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50]자바 개발, 닷넷개발자등 취업질문드립니다..

[내공50]자바 개발, 닷넷개발자등 취업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08.06.2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제대로 살아보고자 ... 고민끝에 결정한건대요.

저는 29살에 고졸입니다.. 참으로.. 가진것없는 스팩입니다.

 

그나마 관심있는 분야가 IT다 보니깐.. 이 쪽길을 선택했는대요.

JAVA전문개발이나 닷넷개발 공부를 하려고합니다.

아무래도 기초지식이 없다보니.. 맛배기로 국비교육으로 기초를 다지려고 합니다.

물론 남아서 복습도 많이 하려고요.

 

학력도 고졸이고 하니.. 취업할때를 위해 학점은행제로 정보처리산업기사 따고..

JAVA전문개발 교육받아서 .. 중소기업에 취업만 한다면 경력쌓아서 정보처리기사도 따려합니다.

야간대나 방통대는 아직모르겠고요. 그나마 생각한게 이정도입니다.

 

1. 문제는 기초지식이 너무 없다보니

미취업자나 실업자 국비교육으로 JAVA전문개발자 교육을 들을려고 하는대요.

국비닷컴에서 보니깐..

여러군데 너무 많아서 잘 모르겠네요. 어느기관,학원에서 받아야 할지.. 분위기는 어떤지..

교육은 제대로 가르쳐주는지..

혹시 괜찮은 곳 있다면 추천좀해주세요.

현재로선 열린직업전문학교..중소기업청의 [인력채용패키지사업]일환으로 JAVA, JSP, Oracle, EJB, JAVA-Project과정을 생각중인데요. 열린직업전문학교는 3개월교육받고 1개월 중소기업연수받아서 좋긴한대요..

 

하루정도 알아보긴했는데.. JAVA+오라클이라던데.. 

국비교육은 9i라 구버전이라고 .. 요새는 10g라면서.. 10g는 국비없이 교육시 165만원정도 하드라고요,

또 찾아보면 9i는 전체사용이 55%정도.. 10g는 30%정도..

관련 자격증인 OCP나 J어쩌고 2개따고 MOS자격증도 따려고요..

 

2. OCP 10g자격증과정도 있고, 9i+10g자격증과정도 있든데.. 무슨 차이가 있나요?

국비교육으로 9i만 들으면 당연히 힘들겠지만.. 할만하다 적성에 맞으면

따로 수강료내고10g교육도 받아보려고 합니다.

 

3. OCP는 WDP협력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 인정해준다고 하던데..

보기론 중앙정보처리학원과 (주)캐드뱅크도 자체시험,WDP교육센터 라든데.. 맞는지요?

 

참으로 두서없이 적어놨네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자바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정보처리 자격증은 병역특례로 취업할 때 말고는 전혀 쓸모 없습니다.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워낙 많다 보니 회사에서 인정해 주지도 않죠.

 

Oracle 9i나 10g 둘 모두 동일한 sql문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것을 배우셔도 상관 없습니다.

 

개발자로 일하신다면 OCP는 딸 필요가 없습니다. OCP는 DBA가 되려는 사람들을 위한 자격증입니다.

 

.net보다는 java쪽으로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net보다는 java쪽 시장이 큽니다.

 

취업 시 가장 필요한 것은 "난 이런거 만들어 봤고, 이런거 만들 줄 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입니다. 실제로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실력이거든요. 쓸모없는 자격증을 따느라 시간을 허비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시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영어는 필수입니다. 남들보다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원서로 된 글들을 읽어야 합니다. 번역된 글을 읽는다는 것은 이미 다른 사람보다 뒤졌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저는 교육기관에서 교육상담&진로상담을 하는 담당자 인데요

 

취업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신것 같으셔서 답변을 드리니 참고를 하셨으면 좋겠네요!

 

현재 가장 인기있는 취업일자리는 단연 JAVA + ORACLE 조합의 DB 관리자가 아닐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영체제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자바라는 프로그래밍언어와 오라클이라는 DB관리프로그램을

 

통해 DB 관리자로 성장하는 과정을 밟는거죠~!!

 

그렇다면 DB관리자가 어떤직업인지 먼저 알아보고 나서 조언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B관리자가 하는일]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기획·설계하며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 및 유지·보수하는 일을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게임을 할 때 지금까지의 전적, 개인정보 등이 저장되는 것은 이용자의 개인 컴퓨터가 아니라  

  게임업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용자의 이러한 정보들을 담아두는 것이구요~

  이용자는 어느 컴퓨터에서나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게임이 가능하게 되죠~!

  은행에서도 각 계좌에 대한 입출금 내역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두면 이용자는 인터넷뱅킹,

  현금지급기를 통해거래를 할때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와서 일을 처리하게 됩니다.

 

- 데이터베이스가 안정적으로 유지·관리되고 이용자가 쉽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정보의 생산자와 이용자를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구요

  이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단계에서부터 최종 이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방대한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처리, 관리할 수 있는 오라클, MS SQL, My SQL 등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System : DBMS)을 이용하구요

  구축할 정보가 대용량이거나 각종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증작업이 필수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부터 참여하여 자료관리에 대한 총체적인 컨설팅업무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의 범위 및 용도, 주 이용자, 용량, 저장 공간,

  처리속도 등을 고려하여 기획을 합니다.

  또 데이터베이스의 모델링을 통한 논리적·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설계 그리고

  자료의 수집과 분류를 통한데이터 가공, 입력, 편집을 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예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원인을 파악하여 복구합니다.

 

[종사현황]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5,655명으로

 연령별 분포는 30대가 43%이며 학력별로는 대졸이 74.3%로 가장 많습니다.

 

[임금]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관리자의 월평균임금은 283만원으로

상위 25%는 400만원, 하위 25%는 160만원입니다.

 

[근무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설계를 위해 고객과 잦은 회의를 가지구요

또 고객의 기업체에 파견되어 근무하기도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마감 일자에 맞추기 위해 야근과 철야작업을 할 때도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원활히 하기 위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직업전망]

 

현대사회는 산업화를 넘어 지식정보화로 가고 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이를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지식정보화 사회의 경쟁력은 데이터베이스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양적·질적 발전에 기반하고 있기에~!

따라서 수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시장 현황 및 전망』을 보면,

우리나라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시장이
 
급속하게 커지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09년에는 2005년 대비 DB수는 39%, 제작기관 수는 44%, 매출액은 134%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DB컨설팅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 관리 분석하는 사람입니다.

 

데이터(자료)의 범위는 매우 넓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고객과 회원 자료에서 마케팅 자료, 프로젝트 자료, 회계 자료까지 다양하죠

 

컴퓨터는 정보사회를 이끄는 장비이며 정보는 곧 데이터베이스를 뜻하므로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회사 내의 중요 업무를 담당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각종 자료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해당 기업의 모든 사업 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정리 보관 분석 평가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서류 중심의 자료가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고, 최근에는 그림, 동영상,

 

소리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과 각종 기업 활동을 기록한 정보의 집합체가 데이터베이스이고,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이죠~!

 

현재 국내 기업 전산화의 핵심 부분이 바로 DBMS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업에서 메인프레임이나 서버를 구축하고 네트웍을 구성하며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설치하는 이유는

 

모두 DB(데이터베이스)를 수집, 관리,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업 전산화 목적은 좀더 효율적인 DB 관리를 위해서라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때문에 DB가 중요한 기업일수록 데이터베이스관리자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능력에 따른 대우도 크게 향상됩니다.

 

대기업일수록 DB의 중요성이 커지기 때문에 우수한 데이터베이스관리자의 필요성이 커집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가 하는 일은 일차적으로 DBMS를 설계, 구축, 관리하는 일이고

 

다음으로 DB를 분석하는 일입니다.

 

이를 통해 수 많은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통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가장 많이 활동하는 기업은 DB 관련 업체나 컨설팅, 시스템통합(SI)업체 등이지만

 

기타 일반 기업이나 IT 관련 개발업체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입사 초기나 작은 기업에서는 주로 DB 자료를 백업하거나 DB시스템 문제를 해결하는 관리 쪽에 중점을 둡니다.

 

DBMS에 각종 자료를 구축한 다음에 이를 보관하고 업데이트 합니다.

 

문제가 발생할 때는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손상된 자료를 복구합니다.

 

좀더 실력이 향상되면 새로운 DBMS 구축이나 개발에 참여한다. 이런 경우에는 개발팀의 일원이 되는 셈입니다.

 

개발에 이어 좀더 실력이 향상되면 DB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이 정도 수준이 되면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관리자에서 벗어나 컨설팅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DB는 모든 분야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각 산업 분야의 DB에 관련된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 평가해주는 컨설팅 전문가로 발돋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단순한 DB 관리자지만 실력을 키워서 DB컨설팅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현재는 데이터베이스관리자 대우가 좋지 않지만 향후 개선될 전망입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가 되려면 각종 학원이나 교육기관에서 데이터베이스관리자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됩니다.

 

하지만 좀더 나은 취업을 원한다면 전산, 통계 관련 교육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비전공자라면 학원 과정과 DB 관련 자격증 취득을 통해 비전공의 불리함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습니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관리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술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정보기산업기사 등의국가기술자격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취업에 도움이 되고 또 실제로 데이터베이스관리자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취득하는 것은

 

OCP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라클사에서 시행하는 OCP 계열 자격증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CDBA, MCP,

 

인포믹스의 4GL 계열(Developer, Database Specialist, System Administrator), IBM사의 DB2 등이 있지만

 

실제로 취업에 힘이 되는 자격증은 OCP입니다.

 

이들 자격증은 국제 자격증이라 데이터베이스관리자 취업을 지망하는 사람이라면

 

취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지식은 DBMS에 대한 이해와 컴퓨터시스템 관련 지식입니다.

 

DB 공부는 이론 공부도 병행해야 하지만, DB 시스템의 특성 상 실제로 DB 시스템을 만져보는

 

실습 위주의 공부가 필요합니다.

 

 

자바 개발자 취업및 전망(내공40)

... 개발쪽으로 눈을 돌렸는데요 지금 하는 일이 솔직히 30중반까지는 무리없이 할수있다고는 보지만 40이후 50이... 부탁드립니다. [ 자바 개발자 취업및 전망(내공40) ]...

파이썬 개발자취업 시장에 수요가...

... 자바로 바꿔야 하는건지.... ㅠㅠㅠ 내공 70밖에... 추천드립니다. IT컴퓨터분야에대한 실무취업분야로는 자바개발자, 응용프로그래머, 클라우드서버전문가...

MCSD 혹은 닷넷 개발 자격증(MS...

... 질문 드립니다. 1. MCSD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실무... OCNA 네트워크 - CCNA, CCNP, CCSP, CCIE등 자바프로그래머... 최대300만원까지] @미취업자 대상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자바 개발자에 대해서

... 주세요 내공100 [ 자바 개발자에 대해서 ] IT국비지원취업센터장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풀어드립니다. @ 진행하고자 하시는 분야의 정확한...

비전공자 웹개발자 (내공 100)

... 부탁드립니다. 원래는 공기업 준비를 하고 있었지만... + 추가적인 질문 개발자 같은 경우엔 대학과 자격증 보단... 자바 프로젝트 특별반 ◎백엔드 웹개발 국비지원 취업과...

자바개발자 상담

... 싶어서 질문한거라 이메일이나 카카오톡 아이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바개발자 상담 [ 네임카드 ]... 연구원 직업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2005년 1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