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 단어를 알려주세요

롤 단어를 알려주세요

작성일 2014.08.28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롤을 하는 학생입니다.제가 롤을 하는데 이제 일반을 가거든요.그래서 미리단어를 알고 싶은데요.
롤에서 사용되는 줄인말과 그뜻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을25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1:1 질문하기 및 의견에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 목차

 

1. 게임 로비창의 기본 용어

 

2. 일반게임에서의 픽창 용어

 

3. 랭크게임에서의 용어

 

4. 게임 중의 용어

 

- 게임의 기본 용어

 

- 게임에서의 싸움유발(?) 용어

 

- 게임 아이템 용어[영어부분 만]

 

 

 

 

 

 

- 게임로비창의 기본 용어

 

친창 : 친구목록창의 줄임말입니다. 그룹을 추가하셔서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서 관리하실수도 있으시며

친구추가 또는 제거,차단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채팅방 : 채팅방 공개채팅 방이 있으며  다양한 주제들로 분로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자신이 직접 개설하여 친구분이나 지인분들과 대화 하실수도 있습니다.

 


 

 

 

소환사 정보창 : 소환사 정보창은 자신의 게임정보가 모두 들어있는 곳입니다.

이곳에는 최근 10게임의 게임 기록을 참고하실수 있습니다. 또한 룬과 특성을 설정하실수 있으시며 자신이 보유한 챔피언을 살펴보실수도 있습니다. 또한 랭크 시스템의 LP(League Point)와 자신의 현재 랭크등급인 티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일반게임에서의 픽창 용어

 

픽 : Pick 이라는 단어 입니다. 고르다.선택하다 라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픽창 : 다음 사진의 획이 들어가있는 부분을 픽창이라고 합니다

 


 

 

 

1.2.~5픽 : 각 순서대로 있는 픽순을 가리킵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선픽 : 앞선(先)와 픽 창이 합쳐진 단어 입니다. 자신보다 먼저 픽을 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인기있는 라인인 미드라인을 가기위해 많은 경쟁이 일어날때 나오는 용어입니다.

 

후픽 : 뒤후(後)와 픽창이 합쳐진 단어 입니다. 선픽과 반대개념으로 자신인 지칭하는 상대방보다 늦었다는 뜻입니다.

 

꼴픽 : 꼴지 라는 단어와 픽이 합쳐진 단어로 가장 마지막에 픽을 하신 유저분을 가리킵니다.

 

 

 

- 랭크게임의 밴픽창 용어 

 

랭크게임 설명 : 랭크게임은 30레벨 이후 유저분들이 실력을 겨루기위해서 만들어진 게임 시스템으로

브론즈 부터 챌린저 까지 그 등급이 나뉘어 지며, 각 등급은 5단계로 나뉘게 되어 '티어' 라고 부르게됩니다.

 

ex: 브론즈5티어,브론즈4티어 ....브론즈1티어,실버5티어,실버4티어.....,실버1티어,골드 5티어

 

각 티어에는 고유한 LP 와 MMR이 있으며 LP가 100점에 도달하게 되며 승급전을 치루게 됩니다.

승급전을 통과하시게 되며 다음 티어로 승급하실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랭크게임은 최대 2명이 같이하실수 있으며, 5명이 같이할수있는 팀랭크가 존재합니다.

 

 

LP : League Point 의 약자로 게임 승리시 획득할수있는 포인트 이며 패배시에는 하락하게 됩니다.

 

 

MMR : Match Making Rating 의 약자입니다. 본래 뜻을 풀이하면 레이팅에 맞추어서 게임을 잡아주는 알고리즘 시스템 입니다.

 

하지만 현재 리그오브레전드 안에서는 MMR을 일종의 게임실력의 기준점으로 잡고있습니다.

 

MMR 게임 데이터베이스 안에 고유하게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눈으로 직접확인할수는 없습니다.

 

각 티어별로 정해져있는 MMR의 고유한 수치구간이 존재하며, 각 티어에 정해져있는 수치보다 높다면 우리는 MMR이 무척높고 실력이 좋다고 판정하며 반면 낮다면 실력이 좋지 않다고 하며 대리게임을 받았다는 우려를 받을수도 있습니다.

 

MMR은 LP의 상승과 하락과도 관계가 깊은데 이들은 상대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현재 티어에서 기준점보다 MMR이 높다면 그만큼 난이도가 높은 게임이 잡히기 때문에(자신보다 티어가 높은 분들과 게임이 잡힘) 그만큼 많은 LP를 획득하실수 있으시며 패배시에는 적은 LP가 하락하게 됩니다.

 

반면에 MMR이 낮다면 그만큼 난이도가 낮은 게임을 잡히게 되기 때문에 승리시에 적은 LP가 올라가게 되고 패배시에 많은 LP가 하락하게 됩니다.

 

무척 상대적인것입니다. 우리는 이 MMR을 흔히 '전적검색사이트' 라는 곳을 통해 대체적인 MMR을 살펴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관리자분들께서 직접 작성하신 알고리즘 시스템을 적용한것이기 때문에 100% 확실하지는 않고 타 사이트마다 차이가 있지만 fow.kr 이 가장 정확한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승급 & 승급전 : LP가 100점에 도달하게 되며 승급전을 치루실수 있습니다.

 

5~2티어 구간은 3전2승제 이며 1티어 구간은 5전 3승을 원칙으로 합니다.

 

 

솔랭 : Solo Rank의 뜻으로, 혼자서 랭크게임을 진행하는것을 의미합니다.

 

 

듀오랭 : Dou Rank의 뜻으로, Dou는 2인,짝 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2명이 같이 랭크게임을 진행하는것을 의미합니다.

 

 

팀랭 : Team Rank Game의 줄임말로 5명의 유저가 한팀이 되어서 랭크게임을 진행하는것입니다.

팀랭의 게임에서의 기록은 개인/2인 랭크와 별도로 관리되며 MMR,LP 관리 역시 별도와 관리가 됩니다

 

 

밴픽 & 밴픽창 : 랭크게임은 일반게임과 달리 밴픽이라는 과정이 존재합니다.

Ban은 금지하다는 뜻으로 해당 챔피언을 픽을 할수 없도록 만드는것입니다. 아군과 적군별로 3명씩의 밴을 할수 있으며 총 6명이 밴이 될수있습니다. 주로 OP(Over Power)라 불리는 챔피언들이 밴이되거나 성가시는 챔피언들이 밴 대상이 됩니다.

 


 

 

 

대리 랭크 : 실력이 좋은 유저들이 낮은 티어의 유저들을 대신해서 대리게임을 하는것을 말합니다. 게임중계 사이트에서 많이 이루어지며 아에 사이트나 까페를 개설해서 하는 곳도 있습니다. 현재 리그오브레전드의 가장 심각한 문제중 하나입니다.

 

심해 : 바다속 깊은곳을 말하는 것으로 아주 낮은 구간의 티어분들인 브론즈~실버 분들을 주로 가리킵니다.

 

실론즈 : 실버와 브론즈를 합쳐놓은 단어입니다. 심해와 같은 뜻입니다.

 

천상계 : 천상 이란 말은 높은 하늘을 가리킵니다. 정말 실력이 뛰어난 유저들이 모인 다이아1티어의 50~60점 이상구간을 가리킵니다. 개인적인 기준으로는 40점 정도 이상만되도 천상계라 불려도 될꺼 같습니다.

 

 

 

 

- 게임 중의 용어

 

* 게임의 기본 용어

 

AD : Attack Damage 란 뜻으로 물리데미지, 즉 공격력을 뜻합니다.

 

 

 

AP : Ability Power 란 뜻으로 마법피해력, 즉 주문력을 뜻합니다.

 

 

 

공속 : 공격속도란 뜻입니다. 여기서는 초당 공격속도를 뜻합니다. 즉, 초당 0.67회 공격합니다.

 

 

 

 

이속 : 이동속도란 뜻입니다. 공격속도 바로 아래칸이 이속입니다.

 

방어력 : AD인 물리데미지에 대한 방어력을 뜻하며 이속바로 아래칸인 수치 35인 부분 입니다.

 

마법저항력 : AP인 스킬데미지에 대한 마법저항력을 뜻하며, 방어력 아래칸인 수치 43인 부분입니다.

 

탑 : Top은 맵 상단을 가리키는 라인으로 아래사진에서 파란색이 가리키는 곳입니다.

 

 

 

 

미드 : Mid는 라인의 가운데로 모든 길목의 중심입니다. 가장 중요한 라인이라 할수있습니다.

노란색 부분이 가리키는 라인입니다.

 

 

 

바텀 : Bottom 으로 가장 아랫부분의 라인입니다. 주로 원딜러와 서포터가 가는곳입니다. 

빨간색 부분이 가리키는 라인입니다.

 

 

CS : Creep Slain 뜻으로 크립학살수, 즉 미니언과 정글몬스터 사냥수를 나타냅니다.

 

 


 

 

 

부쉬 : Bush 라는 단어로 '수풀','덤불'을 가리킵니다. 리그오브레전드의 맵에는 여러 부쉬들이 있으며 이 부쉬는 시야가 차단 됩니다. 이곳을 통해 다양한 전략적인 시도가 이루어 집니다.

 

갱 & 갱킹 : Gank 라는 단어로, 정글러와 라이너가 합세하여 적 라이너를 공격하는것을 말합니다.

 

역갱 : 적 정글러와 라이너에 의해 아군 라이너가 2:1 싸움을 벌이고 있을때 아군 정글러가 개입하여 2:2 싸움을 만들어서 상황을 유리하게 만들거나 또는 킬을 따내는것을 말합니다.

 

파밍 : Farming 라는 단어로 '농사짓다' 라는 뜻입니다. 즉 CS를 챙김으로써 골드를 모아 성장하는것을 말합니다.

 

막타 : CS의 HP가 매우 낮아질때까지 기달렸다가 공격하여 잡아내는것을 뜻합니다.

 

푸쉬 : Push 라는 단어로 '밀다' 라는 뜻입니다. 라인을 밀어내는 것을 뜻합니다. 라인을 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전사미니언 보다는 마법사미니언과 대포미니언을 제거하는것입니다.

 

디나이 : Deny 라는 단어로 '부인하다' 라는 뜻인데, 이게 왜 이런뜻으로 쓰이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디나이는 상대방이 아군의 미니언을 챙기지 못하도록 아군 미니언앞에서 지속적으로 견제하는것을 뜻합니다. 이를 통해 상대방 라이너와 레벨과 골드차이를 벌릴수있고 이를 통해 라인을 압도할수 있습니다.

 

인베이드 :Invade 라는 단어로 '침입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1레벨의 유저5명이 모여서 상대의 첫번째 버프 구역으로 침입하여 급습 킬을 따내어 게임초반의 분위기를 휘어잡는것을 뜻합니다.

 

다이브 :Dive 라는 단어로 '뛰어들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주로 탱커형 챔프들이 적 타워에 맞으면서 HP가 낮은 적 챔피언을 잡으러 들어가는것을 뜻합니다. 하지만, 낮은 레벨일때 무리한 타워에 다이브를 함으로써 흔히 갱승과 트롤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갱승 & 갱승사자 : 아군 정글러가 아군 라이너에 와서 킬을 따내기는 커녕 역갱 등이나 상황에 몰려 오히려 킬을 내주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버프를 적 라이너에게 주며 아군 라이너의 혈압이 급상승하게 되어 트롤로 변신할수 있습니다.

 

버프 : 주로 버프란것은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론버프,블루버프,레드버프 가 있으며 바론,레드,블루 로 줄여 부릅니다.

 

블루 : 블루골렘을 사냥하면 획득할수있는 버프로 마나회복과 재사용대기시간 감소10%의 버프를 부여합니다.

 

레드 : 레드도마뱀을 사냥하면 획득할수 있는 버프로 적 공격시 슬로우(Slow)와 지속적인 화염데미지를 입게 됩니다.

 

바론 & 내셔남작 : 바론을 사냥하게 되면 각 라이너에게 300골드가 지급되며 동시에 바론버프가 지급됩니다.

 

바론버프는 공격력,주문력,체력회복,마나회복의 엄청난 수치를 지급하기 때문에 무척 중요한 요소이며 중후반에 주로 벌이는 싸움장소이기도 합니다.

 

게임에서 다소 밀리고 있어도 이 바론에 대한 정글러의 스틸로 인해 게임이 뒤집어지는 경우가 종종발생합니다. 바론의 리젠 시간은 7분 입니다.

 

[노란색부분이 바론 젠 장소]

 

 

 

용 & 드래곤 : 용은 버프를 지급하지는 않지만, 골드차이를 벌리게 해주는 주요 목표대상입니다.

용을 사냥하게 되면 일정 시간에 따라 145 - 260의 골드를 획득하실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이 레벨업을 통해 획득할수있는 골드량이 점차 많아집니다.

 

용의 리젠 시간은 6분 입니다.

 

[파랑색 부분이 용 젠 장소]

 

 

탱커 : Tanker 라는 뜻으로 주로 팀 앞의 선두를 서면서 데미지를 모두맞아주며 아군딜러를 보호하는것을 말합니다.

 

딜러 : Delaer 라는 뜻으로 데미지 부분을 담당하는 라이너 입니다.

 

원딜러 : AD Ranger라는 뜻으로 원거리 딜러를 담당하는 라이너 입니다.

 

서포터 : Supporter 라는 뜻으로 팀의 어머니라고 불립니다. 주로 아군 원딜러와 함께 라인을 동행하여 원딜러를 보조합니다.

 

누커 : Nuker 라는 뜻으로 암살자형 챔프들을 뜻하는데, 순간적인 1~2초만에 폭발적인 딜량을 넣어줄수 있는 챔프들을 가리킵니다.

 

딜탱 : 딜과 탱을 모두 겸할수 있는 챔피언을 뜻합니다. 현재 탑의 3대장인 렝가,쉬바나,문도를 주로 가리킵니다.

 

 

와딩 & 와드 : 와드를 설치한다는 뜻입니다. 와드 설치를 통해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적 정글러의 역습을 막을수 있으며 아군 정글러의 갱킹 경로의 안전성을 부여합니다. 또한 팀파이트 싸움에서 유리한 지점을 점령하여 싸움을 시작할수도 있습니다.

 

카정 : Counter Jungle 이란 뜻으로, 정글러가 자신의 진영이 아닌 적 진영의 정글러 침입하여 정글몬스터를 사냥하거나 적 정글러를 사냥하는것을 뜻합니다.

 

로밍 : Roaming 뜻으로 '배회하다' 뜻 정도를 가집니다. 미드라이너가 자신의 라인을 푸쉬한후 적 미드라이너에 노출되지않고 바텀이나 탑 라인으로 갱킹시도를 하는것을 말합니다.

 

궁 : 궁극기 스킬을 가리킵니다. 각 챔피언들이 6레벨,11레벨,16레벨에 배울수 있습니다.

 

미아 & 미아콜 : MIA → Missing In A battle 전시중 행방불명이라는 뜻으로, 적 라이너가 사라진것을 뜻하며 이때 아군 라이너들이 사라진 라이너에 의해 갱킹 받지 않기위해서 미아콜(MIA Call)을 외쳐줍니다.

 

미아콜은 스마트핑을 이용하여 해주시거나 'ㅁㄷㅁㅇ(미드미아),ㅌㅁㅇ(탑미아),ㅂㅁㅇ(봇 미아,바텀미아)' 등으로 채팅을 통해 알려주도록 합니다.

 

CC :Crowd Control 의 줄임말로 군중제어를 뜻합니다. 군중제어기란 슬로우,속박,스턴,에어본 등의 다양한 행동 상태의 제약이 따라오는 스킬들과 아이템 효과들을 뜻합니다.

 

OP : Over Power 의 줄임말로 현재 메타에서 밸런스 조정이 조금 필요해보이는 무척 강력한 챔프를 말합니다.

 

 

* 게임의 싸움 유발(?) 용어

 

AFK : Away From Keyboard 라는 뜻으로 키보드에서 떨어짐, 즉 게임을 하지 않는다는것을 뜻합니다.

 

트롤 : Troll 이란 뜻으로, 말그대로 게임에 제대로 임하지 않는 유저를 가리키나, 최근에는 게임실력이 떨어지면 트롤로 주로 불리고 있습니다.

 

피딩 & 던짐 :Feeding 은 먹이주기라는 뜻으로 상대방에 던져 준다는 의미 입니다. 즉, 고의적으로 적 타워 등으로 돌진하여 적을 이롭게하는 행위입니다.

 

 

* 게임 아이템 용어

 

핑와 : 핑크와드를 가리킵니다.

 

비사진 :Visage 입니다. 정령의 형상 아이템을 가리킵니다.

 

 

 

 

라위 :Last Wishper 로 최후의속사임 아이템을 가리킵니다.

 

 

 

로아 :  Rod of Aegis 의 약자로 RoA라 불립니다. 영겁의 지팡이를 가리킵니다

 

 

 

 

트포 : Trinity Force 로 '삼위일체' 아이템을 가리킵니다.

 

  

 

 

인피 : Infinity Edge 로 '무한의 대검'을 가리킵니다.

 

 

 

 

블써 & 피바 :Blood Thirster 로 정식명칭은 '피바라기' 입니다.

 

 

 

팬댄 : Phantom Dancer 로 '유령무희'를 가리킵니다.

 

 

 

블클 : Black Cleaver 로 '칠흑의 양날도끼' 를 가리킵니다.

 

 

 

 

데파 : DeathFire Grasp 로 '죽음불꽃 손아귀' 를 가리킵니다.

 

 

 

데켑 : Rabadon's Death Cap 로 '리바돈의 죽음모자'를 가리킵니다.

 

 

 

 

보이드 : Void Staff 로 '공허의 지팡이'를 가리킵니다

 


 

아크엔젤 : Arc Angel Staff 로 '대천사의 지팡이'를 가리킵니다.

 

 

 

 

가엔 : Guardian Angel 으로 '수호천사'를 가리킵니다.

 

 

 

 

프하 :Frozen(Frost) Heart로 '얼어붙은 심장'을 가리킵니다.

 

 

 

이지스 : Aegis 로 '군단의 방패'를 가리킵니다.

 

 

 

퀵실버 : Quiksilver Aiguillette 로 '수은장식띠' 를 가리킵니다.

 

 

 

썬파 : SunFire Cape로 '태양불꽃 망토'를 가리킵니다.

 

 

 

 

소서러 : Sorcerer 로 '마법사의 신발'을 가리킵니다.

 

 

 

버서커 : Berserker 로 '광전사의 신발'을 가리킵니다.

 

  

 

 

모빌 : Mobil 로 '기동력 장화'를 가리킵니다.

 

 

 

 

엘릭서 : Elixir 로 '영약류'들을 가리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롤 유저입니다

 

게임용어

탑 : 소환사의 협곡에 위

미드 : 소환사의 협곡에 가운데

봇(바텀) : 소환사의 협곡에 아래

정글 : 정글몹을 먹으면서 위에 세 라인에 갱을감

cs : 미니언의 약자

파밍 : cs를 먹다

갱킹 : 갱을가다

갱승 (갱승사자) : 갱을 갔으나 킬을주는 행위

카이팅 : 치고 빠지면서 공격하는행위

AD : 공격력 위주

AP : 주문력위주

폭딜 : 스킬한방으로 피를 깔수있는것

누커 : 챔프 하나 죽이기엔 가장 강력한챔피언

리시 : 초반에 정글러가 정글몹 ( 레드 블루) 먹을때 도와주는행위

블루 : 고대골렘 (늑대위쪽)

레드 : 도마뱀장로 (망령위쪽)

탱커 : 한타때 몸대줄수있는 방어력게이 예 볼리베어 레넥톤 쉬바나 아무무 등

 

스펠약자 (가장많이쓰는 스펠만)

점멸 : 플래시

점화 : 이그나이트

방어막 : 베리어

텔레포트 : 텔포

유체화 : 고스트

부활 : 리바

탈진 : 이그저스트

정화 : 클린즈

 

템용어

피바라기 : 블서

야만의 몽둥이 : 브루탈

칠흑의 양날도끼 : 블클

수호천사 : 가엔

음전자망토 : 조개

얼어붙은 심장 : 프하

거인의허리띠 : 자벨

유령무희 : 펜덴

무한의대검 : 인피

삼위일체 : 트포

쇠사슬조끼 : 700갑

라바돈이 모자 : 데켑

죽을불꽃손아귀 : 데파

공허의지팡이 : 보이드

심연의홀 : 어비셜

영겁의지팡이 : 로아

 

즐롤하세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



리그 오브 레전드는 다른 게임에 비하여 전문 용어가 많은 편입니다.

이것은 국내에서 서비스를 하기 전, 해외 서버에서 플레이하던
한국 유저들이 퍼블리싱과 함께 많이 넘어오며 용어 문화가 함께 왔기 때문인데요.

새로 접하는 분들은 알아 듣기 어려운 
LOL용어들을 분류에 따라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역할과 관련된 용어



◆ 탱커(Tanker)

상대 팀이 자신을 공격하게끔 유도 하여
아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챔피언을 탱커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방어력과 강력한 슬로우, 도발, 넉백 등의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시
람머스

대표적인 탱커 중 하나인 람머스는 받는 피해를
상쇄할 수 있는 스킬과 상대 팀을 괴롭힐 수 있는 슬로우, 도발 스킬을 함께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회전 (Powerball)
마나 소모: 80/90/100/110/120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람머스가 공 모양으로 몸을 만 후 적을 향해 돌진하여 충돌 시 100/150/200/250/300 (+1AP)의 마법 피해를 입히고 3초 동안 이동 속도를 20/25/30/35/40%만큼 낮춥니다.


따끔한 도발 (Puncturing Taunt)
마나 소모: 50/60/70/80/90 재사용 대기시간: 12초

람머스가 적을 도발하여 적의 방어력을 10/15/20/25/30 낮추고 1/1.5/2/2.5/3초 동안 적이 덤벼들게 합니다. (사정거리: 325) 


몸 말아 웅크리기 (Defensive Ball Curl)
마나 소모: 50 재사용 대기시간: 14초

람머스가 몸을 말아 웅크려 6초 동안 자신의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50/75/100/125/150만큼 올리고 자신을 공격하는 적에게 20/30/40/50/60 (+[방어력의 10%])의 마법 피해를 되돌려줍니다.





◆ 딜러(Dealer)

상대 팀에게 타격을 주는 것을
주된 역할로 수행하는 모든 챔피언을 딜러라고 합니다.




◆딜탱, 근접 AD딜러(Melee DPS, Fighter)

탱커에 버금가는 방어력과 지속적인 근접 딜링
능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챔피언을 딜탱이라고 합니다.

탱커들과는 달리 슬로우, 넉백, 도발 등의 스킬이 없거나 미약 합니다.

예시
올라프

딜탱의 역할 수행이 가능한 올라프는
체력에 비례하여 대미지가 올라가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어 딜링과 탱킹이 동시에 가능합니다.

광포한 공격 (Vicious Strikes)
마나 소모: 40/45/50/55/60 재사용 대기시간: 12초

6초 동안 올라프의 공격력이 7/14/21/28/35 (+[최대 체력의 1%]) 증가하고 생명력 흡수, 주문 흡혈율이 9/12/15/18/21% 증가합니다.





◆ AP딜러(AP dealer)

스킬에 의존하는 딜러들 중에 AP를 높여서
스킬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챔피언을 AP딜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순간 화력은 높지만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엔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 원거리 AD딜러(Range AD)

원거리에서 기본 공격에 의존하여 상대방에게
꾸준히 대미지를 입히는 챔피언을 원거리 AD딜러라고 합니다.

딜탱과는 달리 방어력이 낮지만 공격 사정거리가
멀어서 팀원간 교전시 안정적이고 높은 화력을 낼 수 있습니다.




◆ 누커(Nuker)

강력한 스킬을 연계하여 상대방을 순식간에
제거
할 수 있는 챔피언들을 누커라고 부릅니다.

많은 AP챔피언들이 누커에 속하며
소수의 AD챔피언들 중에도 누커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AD누커인 판테온과 탈론




◆ 서포터(Supporter)

팀원들이 보다 수월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챔피언을 서포터라고 합니다.




◆ 베이비시터(Babysitter)

아기를 돌보듯이 아군을 키워주는 챔피언을 베이비시터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초반엔 약하지만
후반에 강해지는 유형의 챔피언을 키우기 위해
서포터가 곁에서 베이비시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니시에이터(Initiator)

이니시에이터는 적절한 순간이 왔을때
팀원간 교전을 이끌어내는 챔피언을 지칭합니다.

한타 유발자로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강한 광역 스킬 혹은 상대팀을 끌어오는 스킬 등을 보유하고 있는 챔피언이 이런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시
블리츠크랭크

블리츠 크랭크는 멀리 있는 상대 팀을 잡아서 본인에게 끌어오는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팀간 대치중일때 블리츠크랭크의 이 스킬은 빛을 발하며 스킬 적중시 훌륭한 한타 유발이 가능합니다.

로켓 손 (Rocket Grab)
마나 소모: 140 재사용 대기시간: 20/19/18/17/16초

블리츠크랭크가 오른손을 발사하여 피격당하는 적을 기절시키고 60/120/180/240/300 (+0.8AP)의 마법 피해를 입히며 적을 자신 쪽으로 끌어당깁니다. (사정거리: 1000)




◆ 정글러(Jungler)

팀원의 빠른 성장을 돕고 각 라인의 전황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라인이 아닌 정글에서 사냥을 통해 성장하는 챔피언을 정글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글은 캐리형 딜러가 돌지만
경우에 따라 몇몇 탱커들이 도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글과 관련된 용어



◆ 정글링(Jungling)

정글러가 정글을 돌면서 자신이 담당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 크립(Creep)

맵의 라인이 아닌 정글 안에 위치한 중립형 몬스터를 지칭하며
크립들 중에는 잡기는 다소 어려우나 사냥시 버프를 주는 것들도 존재합니다.

크립을 일정 기간 동안 잡지 않을 경우 성장하여 추가 경험치를 줍니다.



[ ▲ 크립을 방치해 두면 점점 성장한다. ]




[ ▲ 크립이 완전히 성장하면 경험치와 골드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





◆ 레드(Red)

크립들이 주는 버프 중에 장로 리자드가 주는 버프를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AD챔피언들이 선호하며 타격시 슬로우와 지속 대미지를 입힙니다.



[ ▲ 많은 AD챔피언들이 선호하는 레드 버프 ]





◆ 블루(Blue)

크립들이 주는 버프들 중에 고대 골렘이 주는 버프를 지칭합니다.
마나회복량을 대폭 늘려주고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을 상당량 감소시켜 줍니다.



[ ▲ 많은 AP챔피언들이 선호하는 블루 버프 ]





◆ 리쉬(Leash)

정글러가 초반에 강한 크립을 수월하게 잡기 위해
라인에 서는 챔피언이 해당 크립을 한 대 때려 주는 것을 뜻합니다.

라인 챔피언이 리쉬를 해주면 크립이 먼저 때린 대상을 공격하기 위해
쫒아가는데 이 시간동안엔 정글러를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크립을
잡을 수 있습니다.




◆ 드래곤(Dragon)

잡으면 팀원 전원에게 골드를 주는 크립으로
지속적으로 잡아주면 팀원의 전체적인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 중반부에 일어나는 
팀파이트는 드래곤을 사이에 두고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초중반 잦은 교전이 일어나는 드래곤 주변 ]





◆ 바론(Baron)

초 중반에 상대하기 무척 어렵지만 일단 잡기만 하면 HP, MP, AP등
많은 능력치를 대폭 올려주는 버프와 팀원 전체에게 골드와 경험치를 주는 크립 입니다.

후반부에 전황 굳히기 혹은 뒤집기에
자주 쓰이기 때문에 바론 주변에서 교전이 자주 일어나기도 합니다.


[ ▲ 경기 후반부에 큰 변수로 작용하는 바론 ]




[ ▲ 정글에 분포해 있는 크립들의 위치 ]






행동 및 스킬과 관련된 용어



◆ CC기

Crowd Control의 약자로 군중제어 스킬이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군중제어 스킬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뉩니다.

움직임의 제한 - 느려짐(Slow 이동속도를 느려지게 하는 것), 덫(Snare 이동은 불가능하지만 주문시전이 가능)등

행동의 제한 - 장님(Blind 공격이 빗나가는 것), 침묵(Silence 주문시전 불가), 공중에 뜸(Airborne 공중에 뜨는 것)
제압(Suppresses 행동불가)등

행동의 강요 - 도발(Taunt 억지로 공격하게 하는 것), 공포(Fear 도망가게 하는 것)등



[ ▲ 말자하의 궁극기에 맞아 제압상태가 된 마스터 이 ]





◆ 팀파이트(Team Fight)

개인 대 개인의 교전이 아닌 양 팀간의 단체 교전을 뜻합니다.
한타 싸움이라고도 하며 초 중반엔 드래곤 근처에서 그리고 후반부엔 바론 주변에서
자주 일어납니다.




◆ CS(Creep score)

크립 혹은 미니언을 제거해서 골드를 얻는다는 Creep score의 줄임 말입니다.
미니언 막타를 먹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푸쉬(Push)

상대팀 미니언을 빠르게 제거하여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미니언간
교전점의 위치를 상대 진영 방향으로 밀어내는 행위를 푸쉬라고 합니다.

또한 궁극적으로 해당 라인에 위치한 상대팀의 타워와
억제기를 제거하여 팀 승리를 유도하는 행위도 푸쉬의 영역에 포함됩니다.




◆ 파밍(Farming)

캐리형 챔피언들이 후반의 팀 캐리를 위하여
라인에 서서 안정적으로 돈과 경험치를 모으는 것을 지칭합니다.

장기적으로 골드와 경험치를 모으는 것이
흡사 농사와 같다고 하여 파밍이라고 부릅니다.

경우에 따라 캐리가 아닌 챔피언도
부족한 스펙을 채우기 위해 라인에서 파밍을 하기도 합니다.




◆ 와딩(Warding)

와드는 일정한 지역에 설치하여 지속시간동안
해당 구역의 시야를 밝혀주는 아이템을 지칭합니다.

이런 와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플레이를 와딩이라고 합니다.


[ ▲ 와드는 언제나 옳다 ]





◆ 백도어(Back door)

상대편이 아군 진영을 공격하고 있을 때.
몰래 라인의 타워를 미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상황에 따라 훌륭한 역습이 되기도 합니다.




◆ 다이브(Dive)

참전. 전선으로 뛰어든다는 표현 입니다.
이니시에이터가 팀파이트를 유도하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응용된 용어로는 체력이 많이 떨어진 상대팀 챔피언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워로 달려드는 것을 지칭하는 타워다이브가 있습니다.




◆ 갱크(Gank)

갱킹은 불리한 입장의 상대를 공격한다는
신조어로 LOL 상 에선 습격한다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 페이스체크(Face check)

와드나 기타 스킬을 활용하여 숲 안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챔피언을 직접 숲 안으로 집어 넣어 정찰하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운이 나쁘면 숨어있던 상대 팀에게 꼼짝 없이
당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카운터 정글링(Counter jungling)

궁극적으로 상대팀 정글러의 성장을 방해하기 위해
하는 모든 종류의 행동을 카운터 정글링이라고 합니다.




◆ 퍼스트 블러드(First blood)

국내에선 선취점이라고 하여 게임 내 최초 킬을 의미 합니다.

퍼스트 블러드 달성시 100골드를 추가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챔피언들보다 금전적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 ▲ 퍼스트 블러드 달성시 얻을 수 있는 400골드는 초반에 몹시 유용하게 쓰인다. ]





◆ 피딩(Feeding)

자주 죽는 것을 가리켜 마치 상대 팀에게
밥상을 차려 주는 것과 같다고 조롱하는 것을 피딩이라고 합니다.

* 계속해서 피딩을 하는 사람을 피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트롤링(Trolling)

고의적으로 상식 밖의 행동을 하는 것을 트롤링이라고 합니다.

신발로 인벤토리를 꽉 채우거나 기력을 쓰는 챔피언이 마나 물약을
잔뜩 사는 행위 또는 무작정 상대팀 타워로 계속 달려들어 죽는 것 등을 가장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 트롤링의 정석 신발 도배 ]





◆ 킬스틸(Kill steal)

고의적으로 아군이 다 잡아 놓은 상대의
막타를 쳐서 계속 킬을 가져가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 AFK

Away From Keyboard. 자리비움을 뜻합니다.




◆ 디나이(Deny)

상대팀의 챔피언이 미니언을 통해서 경험치를
얻을 수 없게
 경험치 획득 가능 범위 밖으로멀리 밀어내는 것을 뜻합니다.





라인과 관련된 용어



◆ 탑라인(Top line)

미니언이 돌격하는 세갈래 길 중에 가장 위에 있는 라인을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탑 라인은 후반부에 강한 면모를 보일 수 있는 캐리형 챔피언이 갑니다.

* 탑솔(Top Solo) - 탑라인에 홀로 가는것을 지칭합니다.




◆ 미드라인(Mid line)

미니언이 돌격하는 세갈래 길 중에 중간 부분에
위치한 라인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미드 라인은 AP챔피언이 갑니다




◆ 바텀라인 또는 봇라인(Bottom line)

미니언이 돌격하는 세갈래 길 중에 가장 하단에 위치한 라인을 뜻합니다.

* 바텀라인 듀오 - 바텀 라인에 두 챔피언이 서는 것을 지칭합니다.




◆ 미아(Mia)

Missing In Action. 해당하는 라인에서 상대팀이 사라졌을때 사용하는 용어 입니다.

LOL의 특성상 플레이어들이 계속 이동하면서 서로 싸우게 되는데,
자신의 라인에 신경쓰다보면 다른 쪽 라인의 상황을 놓칠 때가 많습니다. 

Mia 콜을 해주면 다른 라인에서 누군가가 오겠구나 라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무의미하게 상대방에게 feeding 을 해주는 사태를 막을 수 있게 됩니다. 

* Mia 콜 - 자신의 라인에서 상대팀 챔피언이 사라졌을 때 아군에게 알리는 것을 뜻합니다.





챔피언과 관련된 용어



◆ OP

Over Power의 약자로 밸런스를
붕괴시킬 정도로 강력한 챔피언을 지칭합니다.

예) 아리 지금 진짜 OP인데 아마 조만간 하향 되겠지?




◆ 카운터 픽(Counter pick)

해당하는 챔피언을 효율적으로
상대할 수 있는 일종의 상성 챔피언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누킹이 가능한 AP챔피언을 상대하기 위해서 굳이 탈론을
골라 미드 라인으로 가는 것을 AP챔피언 카운터 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캐리

초반에는 약하지만 후반부에 강해져서
팀의 승리를 이끄는 행위 혹은 주체를 캐리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캐리형 챔피언인 나서스




채팅과 관련된 용어



◆ 궁(Ultimate skill)

궁극기 스킬을 줄인 단어로 6레벨에 찍을 수 있는 스킬을 뜻합니다.

* 좌측 중단에 위치한 팀원 초상화의 녹색 표시로 아군의 궁극기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녹색이 되면 준비 OK! ]





◆ 눕(Noob)

새로 시작했다는 뜻의 뉴비(Newbie)에서 파생된 용어로
실력이 좋지 못한 대상을 초보라고 비하하는 뜻으로 쓰입니다.

비록 뉴비에서 파생되었지만 욕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북미에서 사용되는 채팅 용어



◆ BRB

Be Right Back의 줄임말 입니다.
곧 돌아오겠다는 뜻으로 본진에 다녀 오거나 잠시 자리를 비울때 사용합니다.




◆ YW

You're Welcome의 줄임말 입니다. 
천만에요 라는 뜻으로 비슷한 말로 Nvm도 있습니다.

* Nvm - Never mind(신경쓰지 마 라는 뜻으로도 자주 쓰입니다.)




◆ WTH

What The Hell의 줄임말 입니다.
이건 지옥이야 라는 뜻으로 최악의 상황을 말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 WTF

What The F***의 줄임말 입니다.
이건 정말 최악이야 라는 뜻으로 몹시 안 좋은 상황에서 사용하는 비속어 입니다.




◆ GJ

Good Job의 줄임말 입니다.
훌륭하다.라는 뜻으로 비슷한 뜻으로 NJ도 있습니다.

* NJ - Nice Job




◆ Sup

what's Up?의 줄임말 입니다.
인사 혹은 '뭐하세요?'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OMG

Oh, My god의 줄임말 입니다.
세상에, 신이시여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ILY

I Love You의 줄임말 입니다.
사랑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NP

No Problem의 줄임말 입니다.
문제없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OMW

On My Way의 줄임말 입니다.
내가 갈게.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THX

Thanks의 줄임말 입니다.
고마워.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Care

조심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K

OK의 줄임말 입니다.




◆ LMAO

아 웃겨.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CV

소환사 주문 Clairvoyance(천리안)을 줄인 말입니다.




◆ Bush

게임 내에 숨을 수 있는 수풀을 뜻합니다. 




◆ ROFL

아 진짜 웃겨.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LOL 

ㅋㅋㅋ란 뜻으로 쓰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blue divien친추 거시면 자세하게 갈쳐드릴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탑 : 위쪽 
미드 : 한가운데
봇: 아래 - 원딜 : 미니언(이상하게 나오는 놈들) 잡음
             - 서포터 : 원딜을 도와줌
정글 : 위와 중간 사이의 공간, 아래와 중간 사이의 공간
cs : 미니언을 잡으면 올라가는것

롤 단어를 알려주세요

... 그래서 미리단어를 알고 싶은데요. 롤에서 사용되는 줄인말과 그뜻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을25겁니다 안녕하세요 유저입니다 게임용어 탑 : 소환사의...

롤 단어알려주세요

... 롤 단어알려 주세요!! 1. ad, ap ad는 공격력을, ap는 주문력을 말합니다. 챔피언마다 ad와 ap가 거의 정해져있고, 그에 알맞는 템을 사면 됩니다. 반대로 상대도 주는...

급해요내공100)롤 단어 뜻좀 최대한...

그냥 사람들이 쓰는 말 있잖어요 막 미드,서폿,이런거나 그냥 롤 단어 알려주세요ㅠㅠ 파란색이 탑이라고 불리는 곳이며, 빨간색이 미드, 노란색이 바텀, 혹은 봇이라고 불리는...

궁금한 롤 단어 알려주세요

대충 에임과 비슷한 단어거든요 누구를 노리라는 뜻이었는데 예를 들면 이즈 먼저 뭐뭐 해 이런 단어인데 아시는 분 ㅜ 타겟팅 .. 포커싱... 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롤 단어를 알려주세요

롤단어가 다필요합니다. 부탁드립니다ㅜ 예:리쉬,서렌,원딜,암살자등등을 부탁합니다. 리쉬:보통 처음 게임 시작했을때 정글 몬스터를 몇대 때려주고 라인을 가는것. 서렌:20분...

롤단어알려주세요 ...

롤단어알려주세요 ... 오늘 처음 시작하는데 단어들을 모르겠네요 ... 그리고 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 근데 롤에 막 여성 비하랑 패드립 욕 같은거 많이 하나요 .....

모르는 단어알려주세요

한타, 스플릿 챔 등 이런거 비슷한 단어들 뜻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입롤한타=입으로 한타를 잘하는거처럼말함 스플릿 본대를 제외한 한명이...

롤 단어알려주세요

유튜버들 보면 막 정글차이 탑차이 등등 ○차이 라고 말하는데 이거 뜻이 뭐예요? 우리팀 라이너/정글러보다 상대팀 라이너/정글러가 더 잘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