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고사성어 질문

삼국지 고사성어 질문

작성일 2024.03.0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신하가 왕에게 먹던 과일이 너무 맛있어 대접하고
그 왕은 그것에 충심이 지극하다며 감동 했다가
나중에 미운털이 박히고서 넌 나에게 먹던 과일을
줬지 라고하며 뭐라고 하는 고사성어가 있었던거같은데
알려주세여


#삼국지 고사성어 #삼국지 고사성어 계륵 #남자 삼국지 고사성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도지죄(餘桃之罪)

여도담군(餘桃啗君)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인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좋게 보여 사랑 받던 것이 나중에는 도리어 화근이 됨을 이르는 말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도담군(餘桃啗君)

=여도지죄

남을 여, 복숭아 도, 먹일 담, 임금 군

삼국지하고는 아무 상관없고 춘추시대의 인물인 미자하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삼국지 고사성어 질문

... 군 삼국지하고는 아무 상관없고 춘추시대의 인물인 미자하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삼국지 고사성어 질문

유비는 이런 곳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뜻에 고사성어? 뭐가 있었나요? 두가지가 떠오르네요. 하나는 군계일학(群鷄一鶴)이라는 고사성어입니다. 원래 뜻은 '닭의 무리 속에 있는...

삼국지 고사성어 관련질문

... 대개 위처럼 표현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정사(正史)인 《삼국지(三國志)》卷一 <위서(魏書)>의 <무제기(武帝紀)>의 주(注)에 실린 표현은 바로 "寧我負人, 毋人負我(영아부인...

고사성어삼국지에 대해서 질문좀요

고사성어''사제갈 능주 생중달'' 이 주는 교훈이 뭔지 좀 알려주세요... 삼국지에서요, 제갈량이 언제 죽냐요?? 큰사건을 중심으로해서 그사건의 뒤다, 전이다 이렇게...

고사성어 질문

예전 삼국지에서, 조조가 말했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책가가 지는것도 태반인데 장수 한명이 졌다고 좌절감을 느끼면 안된다 이런 뉘앙였던것 같은데 기억이 잘 안나서요.....

삼국지관한 고사성어좀 알려주세요

... 4자성어는 무엇일까요?내공70 두가지가 적용될 것 같은데 아마 장계취계가 더 적절할... 것이라는 비유가 될 수도 있겠죠. 그래도 질문자의 질문에 더 맞는 것은 장계취계입니다.

고사성어에 대해서 질문하겠습니다....

제가요 학교 방학숙제로 삼국지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를 1개 골라서 4~6컷 이상의 만화로 표현하는건데요. 본론으로 들어가자면요 고사성어가요 거의다 4글 자잖아요? 가끔...

고사성어 관련일화좀 부탁드립니다..

삼국지에 관한고사성어입니다.. 간뇌도지,강노지말,개문읍도,거재두량,괄목상대... 이건 질문하고는 관련없는얘기..^^;; +++++++++++++++++++++++++ [간뇌도지(肝腦塗地)] 肝: 간 간 腦: 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