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음악구분

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음악구분

작성일 2012.04.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음악구분좀 알려주세요~ 내공5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까지의 국악곡의 종류는 '형성 계통에 따른 분류법'으로 분류하는게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분류법의 카테고리에는 아악, 당악, 향악이 있습니다.

아악은 중국 고대에 작곡되어 각종 제사에 쓰였던 제례음악을 가리키는 것이고 당악은 당, 송의 궁중에서 연회, 조회, 행차 등에 쓰인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고 향악은 순수하게 한반도 내에서 작곡, 연주된 재래 음악 중에서 고려, 조선을 거치며 궁중에서 연회, 조회, 행차 등에 쓰인 음악을 가리킵니다.

 

시대별로 정리해보면

삼국시대까지는 민간, 궁중 통틀어 향악만 존재했구요 신라 때 당나라에서 처음 당악이 유입되었습니다. 당악의 최초 유입 이후 그 구분을 위해서 당악, 향악이라는 용어가 생겼습니다.

그리고 고려로 넘어가서 1116년에 송나라로부터 대성아악, 즉 아악이 유입됩니다. 이때부터 아악 당악 향악의 세 종류의 국악 갈래가 생겨난 것이죠.

하지만 고려 후기의 엄청난 사회적 혼란(전쟁, 무신정변 등)으로 인해 아악의 훼손이 심각했습니다. 원래 6개의 제사에 쓰이는 제례악이 각각 따로 있었는데 조선 세종 때 겨우 복원해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이 현행 문묘제례악 뿐인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당악은 조선초기까지만 해도 수십곡이 있었던 기록이 전해지지만 현재는 두 곡만이 남아있습니다.

향악은 쭉 발전해와서 조선 후기에는 판소리, 산조, 민요 등 민속음악이 발달하게 된 것이구요.

 

하지만 아, 당, 향악은 궁중과 상류계층에서만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어서 민속음악은 향악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아예 해당하는 항목이 없다고 봐야하죠. 따라서 현재는 전통 국악곡을 '향유 계층에 따른 분류'로서 정악(상류 사회 음악)과 민속악(민간, 대중 음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음악구분

삼한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음악구분좀 알려주세요~ 내공50 조선까지의 국악곡의 종류는 '형성 계통에 따른 분류법'으로 분류하는게 일반적이라고 할 수...

삼국시대 고려 통일신라 조선시대 근현대

삼국시대 고려 통일 신라 조선시대 근현대 시대 별로 각각 대표적인 미술 작품 5개씩만 올려주세요~~ 부탁드림니다 삼국시대 미술작품 : 무용총 수렵도, 무용총 무용도...

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배경좀...

학교숙제인데 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의 배경좀 알려주세요 오늘 12시 까지 해야되요 1.삼국시대의 배경 고조선이 멸망하고 우리나라땅에는 여러국가가 나타나게...

고려,통일신라,삼국시대,조선시대의문화...

저는 6학년인데요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문화재좀가르쳐주세요??? 삼국시대의 문화재 -광개토 대왕릉비, 장군총, 벽화(수렵도, 무용도), [고구려] 무령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