌 1: 클럽 MP 시기, 시즌 2: 힙합 레이블 시기를 넘어 시즌 3를 맞이하였다. 그에 따라 랩보다는 Maximum Crew를 위시한 B-Boying과 Apls, Serengeti 등으로 대표되는 여타 장르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힙합 아티스트들이 거의 다 빠져나가 매니아들 한쪽에서는 현재의 모습에 실망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는 다시 힙합씬의 부흥을 일으킨다는 목표 아래 Lifestyle Party라는 클럽 파티를 열고, 매달 정기적으로 발표할 싱글 (re)DEFINE 시리즈를 시작하기도 하였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0년 MP HIPHOP Project 2000 超
2001년 MP HIPHOP Project 2001 대박
2002년 Who's the Man in the Master Plan
2002년 MP HIPHOP Project 2002 풍류 vol.1 & 2
2004년 MP HIPHOP Project 2004 Change the Game

여타 활동:
*소속 아티스트의 앨범을 mp000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는 반면, 레이블 외 국내 아티스트의 앨범을 mp100, 레이블 외 외국 아티스트를 mp200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대행 판매함.

*레이블 Happy Robot Records(www.happyrobot.co.kr)와 공동 작업. 결과물로 Apls (DJ Lozik, Aris, Cozmic Robo) 등이 있음.

C.E.O./리더: 이종현 aka 돈마니

멤버:
One Sun, Born Kim, Square(Supasize, Sam Skinnie), dj soulscape, DJ Tactics, Schedule-1, Analozik aka DJ Lozik, Maximum Crew(Wake-up, Tazo, Mickey, Eagle, AL, Street, Mighty, Tiger, Roadrunner), Serengeti(정균, 수완, 동진), All Mighty(너클, 위즐, 원샷, 타이푼, 바이런), Joe Brown, 봄 여름 가을 겨울 (김종진, 전태관), Nanpa, DJ Freek, 주석, Defconn, DJ Wreckx, I.F.(young GM, 넋업사니), Vasco

사이트 : http://www.mphiphop.com
==================================================================================


Soul Company [레이블]

MC Meta의 힙합 강좌 "힙합방"과, 힙합에 관심있는 10대들의 캠프였던 "Teenfest" 등으로 친분을 맺은 사람들이 기반이 되어 2004년 세워진 레이블. 컴필레이션 앨범 "The Bangerz"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신의의지 컴필레이션 앨범이었던 "People & Places vol.1"에 Kebee와 The Quiett이 참여한 것 때문에, 신의의지에서 떨어져 나온 레이블로 오해를 사기도 하였으나 둘의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멤버 중 The Quiett은 Soul Company 내에서 메인 프로듀서를 맡아 수많은 비트들을 만들어서 Soul Company 내외의 아티스트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비정기적이지만 Soul Company Show라는 이름의 합동 공연을 꾸준히 벌여오고 있다. 한편으로 내부에서는 Bee Quiett, Masonic Trippers 등 다양한 프로젝트 팀이 조직되기도 한다.

여러 활발한 활동으로 한국 언더그라운드의 대표적인 레이블로 거듭난 이들에 대한 평가로는, 감성적인 힙합을 필두로 하여 한국 언더그라운드의 대표적 음악 스타일을 정립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실험성을 잃고 인기에 영합한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이름의 뜻은 '소울'(疏鬱), 즉 '막힌 길을 튼다'라는 뜻과 '영혼(Soul)이 담긴 음악을 하겠다'라는 이중적인 의미가 있다. 로고로 쓰이는 새의 그림 역시 영혼의 상징인 비둘기에서 따온 것으로, 공모를 통해 "샘"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4년 The Bangerz
2005년 Official Bootleg Vol.1
2005년 The Bangerz: Instrumentals (aka TBI)
2007년 Official Bootleg Vol.2

여타 활동:
*비정기적인 인터넷 라디오 방송 "조용한 대화" 진행.
*GLV, Brown Hood, Homeboy Show 등의 레이블 외 언더 뮤지션들의 CD 대행 판매.
*"A-Class League"라는 이름으로, 소속 아티스트가 레이블 외의 아티스트와 팀을 결성하여 활동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Eluphant (Kebee, Minos), P&Q (Paloalto, The Quiett) 등이 있음.
*자체 웹진 운영.

C.E.O./리더: Kebee aka Eluka

멤버:
The Quiett, 화나 (前 최적화), Syntax-Error(Creiz Rap'er, D.C.), Loquence(Maxan, Jerry,k), Planet Black, Smooth Tale, Mad Clown, RHYME-A-, DJ Wegun, Loptimist, Crucial Star, DJ Silent, Planet Black, 칼날 (前 최적화)

사이트 : http://www.soulcompany.net
==================================================================================



Big Deal Records [레이블]
Big Deal Squads [크루]

시작은 Infected Beats의 RHYME-A-가 신의의지로 간 후, 남은 멤버들이 Addsp2ch와 Primary를 만나서 만든 레이블 'Rockstarr'이다. 이후 'Chocolate Music Factory'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Dead'P와 Shock-E, Groove Master가 여기에 합류했고, 마지막으로 mo'REAL을 영입한 후 그들의 2번째 EP가 여기를 통해 나오면서 레이블로써의 첫 활동을 시작했다.

두 번째로 나온 앨범이었던 Dead'P의 “Undisputed"에는, 당시 소속 프로듀서였던 Primary, Loptimist, Mild Beats가 참여했는데, 이들의 비트가 극찬을 받으면서 Big Deal Records의 인지도와 기대가 높아졌다. 거의 독보적이랄 수 있는 거칠고 어두운 하드코어 스타일은 이후 앨범에서도 계속 이어져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2009년에는 핵심 멤버들이 Big Deal Squads라는 크루를 새로 조직하였으며, Big Deal Records와 깊은 관련이 있으나 활동 노선은 달리할 것이라고 얘기하였다 (Shock-E는 Big Deal Squads의 멤버가 아니다).

여타 활동:
*프랑스 힙합씬과 교류. 레이블 “La Doxa"와의 합작 앨범 "Street Poesie", DJ Crown & DJ Nefast 앨범에 피쳐링 등.
*패션 브랜드 “BrownBreath"와 제휴, Big Deal Logo Cap 제작.

C.E.O./리더: Shock-E (Big Deal Records)

멤버:
Mild Beats, Addsp2ch, Deepflow, Dead'P, 425, Dynamite, Loptimist, Primary, Marco (前 mo'REAL), Lugar (前 mo'REAL), Ignito, Groove Master

Big Deal Records에만 : Nextplan, Chann, Kayone, Keslo
Big Deal Squads에만 : Gesture, J'Kyun, Dragon AT, Timo

사이트 : http://www.bigdeal-records.com / http://www.bigdealsquads.com
==================================================================================


Overclass [크루]

2007년 6월 발매된 Warmman + Lobotomy의 앨범 “Alternative Dig on Earth"의 참여진을 중심으로 친분이 맺어지면서 그 해 8월 만들어졌다. 크루의 이름은 Verbal Jint의 EP 수록곡 ”Overclass"에서 온 것이다.

우주선, JNPB, Lobotomy 등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나는, 전형적인 한국 힙합의 틀에서 탈피된 음악을 선보이면서 주목을 받았으며, Verbal Jint의 “누명”앨범과 비정기적 단체 공연 "Conference" 등을 통해 인지도를 계속 높여갔다. 두 번째 Conference에서는 우주선, JNPB 등이 크루 Salon의 멤버로 독립하겠다고 선언하여 이슈가 되었다.

한편 음악적 활동 이외에도 Sniper Sound 등과의 디스전이나 youngcook의 선정적인 가사, 멤버들의 실력 논란 때문에 뜨거운 감자가 되기도 하였다. 특히 첫 번째 Conference 직전에 터진 Verbal Jint의 IP 사건은 Overclass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들을 크게 늘어나게 하였다.

마스코트로 ‘양놈’, ‘상곰’ 등을 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8년 Collage 1
2009년 Collage 2

여타 활동:
*2008년 3월 의류 브랜드 “Overclass Central“ 런칭.

C.E.O./리더: Verbal Jint

멤버:
Verbal Jint, 노도, Warmman, Lobotomy (youngcook aka prof.d, haduri, quongquan), Steady B, Kjun, B-Soap, Swings, Crybaby, San, 조현아, D.String, Rimi, Krucifix Kricc, Delly Boi, XEPY, 김수준, 우주선(Giant, Von), JNPB (Ja, Pento aka PB)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overclass7
==================================================================================


Jiggy Fellaz [크루]

2004년 3월 부산 지역에 Jango aka JG가 오픈한 클럽 JG에서, 공연했던 아티스트들을 중심으로 생겨난 크루. 처음에는 JG를 다시 풀어 “Jiggy Guaranteed"라는 이름이었으나 점차 몇몇 멤버들의 교체와 함께 재정비를 거쳐 지금처럼 Jiggy Fellaz가 되었다. Jiggy는 ”화려한“이라는 뜻을 가진 속어이다.

결성 직후 한국 최고의 컴필레이션 앨범이라 자부했던 “Xclusive"를 작업 중임을 발표, 2007년에 발매했으며, 발매와 함께 레이블 Jiggy Records를 설립하여 Jiggy Fellaz 일부와 계약을 맺었다. Xclusive는 참여 래퍼들의 실력 뿐만 아니라 믹싱, 마스터링 등 사운드 작업의 퀄리티 면에서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려 노력하였다.

2007년 10월에는 클럽 JG가 문을 닫는 불운이 있었으나, 현재는 Club Circie에서 활발한 공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또 Vasco, Untouchable 등의 아티스트로 계속 메인스트림의 문을 두드리고 있기도 하다.

멤버들은 뮤지션 외에도 타투이스트, 만화가, 사진작가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서울에서 활동하는 뮤지션과 부산에서 활동하는 뮤지션으로 나눠지나 둘이 특별히 구분을 짓지는 않는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7년 Xclusive
2009년 The Black Album
2009년 The Blue Album

여타 활동:
*의류 브랜드 “Jiggy Wear" 창립.

C.E.O./리더: Jango aka JG

멤버:
Vasco, Maniac, RMK, NastyZ(Dead'P, Deepflow), B-Dubb, Hella Dope, JayRockin, Baby Nine, Joe Brown, G-Hun, 247(Big Tray, Dirty Mack), Groove Master, Yeb5, 민킴, CHAN, Duckdab, Mark-K, KHAN, Untouchable (Sleepdy Dawg, THE Action), Mister.JS, Woo-Side, Soulsnatch, essenti, Basick, Marco, Annie J, Supreme Team (Simon Dominic, E-Sens), illTong, Big Smalls, Funny, 용해, M.Blow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jiggyfellaz
==================================================================================


Buddha Baby [크루]
Sniper Sound [레이블]

Buddha Baby는 MC Sniper를 중심으로 뭉친 크루로, 전신은 클럽 Slug.er 공연진을 위주로 MC 스나이퍼가 조직한 “스나이퍼 대군단”이라는 크루이다. 이후 Buddha Baby로 바뀐 스나이퍼 대군단은 2001년 World Hiphop Festival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하였다. MC Sniper 1집 Special Limited Edition에 참여, 각자만의 랩을 공식적으로 선보인 이들은, MC Sniper 앨범에 피쳐링하는 것을 외에는 솔로 활동이 잠잠했으나, MC Sniper 3집 이후 배치기를 시작으로 K-Flow, Outsider 등이 앨범을 발표하면서 활동하였다.

2006년에는 좀 더 체계적인 활동을 위해 Sniper Sound라는 레이블이 설립되었으며, Sniper Sound Concert라는 이름으로 합동 공연을 열고 있다. Sniper Sound와 Buddha Baby는 독립적인 단체이므로 꼭 Buddha Baby와 Sniper Sound 둘 다의 멤버여야 하는 것은 아니나, 친분이 굳게 맺어져 멤버들이 둘에 다 가입한 경우가 많다. Sniper Sound의 멤버였던 Outsider도 시간이 지나 Buddha Baby가 된 것이 하나의 예이다.

외부와 작업을 잘 하지 않는 탓에 여러 레이블 및 크루와 불편한 관계라는 루머가 유난히 많으며, 특히 MC Sniper의 랩 및 프로듀싱 자질이 끊임없이 공격을 받고, 다른 멤버들도 작업물에 MC Sniper의 참여 비중이 크다는 이유로 덩달아 비난의 대상이 되곤 한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9년 One Nation

C.E.O./리더: MC Sniper

멤버:
배치기(무웅, 탁), Ugly Picture(Room9, MC BK), KTC.O.B.(DJ Road, DJ R2), Outsider, Illinit (前 Vespid), K-Flow(비도승우, U.L.T.), Baesic (前 Vespid), 케이밤 (前 Vespid), Psyops (前 배치기), Peda (前 배치기)

Sniper Sound에만: keikei, One Stone, Leo Kekoa, 취랩

사이트 : http://www.snipersound.com
==================================================================================


Buda Sound [레이블]

DJ DOC이 후배 양성 및 발굴을 위해 2001년 설립한 레이블. 여러 공연을 통해 친분 관계를 맺은 아티스트들이 영입되었으며, DJ DOC이 Street Life 싱글을 발표하면서 처음 이름을 알렸다.

MBC 드라마넷에서 Buda Sound 멤버들을 다룬 방송 “가족의 탄생”이 방영되기도 하였으나, 당초 기획보다 훨씬 짧은 6회로 종영되어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Buda Sound는 이름 때문에 Buddha Baby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냐며 오해를 사기도 하였으나, Buda Sound의 Buda는 “마리화나”를 뜻하는 속어로 Buddha Baby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C.E.O./리더: 이하늘 (of DJ DOC)

멤버:
김창렬 (of DJ DOC), 정재용 (of DJ DOC), 45RPM(Smash, J-Kwondo, G.R.), Red-Roc, Rhymebus(J-Dogg, Peejay), Maboos, DJ Murf, DJ IT, JINX, 노반장, 유타, Vasco, buRanG, KirbyTrap, Leo Kekoa
==================================================================================


신의의지 [레이블]

클럽 Master Plan이 문을 닫은 후, 공연장이 없어 힘든 시간을 보내던 후배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들을 위해 2dr이 설립한 레이블. Virus EP와 RHYME-A-의 온라인 EP를 거쳐, 컴필레이션 People & Places vol.1을 통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소속 아티스트들이 차차 앨범을 내면서 한때는 Master Plan을 대체할 차세대 언더그라운드 레이블로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2005년 Paloalto를 시작으로 점차 소속 아티스트들이 하나둘 이적을 하면서 침체되었으며, Elcue의 앨범 “초대”를 끝으로 현재까지 앨범을 발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전 소속 아티스트들과의 교류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한편 2003년 5월부터 The Show라는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을 위한 공연을 꾸준히 주최하여 왔다. The Show는 2006년에 들면서 차츰 뜸해져 33번째 공연 이후에 중단되었으나, 2007년 12월 “Refresh!"란 이름으로 재개, 2008년에는 새로운 시작을 하고, 싸이월드 클럽을 열어 활동을 하였으나 이도 곧 침체되었다.

결국 2009년 1월 힙플라디오 "시원한 라디오"를 통해 1월 초 해체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식적으로 해체된 레이블이 되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3년 People & Places vol.1

C.E.O./리더: Raphorn (前 2dr)

멤버:
Paloalto, RHYME-A-, Virus(Mecca, Minos), Elcue, R-est, 박지호 (前 2dr)

사이트 : http://www.willrecords.co.kr
==================================================================================


SALON 01/VENI-VIDI-VICI [크루]

2007년 경 우주선의 VON이 만든 크루. JA + Aeizoku의 앨범 Double Feature를 통해서 처음으로 알려졌으며, Overclass의 활동과 겹쳐 특유의 음악 스타일이 매니아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Overclass와의 경계가 어중간했던 이들은 2008년 6월 말 Overclass로부터 독립할 것을 선언하였으며, 그에 따라 Overclass의 공연 “두번째 Conference"는 SALON의 고별 공연이 되었다.

SALON 01에는 또 CREAM이라는 “핵심 세력”을 두고 있는데, 이들은 SALON 01의 영향을 주고받는 밀접한 관계의 다른 집단을 의미하며, 홍대의 Jazzy Sport, Brown Breath, 대전의 More Than 등등 다양한 단체가 속해있으며, 그 수만 100여명이 넘는다. CREAM은 이후 8C Boyz, Zulu Naion Corea, 360 Sounds, Bizniz, Fractal, Psypodias 등 SALON에게 "큰 영예를 부여해 준 위대한 동지들을" 묶은 SALON COLLIGATIO ULTIMUM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굳이 나누자면 ULTIMUM은 음악 관계 종사자, CREAM은 리스너들을 지칭하는 듯 하다. 정확하진 않음).

이름 중 SALON은 프랑스에서 성행했던 사교장이자 문화적 공간을 뜻하는 것으로, “음악에서 더 확장되어 문화적으로서의 고급화를 꿈꾸는 집단”임을 의미하고, 01은 첫 번째, Veni Vidi, Vici는 시저 황제가 전쟁에 이긴 후 한 유명한 말인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의 의미로 VVV = V3 = Vthree = Victory, 즉 승리의 의미도 담고 있다. 보통 줄여서 SALON이라고 얘기한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8년 살롱 01: 영광의 크리스마스
2009년 SALON ULTIMUM

C.E.O./리더: 우주선 (VON, Giant)

멤버:
Simo, JNPB(JA, Pento), Aeizoku, Gehrith Isle, A, 기린, Psypodias, Allen, Quaalude, 이세은, 떨맨, Kamanov 등등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SALON01
==================================================================================



Soul Connection Inc. [레이블]

2001년에 결성된 단체로, 시작은 크루였다. 친분 관계를 중심으로 모였기 때문에, 멤버들 중에는 “명예 멤버”라는 이름으로 음악 활동을 하지 않는 멤버도 있다. 초반에는 멤버들의 군입대 등으로 Csp가 유일하게 활동하는 래퍼였으나 이후 2006년 Csp 앨범을 시작으로 KeyReal, Maslo 등이 앨범을 내면서 활동이 활발해졌다. 2009년 나온 컴필레이션 앨범 RapsodY로 메인스트림에 입성하기도 하였다.

2008년 5월에는 신입 멤버들을 더 모집한 후, 7월에 Csp와 Maslo가 공동 CEO인 레이블로 변모하였다 (명예 멤버들은 정식 계약을 맺지 않았으나 여전히 패밀리적 개념에서 Soul Connection의 멤버이다). 줄여서 SCINC라고도 한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9년 RapsodY

C.E.O./리더: Csp

멤버:
Black Out (Maslo, Jepp Blackman), KeyReal, 광요 aka J, Rhymics, SLAkE, B.T.R aka BesTeR, RiLord, Still PM, Weekly Sweet, Gbro, BlackNut, Rimi, Hitchcock(데쌩, Browncloud)

명예 멤버: 아성, Kiz

사이트 : http://www.scincs.com
==================================================================================

Angdreville Fellaz [크루]

2000년 경 김진표의 홈페이지에 있던 ‘랩퍼모여’ 게시판에서 만나 친해진 사람들이 공식적으로 2004년 결성한 크루. 실제로 앨범을 처음으로 낸 일원은 P-Flow였으나, 사람들에게는 JJK를 통해서 먼저 알려졌다. P-Flow의 앨범 발매와 함께 ADV Promotion Company라는 “유령 회사”가 설립되기도 하였으며, 홍대 놀이터에서 비정기적으로 열리는 프리스타일 모임 “Rap Attack"의 주축을 이루고 있기도 하다.

2007년 8월에는 프로듀서인 Defiga가, 2008년 1월에는 주축 멤버였던 JJK가 빠지기도 하였으나 2008년 7월에 "비즈니스적인 관계로는 서로에게 너무 상처를 안기고 불만과 불신을 넘나들게 하여" 멤버와 비멤버의 구분이 없는 친목 중심의 패밀리 개념으로 변하였다. 이에 따라 Defiga와 JJK가 다시 Angdreville Fellaz에 들어왔다.

줄여서 ADV라고 부르며, "앙드레마을"이라는 별명도 쓴다.

멤버:
Southpaw (前 P-Flow), JoyRain, JJK, Huckleberry P, Kain, 20th (KAZ, La'Deep), 권썩, FFa, Defiga, RedBear, 김낙싸움닭, Raretongue, 印魂 등등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a-d-v
==================================================================================


개화산 [크루]

2000년 경 존재했던 ‘힙합모지리’라는 다음 카페에서 만난 사람들이 만든 크루. 처음 시작은 Paloalto, Rama, Esco, Aeizoku 등의 소수였으나, 많은 사람들을 영입하여 대규모 크루로 성장하였었다. 이들은 결성 이후 자체 앨범을 제작하였으나 여러 사정으로 무산되었다. 크루의 이름은 그 앨범을 작업하던 작업실이 개화산 지역에 있어서 붙여진 것이다.

이후 Rama의 “전형적인”과 Paloalto의 LP "Resounding"에 멤버들이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이들은, 2005년 초판 한정으로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하면서 더욱 인지도를 높였다. 이후 GLV, Soul One, Sama-D 등등이 솔로 앨범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현재 와서는 그리 큰 활동은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멤버는 멤버 리스트 앞의 10명까지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친분은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또 Rhy의 경우도 디지털 앨범을 내는 등 잠깐 동안의 활동을 보였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5년 정당한 선택

여타 활동:
*자체 제작 모자 “GAEera" 판매.

멤버:
Rama, Paloalto, GLV, Soul One, TEBY, Aeizoku, Sama-D, Esco, Kush, B-Shop, Low-Ride, Maverick, Street Corner, KP, Mason, DJ Flavah, Razor Mop, Cuz Cuzco, 강준, 이호성, Truman, IT, 현후, 재진, 시휘, Rhy

사이트 : http://www.gaehwasan.net
==================================================================================


한량사 [레이블]

AT431이라는 멀티샵을 운영하던 DJ Skip과 Macho가 힙합 앨범 "절충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이 앨범의 참여진들이 다시 2003년 "절충 2집"이란 앨범을 내면서 레이블을 설립한 것이다. DJ Son과 Trespass의 앨범을 대행 판매했다.

2005년 말에는 신의의지의 MC였던 Paloalto와 MGD 프리스타일 대회 우승자 Sool J를 영입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06년 초에는 신인 멤버를 대거 뽑고 '한량사 Training Course'를 통해 공연/앨범을 위한 준비과정을 서포트하였다. 그에 이어 2007년에는 Sool J와 Rimshot 등 다양한 활동을 준비했다. 하지만 그 해 자금난 등 여러 문제에 부닥쳐 이를 이기지 못하고 사라졌다.

해체 사실은 2008년이 될 때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킹더형 레코드가 새로이 설립되면서 공식화되었다.

C.E.O./리더: DJ Skip, Macho

멤버:
Rimshot (The Z, 대팔 aka Def Roy, Dialogue), Bust This(DJ 짱가, DJ Juice), Sool J, 타코반장, DJ Deephop, DJ Noah, 장누이, Celma, Paloalto, DJ Da-Q
==================================================================================

SNP [크루]


시초는 1990년대 중반에 있던 댄스 동호회 Kick It Up에서 파생되어 나우누리에 자리를 잡은 동호회 Dope Soundz. BLEX에서 앨범이 나온 것을 보고 자극을 받은 Dope Soundz의 회원들 일부가 앨범 작업을 추진하면서, 이 과정에서 뜻이 맞는 이들이 나와서 따로 만든 창작 및 감상 동호회이다 (즉 정확히 따지면 힙합 크루가 아니다). 이름은 “Show N Prove"의 약자이며, 초대 시삽은 Defconn이었다.

2000년부터 Babie Ruth 등의 앨범이 소량 제작되어 회원들 사이에 판매되었으며, 특히 조PD와 DJ Uzi를 디스한 4WD와 Verbal Jint의 “노자” 싱글은 큰 논란이 되었다. 특히 이 곡은 당시엔 생소하였던 "다음절 라임"을 많이 적어넣어 호평을 받았다. 주축이라 할 수 있는 Verbal Jint, 4WD, P-Type, The Illest ILLS 등의 멤버들은 따로 “일수파”라는 크루를 결성하기도 하였는데, 이 크루는 견해차로 인해 2001년 해체되었다.

이후 PC 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럽게 활동이 침체되었고, 2002년 이후로는 자신들의 이름을 내세운 작업물이 없다. 하지만 과거 회원들 간의 친분은 계속 남아 잦은 콜라보를 보여주고 있다.

멤버:
Verbal Jint, 4WD, Defconn aka Shy-D, Krucifix Kricc, 휘성, P-Type, Mazik, B-Soap, Trish Park, 결정, 정인, Tafka Buddah, Heroin, 12_Life, The Illest I.L.L.S., Westylez(G-Ball, Hustla) 등등
==================================================================================

Soul Train [크루]

Soul Train의 뿌리는 BLEX로, 기존 회원들과 갈등을 빚던 DJ Uzi가 자신과 뜻이 맞는 이들과 함께 자신들만의 동호회 “Back's Row"를 만든 것이 그 시작이다. 한글 랩을 중시했던 BLEX와 달리 이들은 영어로 하는 랩에도 나름의 가치를 부여했으며, 여러 공연 활동을 통해 매니아를 확보하였다. 이 역시 정확히 따지면 크루가 아닌 PC통신 동호회이다.

4WD, Verbal Jint의 “노자”가 발표되었을 당시, DJ Uzi, 현상, Deze가 반격곡을 내면서 SNP와 대립 구도가 벌어진 적도 있었다. 하지만 P-Type처럼 두 곳에서 다 활동하는 사람도 있었다.

Soul Train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Y2Soultrain 등의 단체곡이 존재하지만 앨범 등의 공식 결과물은 나오지 못했으며, PC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럽게 활동이 중단되었다.

멤버:
UMC, DJ Uzi, 진실이 말소된 페이지(오박사, 손전도사, 웨이브마법사 aka Sid), 현상, Deze the Godchild aka 사신, R.Crew(Osiris, Rich 'C' Nuts, Quincy), P-Type, 2dr(Raphorn, 박지호), Daz Money 등등
==================================================================================

BLEX [크루]

BLEX는 1995년 블랙 뮤직 정보를 주고받던 한 하이텔 소모임에서 시작되었다. 1997년 여름, 회원 수가 많아져 동호회 승격이 가능해지자 BLEX란 이름의 동호회로 탈바꿈하였다 (즉 BLEX 역시 정확히는 힙합 크루가 아니다). BLEX는 Black Loud EXplorerz의 약자이다.

주요 회원들이 정모를 하면서 하나둘 랩과 비트메이킹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이러면서 앨범을 만들어보자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그로 인해 1997년 최초의 언더그라운드 앨범이라 할 수 있는 “검은소리”가 발표되었으며, 이는 다른 동호회들의 창작 활동을 부추기는 자극이 되기도 하였다.

BLEX 내의 주축 멤버들은 크루인 Under Blades Crew가 결성되어 활동하기도 하였으며, 클럽 푸른굴양식장, 그리고 추후 바뀐 모습인 클럽 MP가 주 활동 무대였다. 이후 PC통신의 쇠퇴와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컴필레이션 앨범:
1997년 검은소리, 첫 번째 소리
1998년 검은소리 vol.2

C.E.O./리더: MC Meta (of 가리온), Malcom (of 폐사오), 주석 (of Da Real)

멤버:
나찰 (of 가리온), Faeza (of 폐사오), Blexman (of Da Real, Who's the Man), A.Jay (of Who's the Man), Macho (of Who's the Man), Riotsoul, Tremor, 파이, 한승우, Issac, AB-God, Curbin.K, Romee, Luckyami 등등
==================================================================================


Jungle Entertainment [레이블]

2006년 2월 세워진 흑인 음악 레이블. “Music more than your imagination, new frontiers for music" (상상을 뛰어넘는 음악, 음악의 새로운 선구자)을 모토로, '대중의 가슴을 울리는, 갈증을 해소해주는 음악'을 목표로 하며, Tiger JK가 도레미 미디어와의 계약 기간이 끝난 후 창립 멤버로 들어가 화제를 모았다. 양동근 3집 대행 판매와 더불어 2006년 Movement 합동 콘서트를 주최하기도 했다.

Tiger JK는 Jungle Entertainment를 미국의 OK Player와 같은 대규모 뮤지션의 소통의 장으로 만드는 것도 하나의 목표라고 말하였다.

C.E.O./리더: 조선오

멤버:
Drunken Tiger(Tiger JK), T, Bizzy, Paloalto, TEBY, Mango Fresh, Ann, 박재선, 리쌍 (개리, 길), 정인, mc K

사이트 : http://www.jungleent.com/
==================================================================================

Amoeba Culture [레이블]

2006년 Dynamic Duo가 설립한 레이블. 원래 2004년부터 Dynamic Duo 멤버들의 프로듀싱 및 디자인 작업 시에 프로덕션 개념으로 사용하는 명칭으로 시작되었으며, Dynamic Duo의 갑 엔터테인먼트 계약 기간이 끝난 후 레이블화되었다.

이후 2007년 세 번에 걸친 공개 오디션 끝에 0CD를 영입하였으며, “특채”를 통해 언더그라운드에서 실력파로 인정 받고 있던 Supreme Team과 Ra.D를 영입해 한 번 더 화제가 되었다.

C.E.O./리더: Dynamic Duo (개코, 최자)

멤버:
DJ Pumkin, Supreme Team (Simon Dominic, E-Sens), 0CD, Ra.D

사이트 : http://www.amoebaculture.com
==================================================================================


가라사대 [레이블]
가라사대 [크루]

1997년 Da Crew가 설립한 레이블로, 시초는 “힙합 음악과 그와 관련된 문화, 그 원류 그리고 바람직한 방향을 추구”하는 작은 모임이었다. 이들은 한국 힙합에 있어서 "국내외를 망라한 대중들에게 올바른 힙합문화의 전달 및 정착"을 추구점으로 밝히고, "X세대, Y세대를 지나 'Millenial Generation' 시대에 어울릴 수 있는 문화 활동과 음반 작업을 화두로" 하였다.

그로 인해 373 프로젝트 등의 몇가지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본격적인 활동은 클럽 MP가 문을 닫은 후부터 시작되었다. 먼저 각종 공연과 행사를 Afroking과 협력하여 여는 한편, Da Crew의 싱글 "Coma" (Mithra 眞이 가라사대 멤버로써 유일하게 활동한 흔적)를 처음으로 앨범 제작을 시작하였다. 이후 2004년 P-Type, E-Sens, Primary 등을 영입하여 크기를 좀 더 키우고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5년 CEO였던 Da Crew의 Saatan이 운영보다는 음악에 치중하고 싶다면서 가라사대에서 빠진 것을 시작으로, Trespass, Keeproots 등의 주요 아티스트가 빠지면서 점점 위축되었다. 그리고 결국 2005년 말 ~ 2006년 초 경에 해체되었다. 정확한 해체 시기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그러다 2009년, 가라사대의 핵심 멤버들이 뭉쳐 과거 가라사대의 전통을 잇는 크루로 활동하기로 한 것이 Issac Squab를 통해 밝혀졌다. 2009년 7월 현재는 앨범을 제작 중이다.

여타 활동:
*"Hook Me Up"이란 이름의 오디션을 실시. 2004년 초와 말에 총 2회 실시되었으며, 발탁자는 가라사대 멤버가 되는 것은 아니나 가능한 선에서 각종 공연 및 앨범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주기로 약속함.
*“Grassroot Movement"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실행. 힙합의 기본, 본질을 찾는 것을 모토로 내부 뮤지션들을 중심으로 진행됨.

C.E.O./리더: Seven (前 Da Crew)

멤버:
Saatan (前 Da Crew), 집시의 탬버린(양성, 왈구, 쿤타), DJ Tonk, Primary, P-Type, 진보, E-Sens, Trespass (Issac Squab, 현무), TKO, Keeproots, Mithra 眞
==================================================================================

Stardom Music [레이블]
Future Flow [레이블]

Stardom Music은 조PD가 데뷔 이후 자신의 앨범을 유통시키기 위해 자체적으로 설립한 레이블로써 시작하였다. Stardom은 조PD의 인기와 관심과 함께 성장하였고, 싸이, 이정현의 초반 앨범들을 프로듀싱해주기도 하였다. 또, 조PD를 디스한 DJ Uzi가 영입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하였다.

이후 2001년 Stardom Music은 매니지먼트와 유통 관련 분야를 강화, Future Flow로 거듭났다. Future Flow의 탄생 이후로는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DNS와 Ra.D가 데뷔하였다. 또 댄스 그룹 데자부나 밴드 Urbano의 앨범 제작에 도움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타 소속 아티스트들의 부진으로 인해 투자자와의 갈등이 빚어졌고, Digital Masta와 조PD 간에서도 DNS의 실패를 두고 불화가 일어났다. 이 일로 Digital Masta는 탈퇴를 했으며, 얼마 뒤 조PD가 사건의 책임을 지고 Future Flow를 탈퇴했다. 이 결과 Future Flow는 와해되었다. 당시 Future Flow에서는 DJ Uzi와 현상의 앨범이 작업 중이어서 팬들을 더욱 안타깝게 하였다.

이름만 남은 Future Flow는 정원관 씨에게 넘어가, 라임 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의 대중기획사로 바뀌었고, 현재는 다시 S&B 엔터테인먼트로 바뀌어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2년 Future Flow & Karl Kani Presents: 2K2F Compilation vol.1

C.E.O./리더: 조PD

멤버:
DNS(Digital Masta, 실력), Ra.D, DJ Uzi, 현상 aka Estez, 도끼, Hype 등등
=================================================================================


Brand New Production [레이블]

Rhymer가 세운 레이블로, 시작 시 이름은 IC Entertainment였다. 2004년 N-Son의 EP Time 2 Shine으로 신고식을 치른 IC Entertainment는, 2006년 Brand New Production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발표하고, Rhymer, The Note, Keeproots, Enjel, 태완의 라인업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Rhymer의 앨범이 오랫동안 연기되었다가 발매되고 The Note의 앨범 역시 연기 끝에 온라인 앨범으로 전환되었으며, Keeproots가 속한 팀 I.C.O.N.의 앨범도 작업 중임을 발표 후 기약없이 미뤄지는 등, 앨범 발표 관련 일처리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C.E.O./리더: Rhymer

멤버:
ICON (Keeproots, A-Man), The Note, Enjel aka 채은정, Annie K, VIP(N-Son, J-Trax), Bizniz, 태완 aka C-Luv 등등
==================================================================================





Tylemusic [레이블]



가리온의 이전 소속사였던 Alesmusic이 사라진 후, 이 곳의 사원이었던 사원 전수영 씨가 2005년 설립한 레이블이다. 가리온의 첫 싱글 '무투'가 여기를 통해 나오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후로도 수준급 프로듀서인 Primary와 Loptimist가 영입되면서 화제가 되었다. Alesmusic이 그랬듯, 다양한 외국 음반을 수입해 판매하는 역할도 꾸준히 하고 있다.



2008년 4월 18일 이후로는 눈에 띄는 활동이 없다.



여타 활동:

*국내 및 국외의 인디 앨범을 직접 판매.



C.E.O./리더: 전수영



멤버:

가리온(MC Meta, 나찰), Yoonkee, Junki, Goat & Monkey, Loptimist, Primary Skool(Primary, 이관 aka Score, 윤태식, 김신영, 송재영)



사이트 : http://www.tyle.co.kr

==================================================================================


Illest Konfusion [크루]

Simon Dominic을 주축으로 결성된 크루. 시작은 1998년 결성된 'Black Area'라는 크루이다. 처음엔 IK Finestrouble이란 이름을 썼으나, 2005년에 Mr. Jinx가 들어오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온라인으로 잠시동안 이름만 알리다가 Mild Beats 앨범과 Keslo 앨범을 시작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혼란 속의 형제들'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한다. 활동 주축이 되는 멤버는 Simon Dominic과 Rocky L이다.

C.E.O./리더: Simon Dominic (of Supreme Team)

멤버:
Rocky L aka Absotyle, Mr. Jinx, Jae Hoodz, Beatbox D.G., J-Tong, Beenzino, Kalchang, Louis Ali, Swings, E-Sens (of Supreme Team), Kon Nibo, Technique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illestkonfusion
==================================================================================

Rivers Crew [크루]



1997년 결성된 한국 힙합 최초의 크루. 시작은 비보이 크루였으나, 다른 분야의 멤버들도 영입하면서 2006년에는 MC, DJ, Beatbox, B-boying 등 힙합의 모든 요소를 포괄하는 거대한 크루가 되었다. "힙합의 기본 뿌리에 중심을 두고 그 올바른 전통을 배워나가 그 시초의 움직임을 실천"하며 "그 움직임을 재해석하여 현시대에 알맞는 새로운 움직임"을 모토로, Brand New Old School이란 이름 아래 활동하고 있다.

여전히 활동 영역 중 주를 차지하는 것은 B-boying으로, 1999년 한국 최초의 배틀 대회를 열었으며, 2000년에는 iTV 고정 프로그램 “댄스불패”에 출연하여 대중들에게도 이름을 각인시켰다. 또 그해부터 각종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 United Korea Battle, SK B-Boy Battle 등 다양한 국내 대회에서 우승하고, 2001년부터는 각종 국제 대회에까지 참여, 2002년과 2004년 UK B-Boy Championship에서 우승을 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2007년에는 10주년을 기념하여 DVD를 출시하기도 하였다.

멤버:
DJ Wreckx, Superman IVY, Beatbox 은준, Physicz, C4, Marine, Jo.T, Supa Zilla, Mob, New Born, Bang Roc, Red Foot, Tatoo, Krush, Jade, Wild Dot, Benny Ben 등등

사이트 : http://cafe.daum.net/rivers00
==================================================================================





Foundation [레이블]



HJ가 2005년 말 설립한 레이블. 시초는 2000년부터 국내에 파티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파티 프로젝트 Afroking. 음악과 Urban Art의 중심에 있는 모든 아티스트들을 서포트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친목 단체의 성격을 띄었던 Afroking과 달리 전문적인 레이블 활동을 펼쳤다.

설립 후 첫 활동으로 각나그네 1집 앨범 판매 및 6point의 활동 서포트를 하였다. 처음에는 힙합 레이블이었으나, 쿤타 & 뉴올리언스를 시작으로 Original Funk Stew, St. Maus 등 하우스나 일렉트로니카의 뮤지션들도 영입하였다. 또한 비쥬얼 아티스트 EE의 개인전을 서포트하는 등 음악 외의 영역에도 손을 뻗치고 있다.

한편 Foundation은 여러 문화 행사를 주최하는 "Foundation Communications"와 음악 관련 비즈니스를 이끄는 Foundation Records로 나누어져 활동하고 있다.

여타 활동:
*Seoul World DJ Festival, B-Boy Park, Street Art Festival 등 다양한 문화 행사 주최.

C.E.O./리더: 조현준 aka HJ

멤버:
Psypodias, Original Funk Stew aka DJ Decode, P-Type, 쿤타 (of 쿤타 & 뉴올리언스), 민설, Honey-J, EE (이윤정, 이현준, Mr. E), 이진욱, DJ UJN + NOVA, 각나그네, St.Maus(이병렬, 한용석), 염따, Nuoliunce (of 쿤타 & 뉴올리언스)

사이트 : http://www.5oundation.com
==================================================================================


Blockbuster Records [레이블]

2006년 8월에 '실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아티스트 개개인의 차별화된 색깔과 능력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로 시작되었다. 시작은 Outsider를 CEO로 하는 레이블로, 2006년 10월에 발매된 Deffinite의 앨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Outsider가 Sniper Sound와 계약을 맺으면서 점차 성격이 변하게 된 Blockbuster Records는, 이후 Keikei 역시 Sniper Sound와 계약을 맺으면서 크루의 형태를 기반으로 “앨범 발매를 원하는 뮤지션들에게 보다 발전적인 형태의 지원을 위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신인 발굴과 함께 소속 뮤지션들의 앨범 제작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집단으로 변하였다.

C.E.O./리더: Outsider

멤버:
Sunday 2PM(Deffinite, Twodeckz, 지백), Keikei, Swagger (Carey Diamond aka G-Pulse, Brown Sugar), K-Proud, One Stone, 란동, LMNOP aka Lonie J, Slapstick, Supmario, Small U

사이트: http://www.b-busterz.com/
==================================================================================

BCR [레이블]

MC 한새가 만든 레이블. 그 시작은 시간을 거슬러 1991년, MC 한새가 친구들과 팀을 결성한 것이라고 한다. 이 팀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Bird라는 이름의 좀더 정비된 팀이 되었고, 2000년에는 정식으로 BCR Crew라는 이름의 레이블이 발족하였다.

처음엔 친목단체의 성격이 강하여 멤버와 비멤버의 경계가 애매하였으며, 비공식 멤버까지 30여명에 달하였다. 이 시기에는 MC 한새 2집의 두 번째 디스크에 멤버들이 대거 참여하여 자신의 실력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2002년 6월 힙합 R&B 레이블로 성격이 바뀌면서 멤버와 비멤버의 경계가 확실해졌다.

이후 대한민국 컴필 등 다양한 앨범에 참여하고 개인 활동도 활발했으나, 차츰 MC 한새 외의 활동이 침체되었다. 하지만 꾸준히 MacJoc, 박소연 등의 소속 아티스트 등의 앨범 작업을 하였으며, 오렌지, DNT 등 외부 아티스트 프로듀싱도 하곤 하였다.

2009년에는 온라인으로도 새로운 결과물을 발표하면서, 아티스트의 이름 뒤에 '퀄리티 보장'의 의미로 "by BCR"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자신들의 음악의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BCR이란 이름은 Bird Clan Records의 약자이다.

C.E.O./리더: MC 한새

멤버:
박소연 aka Bora, RSP by BCR(ill'K, Chronic), MacJoc, Kray by BCR, 요한, Rapgas, Hi-Plusmin, T.O. Squad(Hiphopmind, Swoo-C, -OD-, A2Z, 2G), eMeNeX(1sagain, dada the Maniac, i2u2me), R.I.M.F., 무명, Weskick aka SmuggloD, 266(AG, 과도, Sty) 등등
==================================================================================


TATA CLAN Company [레이블]

프로듀서 및 대학 교수인 TATA가 만든 레이블. 1999년 온라인으로 Bitter Smile 시리즈라는 곡을 발표하기도 했으나, 공식적으로는 2007년 공명정대 앨범을 발표한 것이 첫 활동이다.

문화예술가 집단이란 모토답게 뮤지션 뿐만이 아니라 디자이너들도 많이 있으며, 특히 소속 멤버 중 강박사의 경우 유명한 스트릿 브랜드 Sakun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06 문화산업진흥원 음악진흥 산업정책의 대중음악 부문에 신인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으며, MBC 라디오 방송 '친한친구'의 신인 배틀 코너에서는 2AM과 붙어 승리하는 등 여러모로 음악성을 검증받는 기회도 마련하였다.

TATA Clan의 이름은, 다를 타(他) 두드릴 타(打) + Clan(무리들)의 합성어로 다르게 도전하는 아티스트 집단이라는 뜻이다.

컴필레이션:
2008년 Internet Killed Video Star
2008년 Santa Clan

여타 활동:
*멤버 강박 스트릿 브랜드 "Sakun" 운영
*글로벌 패션 브랜드 "Havaianas"와 제휴

C.E.O./리더: TATA

멤버: (뮤지션만)
Waldorf(공명정대, 2no), Lil Cheesy, Bonfa, TATA Girls 등등

사이트: http://www.TATAclan.com
==================================================================================

NMNP [크루]



2001년 9월 결성된 크루. 한동안 활동이 뜸해졌다가 Elcue의 두번째 EP "The Experiment"를 통해서 WetZ와 1000-U를 제외한 4명의 멤버로 컴백하였다. 이후 2006년에는 부틀렉 앨범을 내는 등의 활동을 했다.



앨범 발매 이후엔 Critickal P도 사정상 음악활동을 잠정적으로 중단하였으며, 얼마 뒤 Elcue가 인터넷 라디오 방송인 “Funky D-El"을 통해 크루로써는 해체하고, 뮤지션들을 한데 묶는 파트너쉽의 개념으로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름은 '눈물나 프로덕션'이라는 뜻으로, 감동을 받아 눈물이 나는 음악을 만들겠다는 뜻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6년 1st Mixtape: Loyal Quality vol.1



멤버:

Critickal P, Elcue aka Jarah, JooHyung, Rama, WetZ, 1000-U

==================================================================================



Lunikaz [레이블]



2004년 봄 J. Deliq을 중심으로, 그의 친구들이 모여 만들어진 집단. J-Deliq, Keslo, Mastik, TM, Mentor, Dynamite가 창단 멤버로, 두번째 만남 때 클럽에서 공연을 하기로 하면서 Lunikaz란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시작은 크루였으나 Keslo 1집을 내면서 사업자 등록을 마치고 레이블로 변하였다 (이 과정에서 Dynamite는 Big Deal과 계약을 맺고 Lunikaz에서 빠졌다). Keslo 1집을 계기로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Derby Place 앨범을 차기작으로 예정하고 있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혀 결국 해체되고 말았다. 이와 함께 Derby Place 앨범 역시 무산되었다.



C.E.O./리더: J. Deliq



멤버:

J. Deliq, Derby Place (Mastic, TM), Keslo, Mentor

==================================================================================



822 [크루]



2000년 클럽 MP의 공연진 내부에서 만들어진 크루. 2000 대한민국 수록곡인 “정상을 향한 독주”에서 처음 이름을 알리고, 주석과 Ill Skillz가 주축이 되어서 인지도를 올렸다. 또 MP HIPHOP 2001 대박 앨범에서는 “그만해라”와 같은 단체곡도 작업하였다.



하지만 2001년 주석이 Leo Kekoa를 비난하는 글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주석과 Leo Kekoa 간의 감정 싸움이 시작되면서 822는 불화로 깨지고 말았다. 현재는 모두 화해가 된 상태이다.



멤버:
Miniman, 주석, Ill Skillz(Leo Kekoa, Vinnie Del Negro, Make-1), Supasize, MC 신건, Deep Down Tribe(Red-Roc, Time-X), Joosin
==================================================================================


Mesquaker [크루]

2004년 대학에서 만난 Deepflow와 여포가 만든 크루. 원래는 Deepflow, 여포, Minor-P (현재 Anesthetic)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활동할 예정이었으나, 대학의 친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멤버를 더 받으면서 인원이 불어나 크루로 바뀌었다. 이름은 거대한 (mass) 진동을 만드는 사람(quaker)이란 뜻이다.

원래는 입대하기 전 녹음이 끝난 여포의 앨범을 시작으로 활동을 하려고 하였으나, 여포가 퀄리티에 만족하지 않아서 앨범은 엎어졌고, 대신 다양한 피쳐링과 공연으로 이름을 알렸다.

Deepflow의 1집의 보너스 트랙으로 Mesquaker의 단체곡인 “Mesquaker"가 있었으며, 2009년엔 새로운 단체곡 "Set It Off"가 공개되었다.

C.E.O./리더: Deepflow

멤버:
Deepflow, 여포, Anesthetic, 뢰붕괴, KirbyTrap, SSES, Ruff Cut, Woopy, Italian Job (ILL Spit, Lupo), 4B

사이트: http://club.cyworld.com/mesquaker
==================================================================================



Dokkebees [크루]



2001년 Miniman, Leo Kekoa를 중심으로 결성된 크루. 첫 활동은 Miniman 앨범이 될 예정이었으나 Miniman이 음악 활동에서 은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는 바람에 크루에서 빠졌고, 최초 활동 시작은 GLV가 되었다.



멤버들 대부분은 오디언 닷컴에서 진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 “스타의 발견”에 출연한 바 있다. 2008년에는 멤버를 대폭 바꾸고 각서리와 낯선 등을 통해 더욱 이름을 알릴 계획을 하고 있다.



C.E.O./리더: Leo Kekoa



멤버:

각서리(Kikaflow, Big Shot), 낯선, B-Free, B-Box, 염따, Funny, Miniman, Rhymebus(Peejay, J-Dogg), ID151, GLV, NE Style(신건, 자건)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dokkebees

==================================================================================



돕보이즈 패거리 [크루]



클럽 MP에서 활동하던 Dope Boyz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루. 음악 스타일은 주로 하드코어한 쪽이었다. Dope Boyz의 해체와 함께 사라졌지만, 팀내 구성원간의 유대는 아직도 굳다. Junkie + Dope Boyz 앨범에 '왜그래 죽을래' 등의 단체곡이 있다. 현재까지 음악을 계속하는 사람은 One Sun과 MC 성천, 그리고 혼Dope 뿐.



MC Sniper는 이 크루가 조직된 초반에 잠깐 있었다가 음악적 노선을 달리하여 빠져나와, Buddha Baby의 전신이 되었던 '스나이퍼 대군단'이란 크루를 만들었다.



C.E.O./리더: Dope Boyz(태권Dope, CS Dope, 혼Dope),



멤버:

One Sun, MC 성천, P.O. & Feel, MC Sniper 등등

==================================================================================





8C Boyz [크루]



2007년 초, 비주얼과 사운드를 접목한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자는 목표를 가지고 처음 모습을 드러낸 크루. 처음 시작하였을 때 멤버 7명 중 3명이 비쥬얼 아티스트라는 독특한 구성을 띄고 있었다. 활동의 첫 시작은 양갱의 EP였으며, 이후 정현이 영입되었다. 이후 REalDreamer35와 우주선의 프로젝트 팀인 URD가 발표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소속 비쥬얼 아티스트들의 활동도 활발하여 양갱의 뮤직비디오는 물론, Dynamic Duo의 “복잡해”, Defconn의 “러브레이싱”, Mighty Mouth의 “사랑해”, Lisa의 “그려봅니다” 등의 유명 뮤직비디오를 촬영 및 작업하였으며, Primary + Mild Beats 앨범의 비쥬얼 작업 역시 담당하였다.



멤버:

Assbrass, REalDreamer35, Valkiry, Oroshi, 재우너, Chris aka Freekey, 정현, 양갱



==================================================================================

아퀴 프로덕션 [레이블]

2004년 말, P.Plant, UnBomber, Triggaeffect에 의해 만들어진, “언더그라운드다운 언더그라운드 레이블로 남는다”는 목표 아래 모인 집단. 시작은 세 명이었으나 서로 친분이 있는 사람들이 영입되면서 점차 그 크기가 커졌고, 실제로 G-Sta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북 출신이다.

처음 이름을 알리게 된 계기는 UnBomber의 “나만의 이야기” EP였으며, 다양한 온라인 싱글과 앨범을 발표하면서 꾸준히 활동을 이어나갔다. P.Plant 앨범 발매 시에는 UnderKorea와 제휴 계약을 맺기도 하였다. 이후 2008년 컴필 앨범을 내면서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하였다.

이름인 “아퀴”는 '어수선한 것을 바로잡는 끝매듭'이란 뜻으로, 힙합씬의 어수선한 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포부를 나타내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8년 전조

멤버:
UnBomber aka U.B., Triggaeffect aka Mr. Text, Somalia, Merci, Ghetto-S(G-minor, 2ryu), Rapiyong aka Rap Doper, 김사장, Jay-M, KG, Heman, 10through, P.Plant

사이트 : http://www.ahqui.com
==================================================================================


360 Sounds [크루]


360 Sounds는 원래 파티 브랜드로, 서울의 DJ들이 자신의 음악적 취향을 기반으로 한 다양성이 주축이 되어, 한달에 한 번 벌이는 파티였다.



2005년 11월에 시작, 처음엔 dj soulscape, DJ Jinmoo, DJ Yong (현 Plastic Kid)이 주 멤버로 시작하였으며, "죽이는 음악보다는 신선한 음악을 제공한다"라는 모토 아래에 정기적으로 파티를 이어나가 매니아들에게 좋은 평을 얻었다.



이 360 Sounds는 회를 거듭하면서 참여 멤버들이 늘어났고, 고정 멤버들이 "360 Supreme Team"이라는 크루를 형성하여 활동하게 되었다. 이들은 30여회에 걸친 360 Sounds 외에도, 음악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분야의 문화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멤버:

Make-1, 각나그네, DJ Smood, YTst, Plastic Kid, DJ Jinmoo, dj soulscape, Shigeru, Lil Min, Solne, Nak, Dahahm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360SOUNDS

==================================================================================


Unspoken [크루]

2008년 5월, 앨범 "Midas Touch"를 통해서 처음 이름을 알린 크루. 처음 멤버는 Jayrockin, Mild Beats, Keslo, Kayone 이렇게 네 명이었으며, 활동을 거듭하면서 점차 멤버들이 합류하여, 한국의 대표 비트메이커 크루 중 하나가 되었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Hot Bling Radio"라는 이름의 인터넷 라디오도 진행하고 있으며, Producer Beatmaking Class 역시 진행하고 있다.

컴필레이션:
2008년 Midas Touch
2008년 Unspoken Remix vol.1
2009년 Rainbow 7

멤버:
Jayrockin, Mild Beats, Keslo, Kayone, Flashback, 차붐, EachONE

사이트 : http://www.unspokenbeat.com
==================================================================================


Market Number.1 [레이블]

2004년 12월 첫 번째 컴필레이션을 내면서 활동을 시작한 레이블. 한글 이름으로 “제일상회”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멤버들은 모두 안산에서 레이블 설립 전부터 친하게 지내고 다니는 사이다.

설립은 Diesel이 서울에 올라간 후 작업실을 만들면서 Mr. Tak, Baoul, Diesel이 “삼총사”란 이름으로 EP를 준비하였고, 여기에 A.S.가 합류하면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2004년 12월 첫 앨범 이후로 싱글 프로젝트 및 멤버들 각자의 솔로 앨범, 그리고 두 장의 컴필레이션이 더 발표하였다. 그렇게 크게 드러나는 활동은 없으나 현재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4년 월셋방 이야기 EP
2006년 1st Company CD
2007년 2nd Company CD

C.E.O./리더: Mr. Tak

멤버:
A.S., Diesel, Darley, Baoul, 조군, Drakkar.D, DJ Charlie, Molly.D
==================================================================================





Wassup Crew [크루]



밀림에서 활동을 시작한 크루. 2004년 Scorpion (현재 ScoLL)과 FLOW2S가 Overlay를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밀림 메인 페이지 뿐만 아니라 힙합플레이야, 리드머 등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작업물을 올리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클럽 Geek에서 Hiphop Special 공연을 진행하였다. 또 힙플 라디오에서 진행하는 아마추어를 알리는 프로그램 “Open Mic"에 여러 명의 멤버가 출연하기도 했다.



첫 공식적인 발표물은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발표된 “Old Songs"였으며, 그 후로도 꾸준히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였다. 특히, 2007년에는 ”즐거울 樂“ 공연을 기획하여 정기적으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Roy C., Tr2top 등의 주요 멤버들이 빠져서 크기는 많이 작아졌고, 2007년 6월에는 Boomhiphop Records와 계약을 맺었으나 그 계약은 3개월 밖에 지속되지 않았다.



현재 Wassup Crew는 The Overlay가 Orifeel Sound에 소속된 것을 제외하고는 특정 레이블과 계약을 맺지 않고, 디지털 앨범 및 공연 등을 통해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6년 Old Songs


C.E.O./리더: Overlay (ScoLL, FLOW2S)



멤버:

Noname1 (of Cyoreno), Tiny TiTan (까리, BN), LJS, Lady LUNA, Graffiti Project(MAPAJONES), Junweather, Moloch, Tr2top(채군, Vegaflow), 타코반장, 4Jay, wookieFresh, DouBle_S, I's, Nesta aka 인간, Roy C. the Dream Hanger, New Classik Sound (Seeflo, P.O.E.T.), MK aka Tec9, DSN (前 Graffiti Project) Songtae (前 Graffiti Project), the J (前 Graffiti Project), GGORA (前 Graffiti Project), KSK Heartbeat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wassupinc

==================================================================================





Boomhiphop Records [레이블]



원래는 힙합음반 및 의류 판매 사이트였으나, 2007년 2월 Cypher Crew와 계약을 맺으면서 힙합 레이블로써 활동도 시작했다. 이후 Wassup Crew, Dope Crew와 계약을 맺어 점점 크기를 불려나갔다. 또 Boomhiphop Party라는 공연을 기획하고 온라인 오디션도 계속 진행하였다. 레이블 활동을 하면서 잠시 이름을 Gravity Label이라고 바꾼 적도 있었다.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CD를 판매하여 여러모로 호응이 있었으나, 판단 미스로 Soul Company 재발매 음반 관련으로 대거 환불 사건이 있은 후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 2007년 말 사라졌다. 해체 당시 소속 멤버는 Cypher Crew와 Dope Crew였다.



C.E.O./리더: Peter Lim



멤버:

Cypher Crew (유하, NJell, Remics, MiMiC), Dope Crew (Z-Ging, R-50, Master KZ, Mighty-Mo), Wassup Crew (FLOW2S, MK, Moloch, Noname1, Scorpion, MAPAJONES, 아림)

==================================================================================





천군단 (CGD Entertainment) [레이블]



2001년 7월 힙합 프로듀서 Mr. 활빈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루. 밀림에 개설된 개인 페이지를 통해서 발표한 곡 '독도는 우리 땅'이 큰 반응을 얻으면서 점차 유명해지기 시작하였다. 오프라인에서도, 천군단 단독 콘서트 외에 다양한 초청 공연을 하였다.



2005년 8월에는 레이블로 정식 발족하고, 한의 싱글을 제작하여 첫 앨범을 발매했다. 현재도 방송, 클럽 공연 및 각종 외부 공연을 하고 있으며, 힙합 의류 사업, 음반사업, 클럽사업등 힙합관련 모든 사업을 병행함으로써 종합 힙합 엔터테인먼트화를 지향하고 있다. 또 Big Small EP 등 외부 앨범 작업을 하기도 하였다.



정식멤버 15명 외에도 해외 멤버, 예비 멤버 등이 있으며, 그 수를 모두 다 합치면 6~70명에 달한다고 한다.



천군단은 "천 명의 무리가 믿음을 가지고 뭉쳤다"라는 뜻.


여타 활동:

*힙합 전문 의류 사업으로, 자체 브랜드인 “붐스타”, “힙합인”을 만들어 판매 중.

*녹음 스튜디오 “토비스”를 열고 유료로 외부에게 공개.



C.E.O./리더: Mr. 활빈



멤버:

한(Tag, Emblem, Two-J, 야금), Ruin, 닭발 aka Laking, Dr.Zem, J-da, Se-A, O.D.J., J-Kim, 오이지, HanBal, Big Daddy K 등등

사이트 : http://chungundan.wo.to
==================================================================================


BRS Records [레이블]

홍대 클럽 Slug.er에서 iks Flowa로 활동하던 아코를 중심으로 세워진 레이블. 2004년부터 이름은 있었지만 정식 출범한 것은 2006년으로, 그 해 김박첼라가 가리온 리믹스 컴페티션에 출품한 무투 Remix가 대상을 타면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첫 공식적인 ‘데뷔’는 아실바니안 코끼리의 EP였다.

“다수에 대항하는 의식있는 소수”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대중적인 것에 반대하는’ 안티 팝 레이블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에 맞게 항상 신선한 시도를 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멤버들 간에는 또 다양한 프로젝트 팀이 결성되기도 한다. 또 촛불시위 등 다양한 민중 행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름은 Be Real Supernatural 또는 BRotherS의 약자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9년 REBELDE

여타 활동:
*2009년 컴필레이션 발매를 즈음하여 킹더형 레코드와 콜라보.

C.E.O./리더: 아코의 까마귀 (of 아코)

멤버:
김박첼라 / 고양이 청부업자 (of 아코), 아날로그 소년, 소리헤다, REB, 진왕, 탬보 태나 (前 아코), Afrodisiac (Fantasmo, Tariq)

사이트 : http://www.brsrecords.kr
==================================================================================



STG [레이블]
STG world [크루]

처음 STG는 Rama가 앨범 판매 등을 위해서 만들었던 레이블이었다. 크루 개화산에 기반을 두고, 처음에는 “유령 회사”처럼 만들어졌으나 차차 멤버를 모집하면서 기틀을 잡아나갔다.

2006년 12월 Rama가 Vegetable Hustlers에 합류하면서 STG의 레이블로써의 기능은 사라지고, 그에 따라 STG의 멤버들은 Blind Alley로 소속을 대부분 옮기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 Big Mac의 싱글이 발표되면서 처음 STG world란 이름이 쓰이고, 부활을 조심스럽게 계획하여 2009년 중순에 공식 발표가 이루어졌다.

STG와 다르게 STG world는 일본인, 프랑스인 등의 뮤지션을 영입하여 "대륙과 인종을 초월한 우정의 콜라보레이션을 펼치"고 있으며, 현재 컴백을 위한 라이브 이벤트 "ACADEMY4~부활의 STaGe! 잘 부탁해!!~"를 계획 중이다.

STG는 Space Tornado Group 또는 Street Team Gaehwa의 약자이다.

C.E.O./리더: Rama

멤버:
STG: Nodo, Esco, B-Shop, Aeizoku
STGworld: Esco, Jimmy Pimp, Scud Beats, 갱자, 영켄보, Big Mac, B-Shop 등등

==================================================================================


Vegetable Hustlers [레이블]

원래는 2001년 도발, XL, 0441 등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크루였으며, 2003년 겨울 멤버가 더 보강되어 형태가 갖추어졌다. 0441의 앨범으로 활동을 시작하려 했으나 0441의 해체로 첫 활동 시작은 X.L.의 싱글이 되었다. 싱글이 나오면서 Vegetable Hustlers는 크루에서 레이블의 형태를 띄게 되었고, 이어 2006년 12월에는 Rama를 영입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후에는 '엄마친구아들쇼' 등의 정기공연을 열었고 2007년에는 7인 프로젝트 팀 '7人 ST-Ego'의 앨범을 발표했다.

멤버:

도발, SuperPlayaZ(XL, Y.T.), BLT, Rama, 태유, B-SHOP, Yoyogoon, Swings, 이능금 등등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v-hustlers

==================================================================================

King The 兄 레코드 [레이블]

DJ Skip이 2008년 10월 새로 세운 레이블. 한량사가 해체된 이후 UMF에서 Super Rookies란 이름으로 신인들을 뽑아 공연을 세우던 DJ Skip이, 그들을 중심으로 만든 레이블이다. 메이저에서 두려워할만큼 실력이 탄탄한 언더그라운드 레이블로 남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2009년 7월 CEO였던 DJ Skip이 빠지면서 R-est가 그 자리를 메꾸게 되었다.

이름은 원래 김도형 레코드가 될 예정이었으나 소속 아티스트들의 반발로 조금 바꾼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 이름에는, "형 간지 나는 짱이 되자"라는 뜻이 있다.

컴필레이션:
2009년 K.I.N.G. (Knocking Into New Glory)

여타 활동:
*2009년 컴필레이션 발매 즈음하여 BRS와의 콜라보.

C.E.O/리더: R-est (of INC), 똘배

멤버:
Fantastik Dos (명덕크랩, Steady Sketcha), Young Boyz (J-Cue, Lup-i), Andup, 방사능 (지구인, 성경, 행주), Chan Juelz, Elcue (of INC), DJ Freekey, 88kids (Front, Ssin), X.L., DJ Skip

사이트: http://www.kingtheh.com/
==================================================================================

Y-Town Stereo [크루]
78 Block [크루]


78 Blocks는 여의도 부근에 사는 멤버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크루로, 처음에는 Y-Town Stereo라는 이름으로 결성이 되었으나, Brown Hood의 The Gotham City 앨범이 나올 때 즈음 이름을 바꾸었다.



활동은 그리 많지 않으나 Brown Hood가 처음으로 앨범을 낼 때 친분으로 멤버들이 홍보 동영상을 촬영한 바 있으며, 이후에는 Dok2와 Zito의 프로젝트 팀인 D&Z 앨범이 추진된 바 있으나 아쉽게도 무산되었다.



Y-Town은 멤버들이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인 여의도를 뜻하며, 78 역시 여의도의 지역 번호에서 따온 것이다.



멤버:

Souldive (넋업사니, Zito (前 Brown Hood), D.Theo (前 Brown Hood)), DJ Zin (前 Brown Hood), Born Kim, 넋업사니, Urban Speaker, 비코, Dok2 등등

==================================================================================





Elementree [크루]



MC, DJ, 태거, B-Boy 등 힙합의 4대 요소를 모두 모아보자는 결심 아래, Raphorn과 JNJ Crew의 의견 교환 끝에 만들어진 크루. 실제로 Paloalto 등의 래퍼, DJ인 Bust This, 태거인 JNJ Crew, B-Boy 크루인 21 Century Boys가 이 팀의 일원이다.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The Quiett과 Kebee가 합류하면서 더욱 박차를 가하였으며, DJ Juice의 앨범 발매와 함께 더 이름을 알렸다.



멤버:

Raphorn, Paloalto, Bust This(DJ Juice, DJ 짱가), R-est, JNJ Crew(Artime Joe, Jay Flow), 21 Century Boys, The Quiett, Kebee

==================================================================================
늘픔패거리 [크루]

2006년 여름, 1988년 생들 끼리 모여서 만든 크루. 열정과 진실함을 서로 다른 스타일을 가진 멤버를 묶는 원동력으로 삼고, 리드머 등의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활동을 해왔으며 공중파 프로그램에도 출연한 적이 있다.

멤버 중 Molly.D와 건고는 '라온뉘누리', 채군, Vegaflow는 'Tr2top'이라는 팀을 이루고 있으나, 늘픔패거리 내에서는 그룹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멤버 리스트를 항상 개개인으로 표기한다. 이를 반증하듯이 내부에서 Vaccine & Virus (Molly.D, 유수), SkanDeGun (Skandalous, Demonicc, 건고)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 팀이 만들어지곤 한다.

크루의 이름 '늘픔'은 '앞으로 좋게 발전할 가능성'이란 뜻의 순수 우리말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7년 이름 없는 작업물 (디지털 앨범)

멤버:
Molly.D, 건고, 유수, Skandalous, Demoniac aka 채군, Vegaflow

 

Cookiz [크루]

2009년 6월 결성된 크루. 7월에 온라인으로 믹스테입 "뿌스레기"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막 구워진 쿠키와 같이 신선. 바삭. 달콤한 음악"을 자신들의 추구 방향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들의 데뷔 무대는 Overclass의 Conference 4였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9년 뿌스레기

C.E.O./리더: Warmman

멤버:
Lopsta, YP, Rimi, 감자, BABO, Slapstick, BigPie, 민정
==================================================================================

New Dynasty [크루]

부산에서 활동하는 크루. 처음에는 Maniac과 2deep으로 이루어진 듀오였으나, 카페를 개설하고 동반자를 모으면서 점차 규모가 커져 크루가 되었다. 한때는 부산 라디오 방송 PSB N플러스에 고정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다. MC 뿐만 아니라 B-Boy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를 포괄하고 있으며, 크루 전체가 Jiggy Fellaz에 속해있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대부분 나온 상태이다.



C.E.O./리더: Maniac



멤버:

개, Funny, Mark-K, Jun, RAPOne, L&J, David, 2deep, Big Small, MKAY, 투지, 우리 등등



사이트 : http://cafe.daum.net/ndynasty

==================================================================================



Diction Records[레이블]

2003년 12월 JEYJEY가 세운 레이블. 세워지면서 동시에 JEYJEY의 크리스마스 시즌 특별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후 몇 번의 오디션으로 멤버들을 충원해 지금에 이르렀다. 주로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Diction Launching Party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원래 CEO는 JEYJEY였으나, 2007년 6월에 JEYJEY가 자신의 해외 체류가 길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자진 사임하고, 대신 Trigger가 CEO를 맡았다. 2009년에 들어서는 멤버들이 대거 빠져 규모가 조금 줄어들었다.

C.E.O./리더:
Trigger (of Chin Trigger)

멤버:
JEYJEY, Chin Chilla (of Chin Trigger), Chozen aka Ren (of Chin Trigger), 감자, Rimi, 임정은, 최승미, Architekt aka Ideology, Snow Brothers(KC, Masterpiece), MARU (Lunatic, MC AMS), Niga-Flow, Mida-man, DJ Taijin, DJ VEX

사이트 : http://dictionrecords.com
==================================================================================

Vitality [크루]

2004년 경에 결성되었으며, 첫 시작은 일탈, Ignito, Sleep-D (현재 Akaslip), Dazdepth 넷이 이룬 그룹이었으며, 이 중 일탈을 제외하고는 모두 인하대 힙합동아리 개로에서 만난 인연이 있었다. Ignito 1집의 "The Vitality"에서 첫 녹음물을 만든 이들은, Revenans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여기에 참여한 DJ SQratch가 멤버로 영입되면서 그룹에서 크루로 바뀌었다.

리더의 개념은 없으나 다른 멤버들의 생활이 매우 바쁜 관계로 활동은 Ignito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9년 V

멤버:
Revenans (Ignito, Dazdepth), 일탈, Akaslip, DJ SQratch
==================================================================================



Diamond Tribe [크루]



2005년 정견의 앨범 발매를 통해 이름을 알린 크루. mo'REAL은 Big Deal에서 활동하느라 Diamond Tribe로써의 활동은 많이 하지 못했지만 멤버들 간의 친분은 매우 두텁다. 주로 메인스트림 경향의 음악을 한다.



Marco 1집에는 How We Do라는 단체곡이 실려있다.



멤버:

Marco (前 mo'REAL), 정견, Freestarr, juNi, Lugar (前 mo'REAL), Lego

==================================================================================


Infected Beats [크루]

Big Deal Records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크루. 2002년 결성하였으며, 밀림 등의 인터넷 사이트 및 공연을 통해서 활동하였다. 특히 RHYME-A-가 주목을 받으면서 더욱 성장하였다. 이후 RHYME-A-가 군입대와 동시에 신의의지와 계약을 맺으면서, 남은 멤버들은 Big Deal Records의 바로 직전 형태라고 할 수 있는 Rockstarr를 만들게 되고, 2003년 9월 Infected Beats의 해체를 공식화했다. 공식적인 발표물은 RHYME-A-의 EP 하나 뿐이다.

줄여서 IBC라고도 한다.

멤버:
Mild Beats, Kayone, RHYME-A-, 425 aka SIO, Listenable (Deepflow, Chann), DJ Jeans, Loptimist 등등
==================================================================================

Brown Beat [레이블]

다음 카페 힙합명반의 시삽을 맡았던 gyra가 만든 레이블. 조성빈 EP로 이름을 알리고, 뒤이어 J. Clacci & PB의 온라인 싱글과 우주선의 EP를 발표했다. 프로듀서 조성빈을 제외하고는 매우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보여주었으며, 이들의 음악적 공감대는 현재 Salon 01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조성빈의 Jay-Z 리믹스 앨범 이후로는 뚜렷한 활동이 없었던 Brown Beat는, gyra가 직장 생활을 하게 되어 힙합과 멀어지면서 점차 활동이 희미해졌고, 결국 해체되었다.

C.E.O./리더: gyra

멤버:
조성빈, JNPB(J. Clacci aka JA, PB aka Pento)(前 Eyass), Placebo.EF, SB2EAST(달빛, A), 우주선(기본 aka Von, 자이언 aka Giant), Binary Beings, Rapzen(前 Eyass), Warmman
==================================================================================

Undercover Sounds [레이블]

2006년 경에 설립된 레이블로,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였다. LuK2, Dawit의 앨범을 내면서 활동을 시작한 Undercover Sounds는, 차츰차츰 멤버들을 모집하면서 크기를 키웠고, 현재까지 공연과 디지털 싱글/앨범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C.E.O./리더: LuK2

멤버:
Louviet, The Happening, 태륜, LEGO, Dawit, Row Digga, Kamikal Dope, Joker, wookieFresh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udsounds
==================================================================================

3rddan Recordings [크루]
-3rddan Basslines [크루]
-3rddan Blackswarms [크루]
-3rddan Fetishists [크루]

3rddan Recordings, 혹은 3단 레코드는 3rddan Basslines, 3rddan Blackswarms, 3rddan Fetishists 세 크루를 포괄하는 거대한 크루이다. 이 셋 중 처음으로 만들어진 크루는 Basslines로, 2005년 DJ Son, LawBeats, J-Fi, 2Deep, J-Daiz 등 호주에서 활동하는 한국 뮤지션들이 의기투합하여 시드니에서 결성하였으며 한국과 호주를 오가며 활동해왔다.

이후 DJ Son & Potlatch의 앨범을 계기로 3rddan Blackswarms가 결성되었으며, 2009년 3rddan Recordings 중에는 처음으로 한국에 본거지를 둔 3rddan Fetishits가 결성되었다. Basslines가 처음 결성했을 때는 뚜렷한 음악 스타일이 있는 것은 아니었으나, 점차 앱스트랙트하고 하드코어한 음악 스타일을 띄게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을 "오리지날리티를 가지고, 그들의 색깔을 힙합의 뿌리로 앱스트랙에서부터 하드코어, 앰비언트, 비주얼로까지 표현"하는 크루로 소개하고 있다.

C.E.O./리더: DJ Son (of Turntable Fetishists)

멤버:
Basslines - LawBeatz, J-Fi, J-Daiz (XT, KD, DJ Sup), 2Deep, Athematik Note (MCSD, Apnan), DJ Keepinsoul, Estraqiz Beats, DJ Dharma
Blackswarms - Potlatch, Anne Yang, Descry, 윤여섭, Old Devil, Mr. Chopper, Unsung Bros, DJ Offcut, Anatomika
Fetishists - DJ SQratch (of Turntable Fetishists), DJ Wegun (of Turntable Fetishists), 두 사람 (Snowman, Wimpy, DJ 판돌), Monsoon Nui (Monsoon, 장누이), Ignito, 우주선 (VON, Giant), 화나, Loptimist, JNPB (Ja, Pento)

사이트 : http://www.3rddan.com
==================================================================================

Rawdogg Records [레이블]

Rappaholik이 만든 2001년 경 만든 인디 레이블. 한국 최초의 힙합 레이블이어서 화제를 모았다. Rappaholik이 앨범을 내고 이후 오디션을 통해 뽑힌 멤버들의 리스트가 공개되면서 여러모로 기대를 받았지만, 4WD의 "친구" 싱글 발매 이후로 활동이 침체되었다. 이후 멤버들이 각자의 길을 가면서 해체되었다.

여타 활동:
*인터넷 레코드 샵 Planet Phatt 운영.

C.E.O./리더: Rappaholik

멤버:
4WD, Steady B, Sqwizz (SQ, Wizzie the Mage), P-Type
==================================================================================

Ssotta Clan [크루]

Redrum이 마스터플랜에서 활동하던 때부터 있던 크루. 멤버들은 주로 송탄, 오산 등에 거주하며, 팀 이름인 Ssotta 역시 송탄에서 온 것이다. 클럽 마스터플랜이 닫은 후에는 클럽 Slug.er를 주무대로 하였으며, Ssotta Project 등의 공연도 여기서 열렸다.

결성 때부터 온라인 공개곡 및 디지털 싱글 등을 통해서 꾸준히 활동을 하였다. 하지만 Redrum이 군입대를 하면서 침체되었고, 각자의 생계 문제 때문에 음악에서 은퇴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잠정적으로 해체되었다.

현재 활동을 계속 이어가고 있는 멤버로는 Redrum과 N.Com, Muney 정도이다.

멤버:
Redrum(Taga, Doksa), 숭샥, N.Com(Geejun, MAce), Double Hoon, BJ, Muney, Sketcha (前 Redrum) 등등
==================================================================================


2nd Round [크루]



Vasco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루. Brown Hood는 음악적 견해차로 EP를 발매하면서 나가버렸고 이후 Lil Joe가 속한 그룹 Broken Lips가 들어왔다.



조PD Brooklyn 믹스테입에 단체곡 "2nd Round"가 있으며, 이 곡은 후에 다듬어져 Vasco 2집에 “삶과 앎”이란 제목으로 실렸다. 멤버 전원이 Jiggy Fellaz의 멤버이다.



C.E.O./리더: Vasco



멤버:

Duckdab, 2nd Round(Joe Brown, 승민, 용남), Woo-Side, Zito (前 Brown Hood), Presta (前 Brown Hood), DJ Zin (前 Brown Hood)

==================================================================================



Apollo Crew [크루]



클럽 MP에서 활동하던 팀 '사거제곱사'가 대전의 클럽 Apollo에서 Smash (그당시 Zolla)를 만난 것을 계기로 만들어진 크루. 한때 Apollo 클럽은 재정난으로 인해 문을 닫았으나 유대 관계는 계속되었고, 2006년 4월 8일 재오픈을 계기로 좀더 활발한 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멤버:

45RPM(Smash, J-Kwondo, G.R.), Boltrix(Aclah Allah, Cozmic Robo), Maboos, Chas, 노영래, 우주선(기본, 자이언), Dopesun 등등

==================================================================================


Blind Alley Records [레이블]

2006년 말 STG의 산하 레이블로 Nodo가 시작한 레이블. Nodo의 첫 정규 앨범이 이 곳을 통해 나온 첫 앨범이다. STG가 사라지면서 STG의 소속 아티스트들은 대부분 이 곳으로 소속을 옮겼다.

C.E.O./리더: Nodo

멤버:
Aeizoku, B-Shop, Esco, The Pokerface, BIGBOY 등등
==================================================================================

deieb Records [레이블]



1998년 만들어진,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친 힙합동아리 중 하나인 중앙대 힙합동아리 Da C-Side를 근간으로 해서 2002년 만들어진 레이블. Da C Side 때부터 예솔, Double Deep, 미료 등을 배출하는 등 역사가 깊었으나, 실제 레이블로써의 이름을 알린건 2003년 Unplugged Soul의 EP가 시작이었다. 2005년 컴필 앨범 'MIC-Ology'를 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5년 MIC-Ology



멤버:

DJ el.it, The Unforgiven, Unplugged Soul, Fantasmo Wizard, Black StoneZ(장지희, Young C Jay), Bewylder, Hydra, Ku2pa, Nohak, MCAD, A-tech, 이정국, 김도형 등등



사이트 : http://www.dacside.com (Da C-Side 홈페이지임)

==================================================================================


Elemental Classic Production [레이블]

프로듀서인 Soar Saem이 2006년 만든 레이블. 2001년부터 프로젝트 형식으로 이끌어온 SOAR BEAt가 프로덕션의 형태로 출범한 것이다. 2006년 Fame-J 앨범에 멤버들이 피쳐링한 것으로 시작, MoveTrack과 Akusto의 EP 등이 기획되었으나 사정으로 인해 Akusto의 온라인 싱글만이 발표되었다. 2009년 현재까지 드러나는 활동을 많이 보여주진 못하고 있다.

C.E.O./리더: Soar Saem

멤버:
Akusto, illFlow, Quickly K, Re-Born, MoveTrack, The iLLest, 정답Intellic, Comma, MPKD 등등
==================================================================================

TJ Music Entertainment [레이블]
Mushroom Cloud [레이블]

TJ Music Entertainment는 2004년 5월 시작, 6월 정식 출범한, Trish Park가 세운 레이블이다. 활동 범위는 흑인음악 전반에 걸친 음반 제작과 매니지먼트로, “문화의 다양성이 공존하는 현재의 음악씬에서 진정한 흑인음악을 하기 위해 설립된 레이블”이다.

2006년 9월에는 아티스트의 활동에 더욱 힘을 실어주기 위해 산하 레이블 Mushroom Cloud를 런칭하였으며, 아티스트의 활동에서 발생한 이윤을 다시 음악으로 재투자하여 더 좋은 음악을 만들 수 있게 하는 “Re-cycle"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2009년에는 오디션을 보고 5월 합격자를 발표하여, 팀으로써 활동하게 하겠다고 발표하였지만 활동이 아직은 없는 상태이다.

현재는 TJ Music Entertainment는 앨범 제작의 지원을 통한 외주 제작을, Mushroom Cloud는 아티스트의 자체적인 음반 사업을 맡는 식으로 구분이 되어있다.

C.E.O./리더: Trish Park

멤버:
J.Hee, Soulman, Minos, QJ, J.Tool, 결정

사이트 : http://www.mushroomcloud.net
==================================================================================

69 Crew [크루]

2006년 5월 MC MiN과 Napper에 의해서 시작된 크루. 6월까지 멤버의 영입이 이루어져 4명이 모이고, 7월에 Feelsea가 들어왔다. Feelsea의 디지털 앨범과 MC MiN의 디지털 앨범를 비롯해 공연 중심으로 활동을 해나갔고, 2007년 3월에는 神眞(당시 MC 神眞)의 디지털 앨범까지 발표되었다.

하지만 이후 각자의 개인적인 이유로 멤버가 하나둘 탈퇴하면서 침체되었고, 결국 2007년 말, MC MiN 혼자만 남아 실질적으로는 해체한 상태가 되었다.

C.E.O./리더: MC MiN

멤버:
Feelsea, Napper, BRiGGs, Luna, 神眞
==================================================================================

SlowBlaze [크루]



2003년 Lastarr와 방PD가 힙합 동아리에서 만나 결성한 "변두리 프로덕션"을 전신으로, 2006년에 본격 결성된 크루. 장기적으로 음악을 하려는 사람들끼리 모여, 서로 피드백을 주면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자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일탈이 이미 Jerry,K EP에 참여해서 모습을 드러낸 바 있지만 실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Lastarr의 EP부터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힙합 뿐만 아니라 전 장르를 포괄하는 성격의 프로듀서 집단으로 변하였으며, Lastarr의 LP로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크루 내에는 Soulbasic(Lastarr, 일탈), SupaSounz(Lastarr, 방PD), QJ House (방PD, 4Wisdom), MoverS(Lastarr, 방PD, Diaa) 등 다양한 프로젝트 팀이 만들어져있다.



멤버:

Lastarr, 일탈, 방PD, 4Wisdom, Diaa, Insectary, 재승

==================================================================================





South Town Production [레이블]



경상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우스 계열의 힙합을 하는 레이블이다. 2006년 5월 세워졌으며, 그와 함께 지상의 첫 EP를 발매하였다. 이후 여러 공연 및 행사에 참여하였으며, KNN 라디오 "노래하나 얘기둘"의 고정 게스트를 맡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멤버 중 지상과 Fame-J가 JYP와 계약을 맺으면서 이슈가 되었었다.



하지만 사우스 힙합을 어설프게 따라한다는 이유로 좋지 않은 시선이 많으며, 특히 M.H.IS의 곡 "From the South"는 여러 힙합 커뮤니티에서 많은 비난과 질타를 받은 바 있다.



C.E.O./리더: MC.J (of M.H.IS)



멤버:

Southsider (of M.H.IS), R.U.K.E. (of M.H.IS), DJ Loco (of M.H.IS), 지상, Fame-J, O-Son aka 택근, Shaun L.



사이트 : http://www.southtown.kr

==================================================================================




UTR [레이블]



2004년 프로듀싱 팀 Top Flight를 중심으로 세워진 레이블. 부산에 거점을 두고 있으며, 힙합과 R&B 등 흑인 음악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결성된지 얼마 안 되어 첫 번째 앨범 First Attack이 발매되었다. 하지만 2006년에 발매된 Top Flight의 앨범 So Hot XE 이후로는 아무런 소식이 없는 상태이다.



Top Flight의 멤버 사자왕이 유명 웹툰 작가 성게군과 친분이 있어 몇 곡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해주기도 하였다.



UTR은 Untouchable Records의 약자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4년 First Attack

C.E.O./리더: Top Flight (사자왕, VisLo)

멤버:
SPIT-OUT (OneSoul, Blasta), 택근
==================================================================================

SDH Records [크루]

Deegie가 '417일간의 세계일주'를 발표하면서 만들어진 크루. Fellatio Groove라는 배급사를 따로 만들어서 앨범을 배급하고 있다. 정식 멤버는 아니지만 Remaque(Q-Ray, Alarm-Clock)과도 친하다. 멤버들의 활동은 아직 건재하나 SDH라는 이름을 크게 알리고 있진 않다.

SDH는 '사당 하우스'의 약자로 실제 멤버들이 모여 작업하는 곳이 사당동의 한 집이기 때문에 지어졌다.

여타 활동:
*2004년 9월 미국의 “달 대사관”으로부터 자격을 부여받아 달 토지 판매 사업을 했었음.

멤버:
Deegie, 한남잭슨, Fantastik Dos (명덕크랩 aka 만두, Steady Sketcha aka 쥬)
==================================================================================

신명류 [크루]

2006년에 결성한 크루. 온라인 활동 및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멤버들을 모집하여 작지 않은 크기의 크루로 성장하였다. 또 2007년 6월에는 단체곡 “출사표”를 발표하면서 더욱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얼마 후 물갈이를 하자는 데 뜻이 모아지면서 2008년 1월 잠정적인 해체를 하였고, 그 직후 다시 낙천을 중심으로 오디션을 보아 새로운 사람들은 물론 기존 멤버들까지 대상으로 멤버들을 모집하였다. 그 결과 두 번째 시즌을 맞은 신명류가 탄생하였다. 2008년 8월에는 첫 공식 활동이라 할 수 있는 Donutman의 믹스테입이 발매되었다. 2009년 현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신명류(信名類)란 “믿을 수 있는 이름의 모임”이란 뜻이다.

C.E.O./리더: 낙천 (of Soul Track)

멤버:
1기 - Cheddar.J, Add-Plus, Mr. YABOO, Echo, Knight, 4kapas, CNS (The Crash, Sketch), J-Eve (of Soul Track), PD수첩 (P.Mal, Def.Y), BlackNut

2기(현재) - Deletis, Donutman, SigMA, PD수첩 (P.Mal, Def.Y), CNS(Cyniclow, Sketch), Red.K, 소라 aka DirtyNote, Cheddar.J, 4kapas, 유일

사이트: http://club.cyworld.com/smrtothetop
==================================================================================


아우라지 [크루]

2007년 12월 창립된 단체로, Soul Rhyme City의 Mc.Key가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힙합 뮤지션들을 모아 만들었다. 정확히는 크루가 아니라 공연 공동체이다.

창립 이후부터 부산 클럽 인터플레이에서 매달 공연을 하였으며, 그 컨셉도 힙합 공연 외에 펑크록 밴드 “웨이크업”, 또는 부산대 국악과 재학/졸업생들과의 협연 등, “힙합을 여러 다른 문화와 어울러보자”는 뜻을 실천하고 있다. 또 G.L., RNB의 앨범도 제작 중이다.

크루 이름인 '아우라지'는 '두 갈래 물줄기가 하나로 어우러지다'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멤버:
Soul Rhyme City (Mc.Key, Bebebe, 청천, 야생복쉬리), ANC (Asperity, Cuspid), RARE & Blasta, Onesoul, G.L. (APEX & 청천), Hypnos, Enzine K, 4FeeL aka Mix_eMotion, Pnd, 水9, iLLpiece(GongJi, Dusk)

사이트: http://www.cyworld.com/aurage
==================================================================================




SAFARI Crew [크루]



2008년 5월 2명의 MC와 한 명의 비트메이커 체제로 시작. 크루가 되기 전에는 원래 비트 공유 카페로 개설되었으나,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면서 적정한 시기에 크루로 전환이 되었다. 지향점은 “틀을 버린 음악과 자유로운 음악, 공부같지 않은 형식없는 음악”이다. 이는 “틀 속에서 여론에 끌려다니며 음악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욕을 먹더라도 이런 시도를 하는게 백배 가치 있는 일”이라 판단한 XEPY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다른 크루와 차별되는 점은, 프로듀서의 영향력이 상당히 강하며, 래퍼들 중에도 전체 래퍼를 지휘하는 랩 프로듀서가 있다는 점이다. 현재까지의 이들의 활동은 힙합플레이야나 리드머 등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어졌으며, 자체의 지향점과 어울리게 독특한 음악들을 선보였다.



C.E.O./리더: XEPY



멤버:

Analog, Kizmet, QM, Gaenge, BS, Slam P 등등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XEPY

==================================================================================


역시 Strike [크루]

원래는 음악과 별개로 만들어진 친목 동호회이나, 구성원 중에 음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고, 특히 힙합 뮤지션들이 많아 어느 정도 힙합 크루의 성격을 띄고 있다. 서로간의 콜라보가 활발하며, Kross 2집에 “역시 Strike”라는 단체곡이 있다.

멤버:
Kross (Rhymer, Joe), Side-B (T'ache, G.A.S.S.), Red-Roc, G-Masta, Evil Monkey, H, J, As One(크리스탈, 민) 등등
==================================================================================

OPPA's House [크루]

2005년 2월에 활동을 시작한 크루로, 시작은 DJ Bay와 DJ Seiki가 이룬 AT Crew (압구정 떨거지라는 의미)였다. 이후 DJ Aki, S.O. Nick을 영입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턴테이블 Party DJ 크루로 거듭났다. 크루의 이름을 내걸고 압구정 등지에서 20여회의 파티를 열었으며 2005년 8월에는 믹스테입 'The Asian Restraunt'를 발표하기도 했다.

멤버 중 Nick은 호스트 MC의 역할을 맡고 있다. 2009년 현재는 멤버들 각자의 활동의 결과로 활동이 거의 없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5년 The Asian Restraunt

멤버:
DJ Bay, DJ Seiki, DJ Aki, S.O. Nick
==================================================================================

Ace Valley [크루]


mc K가 만든 크루. Slug.er 클럽 출신으로 대부분 이루어져있다. mc K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활동이 많지 않았으나 MC Rink의 1집에는 단체곡이라 할 만한 “소야곡”이 수록되어있다. 하지만 각자의 개성이 너무 뚜렷해서 하나로 모을 수 없다는 이유로, 음악 작업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지는 않다.



멤버:

mc K, TEBY, mc Rink, Lee.J, 시휘

==================================================================================


Soulfriendz [레이블]

처음 시작된 것은 과일사냥꾼이 EP를 내면서부터였다. 당시 친분으로 인해서 많은 멤버들이 함께 했었으나, 과일사냥꾼의 활동이 잠잠해지면서 점차 다 흩어지게 되었다. 이후 과일사냥꾼이 컴백을 하면서 다시 새로 시작한 Soulfriendz는 Chapter 2를 처음으로 영입하면서 소규모로 시작하였다.

2008년 현재는 다시 활동이 잠잠해진 상태. 마지막 공식 활동으로는 2008년 7월에 나온 딸기쨈토끼의 온라인 앨범이 있다.

C.E.O./리더: 유남생 (of 과일사냥꾼)

멤버:
딸기쨈토끼 / 밤맛빵토끼 (of 과일사냥꾼), Chapter 2 (효인, Kitty.K), Daximum 등등

사이트 : http://www.soulfriendz.net
==================================================================================

DMS Crew [크루]



역시 부산에 위치한 동명의 클럽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중심으로 이루어진 크루. 1993년 DJ 레기와 친구 정섭이 B-Boy 팀 "DM's"를 만든 것을 시초로 멤버를 영입하다가 97년 흑인음악 크루로 바뀌었다. Voodoo Festival이란 파티를 개최했으며, 결국 나오지 못했지만 컴필 앨범 작업을 시도한 적도 있다. Keeproots는 이 크루의 메인 프로듀서.

현재 이 이름으로써의 활동은 뜸하지만 현재까지도 활동하고 있는 멤버들이 많다.

멤버:

GNU, AOV(Keeproots, Bamsang), 두사람(Wimpy, Snowman, DJ 판돌), The Note, DJ IT, JU, 제욱, Ra.D., AK-47, DJ 레기

==================================================================================

Psycho Sound [크루]

90년대에 대구에서 결성된 크루. 당시 있던 대구 힙합 동호회에서 사람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으로, 클럽 HEAVY의 정기 공연 브랜드인 "Hiphoptrain"의 주역을 맡기도 하였다. 대구 힙합씬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으나 West BL, Horror G.K, 5attack 등 주축 멤버가 군대를 가면서 활동이 희미해졌다. Horror G.K와 5attack은 제대 후 West BL과 "낯선사람들"이란 팀을 조직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둘이 각각 이름을 Vintage 80, Sticky Bits로 바꾸고 "Unknown People"이란 팀을 결성하였고, West BL도 2008년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멤버:
West BL, Horror G.K aka Vintage 80, 5attack aka Sticky Bits, 237(*Mighty Mouth의 237 아님), Miss Oddy, Virus (Minos, Mecca, GMC) 등등
==================================================================================


Diamond Quality [크루]

2006년 결성이 되어, 그 해 Fame-J가 첫 EP를 발표하면서 이름을 알린 크루이다. 처음 멤버는 Seikaec과 Fame-J 둘이었으나, EP 발매 후 많은 아티스트들을 모집하여 크기를 키웠다. 2006년 말 Fame-J는 탈퇴하고 Seikaec은 인스트루멘털 앨범을 준비했으나 아직 나오지는 않은 상태이고, RARE가 두번째 타자가 되었다. 활동 지역은 주로 부산이다.



C.E.O./리더: Seikaec



멤버:

ANC(Asperity, Cuspid), RARE, KSK Heartbeat, Prozac, Smash Brothers (MC.P박 aka 딴따라, 진천), Fame-J



사이트: http://club.cyworld.com/diamond-quality

==================================================================================





Savor Family [레이블]



2005년 겨울, 용팔이, RedPang, JPI가 의기 투합해서 만든 레이블. 처음에는 “아마추어 시장과 대중 음악의 중간 단계 수단”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앨범의 대중화를 목표로 활동하였다.



신촌, 잠실 등지에서 공연 활동을 하다가 소프트랜드 엔터테인먼트와 정기 공연을 계약하여서 활동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이후로 데니스 프로젝트와 함께 보컬 작업을 한 경력이 있는 혜리, Soul K와 UCC를 통해 큰 화제를 모았던 하연 등등 여러 멤버들이 영입되어 크기를 점점 키워나갔다.



SavorFamily는 자체적으로 여러 애니메이터와 현역 뮤직비디오 감독들과 돈독한 관계를 맺고 있어 앨범과 동시에 뮤직비디오 등 많은 준비를 하고 있으며, 멤버 중 REDPANG은 특히 현재 MBC 음악효과 감독을 맡고 있어 공중파 방송에도 간간히 참여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여타 활동:

*자체 라디오 방송 “Love & Beat" 진행.

*반띵닷컴의 방송 “Hey DJ"를 One N onE이 진행.



C.E.O./리더: 용팔이



멤버:

REDPANG, One N onE (DJ Choma, MC Gadget), 데니스 프로젝트, Hazer, 하연, 혜리, DJ 칼존스, 차승민, DJ Scat, JPI, MiddleSoul
==================================================================================

Cypher Crew [크루]

2006년 경 활동을 시작한 크루. 처음에는 팀 정도의 규모로 시작하였으며, JJK의 프리스타일 모임인 Rap Attack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6년 12월엔 단체곡이라 할 수 있는 “Don't Approach Us"를 온라인으로 공개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후 Boomhiphop Records와 계약을 맺고 믹스테입 작업을 추진하였으나 Boomhiphop Records가 사라지면서 믹스테입은 미뤄지고, 현재는 쿨트랙과 계약을 맺고 다시 믹스테입을 작업 중에 있다.

멤버:
Remics, MiMiC, NJell, 유하, Lotus, 걸인, The Ablo, 선미나루, 2-Fe, P'Sound
*유하는 2008년 사망하였지만 그냥 멤버 리스트에 두었습니다.
==================================================================================



UK Entertainment [레이블]

2005년 "UnderKorea"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언더그라운드 레이블. 원래는 많은 아마추어 뮤지션들이 곡을 올리고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였으나, Csp 앨범의 제작과 UK Show 등의 공연을 주최하면서 레이블화되었다. '몰개성의 사회 내에서 "미발굴된 보물"을 찾아내는 것'을 모토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는 활동이 잠잠하며 다시 커뮤니티의 성격으로 돌아오고 있으나 2009년 현재에는 침체된 모습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6년 UnderKorea Mixtape vol.1

멤버:
DNSol(샤크티, 이쏘드플로우, 비트소울, 사루), Dshorty, Cooper, 음유시인, Csp, 0CD 등등

사이트 : http://www.underkorea.net
==================================================================================


MCIST [크루]

Mr. YABOO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루. 2006년 4명의 멤버로 시작이 되었다. 처음엔 Mr. YABOO의 학업 문제 때문에 활동이 부진하여 잠정적으로 해체를 하기도 하였으나, 2008년 다시 시작되었다. 멤버들은 과거 신명류와 DCinside에서 Mr. YABOO와의 친분으로 들어온 사람들이 많다.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주를 이뤄 ISQ, TANGENT의 온라인 믹스테입이 발표되어있으며, 2008년에는 SAFARI Crew와 디스전이 벌어져서 이슈를 모으기도 했다.

이름은 Melody Creature in Soul Town의 약자로도 쓰인다.

C.E.O./리더: ISQ aka 김거덕

멤버:
Mr. YABOO, Knight, Kazto, SigMA, TANGENT, MiCRO, Moonsa, LetSee, 재래치, ChrisKay, Cutting Edge, K-MERC, 1hak, J-Pix, Triplet

사이트: http://club.cyworld.com/advantage
==================================================================================

Hiphop2mc [크루]

NeverTrick이 만든 다음카페를 시작으로 모인 크루. 밀림에 '강행군'이란 단체곡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The Minor란 앨범을 냈다. 2004년에는 더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을 위해 레이블 Black Season Records를 설립하기도 했으나, 홍보 부족 등의 문제에 부딪혀 이렇다할 활동 없이 결국 해체했다.

컴필레이션 앨범:
2003년 The Minor

C.E.O./리더: NeverTrick

멤버:
Technic'J, Jay, Riverz, MC Trigger, 자타, MC Huda, MC Niga-Flow 등등
==================================================================================

Minds Unity [크루]

하자센터의 힙합 강좌 Fo' Track을 통해 만나게 된 5명이 시작한 크루. Urbanalog를 시작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그들만의 공연이나 작업 같은 걸 준비하고 있다. 음악을 통해서 공감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이고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2008년 8월 현재로 E.O.D.와 신영재는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을 맺고 데뷔를 준비 중이다.

멤버:
Urbanalog (상페, 캡스톤), E.O.D. (Y-Hoon, Supacola), 신영재
==================================================================================

Royal Tribe [크루]

Fuuryeye가 만든 크루 Konsiderable을 전신으로 하여, 2009년 초 재정비를 통해 탄생한 크루. 이후 Fuuryeye의 온라인 EP와 Akil Doss의 디지털 싱글이 발표되었으며, 점차 멤버 영입을 통해 크기를 늘여갔다. 이외에도 Fuuryeye, Akil Dose, GIGANTiC 등을 중심으로 언더 공연을 통해 활동하였다.

C.E.O./리더: Fuuryeye aka Prophit$

멤버:
Akil Doss, GIGANTiC, Back'in, 320, Sadmovie, Raw-Elements, Some1, 유소현, Slam P

사이트: http://club.cyworld.com/royaltribe
==================================================================================

Dope Squad [크루]

시초는 데쌩과 그의 친구 꼴라주, 크로키 (현 D.Answer) 등 6명이 모여 2007년 경에 만든 빠레뜨하우스라는 크루이다. 이 빠레뜨하우스가 점차 멤버를 영입하여 크기를 키워가다, 2009년에 들어 더 큰 스케일로 힙합씬에서 활동할 마음가짐의 이들 (.1 빼고)이 새로운 멤버와 함께 만든 크루다. 첫 활동은 Terrabite의 앨범과 데쌩, Browncloud의 믹스테입이었다.

멤버:
Terrabite (.1, Browncloud), 데쌩, Future Heaven (Animato, 넉살), Molly.D, 김좆키, 낙서

사이트: http://www.wearedope.com
==================================================================================
==================================================================================

==기타 레이블/크루들==

Speakin' Trumpet [크루]
Minos 1집 수록곡 "Speaking Trumpet"으로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크루. 멤버 넋업사니, Minos, 진취, Zito, XL, 강산여울 등등.

Nu Soul Classik [크루]
각나그네의 데뷔와 함께 씬에 나타난 소규모 크루. 한때 Seoul Star (각나그네, junggigo aka Cubic), Napow (각나그네, 넋업사니)의 활동이 활발했으나 2009년 현재는 뜸함. 멤버 각나그네 (현재 JAZ), 넋업사니, Cubic, Born Kim.

Blue City [크루]:
Row Digga의 세 번째 믹스테입과 함께 알려진 레이블. 현재 Row Digga가 Undercover Sounds에 들어가면서 Blue City의 산하 크루 개념으로 바뀜. 리더 Row Digga와 멤버 요한, P.Dawg, 훅맨, 정연 등등.

INCZ [크루]:
INCredible animalZ 라는 뜻. 음악 단체가 아닌 친목 동호회이나 때로 노래가사에 등장하곤 함. 멤버 INC(Elcue, R-est) 247(Truly Unique, Dirty Mack) 등등.

Yucka Squad [크루]
양동근이 윤정수와 함께 SBS에서 랩퍼로 데뷔하는 과정을 담은 프로그램에서 처음 시작된 크루. 이들을 중심으로 The Konexion이란 앨범이 나오기도 함. 멤버 양동근, Bizzy, Smokie J, NaNa, 1kyne, Lil' Tez.

Los Payasos [크루]
Jiggy Fellaz 앨범의 수록곡 "You'd Better"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크루. 라틴 스타일을 띄는 힙합 음악을 하고 있다. 멤버 Mr. Tyfoon, Jakim, Big Mack, OJ, Locomotive 등등.

86ers [크루]
2008년 결성, 86년생들로 모여있는 크루. 멤버 Swings, LuK2, Row Digga, Basick.

Hidden Bloc [크루]
2008년에 만들어진 크루. 학업이나 군대 등 멤버들 각자의 사정으로 본격적인 활동은 2009년부터 시작할 계획을 하고 있다. 리더 InnoVator, 멤버 P'Sound, Ill Piece, Ideology, Bott(Leedsu, Alive's), Bejin, Jolly V 등등.

Buckwilds [크루]
Jtong이 2005년에 만든 크루. 부산, 서울을 활동 지역으로 삼고 있음. 멤버는 비밀에 부쳐져있으나 Andup, 삼족오 등의 멤버는 알려져있다. Jtong에 따르면 “모두 괴물임은 장담할 수 있다”고.

Last Poets Avenue [크루]
슬램(Slam = 반주 없이 시낭송하듯 랩하는 것)을 목표로 뭉친 크루. 슬램 공연을 하는 카페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함. 멤버 Paloalto, Superman IVY, 넋업사니, Zito, Born Kim 등등

Soul Brother [크루]
2002년 2soo와 Stony Skunk를 중심으로 결성된 크루. 음악적 크루가 아닌 친목 단체이며, 2soo 본인은 자신과 친한 사람이 모두 멤버라고 말한 바 있음. 멤버 2soo, Stony Skunk(Kush, Skul1), Delay(DJ Road, 가위, 예요), DJ R2 등등.

바늘소리 [크루]
배틀 DJ 크루. 결성된 지는 몇 년이 되었으나 DJ 판돌의 앨범으로 처음 이름을 알림. 멤버 DJ Prealeack, DJ PELLO, DJ B-side, DJ Kimpro, DJ Pandol, Byun, Pumba, Dandi, Hag! 등등.

Black Crew [크루]
2004년 결성, 여러 힙합 파티를 기획하며 활동해온 DJ & MC 크루. 2005년 자체 레이블을 설립하고 란동, 031 앨범 발표. 멤버 DJ DaStreet, DJ Crooky, DJ KubiX, Suhtak, G-Pulse, DJ Felix, DJ Kaadiq, 란동, DJ A-Pak, DJ Rude, suNTaek, Kiaa 등등.

무혼진 [크루]
절정신운 한아의 데모테입의 참여진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크루. 데모테입 발표 이후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해체. 리더 절정신운 한아, 멤버 P-Type, K.O.D.(개코, 최자, Z.A.Son), Issac, 예솔 등등.

MIC [크루]
1998년 조직된 크루. 몇번의 행사 공연에 참여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해체. 크루의 이름은 More Immoral Crew의 약자로, MP에서 활동하던 팀 'MIC'와 무관. 멤버 Da Real 2기(주석, A.jay), Wild Style(Supasize, Issac, Leftee), 절정신운 한아

Elyzium [크루]:
2001년 7월에 결성. 프로듀서였던 GaiA의 음악적 성향에 따라 고급스런 R&B 경향의 음악을 선보임. GaiA의 해체와 Foxy의 은퇴로 크루는 해체함. 멤버 Foxy, Python(철한, MK.Sin, Bere), GaiA(찬, 탁).

Black Comz [크루]
9th Kill (현재 N-Son)이 Infinite Flow에서 나온 후 만든 크루. 이름은 Black Comedy의 약자임. 프로듀서 AV-朴의 영향으로 음악 스타일은 어두웠음. 멤버 9th Kill, 237, AV-朴.

Onecoastsound [레이블]
2002년 데뷔한 팀 MicKug의 멤버들이 2005년 만든 소규모 레이블. 멤버 Roy.K (C.E.O), Bambee, Bonny.J.

주식회사 집 기획 [레이블]
Wassup Crew의 메인 프로듀서였던 Roy C.가 Wassup Crew에서 나온 후 만든 레이블. 2007년 4월에 활동 시작. 주로 디지털 싱글 쪽으로 활동함. 멤버 Roy C. the Dream Hanger (C.E.O.), Lady Jun, Mr. ef, 神眞, ScoLL.

얼레코드 [레이블]
2003년 설립. 박삿갓과 UnKnown Artists를 중심으로 활동. 멤버 박삿갓 (C.E.O.), UnKnown Artists (Nagg Rock D, Dnah, RP the Zoohwang, DJ Ribykretch), 최현웅 등등.

LSI Label [레이블]: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레이블로 2006년에 컴필 앨범을 냄. 내부 갈등으로 인해 해체. 멤버 Crazy-Z, Apex, 민경, 사라, 길라잡이, KB, 5Byte, Donkey, Crabbin Lobster.

Gettorai Production [크루]:
자체 파티를 여는 등의 활동을 함. 멤버 UnBomber, 神眞, Makustle aka MC Gnome, 야비한순한양.
==================================================================================
==================================================================================

==레이블/크루 외의...==


Rap Attack

다음 카페 랩사모 (TRSM)에서 한달에 한 번 정기 모임 식으로 진행하던 것이 2005년 말에 독립해나온 것. 홍대 놀이터에서 모여 음악을 틀어놓고 프리스타일을 하는 모임이다.

모임을 할 때마다 신청을 받아 랩 배틀을 하지만 랩 배틀이 주는 아니고, 모든 사람이 참여하여 프리스타일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2007년부터는 "From the Street"라고 하여 믹스테입을 판매하는 코너도 생겼고, 이 코너를 통해 KSK Heartbeat의 첫번째 믹스테입이 판매되기도 하였다.

Rap Attack은 ADV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JJK가 리드를 하기 때문에 ADV 멤버들이 많이 참여하고, 정식 모임으로는 2009년 4월까지 41회를 가졌다.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rapattack
==================================================================================


Freestyle Town

2006년 2월 술제이가 시작한 단체로, 프리스타일의 문화를 전파하자는 목적 아래 생긴 프리스타일 랩 동호회이다.

2006년 2월 4일 부산에서 첫 모임을 가졌으며, 이후 전국 각지에서 올바른 랩에 대한 개념을 전파하기 위한 세미나를 갖고, 2007년 8월부터는 랩 배틀 대회 Freestyle ONE을 개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또 Miller MGD 프리스타일 대회의 진행을 맡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단체 티셔츠를 제작하여 판매하기도 하였으며, 각종 행사 및 독자적인 콘서트를 열면서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SOOLJ
==================================================================================


Lady, Action
2007년 5월에 출범한 단체로, "여성 힙합퍼를 중심으로 뭉친 새로운 스트릿 문화 운동"이다. 즉, 한국의 힙합 모든 분야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을 서포트하고 힘을 더하기 위해 만들어진 힙합 연합이다.

2007년 8월부터는 자체 세미나 프로젝트인 LA Skool을 시작하여 랩/비트메이킹 강좌를 이어가고 있으며, 마포FM의 흑인 방송 "블랙 커피"에 고정 출연하여 여성 힙합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데 노력하고 있다.

한편 프린지 페스티벌 등 다수의 공연에 참여하였으며, 2008년 8월에는 처음으로 단독 콘서트 "Lady Generation"을 주최하기도 하였다.

활동은 Aboong, 농땡, 누림으로 이루어진 팀 "Un Needle"이 이끌어가고 있다.

사이트 : http://club.cyworld.com/laction
==================================================================================

MIML

2005년 4월 DJ Wreckx가 만든 단체. 처음에는 비교적 멤버의 선이 정확한 크루의 성격을 띄었으나 점차 그 경계가 희미해졌다. 초반에는 전 HOT의 멤버 이재원이 속해있는 크루라고 해서 이슈가 되었다.

MIML은 음악을 중심으로 미술, 연예, 스포츠 등 모든 예술의 분야를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문화적 집단을 목표로 만들어졌으며, DJ Wreckx가 중심이 되어 행해온 파티의 브랜드명이기도 하다.

이름 MIML은 Muzik Is My Life의 약자이다.
==================================================================================

Hiphop Train

원래는 대구에 있는 클럽 HEAVY에서 벌어지는 정기 공연으로, 여기에 참여하는 이들을 크루와 비슷한 개념으로 부를 때 Hiphop Train이라고도 한다. 90년대 말부터 시작, 초반에는 Psycho Sound 크루가 중심이 되었으며, 여기에 점차 Virus, Miss Oddy, Babykoool 등의 멤버들이 더해졌다. 이후 Virus, 그리고 시간이 지나 E-Sens가 유명세를 타면서 Hiphop Train이 재조명을 받았다.

2003년에는 "In da Heavy"라는 이름의 컴필레이션을 내기도 하였다. Hiphop Train은 계속해서 새로운 멤버들이 들어와서 공연을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현재 멤버와 과거 멤버의 구분이 있지는 않다.
==================================================================================

랩 무브먼트와 붓다 베이비 ik

... 무브먼트와 붓다 베이비 ik가 어떤 것인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그리고 2. 여기에 소속된 그룹이나 사람이 누구인지 알려주세요 3. 또 슈프림 팀은...

무브먼트, 붓다베이비 등 질문입니다.

... 그리고 =힙합인가요? 아무튼 이쪽분야 잘몰라서 그러니까 제가 질문한거랑 좀... ① 무브먼트 붓다베이비 등은 음악적으로 뜻이 같거나 평소친한 아티스트끼리 모여서...

힙합좀가르쳐주세요...

... 무브먼트 크루외에도 매니아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유명한 붓다베이비 크루와 슈프림팀의 쌈디가 리더로 있는 I.... 아니면 스킬등 이 그 예죠. 3. 어떤 종류의 지식은...

내공85힙합에 대해서

... 젤먼저 붓다베이비 소속해 있는 멤버들\ 2.무브먼트 소속 멤버들 3.... 처음엔 IK Finestrouble이란 이름을 썼으나 2005년에 Mr. Jinx가 들어오면서 현재의...

힙합 입문하려는데

... 스나이퍼사운드(붓다베이비), 무브먼트, 소울컴퍼니, 오버클래스... 암튼 IK완전추천 끝으로 말씀드리자면,,, 국힙에만 한정되어 듣지마시고 외국힙합을 정말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