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아놀드쇤베르크에생애간략해서정리해주세요

작곡가아놀드쇤베르크에생애간략해서정리해주세요

작성일 2003.10.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작곡가 쇤베르크에생애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주세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chenberg, Arnold 쉔베르크 (1874.9.13~1951.7.13)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빈 출생.
12음기법의 창안으로 20세기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으며, 또 베르크, 베베른 등 많은 뛰어난 제자를 육성, 그들과 더불어 제2차 빈악파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못하여 거의 독학으로 음악의 기초를 닦았다.
12음기법은 조성조직(調性組織)을 대신하는 이론으로서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작품 25, 21)에서 이룩되었다.
이 무렵부터 비난의 대상이었던 그는 점차 인정받게 되어 25년에는 베를린의 예술아카데미의 교수로 초청되어 이듬해 베를린으로 이사하였다.
그러나 나치스의 대두와 더불어 유대인이었던 그는 33년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그 후로는 미국에 영주하였다.
그는 만년에도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히틀러에 대한 분노를 곁들인 《나폴레옹에로의 오드》(작품 41, 42)와 유대인 대량학살을 소재로 한 《바르샤바의 생존자》(작품 46, 47) 등은 특히 유명하다.
[이상은 http://www.sungeo.com/photo/schberg.htm에서 펌]

쉔베르크는 조성, 기능, 화성, 형식 등 재래의 음악에서 사용하던 모든 기법을 근본적으로 타파하고 새로운 작곡기법 (12음 기법)을 창안하여 표현주의 음악 세계를 열었다. 조성을 없애고 새로운 음악의 세계에 접어든 현대 음악의 선구자이다.
유럽 전통음악의 종결이라고도 해야 할 세리(serie, 순열을 뜻하는 프랑스 음악용어)의 체계를 착상함과 동시에 15~17세기 플랑드르 학파의 대위법을 철저하게 연구하였다.
〔작품〕가곡 : '달의 피에로', 현악6중주 : '정 화된 밤', 피아노 모음곡 Op25, '구레의 노래', 변주곡 Op.33 등이 있다.


* 쉔베르크 ‘주류를 모방하는 아류의 음악’
독일을 중심으로 한 무조성적 현대음악기법은 2차 대전 이후 전세계의 작곡계를 지배해 왔다. 조성의 몰락이라는 음악어법상의 변천은 19세기 유럽음악 특히 독일음악의 주된 변화과정이었다. 고전 낭만음악의 중심지였던 독일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20세기까지 이어졌고 쉔베르크에 와서 조성의 몰락은 창작의 결과로서 나타난 현상이 아니라 작곡가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추구되는 무엇이 되었다. 19세기에서의 조성의 몰락은 작곡가들이 자신의 고유한 어법을 개척했던 결과였지만 쉔베르크 이후 조성의 배제는 작곡가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부과한 룰이었다.
쉔베르크의 체계적인 무조성 기법 근저에 흐르고 있는 정신은 반성이었다. 음악에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것은 작곡가 스스로가 자신의 임의로 음을 선택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임의는 틀림없이 어떤 음악(그것도 다분히 조성음악)에 의하여 훈련된 음악감수성에 의한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감수성에게 임의를 허락하면 기존의 음악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음악 밖에 나오지 못한다. 18세기에 싹튼 예술음악, 즉 인간의 자유와 의지가 투영되는 음악과 그 음악의 진보를 믿었던 쉔베르크에게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나타났던 춤음악과 오페레타 같은 퇴영적 조성음악은 예술음악과 작가 정신의 타락이라고 여겨졌고 그런 의미에서 그의 반성은 실천적 의미를 충분히 가진다. 그러나 2차 대전 이후 쉔베르크의 무조성적 음악어법의 추종은 하나의 대세를 이루면서 주류 언어가 되었고 차츰 그 반성적 성격을 잃어갔다. 오히려 주류에 편입되고자 하는 많은 아류음악을 낳았다. 결과적으로 0세기 후반의 음악사는 ‘작곡가 자신이 스스로의 음악감수성을 부정한다'는 매우 반성적인 성격의 음악이 ‘주류를 모방하는 아류의 음악'이라는 매우 비반성적인 방식으로 양산되는 역설적인 역사를 보여준다.

[내공 30]외국의 음악가들 ...

... 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을 해주세요!!! EX)이름... 제가 적은 이 작곡가말고도 유명한 음악가가 있으면... (49) 쇤베르크, 아놀드 : 1974 ~ 1951 오스트리아 5개의...

백남준 일생과 업적.

... 간략하게 써주세요!! 사진첨부도 해주시면 채택해드릴게요! 금요일날까지라 7일까지해주세요~ 생애 1932년 7월... 졸업 논문은 ‘아르놀트 쇤베르크 연구’이다. 1956년...

바우하우스

... 이렇게 간략하게만 살펴보아도 그 짧은 기간 동안에... 1976년의 한 회의에에서 작곡가 한스 하인츠... 거기에서 그는 아놀드 쇤베르크를 만났고, 아르 누보의 격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