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종류,특징 알려주세요ㅠㅠ

오페라의 종류,특징 알려주세요ㅠㅠ

작성일 2008.04.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오페라의 종류와 특징좀 알려주세요ㅠㅠ

 약 A4 3장정도로요ㅠㅠ

 내공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페라의 종류> :
1.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로서, 페시타티브와 아리아를 중히 여기며, 중창이나 합창은 간혹 사용한다. 소재로는 신화나 고대 영웅적인 테마를 주로 사용하는 오페라이다.

2. 그랜드 오페라(Grand opera)
17세기 초 이탈리아의 오페라 세리아에 대해 프랑스에 나타난 대 가극이다. 이것은 19세기 프랑스의 특징있는 양식으로, 서사시적이고 역사적인 성질을 비극을 테마로 한다. 합창을 주로 다루고, 발레를 넣어 프랑스 사람들의 기호에 알맞게 했다.

3. 오페라 부파(Opera buffa)
18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생긴 희가극으로서, 차차 유럽 여러나라에 퍼졌는데 19세기 중엽까지 성행하였다. 소재는 서민생활이나 인정미담을 주로 하였고, 그 취재나 형식을 확립한 것은 페르골레지였다. 모짜르트의 『여자는 모두 이런것』과 롯시니의 『세빌랴의 이발사』등이 이에 속한다.

4. 오페라 부프(Opera bouffe)
프랑스의 희가극으로, 어원적이고 오페라 부파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양자 사이에는 다소차이가 있다. 오페레타와 비슷한 가벼운 음악희극으로, 대화의 부분에 대사를 사용한다.뒤니(Duni)가 창시자이다.

5. 오페라 코미크(Opera comique)
희가극의 일종으로 음악 사이에 대화와 독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미크라 하지만 줄거리가 희극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는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생긴 것으로 처음에는 희극적이었지만, 후에 그와는 상관없이 대사가 있는 오페라가 되었다.『카르멘』이나 『마농』등이 오페라를 오미라 코미크라고 부르는 작곡가들도 있다.

6. 오페레타(Operetta)
오페레타를 경가극이라고도 하며, 극적인 진행에 있어서 대사를 동반한다. 여기에 노래와 무용이 들어가기는 패도, 음악적인 내용은 낮은 편이며 또한 오케스트라도 소규모적이다. 이러한 작품의 예로는 요한 시트라우스의 『집시의 남작』·『박쥐』등이 유명하며, 밀뢰커의 『거지 학생』등이 이에 속한다.

이 밖에 독일의 오페라 징시필(Singspiel,노래의 연극)이 있습니다.


<오페라의 원작과 대본> :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1685-1759)
<리날도(Rinaldo)> 3 막
대 본 : 힐(Aaron Hill)
힐(Aaron Hill)은 역사가이자 과학자였고 무대장치가이기도 했다. 그의 상상력이 한껏 날개를 편 환상적인 무대에서 '새들은 노래하고 미풍은 살랑거리고 (Augelletti che cantate)' 가 노래되는 장면에서는 실제로 새들이 무대 위를 날아다니게 해서 관객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대본작가로는 한때 로시 (Giacomo Rossi)로 알려진 적도 있었지만, 그는 이탈리아 어의 번역을 맡았을 뿐, 원래 영어의 대본을 쓴 사람은 힐이었음이 그 후 밝혀졌다.



페르골레시(G.B. Pergolesi, 1710-1736)
마님이 된 하녀(La Serva Padrona) 단 막
대본 : 페데리코(G.A. Federico) 씀(이탈리아어).





글룩(Gluck, Christoph Willibald 1714∼1787)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ed Euridice)" 3막
대본 : 칼짜비기(Calzabigi, Ranieri Simone Francesco 1714∼1795, 이탈리아어)

모짜르트(Mozart, Wolfgang Amadeus 1756∼1791) :
"후궁에서의 도주 (Die Entf hrung aus dem Serail)"K.384 3막의 징시필
대본 : 곳토리프 시데파니 작사(독일어)

돈 지오반니 (Don Giovanni)』K.527 2 막의 희가극
대본: 로랜쯔 다 폰테, 이탈리아어
'돈 지오반니'는 14세기 혹은 그 이전에 있었다는 전설적인 인물 돈 환 (Don Juan) 의 이야기이다. 이 돈 환은 돈 많고 아름다운 용모에 호색가로서 일반에게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가 사실인지 또는 공상인지 그리고 어느 때 누구의 작품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최초의 출판이 1630년 스페인의 테이르소 디 몰리나(Teirso de Molina) 의 "세빌리아의 조롱자와 돌 손님(띠 Burlador de Sevillay Combidado de Pieda )"이라 한다.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4막
대본 : 다 폰네가 베르타티(Giovanni Bertati)와 모르에르


코시 판 투테(Cosi fan tutte) 2막
대본-로렌쪼 다 폰테 (이탈리아어)


마적 (마술피리) ( Die Zauberflote) 2막
원작: 크리스토프 마르틴 빌란트의 동화집 "지니스탄" 중의 <룰루 또는 마적> 및 가를루 드 비히 기제 대본 , 파울 브라니츠키 작곡 오페라 <오베론>등에서 힌트를 얻고 있다.


베토벤 :
피델리오
대본 : 존라이트너 및 트라이츠케, 독일어



폰 베버( Carl Maria von Weber [1786-1836])
<마탄의 사수 (Der Freichütz)> 3 막
대본 : 아펠(J. A. Apel)의 <요괴담>을 기초로 킨트(J. F. Kind)가 씀 , 독일어
독일의 낭만주의적 오페라의 확고한 지반을 닦은 베버는 선배인 모차르트, 베토벤을 거쳐 훗날의 바그너에 이르는 교량 역할을 한 작곡가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국민적 감정을 힘차게 표출했고 민족성을 전면에 내세운 그의 음악은 뒤에 오는 독일 작곡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대표작〈마탄의 사수〉가 낭만과 가극의 전형임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한다.

모차르트가 이미〈마술 피리〉등에서 썼듯이 베버도 레치타티보가 아닌, 대사를 생으로 이야기하는 독일의 이른바 '징슈필'형식을 이 가극에서 답변확정했다. 그러나 내용면에서는 민족적 소재, 민중의 노래와 무용의 예술화, 자연 감정의 표현, 가극의 종합예술화 추구 등 고전주의 시대의 그것과는 판이한 것이었다.

가극 〈마탄의 사수〉는 전편에 걸쳐 낭만주의의 숨결이 충만해 있다. 보헤미아의 깊은 숲은 사냥꾼들의 생활무대이자 생활의 근원이다. 그 속에서 울려퍼지는 유명한 남성합창 〈사냥꾼들의 합창〉이 바로 베버의 낭만주의 그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이어 베어(Meyerbeer, Giacomo 1791∼1864)
예언자(Be prophets) 5막
대본: 스크리브, 프랑스어



로시니(Gioacchino Antonio Rossini, 1792∼1868) :
<세빌리아의 이발사>
로시니가 쓴 39곡의 가극 중에서도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공연 회수가 많은 오페라가 〈세빌랴의 이발사〉이다. 경묘하고, 생동감 넘치는 익살이 가득한 이 가극은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쌍벽을 이루는 오페라 부파(희가극)이다. 사실 두 가극은 프랑스 작가 보마르셰가 쓴 3부작 〈세빌랴의 이발사〉,〈피가로의 결혼〉,〈죄 많은 어머니〉를 각각 대본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성을 갖는다.

로시니는 오페라〈세빌랴의 이발사〉를 24세 때 단 13일 만에 완성했다. 그 무렵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들은 대부분 그런 속필로 가극을 써댔다고 한다. 서곡도 전 해에 작곡한〈영국 여왕 엘리자베타〉에서 썼던 곡을 그대로 전용했으며 또 그것은〈지나친 오해〉,〈팔미라의 아우렐리아노〉에서도 써먹었던 곡이기도 했다. 당시에는 그와 같은 일도 흔히 있었던 모양인데, 아무튼 그런 일화마저도 작품에 익살에 찬 생동감을 더해 주면 더해 주었지 손상시키지는 않는 듯 하다.

<빌헬름 텔(Guillaume Tell)> 4막
중세 스위스의 전설적인 영웅 빌헬름 텔과 13세기의 스위스의 동맹의 사실에 따라서 독일의 문호 실러(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1759~1805)가 죽기 전에 완성시킨 5막 14장의 희곡을 소재로 <모제>의 대본을 쓴 주이(Etienne de Jouy 1764~1846)가 오페라 대본으로써 로시니에게 가져왔으나 로시니는 그 대본이 너무 방대한 것이었기 때문에 , <오리백작>의 두 번째 공연이 끝났을 때 (1828) 폰텐브로 에 있는 친구이며 은행가인 아구아도의 별장에 가 , 그 곳에서 대본을 검토하면서 작곡을 진행시켜 나갔다. 주이의 대본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비그(Hippolyte-Louis-Florent Bis 1789~1885)라는 젊은 시인과 이구아도의 비서로 뒤에 2월 혁명 후 파리 시장과 국민 의회 의장을 역임했던 , 작가 마리아 (Armand Marrast 1801~1852), 그리고 크레뮈 (Adolphe Cremjeux)등의 도움도 받았다. 로시니는 1828년 10월 중순에 태반의 작곡을 끝내고 파리에 돌아와 오케스트레이션에 착수 1829년 5월에는 연습에 착수하게 되었으니, 작곡을 시작해서 겨우 9개월만에 이 대작을 완성시킨 셈이 된다. 원 곡은 프랑스어 , 뒤에 나온 이탈리아 번역은 발리스토 바시(Calisto Bassi)가 했다.



도니젯티(Donizetti, Gaetano 1797 ~ 1843) :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 2막의 희가극
대본 : 로마니 (Romani, G. F. 1788∼1865), 이탈리아어

<루치아(Lucia di Lammermoor> 3막의 비가극
대본:캄마라노(Cammarano, Salvatore 1801~1852), 이탈리아어
도니젯티의 오페라 중 가장 유명한 이 오페라 대본의 소재는 월터 스코트(Walter Scott 1771~1832)의 소설「람메르무어의 신부」에서 취재한 스코틀랜드의 이야기이다. 작품의 흐름은 간소하면서도 신선하고 아름다운 멜로디에 충만해 있으며, 효과적인 요소에의 집중과 극적인 박력 등이 오페라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비록 비극적인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흐르고 있을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낙천적인 국민성을 보여준 이탈리아적인 오페라이다.


플로토 (F.V. Flotow, 1812∼1883)
마르타 (Martha) 4 막
대 본 : 프리드리히 (W. Friedrich) 씀 (독일어)



벨리니 :
<몽유병의 여인>
대본: 로마니
벨리니는 롯시니와 베르디를 연결하는 19세기 전반의 이탈리아 최대의 작곡가로, 멜로디의 애조로움과 온화한 음악으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과 인기를 차지하였다. 그는 도니젯티와 함께 아름다운 멜로디를 생명으로 하고 있으며, 어려운 기교와 깊은 내용을 지니고 있다.


<노르마(Norma)> 2막의 비가극
대본 : 로마니, 이탈리아어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 :
거의 모든 오페라의 대본을 자신이 썼습니다. 대단한 작곡가입니다.
대 본 : 작곡가가 씀 (독일어)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Die meistersinger von Nurnberg)> 3막의 희가극

<로엔그린(Lohengrin)> 3막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und Isolde)> 3 막 바그너

<방황하는 네덜란드인(Der Fliegende Hollander)>
대본 : 작곡자 자신에 의함. 독일어
이 오페라의 소재는 하이네(Heine, H.1797∼1856)가 쓴 <폰 슈나벨레브프스키의 회상> 중에서 유령선의 중세 소설을 소설화 한 것에서 얻었다.
한편 그의 <노르다나의 여행기>에서도 이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바그너는 하이네의 소설에서 암시를 받아 오페라화 하기로 작정하고 주로 하이네의 소설과, 그밖에 하우프의 <유령선 이야기> 등을 참조하여 대본을 만들었다. 오페라의 줄거리는 하이네에게서 얻었지만 그 밖의 것은 전부 바그너의 창작이다.

[연작 오페라]
<니벨룽겐의 반지>
대본 : 작곡자 자신에 의함
곳 : 제 1 막 (숲속의 동굴), 제 2 막 (깊은 숲속), 제 3 막 (바위산 기슭의 황야)

<라인의 황금(Das Rheingold)> 전1막 4장
(니겔룽겐의 반지) 서야

<발퀴레 (Die Walkiire)> 3막
<라인의 황금>이 끝나고 이 오페라가 시작되기까지는 몇 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한다.


<지크프리트(Siegfried)> 3막의 악극
곳 : 제 1막(숲속의 동굴), 제 2막(깊은 숲속), 제 3막(바위산 기슭의 황야)


<신들의 황혼> 3막
(니벨룽겐의 반지) 제3일
대본 : 작곡자 자신에 의함. 독일어.
곳 : 발퀴레의 바위산. 라인 강변.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리골렛토(Rigoletto)> 3막
대본: 피아베(Piave, F.M.)에 의함. 이탈리아어
원작은 빅토르 위고(Victor Hugo)의 희곡 <환락의 왕>에 의한 3막의 비극

<일트로바토레(IL Trovatore)> 4 막
대본 : 캄마라노(S. Cammarano)가 씀 (이탈리아어)


<운명의 힘> 4막
대본: 피아베에 의함, 이탈리아어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상연된 바 있는 연극을 대본가 피아베에게 개작시킨 다음 작곡한 것이다.


<아이다(Aida)> 4막
대본 : 기슬란조니(Ghislanzoni, Antonio 1824∼1893), 이탈리아어
이 오페라의 소재는 프랑스의 유명한 이집트 고대사의 학자 마리에트 베이(Marriett, Auguste Edourd 1821∼1881)에게서 얻었다. 그는 당시 이집트 브라크 박물관장으로 있었는데 국왕의 의뢰로 이 작품의 줄거리를 창안해 냈다. 즉 고대의 사원의 제단 밑에 남녀의 해골이 발굴된 일이 있는데 그것을 힌트로 하여 여러 가지 사건을 첨가시켜 이같은 대본을 만들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것을 골자로 하여 프랑스의 대본가 뒤 로클(Du Locle, Camille 1832∼1903)이 프랑스어로 쓴 것을, 마지막으로 기슬란조니(Ghislanzoni, Antonio 1824∼1893)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대본을 만들었다.


<라 트라비아타(춘희)(La Traviata)>
프란세스코 마리아 피아베(Francesco Maria Piave)가 작사했으며 알렉산더 뒤마 (Alexandre Dumas Jun.)의 희곡 La dame aux camlias(1852)를 토대로 한 3막의 멜로드라마.

<나부코> 4막
작사 : 솔로라


<오텔로(Otello)> 4 막
대본 : 셰익스피어 원작 "Othello"를 보이토 (A. Boito)가 각색. 이탈리아어



구노(Gounod, Charles Francois 1818~1893)
<파우스트>
배경 : 오페라 『파우스트』는 문호 괴테의 동명희 곡을 바르비에와 카레 두 사람이 만든 대본에 구노가 작곡한 최대의 걸작품이다. 괴테의 광범위한 내용의 원작을 이 오페라에 모두 담을 수는 없어도 주로 파우스트와 마르가리테의 줄거리를 요약한 것이다.

<로미오와 줄리에트(Romeo and Juliet)> 3막
배경 - "로미오와 줄리에트"를 제재로 작곡한 사람 중에는 벨리니·차이코프스키 등 여러 작곡가가 있지만, 특히 구노의 작품이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잘 살렸다는 것으로 인정되어 1867년 파리에서 초연을 한 후 90회 이상의 공연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구노의 작품의 "파우스트"가 이것보다 더 나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펜바하(Offenbach, Jacques 1819~1880) :
<천국과 지옥(Orphee aux enfer)> 4막의 희가극
원제 "지옥의 오르페우스"
대본: 크레미외(Cremieux, H. 1828~1892)와 알레비(Halevy, L. 1834~1908)에 의함. 프랑스어.
이 작품은 글룩의 명작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체』의 줄거리를 바탕으로 했으나 내용은 아주 다르다.


<호프만의 이야기(Les Contes d'Hoffmann)> 3막
배경: 이 희가극은 오펜바하가 수년 동안에 걸쳐 착상하여 쓰기 시작해 1880년 그가 죽기 직전에 작곡한 마지막 작품이다. 당시 인기를 독차지하고 있던 그가 과로로 몸이 쇠약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병중에서도 작곡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그의 병세는 악화되어 미완성인 작품을 남긴 채 별세했기 때문에 에르네스트 기로(Ernest Guilaud 1837∼1892)에 의해 완성되었다.


스메타나(Smetana, 1824 ∼ 1884, 체코 ):
팔려간 신부(Prodana nevesta) 3막
대본 : 사비나(Sabina, K. )에 의함. 체코어


요한 스트라우스 2세(J. Strsuss. 1825-1899):
<박쥐(die fledermaus)> 3 막의 희가극
대본:하프너(haffner,carl)와 쥬네 (cenee,richard)에 의함, 독일어
요한 시트라우스는 그의 처녀작[인디고(inddigo)]를 비롯한 75세때에 작곡한 [이성과 여신]까지 16개의 오페레타가 있는데 그중 이 [박쥐]와 [집시 남작]이 가장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그리하여 이 가극이 지금도 정가극과 한가지로서 새계의 일루극장에서 중요한 레퍼터리로 상연이되는 것은 왈츠 왕의 작품인 만큼, 왈츠와 폴카를 중심으로 한 우아한 선율이 있으며 내용 또한 흥미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오페레타의 연출에 있어서는 퍽 자유스런 것이다. 특히대사의 부분은 상연하는 때를 참작하여 시사 문재 같은 것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줄거리가 항상같다고 볼수 없다. 이 작품은 시대를 19세기로 하여 음악과 환락의 도시 빈의 일면을 암시함과 동시에 빈풍의 오페레타로 선구적인 역할을 한 뜻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그리하여 1896년부터 1921년까지 25년동안 약 1만 2천회를 상연 했다는 기록도 있을만큼 이 희가극은 많은 인기를 차지한 작품이라 하겠다.


<집시남작(Der Zigeunerbaron)> 3 막
대 본 : 요카이(M.jokai) 소설 「자피」를 기초로 슈니처(J.Schnitzer)씀(독일어).



폰키엘리 (A. Ponchielli, 1834-1886)
,라 조콘다 (La Gioconda)> 4 막
대 본 : 위고 (V.M.Hugo)의 희곡 "파도바의 폭군, 안젤로 (Angelo, tyran de Padoue)"에 따라 토비아 고리오 (Tobia Gorrio, 보이토의 별명)가 씀. 이탈리아어



생상스(Charles C. Saint-Saens) :
삼손과 데릴라(Samson et Dalila) 3막
대본: 페르디낭드, 르메르에 의함. 프랑스어
1869년 사촌형제였던 페르디낭 르메르가 쓴 대본을 받은 생상이 열심히 작곡을 하고 있었는데 보불전쟁이 터졌다. 그래서 시간이 걸린 데다 완성된 뒤에도 시험적으로 몇 부분 공개해봤으나 반응이 대단치 않았고 또 바그너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 때문에 프랑스의 여론이 좋지 않아 2년간이나 방치되었다. 이 젊은 작곡가의 작품이 선반에서 썩고 있다는 소리를 들은 것은 리스트였다. 그래서 이 작품은 1877년 독일 바이마르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파리에서 공연된 것은 그보다 13년이나 지난 뒤였지만 일단 공연된 뒤로는 거의 매년 공연되었다.



비제(George Alexandre Leopold Bizert, 1838∼1875)
<카르멘 (Carmen)> 4 막
대본 : 메이야크(H. Meilhac)와 알레비(L. Haievy) 협작 , 프랑스어



레온 카발로 (R. Leoncavallo, 1858 - 1919)
<팔리아치 (l Pagliacci)> 2 막
대 본 : 작곡가가 씀 (이탈리아어)



차이코프스키(Tchaikovsky, Peter Llitch 1840∼1893, 러시아)
에프게니 오네긴(Eugene onegin) 3막
대본 : 푸시킨의 깉은 이름의 운문소설에 의해서 시로프시카가 각색한 것. 러시아어

차이코프스키의 오폐라 {에프게니 오네긴}은 러시아의 가극 중 가장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그는 파리에서 비제의 {카르멘}을 보고 감격한 것이 우리 주위에 있는 현실적인 인간의 비극을 묘사해 낸 점이었다. 폰 메크 부인의 물질적인 원조와 정신적인 면으로써의 격려를 받아 건강과 창작력을 회복하게 되어 1878년에 이르러서야 이 작품을 탈고하게 되었다. 이 오폐라는 푸시킨의 민족적인 시정에 작곡자의 주관이 아름답게 합쳐진데서 성공하였다.



도니젯티(Donizetti, Gaetano 1797∼1843) :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 2 막의 희가극
대본 : 로마니 (Romani, G. F. 1788∼1865), 이탈리아어


<람메르무어의 루치아(Lucia di Lammermoor) 3 막의 비가극
대본 : 스코트(W. Scott)의 소설 『래머무어의 신부(The Bride of Lammermoor)』를 바탕으로 캄마라노(Cammarano, Salvatore 1801~1852)가 씀, 이탈리아어



마스네(Massenet, Jules Emile Frederic 1842∼1912) :
<타이스>
대본 : 루이 갈레(Louis Gallet)에 의함. 프랑스어
이 오페라는 프랑스의 문호인 아나톨 프랑스(Anatole France)의 소설을 소재로 하여 루이 갈레가 각본한 것으로 작곡하였다. 이것은 사원에서 도를 닦고 있는 아타나엘과 아름다운 무용가 타이스와의 사랑의 비극을 나타낸 것이다. 타이스는 생각하기를 사랑의 신을 따를 것인가 또는 신의 사랑에 따를 것인가, 즉 육체인가 영적인가에 대해 번민하게 된다. 이렇게 심리 상태를 묘사한 이 작품에는 그 유명한 <타이스의 명상곡>이 전체적으로 흐르는데 바로 타이스의 타락한 생활로부터 헤어 나오려는 종교적인 정열을 나타낸 곡이다.

<마농(Manon)> 5막
대본 : 앙리 메이약(Henri Meilhac 1831∼1897)과 필립 질르(Philippe Gille 1831∼1901)에 의함.프랑스어
오페라 "마농"은 18세기의 프랑스의 소설가 아베프레보 (Abbe Prevost, 1693∼1793)의 유명한 소설 "마농 레스코(Manon Lescaut)"에 의거한 것이다. 그러나 원작과는 인물의 성격이라든지 사건에 있어서 조금은 다르다.



마스카니 (P. Mascagni, 1863-1945)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avalleria Rusticana)> 단막
대 본 : 메나시 (G. Menasci) 및 타르조니 토체티 (G. Targioni-Tozzetti) 이탈리아어




림스키코르사코프 :
<사드코(sadko)> 7장의 전설가극
대본 : 비엘르스키(Bielsky, V. I.) 및 작곡자에 의함, 러시아어
배경 : 23세였을 때에 11세기 경 러시아의 노브골로드에 전해오던 해양의 전설을 소재로 하여 교향시 "사드코"를 작곡하였다. 이것을 발라키레프의 지휘로 1867년 12월 9일에 러시아 음악협회의 연주회에서 발표하였다. 그러나 24년 후인 1891년에 그는 이 환상이 풍부한 전설을 오페라로 작곡할 것을 생각하여 교향시 "사드코"의 모티브를 이용하여 쓴 것이 바로 이 오페라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그의 오페라 "금계"와 함께 대표적인 가극이다.


<훔퍼딩크, Humperdinck Engelbert 1854~1921>
<헨젤과 그레텔>
대본 : 아델하이트에 의함.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 이탈리아) :
<마농 레스코(Manon Lescaut)>
대본: 완성되기까지 올리바 등 6사람의 손을 거침. 이탈리아어


<수녀 안젤리카> 1막
대본: 죠바키노 포르짜노에 의함. 이탈리아어


<라 보엠(La Boheme)> 4막
대본 : 지코사(G. Giacosa)와 일리카(L. Illica), 이탈리아어


<라 토스카( La Tosca )> 3막


<나비 부인(Madam Butterfly)> 3막
대 본 : 롱 (J. L. Long)이 쓴 소설을 바탕으로 자코사 (G. Giacosa)와 일리카 (L. Illica)가 씀 (이탈리아어)

풋치니가 좋아하는 그의 가극 속의 여주인공은 대체로 순진하고 불운한 여성이었다. 오페라<나비부인>은 대본은 작가 롱이 쓴 <쵸쵸(쵸쵸는 일본말로 나비) 혹은 나비부인>이라는 소설을 토대로 하여 쓰여졌다. 롱의 소설은 당시 유럽인들의 이국 취미에 부합되어 대단히 인기가 있었다.


<투란도트(Turandot)> 3막
원작 : 카를로 고치 저 '투란도트'



R. 스트라우스(R. Strauss, 1864-1949) :
<장미의 기사(Der Rosenkavalier)> 3막
대본:호프만스탈 (Hofmannsthal, Hugo von)에 의함. 독일어
배경: 이 작품은 R. 스트라우스가 47세 때 작곡한 것으로, 곳음악 창작에 하나의 전환기를 이루었다. "장미의 기사"라는 제목의 뜻은 18세기 오스트리아궁정의 관습으로서, 약혼 피로연 때에 은으로 장미꽃을 여자에게 바치는데 그 역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 것이다. 전반적으로 이 작품은 예전의 "살로메"와는 양식이 다른데, 즉 관능적으로 강렬한 것이 아닌 명랑하고 알기 쉬운 희극의 오페라이다. 또한 많은 모티브를 사용하여 배역의 성격과 여러 가지의 측면을 여실히 표현했으며, 아름다운 멜로디는 옛 정취마저 느끼게 한다. 화성과 오케스트라에 있어서는 바그너의 영향에서 떠나 개성적인 면을 보였으며, 모차르트의 색채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살로메 (Salome)> 단막
대 본 : 와일드 (O. Wilde)원작, 라흐만 (H. Lachmann)에 의함 (독일어)



지오르다노 ( Giordano, Umberto 1867~1948 )
안드레아 세니에. 4막
대본 : 루이지 일리카에 의함. 이탈리아어
이 오페라는 실제의 인물과 부호인 귀족의 딸 마드레느와의 연애관계를 줄거리로 하였다.


레하르 :
메리 위도우(The Merry Widow)3막 희가극 "Die Ousting Waite"
대본:빅토르 네온(Victor Leon 1870~1940)과 네오 슈타인(LeoStein 1861~1921)에 의함. 독일어




거시윈(Gershwin, George 1898∼1937, 美)
<포오기와 베스(Porgy and Bess)> 3막
대본 : 듀 보즈 헤이워드와 거시윈에 의함. 영어
배경 : 이 작품은 거시윈이 지금까지의 음악 희극 방면에서 오페라로 전향하여 작곡한 첫 번째의 재즈 오페라이다

이정도면 될까요 헉헉;

특징추가합니다

오페라                                                                              뮤지컬                                              

 

1.오케스트라와 지휘자가 있다                                   오케스트라와 지휘자가 거의 없다.

 

2.무대가 다양하다                                                          무대가 단순하다

 

3.막이 있다  1막 , 2막 ......4막                                        막이 단순성이 있다

 

4.자본이 많이 들어 간다.                                              자본이 적게 들어간다(요즘은 투자 많음)

 

5.무대의 고착화로 다변화 부족한 단점.                  언제 어디서나 공연이 쉽다

 

6.의상의 다양성 풍부                                                    의상의 다양성 미비

 

7.오래된 스토리가 많다                                                현대적인 내용이 많다

 

8.러브 스트리가 배부분(비극적인 내용)                  다양한 스토리와 코믹성이 다수

 

9.율동성 적음                                                                  춤이 가미된   율동 풍부

 

10.무대와 관객사이(오케스트라가 있다)가 멀다  무대와 관객사이가 가깝다

 

11.성악가와 관객의 일체감 부족                                 배우와 관객 일체감 용이하다

 

12.클래식에 대한 관객 접근성 어려움                       뮤지컬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접근용이

 

13.원어(이태리어.독어. 불어)로 된 가사가 대부분.  영어를 한글로 번역

                                        

14.악기의 수  많음                                                            악기의 수가 적거나 녹음에 의한 연주

 

15.전문 성악가 연주                                                        뮤지컬 배우나 일반 가수도 가능

오페라의 종류,특징 알려주세요ㅠㅠ

오페라의 종류특징알려주세요ㅠㅠ 약 A4 3장정도로요ㅠㅠ 내공드리겠습니다 오페라의 종류> : 1.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로서...

오페라 특징 알려주세요

오페라 특징알려주세요!! 음악수행인데 뭔지 모르겠어요ㅠㅠ 오페라는 음악과 연극이 결합된 예술 형태로, 가수들이 노래를 부르고 배우들이 연기를 펼치는 공연입니다....

낭만주의 오페라의 특징알려 주세요...

... 그러네요 ㅠㅠㅠ 낭만주의 오페라의 특징은 무었인가요??5줄 이상 부탁드려요 제발... 각 나라의 오페라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종류가 한 가지인 것도 아니기...

독일 오페라의 특징에 대해 알려주세요

... 알려주세요 독일 오페라의 특징 : 보통 오페라라 하면 이탈리아 오페라를... 모든 종류의 예술이 모두 뭉쳐 하나의 종합예술 즉 그가 말하는 전체예술 작품을...

오페라의 종류와 뜻... 좀 알려주세요!

오페라의 종류와 뜻좀 자세하게좀 알려주세요.. 지식엔에는 마땅히 좋은 답변이...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페르골레시'의 '마님이 된 하녀La serva padrona'(1733)는 본래 그의...

오페라의 성격별 종류

... 빨리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ㅠㅠ [오페라의 성격별 종류] 1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 것이 특징. 비제의 <카르멘>, 마스네의 <마농> ※ 오페라를 무조건 하나의 종류로...

푸치니 3대 오페라 종류특징...

... '풋치니'의 오페라는 아름다운 선율과 극적인 박력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모든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감상적인 아름다움은 비할데 없다. '풋치니'의 작품중에서 가장...

오페라의 유령 특징 A4 2장채울정도로...

오페라의 유령 특징알려주세요 아무리 찾아도 않나오내요ㅠㅠ 꼭 좋은 답변 주시길;; 부탁합니다 또 꼭 A4용지(프린터로 뽑아서)2장 나오게 해주세요....; 뭐 에이퍼지 2장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