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제작하려고 합니다.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웹사이트를 제작하려고 합니다.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03.12.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지식제공 포털 사이트를 제작하려고 하는 사람입니다. 질문이 길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글을 끝까지 읽고서, 답변을 다 해주시기에 엄청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답변을 해주시는 분이 계신다면 정말 저를 도와주시는 분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회원제도를 도입하고 각각의 회원들에게 맞춤식 메뉴를 제공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게시판등은 자체 제작함이 당연하고요, 공동구매도 구현해야 하니 온라인 결제와 관련된 기능도 있어야 하겠습니다. 핸드폰을 사용한 간편 결제부터 신용카드의 결제까지 말이죠. 문제는 제가 이제 막 취미로 웹쪽의 공부를 시작한 사람으로써 html정도는 숙지하였고, 포토샵은 조금 다룰 줄 알며, 플래쉬도 약간 손댈 줄만 알고, 집 컴퓨터에 윈도2000 서버 깔고 MS-SQL 깔고서 막 ASP에도 손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생각같아서는 웹디자이너 한명, 웹프로그래머 한명을 알바로 고용해서 공부도 할겸 같이 사업을 추진하고 싶은데요.

1. 웹디자이너와 웹프로그래머 알바는 보통 얼마정도에 구해야 할까요? 이건 요즘 추세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인간적인 문제로써의 질문을 뜻합니다. 사업이라는 것이 망할 수도 있고 성공할 수도 있는 것이고, 나한테 이러저러한 아이템이 있는데 나와 같이 사업한번 해보지 않겠느냐? 라고 설득을 해도... 일단 그 친구들도 최소한의 경비정도는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인간적으로 얼마나 줘야 할까 생각중입니다. 물론 제가 돈이 많다면 좋겠지만, 자금사정이 안 좋기 때문이기도 하죠...

2. 이제 막 ASP를 공부했는데, 과연 ASP만으로도 위 사이트의 기획을 뒷바침해줄수 있을까 걱정이 앞서는군요. 물론 JSP나 PHP도 할줄 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은... 어디까지나 취미로 하는 웹공부이기 때문에 ASP만을 신임하고 있는 중입니다. ASP와 SQL의 디비를 이용하면 각 회원들마다 맞춤메뉴를 제공한다거나 특정한 능력을 부여한다는 등의 프로그래밍 연동이 가능할까요?

3. 현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간단하게 프리뷰정도의 웹사이트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프레임을 쭉쭉 나누어서 제가 어느정도 원하는 모양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유명하다고 싶은 대형 사이트는 어떻게 사이트를 구현할까 궁금해서 나모로 떠 와봤더니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았더군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래도 각각의 html문서의 크기가 커질 것 같은데, 이것은 자칫 로딩시간이 길게 되는 역효과가 나오지 않을까요? 프레임 구조로 문서를 나누어서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것과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매 문서를 재작성하는 것의 장, 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만약, 이것이 아니라면 제가 모르는 다른 특징이 있겠지요. 그렇다면 그 특징에 대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웹호스팅 문제에 대해서 많이 고민을 했습니다. 처음부터 서버호스팅을 할수는 없는 것이고 회원수의 증가치를 고려해서 점점 호스팅을 넓혀나가고 싶은데, ASP가 되는 윈도우 서버를 지원하는 호스팅의 경우 SQL이 10메가 20메가가 고작이더군요. 이거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저정도 용량이면 충분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회원의 수에 따라서 다르다고 하겠지만, 게시판의 글, 각 회원들마다 맞춤메뉴 저장, 각 회원들마다의 특별한 능력 부여 등을 하려면 약간 어림없지 않은가 싶은데, 이부분에 대해서 듣고 싶습니다.

생각 같아서는 아직도 많은 질문이 머리속에 맴돌고 있지만, 구체화 시키지는 못하겠네요 ^^; 너무 많이 꿈꾸고 있는 것은 아닌지...

추측성 답변은 사양하고 철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내공 올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늘은 답변을 자제하고 일찍자야겠다고 생각하다가 ^^;
님께서 또 절 못주무시게 하는군요 -_-ㅋ

우선, 글 잘 읽었습니다.

글쓰신 분의 연령은 모르겠지만
마치, 저의 후배님을 보시는 것 같네요. ^^;

제 후배님께서 현재 입시와 관련한 사이트를 준비 및 운영단계에 있구요.
자칭 CEO이고, ^^; 몇달후면 법인으로 전환단계에 있다고 하더군요. (물론, 투자유치 - 정부쪽인지, 벤처관련투자회사인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참고로, 그 아이템은 정보통신부 장려상까지 수여한바 있는데요.)
그 친구는 전공이 공대이고, 그런데 경영학쪽에 더 관심을 두더군요. 현재 대학교재학중입니다.
자신이 플래시,나모,포토샵 각각 조금씩 다루고, 기획력도 있고,
현재는 외부적으로 활동해야하고, 하니 지인들 한 두분정도(프로그래머,서버), 웹디자인은 지인이 없어서
외부인에게 월급을 주고 영입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단, 그 후배님과 현재 글올려주신 님과 유사하다고 생각되어 그 후배님에 대한 서두는 이까지 올립니다.
(이 글 올린 저에 대해 궁금하실까봐 간략하게 나마 저의 신분(?)을 ^^; 말씀드리면 전 창업관련 모임의 회원으로 몸담았었(?)구요.)

========================================================================================================

회원제도를 도입하고 각각의 회원들에게 맞춤식 메뉴를 제공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게시판등은 자체 제작함이 당연하고요, 공동구매도 구현해야 하니 온라인 결제와 관련된 기능도 있어야 하겠습니다.
핸드폰을 사용한 간편 결제부터 신용카드의 결제까지 말이죠.
문제는 제가 이제 막 취미로 웹쪽의 공부를 시작한 사람으로써 html정도는 숙지하였고,
포토샵은 조금 다룰 줄 알며, 플래쉬도 약간 손댈 줄만 알고,
집 컴퓨터에 윈도2000 서버 깔고 MS-SQL 깔고서 막 ASP에도 손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생각같아서는 웹디자이너 한명, 웹프로그래머 한명을 알바로 고용해서 공부도 할겸 같이 사업을 추진하고 싶은데요.


1. 웹디자이너와 웹프로그래머 알바는 보통 얼마정도에 구해야 할까요?
이건 요즘 추세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인간적인 문제로써의 질문을 뜻합니다.
사업이라는 것이 망할 수도 있고 성공할 수도 있는 것이고,
나한테 이러저러한 아이템이 있는데 나와 같이 사업한번 해보지 않겠느냐?
라고 설득을 해도... 일단 그 친구들도 최소한의 경비정도는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인간적으로 얼마나 줘야 할까 생각중입니다. 물론 제가 돈이 많다면 좋겠지만,
자금사정이 안 좋기 때문이기도 하죠...

▶▶▶▶▶▶▶

직원을 구하시는것이 아닌 알바(단기용역)에 대해 언급하셨는데.
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직원(월급으로 사람을 고용하는것)은 고정적인 비용(회사의 기준으로볼때)이 나가므로,
부담이 되는 부분이지만, 대신 영속성이 있죠. 사업아이템이라는것이 계속 변해나가야 하고 발전해 나가야하는데.
단기용역을 쓰면, 아이템수정(예를 들어 프로그램수정작업이나 디자인 작업의 수정)을 할때마다,
새로운 인물에게 설명하는 일이 낭비적일 것이고, 비용은 저렴할 수는 있습니다.
(물론, 비용의 저렴함이 QUALITY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 (※ 주: 또한, 직원도 반드시 QUALITY를 보장하지는 않으므로
단기용역이든, 직원이든 양자 모두 사람을 구별해내는 대표자의 능력이 중요하겠죠.)

어쨌든 가장 문제가 역시 자금이죠. (사업의 핵심요소가 아이템,자금,기술이듯이. - 중요성의 순서로 나열한 것은 아닙니다.)

사업이란 자체가 불확실성이 가정되어 있는데,
어느 누구에게도 사람을 동참시킬때 경비까지 나 자신 소유의 개인적 자금을 부담시켜 운영한다는 것은 그 조직은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고 봅니다.
(조금 오해하실 것 같아, 여기서 경비라는 것은 공적인 것이 사적인 것을 말합니다.)
아주 쉽게 예를 들면, 밥먹는것 회식 같은 것은 서로 더치패이로 진행하고,
사업자체를 up시키기 위해 들어가는 경비 - 투자관련발표에 드는 경비는 아이템을 낸 자신이 부담은 해야겠죠.


위에 언급한 후배외에도 두명의 후배2.친구1의 사례가 있습니다.
참, 그것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위에 언급한 후배의 지인은 자신의 대학선배입니다.
무보수로 참여했죠.

즉, 뜻이 맞고 아이템을 제안한 사람의 비전을 보았거나 경우였죠.

그 다음 두명의 후배2.친구1도 역시 무보수로 사람들이 동참한 케이스입니다.
궁금하실까봐 후배2는 대학관련 커뮤니티를 운영하다가, 수익부재로, 여기저기 누구나 다하는 웹에이전시로도 부가수익을 내다가
온라인 shop쪽으로 결국진출했는데. 유통경로의 한계에 부딪혀 사업을 접었습니다.

친구1은 현재 무보수로 사람을 모집하기 보단 (기존의 다른 업체와 조인트를 했죠.)
쉽게 예를 들면, 자신은 프로그래머적 기술이 있고, 다른 업체의 대표자는 디자인쪽에 능력이 있어
(※ 주: 업체라 하니 거창해보이는데 대부분 소규머 웹에이전시는 근무자가 1인~3인이 대부분이죠.)
같이 사무실을 쓰고, 마케팅도 같은 브랜드로 진출한 경우입니다. 혼자 하는 것보단 시너지 효과가 있겠죠.
이 친구는 크게 고전을 하지 않고, 관공서,학교쪽을 잘 뚫어서 조금씩 발전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제가 지켜보았던 세가지 경우 모두,
초기에는 직원이나 알바를 고용한것이 아닌 뜻이 맞는 사람을 모집하였습니다.
(※ 주: 참고로 저도 자동차운전과 관련해서 3~4명정도의 사람을 모집하여 조직을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결론이 궁금하실까봐 실제 저희가 생각한 것과 필드에서의 반응은 정말 냉담하더군요.
냉담하다고 표현하기 보단 업계의 실제운영 프로세스를 제대로 파악을 못해서 실패한것 같습니다.)

즉, 조직(회사)가 어느정도 안정성이 있고, 가능성을 보일때
알바나 직원을 생각하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처음에는 뜻이 있는 사람들의 모집을 시도해보시는것도 생각해봄직합니다.
(본인의 아이템에 대한 promotion이 정말중요하겠죠. 사람들에 대한 설득작업)
이 작업이(사람을 대하고 설득하는 작업) 어려워 보일수도 있지만,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님 주변에도 저 주변분 같이 열정적이고 뭔가 해볼려는 사람이 분명이 있다는 것이죠.(단 한명이든..)

물론 가정은 님이 아이템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있어야 하고 (제 3자가 봤을때는 망하는 결론쪽으로 볼 수 있을지라도.)
그 의지를 promotion 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 글에도 사업계획서에 대해 언급하셨는데, 외부인에게 작업(?)들어가기 전에 첫 작업이
본인의 생각을 잘 정리한 사업계획서의 작성입니다.
(※ 주: promotion 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개념은 비전제시, 부풀리기 작업입니다.
부풀리기 작업이 좀 심하게 말하면 철처한 사기꾼(프로정신)이 되어야 합니다.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가정을 현실화 해내는 프로입니다. ^^;)


이상 위의 글은 무보수의 긍정적인 사람(바로 지인의 주변분들)을 모집하는 내용의
개인적인 경험담과 견해였고,

인간적으로 얼마나 줘야 할까 생각중입니다. == 라는 질문을 하셔서
급여문제로 고민하신다면..
즉, 전혀 안면이 없는 단기용역(프리렌서), 직원을 알아보실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길..
(*무작위 링크순-IT관련포함)

http://www.phpschool.com/bbs2/inc_board.html?code=jobs2
http://www.devpia.com/nDevJob/
http://www.payopen.co.kr/
http://www.work.go.kr/



========================================================================================================

2. 이제 막 ASP를 만부했는데, 과연 ASP만으로도 위 사이트의 기획을 뒷바침해줄수
있을까 걱정이 앞서는군요. 물론 JSP나 PHP도 할줄 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은...
어디까지나 취미로 하는 웹공부이기 때문에 ASP만을 신임하고 있는 중입니다.
ASP와 SQL의 디비를 이용하면 각 회원들마다 맞춤메뉴를 제공한다거나 특정한 능력을 부여한다는 등의 프로그래밍 연동이 가능할까요?

▶▶▶▶▶▶▶

님이 ASP를 신임한다니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겠습니다.

위의 phpschool.com devpia.com jsp,asp 관련사이트에 가도, 이 언어가 최고다니,
논쟁이 벌어지고, 저도 딱 잘라 말씀드리긴 힘들지만,
ASP 이든 PHP이든 스크립트 언어에서 안되는 것은 없다고 봅니다.
즉, 님이 원하시는것 모두 구현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물론 그 구현까지 우수한 개발진의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맞춤메뉴를 어떻게 제공한다 기술적인 부분을 언급하는 것은 이자리에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봐서 생략하구요.

단, 첨언을 하면
ASP 중고수님들을 찾기가 힘들다면 (위의 제가 언급한 무보수 인력모집안을 답변확정안을 할시에..)

공개소스를 잘 뒤져봐서 시작하는 것도 크게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무작위 링크순-PHP에 관한사이트이며, 그외 관련사이트는 무수하나 아례 두 사이트만 예제로듬.
또한, ASP ,JSP 공개소스도 잘 찾아보면 많이 배포되어있음)
http://www.phpschool.com/bbs2/inc_board.html?code=down2
http://codelib.co.kr/

IT 관련 사이트구축을 위해서, 프로그램을 도입하실때,
많은 분들이 카피라이트문제나 그래도 명색이 회사 홈페이지 인데, 공개소스 티를 안낸
자체개발을 해야되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을 하시는 분이 많은데.

그에 대한 제 의견은
자금이 억대로 넘어가지도 않는 회사가 사이트 구축에 엄청난 돈을 쏟아부으면
그 자체가 단기간에 무너지는 사례에 포함된다고 봅니다.
즉, CEO가 수익을 많이 보았다고 바로 벤츠나 사는 경우와 비슷하다는 거죠.
자금을 더 수익창출에 투자할 생각을 안하고. 일종의 사치개념이라할까..

이 의견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됩니다.
자신이 가진 돈이 소규모다. 자신의 조직의 기술적 능력이 그리 출중하지 않다.

물론, 아래와 같은 경우 예외입니다.
어느 규모의 투자회사로 부터 자금을 투자받았다.(창투자.중기청)
기술진들이 중고수이다.
(※ 중고수란 개념이 조금 주관적이고, 사람에 잣대에 따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모호한 표현이군요 ^^;)

아래 링크는 벅스와 맡짱뜨고 있는 맥스MP3의게시판중 하나입니다.
현 날짜 기준으로 랭키(순위사이트)에서 벅스가 1위고, 맥스MP3가 2위이네요.

(※ 주:제로보드 사용을 함 - 카피라이터가 없는 것은 정식구입을 했을 것입니다.)

http://www.maxmp3.co.kr/ - 춤배우기 카테고리 참조
http://idance.maxmp3.co.kr/zb/zboard.php?id=GayoList&keyword=&category=&no=

위의 예제는 제로보드를 사용하라는 것도 아니고,
그냥 이렇다는 예제일 뿐입니다.참고하시길

========================================================================================================

3. 현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간단하게 프리뷰정도의 웹사이트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프레임을 쭉쭉 나누어서 제가 어느정도 원하는 모양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유명하다고 싶은 대형 사이트는 어떻게 사이트를 구현할까 궁금해서
나모로 떠 와봤더니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았더군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래도 각각의 html문서의 크기가 커질 것 같은데,
이것은 자칫 로딩시간이 길게 되는 역효과가 나오지 않을까요? 프레임 구조로
문서를 나누어서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것과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매 문서를 재작성하는 것의 장, 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만약, 이것이 아니라면 제가 모르는 다른 특징이 있겠지요.
그렇다면 그 특징에 대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글을 보니, 님 실력을 어느정도 감지할 수 있겠네요.

제가 위에 1.2번 글 달때는 어느정도 기초개념은 있으신 것 같았는데,

위 문구를 보니, 아직 나모사용법정도만 익히신것 같은 판단이 듭니다.

말씀하신것은 보통 원프레임(노프레임)이라고 합니다.

프레임에 대한 간략한 제 허접답변은
아래 링크에도 있구요. (지금 보니 급하게 달아 놓은거라서 조금 허접하네요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09&docid=350684

이 링크내용에 더 추가를 해서
또 다시 허접답변을 달면,

노프레임을 포털사이트들이 많이 답변확정하는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인 사유는

보여주는 화면이 넓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을 나눈사이트는 보여지는 화면이 제약이 있는 반면,
노프레임 사이트는 그렇지 않죠.

지금 지식 IN 화면도 마찬가지죠.
사용자에게도 좋고,(넓은 화면) 관리자(회사) 측면에서는 정보를 그 만큼 더 보여줄 수 있고.



(질문하신내용)html문서의 크기가 커질 것 같은데,..
// 이것은 PHP를 예를들면 include라는 함수를 쓰면 해결이 됩니다.
메뉴 페이지는 하나만 만들고, 나머지 본 컨텐츠에서는 메뉴페이지(menu.html)를 불러오는 거죠.
기술적인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사실 알고보면 너무 간단합니다.

(질문하신내용)로딩시간이 길게 되는 역효과가 나오지 않을까요?
// 이것은 익스플로러 기능 자체에 임시인터넷파일 기능이 해결해줍니다.
첫 페이지 접속시에 로딩시간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이후부터는 임시적으로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이 해결해준다는 거죠.
(※ 주: 첫페이지 접속시 로딩시간의 체감속도는 모든 전세계사이트에 해당됩니다.
즉, 첫페이지라 함은 자신의 컴퓨터에 한번도 방문하지 않은 사이트이죠 . ^^)

추가로 답변드리면, 노프레임사이트가 서버에는 영향을 줍니다.
(트래픽이란 개념= 방문자 HIT수 개념하고 유사.)인데....
트래픽의 개념으로 볼때는 노프레임보다 프레임을 나눈사이트가 트래픽을 덜 먹죠.
노프레임은 매번 페이지를 볼때 마다 새로정보를 요청하기 때문에 트래픽을 차지합니다.
(※ 주:트래픽의 개념이 더 자세히 궁금하시면 여기 지식IN에서 트래픽이라 검색해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생략하겠습니다.)


허나, 요즘은 워낙 인터넷환경과 서버도 잘 나와있으니 크게 신경은 (회원이 초기에 많지 않는 사이트라면)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 주: 오해하지 마십시오.
위 초기에 [나모사용법정도만 익히신것 같은 판단]란 문구는
님 실력을 비하 하는 것이 아니라, 제 경험과정에서 말씀드렸을 뿐입니다.
내용이 길지 않지만, 자신의 상황을 잘표현한 3번항목인것 같아 칭찬드리고 싶습니다.)

이는 김정균님 초보자들이 질문하는 방법을 보시면 무슨뜻인지 이해가실 것이고,
차후 다른 곳에서 조언을 구할때도 유익할 것입니다.

http://wiki.kldp.org/KoreanDoc//html/Beginner_QA-KLDP/
http://www.oops.org/?t=lecture&sb=beginner&n=1
(※ 주:위 링크의 핵심은 "자신의 상황을 자세하게 알리세요" 입니다.
기술적인 질문을 할때, 질문하는 방법이니, 부담없이 읽어보셔도 좋습니다.)

========================================================================================================

4. 웹호스팅 문제에 대해서 많이 고민을 했습니다.
처음부터 서버호스팅을 할수는 없는 것이고 회원수의 증가치를 고려해서
점점 호스팅을 넓혀나가고 싶은데,
ASP가 되는 윈도우 서버를 지원하는 호스팅의 경우 SQL이 10메가 20메가가 고작이더군요.
이거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저정도 용량이면 충분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회원의 수에 따라서 다르다고 하겠지만, 게시판의 글,
각 회원들마다 맞춤메뉴 저장, 각 회원들마다의 특별한 능력 부여 등을 하려면
약간 어림없지 않은가 싶은데, 이부분에 대해서 듣고 싶습니다.

생각 같아서는 아직도 많은 질문이 머리속에 맴돌고 있지만,
구체화 시키지는 못하겠네요 ^^; 너무 많이 꿈꾸고 있는 것은 아닌지...

추측성 답변은 사양하고 철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점수 올립니다.


▶▶▶▶▶▶▶

네, 맞습니다.
처음부터 무리하게 돈 들일필요없습니다.
상황을 봐가면 하나하나 늘여가는게 정석입니다.

참고로 Database (MS-SQL- 윈도우전용, MySQL - 윈도우,리눅스모두 가능 )는
바이너리 파일(이미지,문서파일)이 아닌 텍스트기반의 자료만 담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10M라 해도 충분합니다. - 특히 시작하는 사이트의 경우는..

제가 조금 과장되게 표현할지 모르나.
게시물이 수천게 되어도 겨우 2~3M정도일껍니다.

많이들 사용하시는 제로보드의 경우에도
데이터(JPG등의 이미지파일을 시작하여,EXE.HWP.DOC) 파일등은 DATA 라는 폴더에 저장(하드공간이용)
게시물+회원정보는 MySQL 에 저장되니,
MySQL 10~20M 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회원증가와 게시물증가 유동추이를 보면서 증설하는 것이 정석이라고 봅니다.


==================================================

글을 마치며,
12시 정도 부터 글작성하기 시작했는데. 벌써 시간이 이렇게 흘렀군요.

사실 12시부터 아는 님에게 부탁을 받은게 있어서 작업에 몰두할려고 했는데.
많은 시간을 지체해버렸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님의 글에 제가 관심을 보인것은

음, 뭐랄까요..


창업관련 모임에 제가 몸을 담으면서

참 많은 사람을 겪었고, 즐거웠던 일도 많았고, 고민해야 될 날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벌써 만 3년이상의 시간이 흐른것 같은데.

후회할 일들은 없었던 것같고, 좋은 기억,추억만이 가득한것 같습니다. 현재로선..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 드리자면.
위에 언급한 사람들이나 제 주변사람들의 공통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적극적이고, 매사에 긍정적이고.
항상 웃음을 잃지 않았던 것이 큰 공통점이였던 것 같습니다.
(추측성 답변은 사양한다 하셨지만, 같습니다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
글쎄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뒤에선 고민의 자국들이 있었겠지만.
많은 사람들 앞에선 당당했던 그 사람들의 모습이 너무나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님의 많은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항상 웃고 삽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너무 한번에 여러가지를 구상하고 계시군요...
우선 작은 홈페지라도 먼저 구축하고,..
운영을 시작해 가면서 장단점, 개선점,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하면서
점차 영역을 넓혀감이 어떨른지요 ~
지금 님이 구상하신대로 시작부터 하려면 너무 자료와 구성자체가
방대하고 실속없어질 수도 있으니.. 또 한편 비용도 무시못할거구요..
처음 얼마동안 운영의 수지가 안맞아 밑빠진 독이 될수도 있죠..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행에 옮겨가면서 구체화, 차별화 시켜감이 좋을듯 합니다.
실질적인 도움이 안되어 미안하지만...
오히려 처음부터 길게 장래를 봐야 할 겁니다.

합니다. 고수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

... 뜻합니다. 사업이라는 것이 망할 수도 있고 성공할... 프리뷰정도의 웹사이트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프레임을... 추측성 답변은 사양하고 철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웹사이트제작을 맡겨볼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웹사이트제작을 맡겨볼까 합니다 제가 지금 헤어샵을 오픈했거든요 이... 네일샵 웹사이트제작 해 보셨던 분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직 디자이너입니다....

웹사이트 제작 의뢰시 궁금한게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앱으로 제작의뢰를 맡기기 위해 내일 미팅을 가지는데 궁금한게 있어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1.... 2.서버비용 웹사이트는 초기에 동시접속100명 정도에...

웹사이트 제작 관련 질문입니다.

... 사이트 제작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목적은 소-중규모의... 광고글 말고 고수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XE는 거의... 동일합니다. XE3도 언급되었는데 XE3는 XE와 전혀 다른...

인터넷 웹사이트 제작 및 운영

... 하려 합니다. 때마침 공동으로 투자하여 해외에 법인까지 설립할수 있는 기회를... 있는데요, 웹사이트 제작부터 운영까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자체 제작을...

웹사이트 개발 고수님에게

... 고수님들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1. 다음 지도 또는 콩나물과 같은 사이트를... 보다 효과적이고 저렴한 개발을 위해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웹 사이트를 구축하시는데...

웹사이트 제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 그래서 고수님들의 도움을 얻고자 합니다. 1. 분류별로...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1. 분류별로 어떻게... 일반적으로 웹사이트를 제작하면서 들어 가는 프로그래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