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피디,작가 되는법

방송 피디,작가 되는법

작성일 2022.12.29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방송촬영을 할때 앞에서 피디님들 스태프분들 등 여러사람이 많던데 방송쪽에서 피디나 작가는 무슨일을 하시나요..?
전공과 공부 업무기술자격증 이런것들이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피디는 방송사 또는 제작사에 들어가서 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방송법에 명시된 외주제작비율에 따라 우리가 보는 방송 프로그램들은

방송사 자체제작과 제작사 제작으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방송 끝나고 제작진과 출연진 이름이 표기되는 엔딩스크롤에 명시되는 제작사 이름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송사와 제작사는 정규직, 계약직, 프리랜서 등의 조건으로 필요 인원을 선발하는데

방송사는 공채를 통해 필요 인원을 선발하며, 영어, 시사상식, 논술작문, 인적성검사 등의 방송사 마다 정해진 과목별 필기, 실기 시험과 면접을 거치게 되며 경쟁률이 상당히 높아 언론고시라고도 불리웁니다.

제작사는 피디가 갖춰야할 영상제작과 관련된 실무 능력들인 기획안, 구성안, 콘티, 큐시트, 대본, 카메라, 조명, 음향, 편집 등을 검증받아야 합니다.

요즘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방송 뿐 아니라 웹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로 인해 변화된 영상콘텐츠 시장의 트렌드를 보면 사실 피디의 실무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전문교육을 받는 것이 취업의 보다 더 넓은 기회를 잡는데 더 도움이 됩니다.

피디의 실무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정 전반에 걸친 기본 지식과 실무적 능력을 갖추는게 필요한데요,

제작과정은 전문적이고 단계별로 이루어지는데 피디는 유일하게 이 모든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관리 감독합니다.

기획, 구성, 촬영, 편집, 녹음 등의 과정을 거쳐서 방송이 제작되게 됩니다.

대학 진학은 문과계열인 언론 전반에 걸친 이론 중심 교육과정의 일반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가 관련 전공이고

문이과 공통으로, 전문 교육과정인 제작현장의 시설과 장비를 활용한 실습 위주의

교육부 4년제 학사 학위 방송영상전문교육기관 한예진 영상제작계열 영상연출 전공이 가장 잘 알려져있습니다.

방송사나 제작사들이 몰려있기 때문에 현장경험이나 트렌드 파악하는데는 서울권으로 진학하여 실습 위주 전문교육을 받는 것이 아무래도 좋은 점이 많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촬영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리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될 거예요.

특히 피디나 작가는 프로그램 기획단계부터 방송이 나가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에서 프로그램을 맡아 제작하눈 사람들이고요. 둘의 업무는 정확하게 딱 나눠져있다고 하기 보다는 같이 협업하는 관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조금 더 역할을 나눠보자면 작가는 세부 내용을 기획하고 구성하는 일 중심으로 하고요. 피디는 영상을 조금 더 집중적으로 관할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이 분야는 자격증이라기보다는 영상감각이 있어야 하고, 실질적으로 영상을 만들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요.

그냥 공부를 잘한다고 잘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저도 방송작가가 꿈이라서 지금 방송작가미디어창작전공 다니고 있는데요.

이론적인 수업도 있지만 내가 직접 아이디어를 가지고 와서 프로그램 기획도 해 보고, 내가 기획구성한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어보는 경험도 하고 있어요. 그냥 아이디어만 짜는 것과 직접 영상까지 만들어보는 건 굉장히 다른 경험이더라고요. 특히 작가들은 인맥으로 취업을 하고, 공채가 없기 때문에 어느 프로그램에서 작가를 구하는지 일반사람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작가인맥들 사이에서는 어느 프로그램에서 몇 년차의 작가를 구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많이 오가거든요. 제가 방송작가과를 가야겠다고 결정하게 된 것도 선배들이나 교수님 인맥으로 취업을 하는 경우들이 많아서인데요. 방송쪽은 대부분 이렇게 인맥으로 일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방송피디는 인문-사회계열입니다.

방송작가는 인문-예체능계열입니다.

△ 방송PD 추천도서

△ 방송작가 추천도서

○방송작가 = 글을 쓰는 작가

○방송PD = 방송 연출을 하는 프로듀서

둘은 이름이 비슷해서 얼핏보면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완전히 다른 직업군입니다.

작가와 연출자의 차이입니다.

방송작가는 글을 쓰는 작가이며, 방송PD는 쓰여진

대본을 보고 화면에 그것을 어떻게 구성할지

연출하는 감독인 겁니다.

▲ 방송연출(방송PD) 출신대학

【드라마연출-pd 관련학과】

①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신방과)

②언론홍보영상학과

③법학과 / 경영학과

④외교학과 / 행정학과 / 영문학과

⑤인문학부-사회학부

딱 정해진 학과가 있는 건 아닙니다. 관련학과를

나와서 방송사들이 흔히말하는 언론고시를 보고

패스하면 됩니다. 행정고시를 떠올리면 됩니다.

학과보다 대학이 중요하며 SKY 출신이 많습니다.

드라마감독(드라마PD)은 방송국 정규직 채용합니다.

방송국도 외주방송사를 통해 드라마를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FD(진행)-AD(조연출)-

PD(연출)-CP(책임 프로듀서)-EP(부장) 순입니다.

어찌됐든 드라마를 방영하기까지 예산통제-견적을

내야합니다. 그런데 영화처럼 제작-배급-투자사를

각각 두는 게 아닙니다. 방송사 드라마국 자체에서

예산견적을 내고 통제해야합니다.

방송PD는 드라마, 예능, 라디오, 음악, 쇼 등등 모든

프로그램에 있습니다. 영화는 영화연출자(영화감독)

인 것이고, 방송 쪽에서는 방송PD(방송감독)입니다.

차이점이라기보다 둘은 전혀다른 직업이니 작가가

될지, 감독이될지를 먼저 생각해서 결정하면됩니다.

작품이 프로덕션 되기이전에 프리프로덕션 과정을

거칩니다. PD, 촬영, 작가, 배우 등의 사전회의.

【방송PD 언론고시】

*100:1

*SKY포함 최상위권 스펙

*서류→필기→실기→면접

*작문+자소서+기획+토익+한국어능력시험

PD의 경우 대부분 SKY 출신이며 고스펙의 직업군

이라고보면 됩니다. 방송국에서 직접 채용합니다.

대학졸업한 후 언론고시를 패스해야합니다.

방송전 주변환경체크 등은 AD나 FD 등이 있는데

PD가 되기 이전의 과정입니다. 열악하기때문에

PD가 될때까지 버티며 PD는 스펙이 중요합니다.

언론고시까지 패스해야하고 AD나 FD과정도 거쳐야

합니다. 메인PD는 30대에만 맡아도 빠른 편입니다.

PD는 작가와는 다르게 방송국 정규직인 셈입니다.

따로 실기는 없기때문에 고교에서는 전교권 성적을

꾸준히 유지하면 됩니다. 정시에서도 주요대학기준

1.3 전후에는 들어야합니다.

PD나 방송기술은 남성위주로 이뤄져있고 작가계열은

여성위주로 이뤄져있습니다. 피디는 비실기에 성적을

보는학과입니다. 작가는 실기전형이라 성적이 낮아도

커버가됩니다.

방송작가 중에서도 구성작가는 막내일경우 잡일과

스케쥴관리 등을 많이합니다. 구성작가는 라디오,

예능, 엔터 등 프로그램에서 일합니다.

섭외, 자료조사, 자막제작이 주업무입니다. 프리뷰도

만들지만 각종 잡일을 오래합니다. ​막내, 서브,

메인의 과정에 촬영-편집도 일부 관여합니다.

드라마는 글실력,스펙,공모전 당선경력이 중요합니다.

구성작가를 하다가 기약이없어서 드라마 작가쪽으로

넘어오는 경우가많습니다.

https://cafe.naver.com/lordby/21215

방송구성-방송드라마작가 (필수서적)

https://cafe.naver.com/lordby/59694

공모전·백일장 특기자전형 (1년일정달력)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방송작가-문예창작과 실기 (기출·후기·합격작해설)

△ 방송작가-드라마작가

【방송작가-드라마작가 관련주요대학】

문창과 (서울예대, 중앙대, 동국대)

극작과 (한예종, 서울예대)

영화과 (중앙대, 한예종, 한양대)

신방과 (인서울 주요대학)

국문과 (SKY, 이화여대, 경희대)

방송작가는 프리랜서입니다. 드라마 건당 방송사나

외주제작사와 계약해서 진행합니다. 지상파 정규직

작가는 없습니다.

CJ나 스튜디오드래곤 같은 외주제작사 등에서는

스타작가 몇몇을 채용하기도합니다. 공모전

당선경력이 곧 자격증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작가는 프리랜서이지만 실질적으로 글을 창작하는

문예창작과가 방송-드라마작가와 가장 가깝습니다.​

문창과는 서울예대, 중앙대, 동국대 세 곳 인지도가

높습니다. 실기학과라 등급컷이 높지는 않습니다.

▲ 서울예대 문창과-극작과

(실기전형)

비실기전형에 비해 거의 세 등급 낮게 형성되는데

수학도 미반영입니다. 실기가 성적을 커버합니다.

서울예대 문창과는 국내 탑임에도 불구하고 실기

90%여서 8등급대 합격자가 나옵니다. 완전한

실기학과인겁니다.

△ 김은숙 <미스터 선샤인>

서울예대 문창과 출신인 미스터선샤인 김은숙

작가와 교수로 있는 맨부커상 수상자 한강 교수

영향으로 경쟁률이 50:1은 항상 유지됩니다.

과거부터 중앙대 문창과/SKY국문와 함께 신춘문예,

문학상, 공모전 등에서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 동국대 문예창작과 실기전형

(합격자등급컷)

예를 들어 동국대가 문창과 중에서는 입결이 가장

높은데 비실기 수능은 1.7 이고, 실기전형은

최저 6.0에서 합격자가 나옵니다.

글을 잘 쓰는 수험생을 선발하려는 취지때문에

그렇습니다. 물론 성적도 좋으면 당연히

유리하겠지만 실기가 핵심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실기시험이 두 등급 이상 성적을

커버하는 겁니다. 다만 경쟁률은 50:1 전후까지

치솟으니 철저하게 실기를 대비해야합니다.

▲ 동국대 문예창작과 실기

▲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실기

http://cafe.naver.com/lordby/26220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cafe.naver.com/lordby/26659

동국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cafe.naver.com/lordby/26855

중앙대 문예창작과 합격작해설

https://cafe.naver.com/lordby/45308

​서울예대 극작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78141

동국대 문창과 합격후기

https://cafe.naver.com/lordby/42509

중앙대 문창과 합격후기

실기는 대학마다 공통으로 산문(수필,콩트)이나

운문(시)중에 택1해서 a4용지1~2장 분량을

써내는 방식입니다. 문장력, 표현력, 상상력을

통해 평가합니다.

출제의도는 극적구성, 장면구성, 캐릭터구축,

플롯, 풍자 등이 목적이니 준비를 해야합니다.

배경을 설정해서 묘사해주면 더 좋습니다.

『기승전결』

기승전결을 갖추고 인과(因果)에 의해서 플롯이

형성되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하고, 알레고리를

담아내면 가산점이 들어가는 셈입니다.

주제, 줄거리, 인물, 집필의도가 드러나는 형태와

안타고니스트-프로타고니스트에 대한 설정방식이

있습니다. 대학별 입시패턴대로 설정하면 됩니다.

▲ 극작과-문창과

(주요대학)

문창과는 실기가 있는대신에 등급 컷도 일반학과에

비해 낮게 형성되며, 수학미반영하는 곳이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등급이 낮아도 동국대, 중앙대, 단국대,

서울예대 문창과 등을 지원자기준 중상위권으로

지원가능합니다.

△ 영상특기자 인정대회 목록

https://cafe.naver.com/lordby/23506

△ 문학특기자 인정대회 목록

https://cafe.naver.com/lordby/18277

​전국규모의 백일장에서 3위 이내에 입상하거나

메이저 공모전에서 당선되어도 특기자전형으로

문창과나 영화과 등에 지원가능합니다. 실기를

안보고도 입학을 하게되는 겁니다.

결국 스토리구성을 하는 학과들에서는 드라마

공모전, 소설공모전, 시나리오공모전 등으로도

입학이 가능한 셈입니다.

△ 문학사상 공모전

https://cafe.naver.com/lordby/87319

△ MBC C&I 드라마 극본공모

https://cafe.naver.com/lordby/87320

https://cafe.naver.com/lordby/59694

공모전·백일장 특기자대회 (1년일정달력)

【드라마-방송작가 관련학과 및 주요대학】

문창과 (서울예대, 중앙대, 동국대)

극작과 (한예종, 서울예대)

신방과 (인서울 주요대학)

국문과 (SKY, 이화여대, 경희대)

대학에 들어간 이후에는 꾸준히 공모전에 참여하면

됩니다. 위의 주요대학 출신들이 싹쓸이한다고 보면

됩니다.

문창과-극작과는 실기비율이 절대적이라 등급컷도

높지가 않습니다. 실기에 달려있다고보면 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실기대비 잘 하면 좋은결과

있으실거예요

방송작가-드라마작가학과 입시정보를 포함,

문창과-극작과 대학별 역대 실기 기출문제와

합격작 풀이해설은 출처주소에 정리해뒀으니

필요하면 난이도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lordby/53139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작가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서울호서예전의 방송영화제작계열인 웹드라마,영화시나리오 작가 과정을 알려드릴게요.

서울호서예전에서는 현장중심적인 작법 교육을 실시하여 작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작법의 기본부터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 또는 오랜 감동과 여훈을 남길 수 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스토리텔링, 창작하기까지의 과정과 노하우 등 집중적으로 지도를 하고 있습니다.

작업 중의 갈등 조절로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직접적인 디테일한 부분까지 경험하면서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답니다.

졸업 후 진로로는 공중파 예능 작가나, 다수의 케이블, 기획사, 출판 잡지사, 문화예술관련회사, 국제영화제 사무국, 문화벤처 창업 등 다양한 직업으로 폭넓은 선택을 하실 수 있으니 잘 비교해보시고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서울호서예전의 방송영화제작계열 장점♥

-현장중심적인 드라마 작법 교육 실시

-현장전문가 출신의 교수 1:1 맞춤 포트폴리오 제작

-4년제 대학 편입을 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명대, 호서대, 예원예술대, 청강문화산업대 등 편입

웹드라마, 영화시나리오 작가 자세히 보기

https://www.koreaart.ac.kr/faculty/video/webDrama.asp

방송 피디,작가 되는법

방송촬영을 할때 앞에서 피디님들 스태프분들 등 여러사람이 많던데 방송쪽에서 피디작가는 무슨일을 하시나요..? 전공과 공부 업무기술자격증 이런것들이 궁금합니다...

방송피디 되는법

중2 학생입니다 제 꿈은 방송피디인데 무엇을 준비해야 되나요? 따면 좋은 자격증 알려주세요! 그리고 대학은 어디를 진학하는게 좋나요? 고등학교는 일반고를 가면 되너요?...

방송피디 되는법

... 꿈입니다 피디가 되려면 꼭 대학을 가야하나요? 피디 되는 법 좀 알려주세요 대학을 신문방송학과,언론정보학 계통으로 진학하고 졸업해서 방송피디모집광고에 지원 하세요

방송작가피디 되는 법

1.방송국에 입사하려면 전공이 무슨 과든 상관없이 고학력이면 무조건 되나요? 2.... 작가의 꿈과 피디의 꿈이 있다고 한다면 우선 둘중 하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입사 경로가...

피디 되는법

... 피디상태로 가능상태는 되게됩니다. 세부상태로 전공상태도 있어집니다. 그리고 방송상태로서 유사하게됩니다. 실무등으로서 익히게되면 되어집니다. 이론상태로서...

방송작가피디

방송작가피디 피디는 컴퓨터로 편집이나, 자막넣기 그런 걸 하잖아요. 그러면 작가는... 걱정되는 학생들을 위해 취업추천지원을 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예술원에서 매달...

피디되는법

안녕하세요 반수생20살인데요 입시제대로 말아먹었어요 방송작가되고싶은데 피디도 되고싶은데 피디는 어떻게되나요 공채말고 그냥 ott플랫폼이라도 좋아요 방송작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