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레코딩 관련 전문가의 답볍부탁드립니다.신디[korg triton extreme](내...

홈레코딩 관련 전문가의 답볍부탁드립니다.신디[korg triton extreme](내...

작성일 2008.02.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홈레코딩을 하고 싶습니다.

 

신디는 korg triton extreme 컴퓨터는 sony vaio vgn-tx26lp 입니다.

 

신디만으로 음악을 만들어 신디에 꽂혀있는 컴팩트플레시 카드 메모리에 저장만해놓은 상태입니다.

제가원하는 것은

 

지금신디의 헤드폰으로 들리는 소리와 제 목소리를 합해 잡음없이 [마이크로 부를때의 잡음은 제외한]

레코딩을하여 씨디로 구울수있는 mp3화일이나 기타 여러 화일로 저장을 하고싶습니다.

 

참고로 신디로만 작업을 하여 답답한 부분을 컴퓨터의 큐베이스나 소냐같은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작업하고 목소리와 직접연주하는 다른 악기[기타,베이스]소리까지 녹음을하고싶은데요..

 

1.구입해야할 장비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필요한 장비를 정해주시면 구입하여 연결이야 어떻게 하겠지만

 신디의 음원을 그대로 녹음이 가능한지??

 

3.가능하다면 어떻게?? 어떤 장비를 통해??서 어느곳에 녹음이 되고 저장이되는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건지 아니면 레코딩장비를 이용하는건지..)

 그 원리!!!!!!와 방식!!!!!!이 궁금합니다.

 

4.마지막으로 필요한 장비들을 고가와 저가 정도로 구분해여 추천해주세요.

 (지금은 오로지 신디와 헤드폰 노트북만 있을뿐입니다.참고로 모니터스피커도 구입하려고 합니다.)

 

정말 구체적인 답변해주시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 불타오르고있군요..

 

그러니까 님께서 궁금하신것이. 지금 가지고 계신 신디소리뿐 아니라 다른 악기세션까지 더해서 녹음을하고 그 결과물을 여러가지 포멧으로 저장하고 싶다 이거지요? 그럴러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1.구입해야 하는 장비..?

 

1 컴퓨터를 정비하라..!!

2 컴퓨터를 음악장비로 변신시키는 오디오인터페이스를 준비하라.

3 외부악기(님으로 치면 신디)를 연결할 수 있는 미디인터페이스를 준비하라.

 

이제 하나 하나 설명드리지요.

이해를 돕기위해서..

우선 님께서 필요한 장비를 구비해 연주를 한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컴퓨터가 있고 컴퓨터에는 오디오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있고. 그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디지털화된 님의 기타소리를 이것저것 편집할 수 있는 시퀀싱프로그램-소나나 큐베이스-가 설치되어있다고 상상해보세요. 우선 소리의 흐름을 따라가 봅시다.

 

님의 머리에서 도라는 음을 생각합니다. 님의 손가락이 기타의 도를 연주합니다. 아날로그 파형이 기타에 연결된 전선을 따라 흐릅니다. 오디오인터페이스안으로 그 아날로그파형이 입력되고 오디오인터페이스는 이것을 디지털화시킵니다. 이 디지털화 된 신호는 님의 컴퓨터의 메모리를 거쳐. 시퀀싱프로그램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물이 님의 모니터에 표시됩니다. 님은 그 표시된 웨이브파형.. 즉 디지털화된 아날로스사운드를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해 편집하십니다. 시퀀싱프로그램은 워드프로세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국 이 프로그램안에서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해서 문서파일처럼 하드에 폴더 지정해서 저장하는 겁니다. 왜 한글에서도 저장할때 폴더지정하고 텍스트로 저장할건지. HWP로 저장할건지 선택할 수 있잖아요.. 저장할때.. MP3로 할건지. WAV로 할건지 정해주는 식입니다. 물론 약간의 과정이 더 필요하지만 대동소이하지요..

 

-컴퓨터에 관한...-

 

기본은 가지고 계시네요. 컴퓨터 기반의 홈레코딩에서 정말.. 진짜.. 왕 굿 중요한것은 컴퓨터입니다.

처음 홈레코딩에 취미를 가지고 이것저것 둘러보면. 보기만 해도 악상이 떠오르게 만드는 무수한 장비들이 있는데 이것 저것 구매하시다 보면. 저처럼. 헛돈 들이시면서 수년갑니다. 정작 원하는 퀄리티는 얻지 못하구요.

결국 컴퓨터가 가장 중요합니다~!!!! 저도 수년간 지름신의 노예로 살다 광야에서 깨달음을 얻고 가오만 살리고 쓸데는없는 장비들 처분해서 정말 중요한 장비 업글하고 컴업글하니. 원하는 소리 가깝에 얻고 있습니다.

 

지금 컴은 있으니까 사양이 중요하겠네요. 메모리 2기가 이상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그리고 왠만하면 데스크탑으로 하실것을 무지하게 추천해 드려요. 씨피유 요즘 나오는 인텔 듀얼코어 2기급이면 무난합니다. 가격도 많이 떨어져 있으니까. 모니터 스피커 사실돈을 차라리 이쪽에 투자하심이 어떤지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모니터 스피커는 가격대도 천차만별이고 원본소스가 좋아야 스피커도 빛을 발하는데. 컴퓨터가 버벅대면. 수십만원에서 수천만원 하는 스피커도 같이 버벅댈테니까요..

 

-오디오인터페이스 관한-

 

님이 하시고 싶은 작업은 신디같은 외장악기를 포함해서 요즘 많이 나오는 소프트웨어 악기를 시퀀싱 프로그램을 통해(큐베이스. 소나-소냐가 아닙니다.^^-)컨트롤해서 음악을 만들고. 그 결과물을 여러가지 포멧으로 저장하고 싶으신건데. 그럴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쉽게 말해서 사운드 카드죠. 그럼 그냥 사운드카드 아무거나 있으면 되느냐? 아닙니다.

 

요즘은 외장악기(신디같은)보다. 소프트웨어 악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물론 전문적인 작업이라면 아니겠지만요. 하지만 요즘의 소프트웨어 악기들은 이미 외장악기를 대체할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컴퓨터의 발달 덕이지요. 

님께서 가지고 계시는 신디의 음색들은 모두 디지털화되어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실제 유명한 클래식 악기또한 샘플링되어서 프로그램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사면 10만원짜리 키보드에서 수십억하는 피아노 소리를 원음에 가깝게 연주 할 수 있게 되었죠.

 

이처럼 고용량의 음원소스를 처리하려고 보니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사운드엔진으로는 한계가 있었습니다(현제 많이 극복되고 있습니다만)그래서 나온게 바로 아시오(ASIO)드라이버지요. VSTi 그러니까 버츄어 인스트루먼트 다시 말해서 가상악기들을 컨트롤 하는 사운드 엔진이 아시오입니다. 가상 악기 뿐 아니라 님께서 주로 하고 싶어 하시는 외장악기를 컴퓨터로 녹음해서 디지털화된 사운드파일을 컨트롤 하는 작업에도 이 드라이버의 영향이 큽니다. 같은 씨디도 좋은 오디오에서 들으면 소리가 더 좋게 재생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현제 대부분의 오디오인터페이스는 대부분의 사운드 엔진을 지원하므로 중요한건 소리겠지요. 예상하시겠지만. 오디오 인터페이스 또한 수만원에서부터 수억까지 다양한 가격대가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어느정도가 가격대비 성능비 짱이며 왠만큼의 퀄리티를 얻을 수 있느냐?

 

제 경험상 30만원 이상대에서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유는 멕키에서 나온 ONYX satellite쓰고 있습니다.

그밖에. RME 사의 제품이나. TC electronic. egosys의 제품들을 추천드립니다. 미디엔사운드나. 기어라운지 등의 악기사이트에가서 검색해 보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방식은 firewire추천드립니다. usb방식이나 내장형은 아무래도 믿음이 안갑니다. 뭐 이건 개인적인 취향이니까요. 연결방식이라 함은 인터페이스와 컴퓨터를 어떻게 연결하는가에 관한 내용인데.. 아시죠..?^^

 

-그 다음 미디인터페이스-

 

컴퓨터를 통해서 다시 말해서 큐베이스나 소나 같은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해서 신디를 컨트롤 하려면 미디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컴퓨터는 한국인이고 신디는 미국인으로 보시면 됩니다. 통역사 역할을 하는게 미디인터페이스죠.

 

미디인터페이스는 특별히 미디를 통해 작업하실것 아니면 그냥 싼거 구입하시고. 위에서 말씀드린 오디오인터페이스중에는 미디인터페이가 같이 포함된 제품도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usb방식으로 연결되는 악기들도 많이 나오고 있으니까요..참고로 미디인터페이스틑 몇만원 안에서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믹서라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오디오인터페이스틑 믹서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님께서 여러악기를 동시에 녹음하실게 아니라면 2개정도의 인풋이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2신디의 음원을 그대로 녹음이 가능한지??

물론 가능합니다. 신디의 아웃풋을 오디오인터페이스의 인으로 연결해 주시면 되지요.

 

연결방식을 보면 이렇습니다.

 

컴퓨터 미디 아웃-신디 미디 인->이렇게 연결하면 컴퓨터로 신디를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무슨 말인고 하니. 컴퓨터 시퀀싱 프로그램에서 도 음을 치라고 님이 프로그램을 하면. 컴퓨터는 미디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인님이 너보고 도를 연주하라신다 하고 신디에게 명령합니다. 그러면 신디에선 지정하신 음색의 도 음이 나온다는 말씀입니다. 물론 신디의 음색을 컴퓨터 상에서 선택도 할 수 있고. 여러 음색을 동시에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방식은 신디에서 하신것과 같습니다. 컨트롤을 신디의 화면이 아니라. 컴퓨터에서 시퀀싱프로그램을 통해 한다는 차이입니다.

 

그리고 그 소리를 녹음하려면

신디 사운드 아웃-오디오 인터페이스 인->이렇게 연결하시면 아날로그 신디소리를 디지털로 녹음 가능하다는 거죠. 윗에 설명 읽으셨으면 대충 이해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신디의 미디 아웃-컴퓨터 미디 인->이렇게 연결하면 신디로 시퀀싱 프로그램의 미디데이터를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님의 신디의 도 음을 치면 미디 인터페이스가 컴퓨터에게 신디가 도를 입력하란다 하고 컴퓨터에게 알려주면 컴퓨터는 이걸 시퀀싱 프로그램에 알려주고. 시퀀싱프로그램은 이 도 소리를 어떤 모양으로 연주할건지 지정해준다는 거죠. 예를 들어서 님께서 시퀀싱프로그램상에서 신디의 미디신호를 베이스가상악기를 통해서 연주하라고 지정해 놓으면 베이스 소리가 나는겁니다.

 

 

3.가능하다면 어떻게?? 어떤 장비를 통해??서 어느곳에 녹음이 되고 저장이되는지..??

 

위의 설명에 포함된 답변입니다. 다시 한번 간단하게 답변드리면. 컴퓨터의 시퀀싱프로그램은 워드프로세서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글이라는 워드프로세서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하듯이 음악파일도 저장되는거고 그 과정에서 mp3할지 WAV 파일로 할지도 정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레코딩을 위한 장비가 따로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능좋은 컴퓨터와 빠르고 큰용량의 하드라면 충분합니다.

 

다시한번 설명드리자면. 한글이라는 프로그램이 그 결과물을. HWP라는 확장자의 파일로 저장하듯이 각각의 시퀀싱 프로그램도 고유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하드에 저장합니다. 물론 그 파일은 시퀀싱프로그램 안에서 mp3라든지. 기타의 음악파일 포멧으로 인코딩해서 따로 저장도 가능하구요.

이해되셨죠..?^^

 

4.마지막으로 필요한 장비들을 고가와 저가 정도로 구분해여 추천해주세요.

 

정리해 보면.

1.컴퓨터에 투자하세요. 컴퓨터에는 아낌없이 투자하셔도 좋습니다. 요즘 나오는 듀얼코어 2기가급은 가격이 많이 다운되었으니 부담없으리라 봅니다. 램은 2기가 이상으로 넉넉하게 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메모리 낮고 씨피유 안따라주면 노래 한곡 만드는게 재부팅 수백번 해야 할 수도 있고. 열심히 만들었는데 다운되어서 저장못하고 눈물흘리면서 리셋버튼 눌러야 할뿐 아니라. 신디로 건만 누르면 한 1초뒤에 소리나오고 하는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면 정말 끝입니다...^^

 

2.오디오 인터페이스. 30만원대 이상에서 선택하세요. 앞서 설명드린 회사의 제품 중심으로 고르신다면 후회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쓰고 있는 멕키사의 ONYX시리즈 추천드려요. 짱입니다.

 

그리고 모니터 스피커는 아주 나중에 어느정도 컴퓨터 레코딩의 결과물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는 귀를 만드시고 나서 고르세요. 모니터 스피커 의외로 쓸만하거 사려면 비쌉니다. 수백들어요.. 그러니. 20만원 이하에서 모니터 헤드폰을 구입하세요. 모니터 스피커니 모니터 헤드폰이니 하는 것들은 특별한것 없이 대부분의 주파수를 같은 정도로 출력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일만 다이나믹제품에 비해 소리가 건조합니다. 하지만 작업하려면 필요하니까 차라리 헤드폰으로 구입하세요. AKG라는 회사로 검색해 보시면 가격대비 성능비 좋은 제품 많습니다.

아주 비싼것도 있어요.. 수백하는. 제 경험상 한 20만원대에서 선택하시면 충분합니다.  

 

예산을 대충 80에서 100정도 잡으시면 되겠네요.

 

뭐 더 궁급하신것 있으면 질문 주세요..^^

 

그리고 미디유저넷이라는 싸이트에 가시면 무지막지한 정보들이 넘쳐납니다. 홈레코딩 입문하시려면

그곳의 초보자 강의실은 필수입문서라고 할 수 있죠..? 고수님들 많이 계시니까 가서 구체적인 질문

더 올리세요..^^ 미디유저넷 이라고 검색하시면 싸이트 나옵니다.

 

이상 제가 하는 한도에선 최선을 다한 답변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컴퓨터를 한대 좋은것으로 조립해서 장만하시는것이 꼭 필요할듯 합니다.

저도 혼자서 노트북으로 용쓰다가 홈레코딩용으로 컴퓨터를 샀는데요.

노트북이랑은 비교도 안됩니다.

다른 좋은악기 100개 있는거 소용없구요.

컴퓨터 잘돌아가는것 1대랑 마스터신스 한대. 그리고 소형믹서. 그리고 보컬녹음 하시려면 슈어SM58같은

마이크 하나랑. 그것만 있어도. 요즘 VSTi같은것들 좋은거 많이 나와서 그걸로 홈레코딩하셔도

충분하리라고 생각되는데요

저도 얼마전에 컴퓨터 새로 맞췄는데 대강 160정도 들었어요. 용량 큰~걸로 하고 사운드카드 등등 해서요.

장비 궁금하시면 쪽지 주세요.

 

답볍부탁드립니다.신디[korg triton...

홈레코딩을 하고 싶습니다. 신디korg triton extreme 컴퓨터는 sony vaio vgn-tx26lp 입니다.... 제 경험상 30만원 이상대에서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유는 멕키에서 나온 ONY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