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님들 깃허브 풀리퀘스트 도와주세요..ㅠㅠ

개발자님들 깃허브 풀리퀘스트 도와주세요..ㅠㅠ

작성일 2023.02.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깃허브 초심자입니다.

풀리퀘스트가 어떤 건지,
특히 제가 개인적으로 만든 저장소에서도 다른 저장소로 풀리퀘를 보낼수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어떤 맥락이냐면,

제가 알고리즘 스터디를 하는데
스터디의 공용 레파지토리를 포크해와서 거기에 커밋을 하고 일주일에 한번 풀리퀘를 보냅니다.

그런데, 포크해온 레파지토리에 커밋을 하는건 제 잔디에 반영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검색해보니 미러푸쉬?라고 포크해온 레파지토리를 복사해서 제 개인 저장소로 만들어서
커밋을 하면 잔디가 채워진다고해서, 만드는데까지는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여기에 커밋을 하고
다음에 스터디 공용 레파지토리에 풀리퀘를 할 수 있는건가요?
(복사된 레파지토리의 풀리퀘 버튼을 누르니까 아무것도 안뜨던데 어떻게 하면되는건지,ㅠ?)
풀리퀘라는게 포크해온 곳으로만 보낼 수 있는건지, 아니면 제가 원하는 레파지토리 어디든 보낼 수 있는 건가요...??
만약 전자라면 제가 한 것 처럼, 미러로 만든 곳에 커밋하는 건 의미없는 짓인거죠 ?ㅜㅜㅜ

깃허브 잘아시는 분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GitHub의 Pull Request는 레포지토리에 대한 변경 제안을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능은 원래 레포지토리 소유자에게 변경 제안을 할 수 있도록하여, 그들이 변경에 동의하면 변경을 기본 브랜치에 병합할 수 있습니다.

Forked 레포지토리에서 원래 레포지토리로 Pull Request를 보낼 수 있으며, 이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필요한 권한이 있으면 개인 레포지토리에서 다른 레포지토리로 Pull Request도 보낼 수 있습니다.

Forked 레포지토리에 커밋하는 것은 그것이 별도의 레포지토리로 간주되기 때문에 기여내역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기여내역을 반영하려면 원래 레포지토리로 Pull Request를 보내야합니다.

질문자님은 포크한 저장소를 개인 저장소로 복사하여, 거기에 변경 사항을 커밋한 다음, 연구의 공개 저장소로 pull request를 보낼 수 있습니다. pull request 버튼은 개인 저장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 가능해야 합니다.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pull request를 보낼 수 있는 필요한 권한을 확인하십시오.

간단히 말하자면, 미러 저장소에 커밋하는 것은 다른 저장소로 pull request를 보내는 것에 의의가 있을 때 의미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