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즈 2와 심즈 3에 관한 총체적 질문.

심즈 2와 심즈 3에 관한 총체적 질문.

작성일 2009.02.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오프라인 매장에서 조립 컴퓨터를 사려고 합니다.

이미 다른 pc 두 대가 있어요. (사양 평범, 따라서 심즈2 간신히 됨)

따라서 오로지 심즈를 플레이 하기 위한 컴퓨터를 살 예정인데요.

아직 심즈 3에 대한 사양이 정확히 공시되지 않아서, 여쭙기 곤란한 질문인 것 같기도 하지만.

 

1.

우선 심즈 2를 확장팩을 거의 전부 다 깔고서도 거의 렉 없이, 거의 최상에 가까운 퀄리티로 플레이 하려면.

대체 어느 정도의 사양의 컴퓨터가 최적일까요.

제가 컴퓨터에 관해 잘 알지 못하다 보니까 몇 가지 핵심적인 사양과 관련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를 테면 오프라인 매장에 갔을 때 '오 이거 멍청한 게 벗겨 먹기 딱 좋겠네!' 생각하지 않을 수 있도록,

그러니까 '나 좀 컴퓨터 아는 여자다. 그건 아니더라도 적어도 이 정도는 안다.' 생각할 수 있도록,

한 두 마디 요청 사항을 뭘 좀 아는 듯 말하려면 그 매장 점원에게 뭐라고 하면 될까요.

대충 찾아보니 cpu와 그래픽, 램, 용량이 절대적 요인을 차지하는 것 같은데,

그건 어느 정도면 무리 없이 플레이 할 수 있나요?

 

참, 잊어서 다시 수정합니다.

조립 컴퓨터로 상정했을 때, 사양을 맞추면 대략 얼마 정도면 가능한가요?

 

2.

아직 나오지 않은 사양이지만, 심즈 3의 예상 사양은 어느 정도 인가요?

대충 이 정도일 것 같다도 환영입니다.

이번에 사는 것으로 심즈 3까지 소화할 예정이기 때문에요.

 

적지만 내공 25 드립니다.

컴퓨터 잘 아시는 분들의 소중한 답변 기다릴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8자 쓰고 옆으로 눕히세요.(=무한)

 

네, 농담입니다. 하지만 그도 그럴것이 그렇게 말해주고 싶은 게임이 심즈2입니다

 

보통 '게임이 잘 돌아가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하면 기준은 제각각이지만, 옵션등을 제외하고 어느정도의 프레임을 균등하게 유지하면 잘 돌아간다고 여길수 있습니다

 

보통 DVD로 나온 영화가 23프레임 정도,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영상 인코딩이 약 30프레임 정도이므로 최저 20프레임을 유지해야 사람 눈에는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 TV애니메이션의 경우 옷이 계속 움직이거나 하면 약간 끊기는듯하게 보이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제작비 절감을 위해 프레임을 더 낮게 잡습니다. 따라서 역동적인 화면에 있어서는 그 속도감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죠.)

 

한국에서 '하드웨어 지식의 최상위층'이 모인다는 파코즈에 따르면 'Q6700+DDR3 2GB+8800Ultra'로도 심즈2는 플레이 도중에 버벅인다(...)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사실 심즈2는 사양을 높이 먹는 그래픽옵션은 하나도 쓰지 않건만 이모양 이꼴입니다

 

물론 이러면 '심즈2 풀옵이 무슨 고사양'이라고 하실 분들도 계실텐데... 딱 까고 말해봅시다

 

1) 집크기가 매일같이 아담한건 아니죠

2) 펫츠깔면 애완동물 추가됩니다. 각 동물마다 수치연산에 그래픽연산 추가

3) 사계절 이야기=지옥의 사양증가. 계절변화=지옥

4) 심즈2하면서 유저아이템 안쓰시는분 없습니다=로딩증가

5) 저해상도에 낮은 옵션 하고싶으실리 없잖아요.

6) 자, 마무리로 NPC와 오브젝트의 향연 공공장소/여행지

 

할말 다한겁니다. 심즈2가 프레임을 그렇게 많이 안타는 게임이라는데에 감사해야할정도고

 

왠만한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도 심즈2는 꽤 유명한 놈입니다. 다른 게임들 부드럽게 돌아간다는 컴퓨터로도 심즈2는 비교해보면 상당히 눈물나는 상황이니까요;;

 

고로 (무슨 짓을 해도 단 한번도)버벅이기 싫다면야...

 

1) 심즈2 오리지날에 기본 아이템만 씁니다

2) 돈을 무한정 발라봅니다

3) 몇년 더 기다립니다(농담이기는 한데 거의 진담입니다.ㅡㅡ)

 

라는 세가지 선택지가 있는데 말이 안됩니다

 

고로 몇년동안 왠만한 게임을 충분히 돌릴만한 컴퓨터를 구축하고, 어느정도의 버벅임은 인내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CPU]

심즈2는 CPU의 부하가 매우 높은데 이는 각 심들의 행동및 수치에 관한 연산은 모조리 CPU가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당연한 이야기로 지나가는 NPC등도 연산하고, 심 이외에 연산해야할 거리는 전부 CPU가 맡습니다. 고로 고성능의 CPU가 필수입니다

 

E7400(오버클러킹을 할거라면), E8400(오버고 뭐고 그냥 쓰기만 할거라면)정도의 제품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이번에 네할렘 계열이 추가되기는 했지만, 무한한 환율 앞에 그 가격은 하늘을 찌르고 있습니다.

 

사실 E8400도 환율앞에서 난감할 정도로 가격이 올라간 제품으로, E7400정도에 만족하는 것이 안정적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번 환율 지옥이 생기기 전까지 게임용 컴퓨터에는 흔히 E8400을 올리고는 햇었죠. 나온지 꽤 된 제품이지만 그만큼 인기가 좋았습니다

 

쿼드코어는... 글쎄요... 심즈3가 쿼드코어를 지원해 준다면 쌍수들고 권해드리고 싶은데 관련된 정보가 없습니다. 사실 지원한다면야 권장사양에 '쿼드코어'를 넣어준다 싶은데 권장사양은 난데없이 듀얼코어 급이고...

 

확실히 지원하는 게임도 많지 않으니 쿼드코어를 택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RAM]

DDR2로 3GB넣어주면 충분합니다

 

사실 왠만한 메인보드들은 4GB까지는 널럴하게 지원합니다. 하지만 대기업 제품의 카탈로그를 보면 4GB가 아니라 3GB를 설치해 주는데 이는 운영체제 때문입니다

 

4GB의 램을 설치한 컴퓨터에 가장 대중적인 윈도우 XP 32비트를 설치해보면 램 용량은 어이없게도 3.25gb정도만 잡힙니다. 소비자가 속은거라고요? 아닙니다.

 

32비트 운영체제에서의 램 인식 한계가 그정도인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그냥 3GB를 달아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도 평이하게 3GB로 넣어줍시다. 64비트 운영체제로 깔면(XP 64비트 버전/비스타 64비트 버전) 다 인식하기야 하지만 아직은 쓸일이 없다고 봅니다

 

 

[HDD]

쥬니버 에 가보면 모든 컴퓨터의 사양을 '용량'이라고 표현하고. 이런분들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이 사양확인을 해달라면서 하드디스크 용량만 올리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하드디스크의 용량은 사양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사양과 연관있는 수치가 있기는 합니다

 

rpm과 하드디스크 버퍼가 그것이죠

 

rpm은 말 그대로 하드디스크의 회전속도로 빠를수록 정보를 읽는 속도가 빠릅니다. 현재 15000rpm이라는 무자비한 속도의 하드디스크가 판매되고 있지만 이건 정말 필요한 사람들이나 쓰는 초 고가의 물건이고 10000rpm짜리도 아직은 시기상조. 7200rpm제품이 일반인으로서 택할만한 빠른 녀석들입니다

 

버퍼의 경우 하드디스크의 느린 속도를 커버하기 위해 있는 공간입니다. 사실 대용량 파일의 읽기에서는 그렇게 큰 힘을 못쓴다고는 하지만, 너무 버퍼용량이 작은것은 좀 거시기한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구매할때는 버퍼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철저하게 따지는 경우는 상위권 소비자들에 한하니까요

 

용량과 rpm이 관건으로 7200rpm급 하드디스크에 적당한 용량의 제품을 구매하시면됩니다

 

현재 심즈3의 경우 본편의 설치에만 6.5GB정도의 용량(여기에 1GB정도는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합니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확장팩이 나오기 시작한다면 설치 용량은 상당해 지겠죠

 

못해도 250GB는 넘는 제품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하드디스크는 가격대비 용량이 얼마나 큰가를 계산하면 가장 경제적인 녀석이 나오기는 하지만... 한 500GB정도 구비해버리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싶습니다

(500/640GB제품도 요즘은 충분히 노려볼만 합니다)

 

딱히 아이템 다운로드나 심즈이외에 뭐 다운받고 그럴게 없다면 250GB나 320GB로도 소위 떡을 칠것 같지만... 이건 질문자분이 영화나 음악 다운로드등을 얼마나하고 그런것등에도 기인하므로 적정선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하드디스크의 경우 파티션을 두개로 나눠 운영체제및 일반 프로그램의 설치 공간과 지워져서는 안될 자료의 저장공간(영화등)으로 구분해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파티션이라는 것은 하드디스크의 분할된 공간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물건 정리용의 상자 안에 임의의 칸막이를 설치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상자지만, 내부적으로는 여러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개념입니다

 

보통은 2개로 나누어 C에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머지 용량을 저장용으로 사용합니다

 

얼마대 얼마로 나누어야 하냐는... 사용자 마다 다르지만 심즈3를 감안하면 C드라이브의 용량을 만만치 않게 두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래픽카드]

...

 

솔직히 말해서 뭘 권해드려야 하나 싶습니다

 

심즈2를 커버하면서 심즈3까지라. 심즈3도 그간의 심즈 시리즈를 봐서는 좀 각오해야할것 같기는 한데 나오지도 않은 게임에 적합한 그래픽카드를 이거다 라고 찝어주기는 그러니...-_-;;

 

일반인이 구매할만한 고급 그래픽카드로 선택해 보겠습니다

 

약 25만원대의 라데온 HD4850은 멋진 제품입니다. 25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은 '헉'소리 나게만들지만 그만큼 성능은 좋습니다(HD4870이라도 권했다가는 눈뒤집어집니다. 이미 일반인의 선택지를 넘어서 버리죠.ㅡㅡ;;)

 

라데온 4천번대의 다른 기종인 라데온 HD4830도 있습니다. 적당한 가격에 9800GT를 능가하는 속도... ATi(라데온 제조사)가 4천번대에 들어서는 엔비디아(지포스 제조사)를 계속 압도하는게. 지포스를 믿고 나가는건 뭐, 이제 끝났다고 봐야죠. 환율크리를 제대로 맞은 탓에 그렇게 즐겁게 구매할만한 녀석은 아니지만 말이죠.

(HD4850이 환율문제 터지기 전에 18만원정도였습니다... 즉 지금 HD4830노릴 돈이면 HD4850이 구매 가능했다는거죠... 여담이지만 중고도 괜찮다 싶으시면 HD4850의 중고가와 HD4850의 신품가를 비교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가격 차이가 별로 안난다고 하네요...;;)

 

조금 가격을 낮춰보면 15만원선의 9600GT도 있습니다. 8800GT(=9800GT)에 좀 못미치는 성능이지만 대체로 만족할만한 물건이라 봅니다. 라데온의 제품에서는 HD3870이 대결대상이라고 하나 현재로서는 HD3850와 비교되고 있는 형편입니다

 

정 그래픽카드에 돈을 쓰기 힘들다면 라데온 HD3850을 권해드립니다. 9600GT보다 싸고, 현재 막차인 8600GT보다는 1.5배 정도의 빠른 제품입니다. 고 해상도에서서 안티얼라이어싱(가장자리의 계단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기능)시 프레임 하락이 심각하다고는 하나 가격대비 성능비는 괜찮은 친구입니다

 

개인적으로는 9600GT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본심은 HD4830정도지만... 9600GT정도에서 타협해도 나쁘지 않을거라봅니다)

 

 

그외의 부분은 필요한 만큼 넣으시면 됩니다. 케이스는 통풍이 잘되면서 마음에 잘 드시는 녀석으로 하시고, DVD드라이브야 3만원이면 넣고도 남습니다. 여기에 신뢰할 수 잇는 메이커의 파워서플라이를 그래픽카드에 맞춰 올리시면 본체의 사양 세팅은 이것으로 끝입니다

 

메인보드는 저도 정보가 없는지라... 패스해야겠네요. 죄송합니다

 

 

 

가격은 본체만 80만원정도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80만원은 E8400+4GB DDR2 RAM(2GB램 2장사용)+라데온 HD4830구성시의 견적으로 운영체제는 포함되지 않은 가격입니다

 

90만원 정도면 요즘나온 게임들을 널럴히 돌릴 수 있을정도의 본체가 나오며 여기에 모니터등을 합하면 120만원 정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요즘 부품관련 정보를 수집하지 않다보니 실제 가격차이는 꽤 나올수도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는 검색해보시면 명기라 불리는 제품들이 몇개 있습니다. 가격이 꽤 비싸보이지만 저가 파워서플라이=시한폭탄 이므로 어느정도는 돈을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매전 해당 달에 나온 PC잡지를 들춰보세요. 사실 PC잡지래봐야 PC사랑, PC라인 이 두권정도입니다.

 

별 부담없이 슬슬 넘기다보면 쓸만한 정보가 걸리기 마련입니다. 솔직히 게임용 PC라면 지난달 PC사랑에서 '특집'으로 다뤄준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서점에 남아있지 않다는게 문제네요.

 

다행히도 PC사랑의 사이트에서 과월호를 팔고 있습니다. 받아보시면 '이게 진짜 8500원이야?' 싶을정도로 얇은편이지만 게임용 PC에 관한 기사가 자세히 나온지라 그 8500원이 절대 아깝지 않으실겁니다.

http://www.ilovepc.co.kr/shop/item.php?it_id=1230255163

 

자고로, 모르고 가서 사양 엉터리로 맞추면 지옥이죠. 저도 한번 당했고, 그 뒤로는 눈에 불을 켜고 사양확인해서 컴퓨터 사러갑니다. 자고로 iT제품이라는 것은 소비자가 아는만큼 덤터기를 안당합니다. 물론 모든 업체가 소비자에게 덤터기 씌우려고 하는건 아니지만 아무것도 모른채 이상한 사양의 PC를 사는것 보다야 백배 낫죠. 자기에게 맞는 PC는 자신만이 알 수 있는 법이니까요

 

등지에는 벌써부터 심즈3까페가 생기고 사양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가 오가고 있고 그 중에는 정리가 잘된 게시물도 존재하지 참고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단, 심즈2의 전례(확장팩및 유저제작아이템으로 인한 사양의 전체적인 증가)는 항상 염두에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http://sylph.net/16

->HD4830의 리뷰

http://blog.naver.com/jwk1511/20061672169

->적절한 설명이 곁들여진 CPU선택 조언. 다른 부분도 지속적으로 올리신다니 조금 기다려서 다 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싶습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express_qna3&no=305186&keyword=심즈&sn=off&ss=off&sc=on

->심즈2에 대한 파코즌들의 이야기... 댓글에 주목해주세요. 파코즈에서 고사양이라고 하는 게임은 진짜 고사양입니다.ㅡㅡ;;

http://betagam.gameshot.net/zboard/zboard.php?id=sims

->베타겜내 심즈2 게시판 '사양'으로 검색해보세요.

 

그외 쓰고나서 창을 닫아버려 출처가 유실된 여러 사이트들이 있었습니다.ㅡㅡ;;

 

 

 

 

 

2. EA가 공식적으로 공개한 심즈3의 최소사양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http://thesims3.ea.com/view/pages/home.jsp

 

[윈도우 XP기준]

펜티엄4 2.0GHz급의 CPU

1GB의 램

최소 6.5GB의 하드디스크 여유공간에 유저 제작 컨텐츠를 위한 1GB의 용량이 추가적으로 필요

픽셀 쉐이더2.0를 지원하는 128MB의 비디오 메모리가 있는 그래픽카드

 

[윈도우 비스타 기준]

 펜티엄4 240GHz급의 CPU

1.5GB의 램

최소 6.5GB의 하드디스크 여유공간에 유저 제작 컨텐츠를 위한 1GB의 용량이 추가적으로 필요

픽셀 쉐이더2.0를 지원하는 128MB의 비디오 메모리가 있는 그래픽카드

 

[내장형 그래픽카드 사용 PC기준]

인텔 GMA X3000동급이상의 내장형 그래픽카드

2.6GHz의 펜티엄 D CPU나 1.8GHz의 코어2듀오 CPU 혹은 이와 동급의 제품

0.5GB의 램이 추가로 필요

 

지원하는 그래픽카드는

(옵션 무관. 당장에 지원되는 제품 전부. 될것같지만 빠진 제품도 존재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포스 계열]

FX 5900, FX 5950
6200, 6500, 6600, 6800,
7200, 7300, 7600, 7800, 7900, 7950
8400, 8500, 8600, 8800
9600, 9800, GTX 260, GTX 280

 

[라데온 계열]

9500, 9600, 9800
X300, X600, X700, X800, X850
X1300, X1600, X1800, X1900, X1950
2400, 2600, 2900
3450, 3650, 3850, 3870,
4850, 4870

 

[인텔 내장형]

GMA X3x00 series

 

 

이후 이 사양에서 그래픽카드를 특정 제품으로 언급한 사양이 공개되었습니다

 

'지포스 FX5900이나 라데온 9500제품 혹은 그 이상'

 

이라는 대목이 사양에 추가되었고 그 이외의 부분은 동일하게 기재 되어 있었습니다

 

단순히 목록에 있는 가장 낮은 그래픽카드의 이름을 적어준것 일뿐 큰 차이는 없습니다

 

결국 권장사양은 감으로 때려 잡으라는 소리인데...(무슨생각이냐 맥시스ㅡㅡ;;)

 

어느정도 플레이를 하자면...

 

 

중급 이상의 코어2듀오(쿼드코어 지원여부 불명. 지원하는것으로 알려지면 쿼드코어 권장)

2GB이상의 램(DDR2)

지포스 8600GT이상(추정으로. 실제 게임이 나와봐야 확인 가능합니다)

 

 

정도는 구비하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심즈 2와 심즈 3에 관한 총체적 질문.

... 곤란한 질문인 것 같기도 하지만. 1. 우선 심즈 2를... 1) 심즈2 오리지날에 기본 아이템만 씁니다 2) 돈을 무한정 발라봅니다 3) 몇년 더 기다립니다(농담이기는...

심즈2와 3에 관한 질문입니다^^

... (심즈2와 3) 질문1. 심즈2와 3 중 어떤게 더 재미있나요? 일딴 심즈1을 하시다 2나 3로... 일딴 마음을 먹으셨다면 정석데로 2!부터 하시고 나중에 지겨워지면 3를 해보세요!!...

심즈2관한질문이요!

심즈2관한 질문좀 할께요^_^ 심즈2 별로 한지 안되서..... 2. 번개라는 것도 있는 것같은데.. 번개가 머.. 3개다 2개다 이런식으루요 이것도 설명 좀 해주세요 3. 대학교는...

심즈2관한 질문이예요!!

... 2.심들이 죽잖아요. 죽고 난후, 다시 게임 할수잇는거죠? 3.심즈2 , 심즈1보다 어떤점들이 좋은지좀 가르켜주세요+.+ 성실하게 답변해주세요.. 그리고 제가 묻는 질문에...

심즈2관한 질문~ (내공必)

... 저 새해선물로 심즈 2 오리지날만 받을려구요.. 근데요.. 심즈 2에 궁금한점이 딱 4가지 잇어요... 질문 알차게 해주시는거 아시죠? >_< 광고, 허위 답변등은 신고할게용!...

심즈2관한 질문인데요 ..

... 2. 그, 아이템을 저 저장경로에 넣으면 모든 오리지날버전과 확장팩에 똑같은 아이템이 적용되나요 ? 3. 심즈2 실행질문인데요. 예를 들어 펫츠를 실행하면 펫츠버전만...

심즈2관한 질문 몇가지입니다.

... <심즈2질문> 1. 심즈2에서 화장과 요리, 그리고 가구들은... 2. 심즈2에서 치트키 boolprop testingcheatsEnabled true를 치면, 계속 애러가 나네요. 3. 옷을 만드는 방법도 최대한...

심즈2관한 질문이요~!

... 없더라구요ㅠㅁㅠ 질문하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ㅁ^ 1.심즈2 확장팩?!으로 오리지날이 없어도 게임을 할수있나요?! 2.신촌 현대 백화점 에서도 팔까요? 3....

심즈2관한 질문 여러개 !

... 몇개 질문좀 할께요 1)스킨 옷도 다운받고 귀걸이를 막... 3) 네이버에 심즈2를 치면 많은 카페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앞에서 1,2,3번의 카페에서 하우스 뿐만 아니라 많은...

심즈2관한 질문좀 할게요!(내공있음!!)

... 2. 이것저것 다운받았을떄 실행하면.. 심즈가 안되는데 왜그런가요?? 3. 집 다운받으면 심즈에서 어떻게 실행하나요?? 이 세가지 질문좀 할게요ㅜㅜ 답좀해주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