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방송 음질 (오디오인터페이스, 사운드카드)

인터넷방송 음질 (오디오인터페이스, 사운드카드)

작성일 2013.09.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인터넷방송 음질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오디오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제가 듣는 음질은 확실히 매우 향상이 되는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방송을 하면

방송을 보는 사람쪽에서도 음질이 좋게 들리는지요?

인터넷방송에서 송출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좋은 장비를 써도 결국 음질은 떨어지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2.좋은 장비로 방송 음질이 좋아진다면

또 하나 궁금한것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스테레오믹스 기능이 없어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쓰기위해 생각한 방법이 있는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 단자를 컴퓨터 내장 사운드카드 인풋 단자로 연결시킬시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질향상 효과를 받을수 있나요?

아니면 결국 내장 사운드카드를 거치면서 음질에 변화가 없게 되나요?

 

3.가상 스테레오믹스가 뭔가요? 스테레오믹스를 지원하지 않는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적용 가능한가요?

적용이 되면 음질에는 변화가 없나요?

 

4. 1번처럼 좋은 장비가 방송 음질을 높여주지만 2,3번과 같이 했을 경우 음질이 다시 떨어진다면

us-322, spartan cue 같은 스테레오믹스 기능을 쓸 수 있는 오디오인터페이스를 따로 사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사용중인 오디오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이 좀 많지만 잘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질문내용에 Spartan Cue를 언급하셔서 오디오프로브 기술지원에서 답변 드립니다.

가급적 객관적 사실 위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만, 저희 제품의 장점을 설명하는 점도 이해 부탁 드립니다.

 

 

1. 인터넷 방송 송출시의 음질 열화

 

추측하신대로 청취자가 재생하는 최종 음질은 (청취자가 충분히 좋은 재생장치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인터넷 방송시 송출하는 음질로 결정(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는)됩니다.

 

다만 현재 인터넷 방송의 송출 음질이 꽤 높은 수준까지 지원 됩니다.

가장 폭넓은 사용자가 있는 아프리카 TV의 경우, 고급설정을 통해서 최대 48kHz/192kbps 인코딩 음질을 지원합니다. 즉, 상대방이 듣는 음질은 대략 192kbps 로 인코딩 된 mp3의 음질과 비슷할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듣는 128kbps mp3보다 높은 수준의 음질로, 좋은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청취자는 방송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장비의 셋팅이나 퀄리티를 꽤 쉽게 식별이 가능한 음질 수준입니다.

 

(인터넷 방송이 아닌 음성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전송을 위해 데이터 인코딩 압축을 높게 하므로 보통 이보다 낮은 음질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으로 돌아가서, 송출음질이 위와 같이 어느정도 고음질이라고 가정했을 때,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사운드카드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두 기기의 가장 큰 성능적 차이는 입출력 단의 퀄리티의 차이입니다.

그러므로 인터넷 방송을 할 때 컴퓨터의 소리만 송출하는 경우(음악 플레이어, 게임 등)라면 사운드카드와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별반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마이크나 기타 등 아날로그 소리를 입력해서 신호처리(컴프레서, 리버브 등)를 통해 송출하는 경우는 전혀 다릅니다.

사운드카드는 컨덴서 마이크와 같은 고성능 마이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에 제한이 있고 프리앰프의 퀄리티에 따라 그 소리의 질감도 떨어집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녹음을 위한 목적으로 설계 되었으므로 사운드카드에 비해서 충실한 입력을 받을 수 있어서 최종 송출신호 퀄리티가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컴퓨터의 소리만을 송출하는 방송이면 사운드카드로도 무방하고, 마이크 등 아날로그 입력 소리를 송출하기 위한 용도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적합할 것입니다.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아웃풋 사운드카드 인풋

 

사운드카드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라인아웃풋을 충분하게 받을 만한 레벨과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면 말씀하신대로 연결해도 음질의 열화는 크지 않을 것입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좋은 입력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음질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적인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밸런스드(balanced)출력이고 최대 출력 레벨이 사운드카드의 입력에 비해 상당히 높습니다. 따라서 클리핑(clipping)등 오디오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레벨 조정이 필요합니다.

 

 

3. 가상 스테레오 믹스

 

이 부분은 비표준이고 적절한 기술적 안정성이 담보되지 않아 저희가 답변드리기 적절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4. 스테레오믹스를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이 부분에 충분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먼저 스테레오믹스의 기능적 개념을 정확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스테레오믹스 기능은,

 

(1) 외부에서 입력되고 있는 소리 : 마이크, 기타, 라인인풋 등

(2) 윈도우에서 재생되고 있는 소리 : 게임배경음, 뮤직플레이어 등

 

(1), (2)번의 소리를 믹스(SUM)해서 사운드카드 또는 오디오인터페이스의 논리적 입력으로 보내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 논리적 입력의 데이터는 아프리카TV등 인터넷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방송 서버로 전송되거나(아프리카TV의 경우), 통신하고 있는 상대방에게(음성채팅의 경우) 전송됩니다.

 

(이런 소프트웨어 구조는 아주 오래전 AC97이라는 사운드카드 규격에서 사용되던 것으로 Windows XP에서는 지원이 되었지만 Windows 7, 8 에서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입니다.)

 

"스테레오믹스 기능"은 위의 신호흐름을 지원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통칭하고 있으나, 위 신호흐름이 지원되는 장치면 굳이 "스테레오믹스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아도 "스테레오믹스 기능"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US-322 Spartan Cue는 이 "믹스"를 어떻게 하느냐에 가장 큰 차이가 있습니다.

US-322는 위의 믹스를 아날로그로 라우팅하여 인풋으로 믹스합니다. 위에 질문2와 비슷한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파르탄큐는 드라이버 내부에서 디지털 믹스하여 손실없이 인풋으로 믹스합니다.

사실 이 두가지의 구조에 따라(아날로그라우팅 vs 디지털라우팅) 큰 음질차이가 발생한다고 결론 내리긴 어렵지만 확장성 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마이크 입력을 Reverb나 Expander 처리해서 인터넷으로 송출하고 싶은 경우에 US-322 DAW 소프트웨어(Cubase, Studio One)의 아웃풋을 인풋으로 믹스할 방법이 없으므로 마이크 입력 전에 필요한 이펙터 들을 하드웨어로 구성해서 연결해야 합니다.(내장 이펙터 포함)

스파르탄큐는 CAPTURE PROBE™ 라는 간편하지만 강력한 스트리밍 믹서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DAW소프트웨어에서 이펙터 처리한 소리를 인터넷으로 송출할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그림1, CAPTURE PROBE의 설정화면을 보면,

 

 

[그림1]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입력(Physical Input) ASIO 입력으로 연결되고,

DAW에서 신호처리를 한 후 재생되는 소리를 ASIO PLAYBACK CAPTURE를 이용해 WDM Logical Input으로 믹스하고,

일반적인 윈도우 Sound(게임, 음악플레이어 등) 역시 WDM Logical Input으로 믹스해서

최종 WDM Input이 완성되어 이 소리를 인터넷으로 송출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고품질의 ASIO 이펙트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스파르탄큐가 활용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고 간단한 내장 이펙트 정도만 필요한 경우에는 US-322가 좀 더 간편할 것입니다.

 

(스파르탄큐는 또한 Windows 7,8에서도 스테레오믹스 드라이버를 별도로 지원하므로 사운드카드와 비슷하게 사용하는것도 가능합니다.)

 

 

결론

-현재 좋은 품질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보유하고 계시다면 질문2번과 같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을 사운드카드 인풋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보다 고품질(소프트웨어 이펙터 등)로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믹스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도 고려하세요.

 

 

더 궁금하신점은 오디오프로브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AUDIOPROBE 공식 한국어 블로그 : blog.audio-probe.com

AUDIOPROBE 공식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udioProbeInc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인터넷방송 음질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오디오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제가 듣는 음질은 확실히 매우 향상이 되는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방송을 하면

방송을 보는 사람쪽에서도 음질이 좋게 들리는지요?

인터넷방송에서 송출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좋은 장비를 써도 결국 음질은 떨어지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일단 사운드 카드보다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음질이 더 좋은게 맞습니다.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마이크 프리 앰프(Mic Pre Amp)가 월등하게 좋기 때문에 노이즈 및 디테일 그리고 보이스 처리 부분에서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어차피 출력되는 소리를 녹음해서 보내주는 것이 스트리밍 전송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다만 바로 들리시는 것보다는 질은 떨어집니다. 일단 압축해서 스트리밍 전송을 하기 때문에 여기서 손실과 듣는 사람 청취 환경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다만 아래에 적어주신대로 스테레오 믹스나 기타 설정 등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일반 인터넷 방송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2.좋은 장비로 방송 음질이 좋아진다면

또 하나 궁금한것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스테레오믹스 기능이 없어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쓰기위해 생각한 방법이 있는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풋 단자를 컴퓨터 내장 사운드카드 인풋 단자로 연결시킬시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질향상 효과를 받을수 있나요?

아니면 결국 내장 사운드카드를 거치면서 음질에 변화가 없게 되나요?

 

==>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출력을 뽑아서 사운드 카드의 라인인으로 넣어서 방송은 물론 가능합니다. 다만 이역시 설정의 문제가 있을 수 있구요 (마이크 단자만 컨트롤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라인 단자를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에서 컨트롤이 불가능한 경우) 그리고 이 경우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따로 쓰는 것보다, 차라리 믹서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나을수도 있습니다.  FX(이펙터) 기능이 있는 믹서와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시면 효과적이겠지요.   다만 사운드 카드의 라인 인 단자로 들어갈 경우는 내장사운드 카드라면 어느 정도 손실이 불가피합니다.  그래도 마이크를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는 천배 정도 낫습니다. ^^

 

 

3.가상 스테레오믹스가 뭔가요? 스테레오믹스를 지원하지 않는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적용 가능한가요?

적용이 되면 음질에는 변화가 없나요?

 

==> 가상 스테레오 믹스 관련 프로그램도 있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USB 마이크에서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예 : 인프라소닉 UFO 마이크 http://www.simsaudio.co.kr 참고) UFO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음질의 변화는 없습니다.  사운드 카드로 들어가지 않고 내부 데이터를 디지털로 처리하니까욘.

 

 

4. 1번처럼 좋은 장비가 방송 음질을 높여주지만 2,3번과 같이 했을 경우 음질이 다시 떨어진다면

us-322, spartan cue 같은 스테레오믹스 기능을 쓸 수 있는 오디오인터페이스를 따로 사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사용중인 오디오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이 좀 많지만 잘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개인적으로 인터넷 방송 수준에서 굳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것은 어느 정도 오버라구 보구요.  가능하시면 사운드 블라스터 X-Fi PCIe나 USB 장비를 사용하셔서, 전원이 투입되는 콘덴서 마이크 (한 5~6만원 정도 합니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심플한 방식일 수 있습니다.  X-Fi의 디지털 이펙터를 사용할수도 있고 설정도 편리하고 (자동으로 됨) 인터넷 스트리밍 전송상 이 정도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보이스를 있는 그대로 이펙터 먹이지 않고 제대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UFO도 괜찬은 선택입니다.  중국 등에는 싸구려 이펙터 장비들도 판매를 합니다.  가격이 한 10만원 정도 하는데 인터넷 전송하는데 전혀 ~ 문제가 없고 개미만한 거지 같은 목소리도 어느 정도 포장을 해주는데 그냥 저는 X-Fi 정도 추천해드리고 뭐 가능하시면 여기에 믹서에 콘덴서 마이크 정도 추천하는바입니다.

 

그럼!

 

음질 (오디오인터페이스, 사운드카드)

... 1.오디오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제가 듣는 음질은 확실히 매우 향상이 되는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방송을 하면 방송을 보는...

인터페이스 VS내장 사운드카드 음질

... 저가 오디오 인터페이스(UR12, UR22, 스칼렛 2i2, 스칼렛 솔로 등)를 쓸때도 내장 사운드 카드보다 입출력의 엄청난 음질 차이를 보여주나요? ADC나 DAC가 엄청 좋은 것을 쓰는...

사운드카드는 뭐고 오디오인터페이스

... PC에 있어 사운드 카드오디오인터페이스나 하는 일은 동일합니다... DAC는 그러한 오디오 인터페이스 장비 중 하나입니다. 인터넷방송을 하는 분이나 음악, 사운드 관련...

오디오 인터페이스사운드카드(dac)...

... 오디오 인터페이스안에 사운드 카드 기능을 하는 dac 같은게 내장되있어 음질 손실 또는 사용에 무리가 없을까요? 마이크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DAC을 자체내장한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믹서,사운드카드...

... 보통의 사운드카드들은 주로 출력에 중점을 둬서 마이크 음질이 내장사운드 보다는 낫지만 엄청 좋지는 않을 것이구요, 오디오인터페이스라고 불리는 제품들은 말 그대로...

사운드카드오디오 인터페이스

... https://blog.naver.com/sound8949/222223168643 그리고 사운드 블라스터가 사운드 카드중에는 높은 음질을 지원하는 제품이 분명한 사실이지만, 어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