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쉬 서로소

해쉬 서로소

작성일 2021.06.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해쉬를 사용해서 값을 저장할 때
배열의 크기가 서로소인 경우 좋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M이 크기라고 하면
어짜피 hash % M 하게 되면
M으로 나눈 나머지 들이 되는데 0~ M-1이 값이잖아요
12라고 하면 12를 나누면 0 ~11 나오고
13이 서로소니까 13도 0 ~ 12 나오는데

HASH 가 큰 값이면 12 * 2
13 * 2 도 다 들어있을테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에서 '서로소'라는 용어는 잘못 사용된 것 같습니다. '소수'가 맞는 말 같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특정 수의 배수가 집중적으로 들어오는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홀수가 짝수보다 월등히 많은 데이터에서 M=12인 해시는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겠죠.

급합니다ㅠ

... (q-1)과 서로 소가 되는 e 계산 gcd(e, (n))= 1 (n)과 e로부터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ed=1 mod (n) 가 되는 d 계산 ․공개키 암호 시스템 구성 공개키 : n, e 비밀키 : n...

정보보안 기술의 종류 및 특징

... (q-1)과 서로 소가 되는 e 계산 gcd(e, (n))= 1 (n)과 e로부터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ed=1 mod (n) 가 되는 d 계산 ․공개키 암호 시스템 구성 공개키 : n, e 비밀키 : n...

해쉬 서로소

해쉬를 사용해서 값을 저장할 때 배열의 크기가 서로소인 경우 좋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M이 크기라고 하면 어짜피 hash % M 하게 되면 M으로 나눈 나머지 들이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