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ini파일이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win.ini파일이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작성일 2004.07.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컴퓨터가 엄청난 스파이웨어에 걸려 몇번의 검사끝에 지금은 대체로 괜찮습니다. 아마 식구들중 다른 사람이 쓰다가 그런거 같은데...문제는 무슨 프로그램을 지웠는지 컴터 부팅시 초기화면에 fntldr.exe를 지우라는거 하고 win.ini를 찾아서 뭔가를 하라는 메세지가 2번 뜹니다.
(win.ini에서는 뭔가를 수행할 수 없다는 메세지인거 같아요)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어요. 익스플로러는 자꾸 다운되거나 연산을 잘못했다고 꺼져버리고...
터보백신으로 검사한 결과 바이러스는 없다고 하는걸로 봐서는 시스템 문제인거 같은데..아시는 분..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WIN.INI 화일은 윈도우즈의 기본적인 모습과 작동 양식을 지정해 놓은 내용을 담고있는 파일이다. 에러가 났을 때의 BEEP음 ,배경그림등 겉모습을 지정해 놓은 화일이지만 프린터의 종류,통신 포트도 들어가 있다. 파일의 구조는 단순한 ASCII 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한 EDITOR로 내용을 보고 수정이 가능하다.

[colors]
component 키워드는 윈도우즈의 각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r,g,b값은 red,green,blue의 색값을 가지며 파라미터는 0~255 까지 이다. 이 영역은 Control Panel 에서 색을 보며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직접 바꿀 필요는 없다.

[compatibility]
윈도우즈 3.0과 3.1 사이의 차이에서 발생할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담은 행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행의 키워드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고, 파라미터는 16진수로 되어있다. Setup 프로그램이 처음 설치할 때, 자동으로 약 20 여 개의 엔트리를 생성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각자의 설치프로그램이 스스로 새로운 행을 추가한다. 이곳은 절대 손대지 말아야 한다.!!

[desktop]
여기에는 윈도우즈 데스크탑의 모양이나 형태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있는 키워드들도 윈도우즈가 자동으로 관 리한다.
CridGranulariy=number(default:0)
윈도우즈는 보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윈도우를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키워드를 0이 아닌 값으로 하면, 그때는 바둑판과 같은 가상적인 '틀'안에만 놓여진다. 값은 1~49 까지 가능하며 값이 증가 할때마다 가로,세로 각각 8 픽셀씩 틀이 넓어 지게 된다. 하지만 아이콘의 위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ControlPanel의 Desktop 다이얼로그 박스 왼쪽 아래에 있는 Granularity spinner를 이용해서 변경이 가능하다.
IconSpacing=pixels (default:77)
이 키워드는 윈도우즈가 Arrange Icon 명령을 수행할 때, 각 아이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 세팅역시 Control Panel의 Desktop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Spacing spinner에 의해 조정 가능 하다.
IconTitleName=fontname(default:MS Sans Serif)
이 키워드는 제목을 표시할 폰트를 선댁한다.
IconTitleSize=number(default:8)
아이콘 제목의 텍스트 크기를 지정한다. 고해상도 모드에서 이 값을 크게 해주면 제목을 읽기가 편해진다.
IconTitleWrap=0 | 1(default:1)
기본적으로 윈도우즈는 아이콘의 제목이 길면 이것을 두세줄로 나누어서 IconSpacing에서 정한 크기 안에 맞추어준다. 이게 싫으면 Control Panel의 Desktop 섹션에서 WrapTile 체크박스를 꺼버리면 된다.
IconVericalSpacing=pixels(default:다른 사항에 따라 다름)
윈도우가 아이콘을 정돈할 때 세로 간격을 지정한다. 값은 IconTitlSize와 디스플레이드라이버에 따라 다르다. 이 값을 바꾸 려면 직접 에디트 한다.
Pattern=b1 b2 b3 b4 b5 b6 b7 b8(default:"(None)")
데스크탑의 배경 패턴을 조정한다. Control Panel의 Desktop에서 지정할수 있다. 8개의 숫자는 각각 8개의 픽셀 비트맵을 표시한다. None는 없음을 나타낸다.
TileWallpaper=0|1(defalt:0)
현재의 배경 그림이 중앙에 놓일것인지 타일로 붙여질것인지를 결정한다. ControlPanel 의 Desktop에서 변경 가능하다.
Wallpaper=bitmap-filename(default:"(None)")
배경 그림의 비트맵 데이타가 저장된 파일의 패스와 파일 이름을 정한다. ControlPanel의 Desktop에서 변경 할수 있다.
WallpaperOriginX=number(default:0)
WallpaperOriginY=number(default:0)
윈도우즈는 원래 배경 그림의 이미지를 좌상단에서 부터 타일로 붙이는데, 이 값을 0 이외로 하면 타일이 시작되는곳을 다른곳 으로 변경할 수 있다.

[devices]
이 섹션은 윈도우즈 2.x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포함된 것이다. 윈도우즈2.x 에서는 이 기능이 [printerPorts] 와 같았다. 이 섹션도 절대로 수정하거나 삭제해서는 안된다. 어떤 프로그램은 [printerPorts]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 부분을참조 하기 때문이다.
device=driver,port[,other ports ..]
device 파라미터는 [Windows] 섹션에 나와 있는 device= 행에서처럼 프린터의 이름이 들어간다.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의 프 린터 선택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나타나는 것과같다. driver 파라미터는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의 이름인데 확장자는 생략된다. 만약에 한 프린터를 하나 이상의 포트에 연결 했다면, 각 연결이 그 프린터의 device= 행에 나타난다.
ex> HP LaserJet III=HPPCL,FILE:,LPT1:

[embedding]
object=description,description,programfile,foramt
이 행은 OLE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임베딩될 수 있는 오브젝트의 클래스를 정의한다.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ex> ExcelWorksheet=Microcoft Excel
WorkSheet,Micor Excel Worksheet,
C:\EXCEL
이 부분은 윈도우즈 3.1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포함된것으로사용자가 임으로 변경해서는 안된다. - 앞 으로 이 부분이 필요없게 될 것이라고 보이지만, 아직은 데이타 베이스가 아니라 WIN.INI 화일을 참조하는 OLE 클라이언트 그 로그램이 많기 때문에 이
부분을 지우지 말아야 한다.

[extensions]
extension=command line
각 행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타 파일의 확장자를 묶어준다.
ex> ini=notepad.exe ^.ini
여기에 리스트된 데이타 파일을 '실행' 시키면, 윈도우즈는 해당하는 관련 프로그램을실행시키고 그 프로그램이 데이타 파일을 읽어 오도록 한다. 한 애플리케이션에 여러확장자를 관련 시킬수 있지만, 한 개의 확장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만 묶여진 다. UNIX나 4Dos의 alias 기능과 비슷 하다.

[fonts]
이 부분은 윈도우즈가 각 섹션을 시작 할 때, 어느 폰트를 로드할 것인가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다.
font-name=fontfilename
font-name은 윈도우즈의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나타나는 폰트 이름이고, fontfilename은 그 폰트를 담고 있는 파일 이름이다 . 이 부분은 단순히 엔트리를 추가하는것만으로는 그 폰트를 사용할수가 없고 Control Panel의 Fonts에서 폰트를 설치해야 만한다.

[fontSubstitutes]
이 영역에는 폰트 리스트에 대해 대체 폰트에 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각 행은다음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font-name=fontname
윈도우즈는 초기에 다음과 같은 네개의 화일을 작성한다. 이는 이전 버전에 포함되어 있던 폰트를 3.1 에서 사용하는 화일 로 바꾸어 주는 것을 지정한 것이다.
Helv=MS Sans Serif
Tms Rmn=MS Serif
Times=Times New Roman
Helvetica=Arial

[intl]
이 부분은 주로 숫자들의 출력 형태를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숫자들에는날짜와 시간도 포함된다. 'i'로 시작하는 엔트리는 정수를 나타내고, 's'로 시작하는 엔트리는 Contorl Panel의 International 에서 지정할수 있다.
iContry=contry(default:1)
표준적인 형태로서 사용할 국가를 표시한다. 국제 자동 전화 코드와 동일하다.
iCurrDigits=number(default:2)
통화 표시에서 소수점 뒤에 들어가는 숫자의 수를 정한다. 소수점 문자는 'iContry='세팅에서 지정한 값에 따라 쉼표 혹은 마침표가 사용된다.
iCurrency=number(default:0)
화폐 기호의 위치를 정한다. 값이 0 이면 숫자의 앞에, 1 이면 숫자의 뒤에,그리고2 이면 기호를 앞에 표시하고 숫자와 기 호 사이에 공백을 삽입 한다. 3은 통화 기호를사용하지 않는다.
iDate=number(default:iCountry 세팅에 따른다.)
날짜 표시의 형태를 정한다. 값은 0(mm/dd/yy), 1(dd/mm/yy), 2(yy/mm/dd) 중 하나이다. 윈도우즈 2.x와의 호환성을 위 해서 삽입된 것으로 지워도 상관이 없다.
iDigits=number(default:2)
숫자 표시에서 소수점 오른쪽에 표시될 숫자의 갯수를 정한다.
iLZero=0|1(default:1)
metric(0), English(1) 중에서 어느 도량형을 사용할 것인지 정한다.
iNegCurr=number(default:0)
통화 표시를 할때,음수의 처리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정한다.
iTime=number(default:0)
시간 표시를 12 시간(0) 혹은 24 시간(1)표시로 한다.
iTLZero=number(default:0)
시간 표시에서 처음에 나오는 0을 표시할 것인지를 정한다.
s1159=string(efault:AM)
오전 시간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열을 지정한다.
s2359=string(default:PM)
오후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지정한다.
sCountry=string(default:United States)
표준으로 사용할 국가의 이름을 문자열로 입력한다.
sCurrency=string(default:$)
화폐 기호로 사용할 문자를 정한다.
sDecimal=string(default:.)
소수점으로 사용할 문자를 정한다.
sLanguage=string(default:enu)
표준 언어를 표시한다. 어떤 윈도우즈 프로그램은 문자열의 정렬 순서를 정할때 이값을 참조하므로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정 확히 입력해야 된다.

sLis=string(default:,)
리스트에서 아이템을 구분하기 위한 인용 부호
sLongDate=format(default:dddd/MMMM/yyyy)
long-date 포맷을 결정한다.
sShortData=format(default:M/d/yy)
short-data형태를 정한다.
sThosand=string(default:,)
999보다 큰 숫자에서 3자리마다 표시하는 분리 문자를 정한다.
sTime=string(default::)
시간값을 표시할 때, 분리 문자를 지정한다.

[mci estensions]
extension=mdidevice type
wav=waveaudio
mid=sequencer
rmi=sequencer
mmm=animation
이 행들은, 윈도우즈 Setup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삽입된다. 이 행들은 윈도우즈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정하도록한다. 건드리지 말자!!

[network]
drive=network sever and share
이 행은 윈도우즈에서 각 세션이 시작할 때 복구해야할 네트워크 연결을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이 행을 변경하려면, File 매니저의 Disk 메뉴에서 Network Connections명령을 이용한다.
inRestoreNetConnect=0|1(default:1)
시작시에 네트워크 연결을 복구할 것인가를 윈도우즈에게 알린다. 이 세팅을 바꾸려면, Control Panel의 Network섹션을 이용 한다. 만약에 이 다이얼로그 박스에reconnect 옵션을 가지지 않았는데, 초기에 네트워크 재연결을 원한다면 이 세팅을 1로 고친 다.

[port]
이 부분은 시스템의 프린터 포트와 시리얼 포트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각 시리얼포트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도 담고 있다. 최대 10개까지 포트 지정이 가능하다. 통신파라미터를 변경하려면, Control Panel의 Ports를 이용하면 된다. WIN.INI에는 다음 과같은 형태로 정보가 기록된다.
portname:=baud rate,parity,word
length,stop bit [[p]]
입력 가능한 엔트리는 다음과 같다.
LPTn:= 병렬 프린터 포트를 지정한다. 다른 등호와 달리 앞에 :이 들어간다
.
CCMn:=
EPT:= IBM Personal 프린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파라미터는 필요없다
.
FILE:= 디스크로의 프린터를 위해서 사용한다. 이행도 파라미터가 없다.

만약 현재 프린터가 FILE: 이란 이름의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면, 윈도우즈는 파일 이름을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출력을 그 파일 로내보낸다.이 출력된 파일은 도스의 COPY명령이나파일 매니저의사용으로 프린터로 보낼수 있다. filename.ext= 특정한 이름의 파일로 프린트할 때 사용한다. 이 경우는 윈도우즈가파일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LPTn.ext= 윈도우즈가 직접 포트로 프린트 하는 것을 막는다. 만약 병렬 포트로 프린트를 하며서 도스의 인터럽트 21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행을 추가한다.
LPT1.DOS= 이 행역시 파라미터가 필요없다. 확장자로 어떤 문자를 쓰던 상관없다. 이 때 윈도우즈는 보통의 파일 줄력을 넘기 고, 도스는 처음 4글자를 인식해서결과적으로 도스의 인터럽트를 이용해서 프린터 출력을 하게 된다
.
[printPorts]
이 부분은 프린터 드라이버가 어느 포트에 연결 되어 있는지, 어떻게 세팅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Control P anel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이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추가되는데, WinFax나 Publisher의 Powetpak 등은 스스로 자신이 사용하는 가상 포트를 이 부분에 추가 하기도한다. 사용자는 이부분의내용을 손대지 말아야 한다.
device=driver, port, Device Timeout, Retry Timeout[,other ports...]..
device는 우리가 사용하는 프린터의 이름이고, Driver는 .DRV 확장자가 생략된 프린터드라이버 파일의 이름이다. 이 파일의이 름이 SYSTEM 디렉토리에 없으면 전체 패스를입력해야 한다. Port는 [ports]부분에서 지정된 포트중 한가지 이다. Device Timeou t은프린터가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시간 경과 에러가 발생하기전까지 기다리는최대 시간을 지정한다. Retry Timeout은 데이타를 프린터로 보냈다는 신호를 기다리는데 사용하는 표준 시간을 정한다.

[programs]
이 부분은 [windows] 섹션의 'programs='행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도스의 PATH변수의 값을 확장한 것으로 볼수 있다. 만 약에테이타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관련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고 할때,도스의 패스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없으면 도스는 그프로 그램의 위치를 입력하도록 요구 하는데, 이 파일이 제대로 로드된 후에윈도우즈는이 섹션에 다음고 같은 행을 추가한다.
program file=drive\drictory\program file
이 행을 직접 수정할 필요는 없다.

[sounds]
이 영역은 Control Panel의 Sound에서 지정한 각 사건마다의 사운드 파일에 대한 맵핑을 담고 있다.
system-event=filename,description
event 윈도우즈의 시작, 종료, 잘못 클릭했을 경우 등 filename 사운드를 담고 있는 파일
description 구체적인 소리
Control Panel의 Sound에서 수정하면 되므로 직접 건드릴 필요는 없다.

[TrueType]
OutlineThreshold=pixels pet em(default:256)
윈도우즈는 외곽선 폰트를 두가지 스캔컨버터를 이용해서 비트맵으로 전환한다.한가지는 작고 해상도가 낮은 비트맵, 나머지 는 큰 크기의 고해상도 비트맵을 위한것이다.
이 키워드는 윈도우즈가 어떤 스캔 컨버터를 이용할것인가를 결정한다.
TTEnable=0|1
TrueType 폰트를 사용할 것인지를 정한다. TrueType 폰트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Control Panel의 Fonts에서 TrueType 버튼을 누르고 Enable TrueType Fonts라는 체크박스를 지우면 된다.
TTifCollisions=0|1(default:0)
만약 TrueType 폰트와 다른 폰트가 같은 이름과 같은 캐릭터 집합을 가지고 있는 경우, 윈도우즈는 이 키워드의 값에 의해서 어느 폰트를 사용할것인가를 결정한다. 디폴트 값은 윈도우즈가TrueType폰트가 아니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Windows]
이 부분에 포함된 행들은 주로 윈도우즈 시스템의 겉 모습에 관련된 사항을 담고 있다. 대부분 Control Panel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 들이다.
Beep=Yes|No(default:Yes)
에러가 발생한 경우 경고음을 보내느냐 보내지 않느냐를 결정한다. Control Panel의 Enable System Sound라는 체크 박스를 지우면 경고음이 없어진다.
BorderWidth=number(default:3)
윈도우즈 크기 조정을 위한 테두리의 굵기를 정한다. 1부터 49까지의 값을 가진다. Control panel의 Desktop을 열어 변경 가능하다.
CoolSwitch=0|1(default:1)
Alt+Tab 키와 Alt+Shift+Tab 키의 동작을 정한다. 이 값이 1이면, Alt+Tab키 로 프로그램을 전환할 때, 윈도우즈는 화면의 중앙에 변환될 프로그램의 이름이나 아이콘을 표시해 준다. 마찬가지로 Alt+Shift+Tab은 반대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순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값은 Control Panel의 Desktop에서 Fast "Alt-Tab" Switching 이라는 체크 박스에 의해 바꿀수 있다.
DefaultQueueSize=number(default:8)
이 행은 한개의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큐에 들어 갈 수 있는 메시지의 최대값 을 정한다.보통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주로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는 사람들이 시험을 위해서 사용하는 항목으로 일반 사용자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Device=output device name,device drivet,port connection현재 설치된 프린터 의 기본 세팅을 기록해 놓는다. 이 행은 Contro l Panel의 Printer 에서 변경할 수 있다.
DeviceNotSelevtedTimeout=secods(default:15)
윈도우즈가 프린터 출력시에 시간 초과 에러를 내기 전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초 단위로 정한다.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프린 터에 대해서 값을 변경하려면 이행에서 직접하고 각각의 프린터에 대해 지정하려면, Control Panel의 Printers에서 Connect옵 션을 이용한다.
Documents=extensions(default:none)
윈도우즈가 문서파일로 취급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명시한다. 각 확장자 빈 공간을 두어 구분한다. 이 행에 들어 있는 확 장자가 [extensions]부분에도 들어 있으면 이 행에서 확장자를 빼도 된다.
DodPrint=Yes|No(default:No)
윈도우즈는 보통 프린터 출력은 도스의 인터럽트 21H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직접하드웨어 포트로 보낸다. 이렇게 하면 출 력은 상대적으로 빨라지지만, 하드웨어 호환성이 완벽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Control Panel의 Printers에서 Connect버튼 을 누르면 다이얼로그 박스가 나타나는데, 거기에서 Fast Printing Direct to Port 라는 체크 박스를 지워 주면 이 행이 'Yes '로 된다.
DoubleClickHeight=pixels(default:4)
DoubleClickWidth=pixels(default:4)
이 엔트리들은 더블-클릭하는 도중에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만약에 마우스를 더블-클릭하면서 이 값 이상의 거리로 마우스 커서가 이동되면 더블-클릭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DoubleClickSpeed=milliseconds(default:452)
마우스의 클릭 두번이 더블-클릭으로 인식될 수 있는 클릭 간격을 밀리 초 단위로 정한다. 만약에 같은 위치에서의 클릭일지 라도 이 값보다 클릭 사이의 간격이 길면 두번의 독자적인 클릭으로 인식된다. Control Panel의 Double Click Speed라는 스크롤 바를 이용해서 이 값을 조종할수 있다.
KeyboardDelay=milliseconds(default:22)
키 입력이 반복되기 위해서 키를 누르고 있어야할 시간을 정한다. 반복 입력이 되는 시간을 보다 빠르게 하려면, 이 값을 줄 인다. Control Panel의 Keyboard에서 이 값을 조정할수있다.
KeyboardSpeed=number(default:31)
키를 계속 누르고 있을 때,키 입력이 반복되는 속도를 정한다. 숫자가 클수록 키보드의 반복 입력은 빨라진다. Control Panel 의 Keyboard에서 조정할 수 있다.
Load=filename(default:none)
윈도우즈 세션이 시작할 때 실행시킬 프로그램들을 정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입력하려면 공백문자를 이용한다.
MenuDropAllignment=0|1(default:0)
윈도우즈가 drop-down 메뉴를 만들 때,타이틀의 오른쪽,또는 왼쪽을 정한다. 처음에는 이 행이 WIN.INI 파일에 없기 때문에, 디폴트 값은 왼쪽에 정돈하게 되어 있다. 이 행은 사용자가 추가해야한다.
MenuShowDelay=milliseconds(default: 386이상에서는 0, 286은 400)메뉴 바에서 항목을 클릭한 후에, 메뉴를 표시할 때까지 지연 시간을 정한다.
MouseSpeed=0|1|2(default:1)
MouseThreshold1=pixels(default:5)
MouseThreshold2=pixels(default:10)
이 세 행은 마우스의 움직임에 같게된다. MouseSpeed가 0 이면, 마우스의 이동과 포인터의 이동이 같게 된다. MouseSpeed 가 1 이면,마우스가 MouseThrehold1에 지정된 픽셀보다 큰 폭으로 이동하면 마우스 포인터를 2배 정도 빨리이동시킨다.
MouseThreshold2에 지정된 픽셀보다 마우스의 이동이 크면, 마우스 포인터를 4배정도의 속도로 이동시킨다.
MouseTrails=number(default:0)
이 세팅은 1에서 7까지의 값을 가진다. 잔상효과를 얻는데 사용된다.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드라이버는 표준 EGA,VGA,Sup er VGA드라이버 뿐이다. Control Panel의Mouse에서 Mouse Trails라는 체크박스 에서 정한다.
NetWarn=0|1(default:1)
만약 윈도우즈가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 하도록 되어 있고 NetWarn이 1로 되어 있으면 ,네트워크가 불가능할 때, 윈도우즈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 메시지를 없애려면, Control Panel의 Network에서 Network Warnings옵션을 지운다.
NullPort=string(default:"None")
구버전의 윈도우즈는 한개 이상의 프린터를 같은 프린터 포트에 할당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만약 프린터가 두개 있고, 포 트는 한개 뿐인 경우에는, 두개의 프린터 중 한개는 널 포트에 할당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at) 윈도우즈가 프로그램으로 인 식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지정한다. 확장자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Run=filename(default:none)
윈도우즈가 시작될 때, 실행시키고 싶은 프로그램을 이 행에서 지정할수 있다. 파일 이름의 구분은 공백으로 한다.
'Load='와 다른점은 'Load='는 프로그램을 최소화 하여서 실행하지만 'Run=' 은 실행시킨 프로그램은 정상적인 윈도우로 실 행된다.
ScreenSaverActive=0|1(default:0)
스크린 세이버의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Control Panel의 Desktop에서 조정할 수있다. 디폴트 값은 스크린 세이버를 사용치 않는 것이다.
ScreenSaverTime=seconds(default:120)
스크린 세이버가 가동될 때까지 얼마만큼 시간을 기다릴 것인가 정한다.
기본값은 2분이다. Control Panel의 Desktop에서 조정 가능하다.
Spooler=Yes|No(default:Yes)
프린트 작업이 프린터 매니저에 의해서 제어되는가를 정한다. 이 값을 'No' 로 하면 프린트 작업을 보다 빨리 할수 있지만, 한번에 한개의 작업만이 가능하다. 스풀러를 끄려면, Control Panel Printers에서 Use Print Manager라는 체크 박스를 지운다.
SwapMouseButton=0|1(default:0)
마우스의 주 버튼 위치를 바꾼다. 이 값이 0이면, 마우스의 왼쪽 버튼이 주 버튼이 된다. 1은 반대가 된다. Control Panel의 Mouse에서 Swap Left/Right Buttons를 선택하면 된다.
TransmissionRetry/Timeout=seconds(default:45)
윈도우즈가 테이타를 프린터로 전송했다는 신호를 받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정한다. 단, PostScript 프린터를 사용한는 경 우는 여기서 정한 값의 두배의 시간을 기다린다. 시간이 지나면 시간초과 에러를 발생한다. 이 값을 에디트하려면[printerPort s]에 있는 RetryTimeout을 에디트 해야 한다. Contr
ol Panel의 Printer 옵션에 있는 Connect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Transmission Retry 값을 바꾸면 된다.

[Windows Help]
이 영역에는 도움말 화면의 윈도우나 다이얼로그 박스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도움말 화면에서 사용되는 매크로, 문자의 색 깔, 메뉴 윈도우 모양에 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M_WindowPosition=[상단X좌표,좌상단Y좌표,넓이,높이,0|1]주 도움말 윈도우의 초기 위치와 크기를 정한다. 처음 두개의 파라 미터는 윈도우의 좌상단의 X,Y 좌표를 나타내고, 다음 두개는 윈도우의 크기를 픽셀 단위로 나타낸다. 마지막 파라미터는 윈도 우즈가 최대로 되어 있을 때´ 박스의 위치를 정한´
이 각 파라미터의 역할은 위와 같다.
A_WindowPosition=[좌상단X좌표,좌상단Y좌표,넓이,높이,0|1]도움말 시스템의 Annotate 다이얼로그 박스의 위치를 정한다.
C_WindowPosition=[좌상단X좌표,좌상단Y좌표,넓이,높이,0|1]도움말 시스템의 Copy 다이얼로그 박스의 위치를 정한다.
IFJumpColor=r g b
도움말 중에서 파일간의 이동에 사용되는 글자 색을 지정한다. 이 글자색으로된 텍스트는 클릭되면 다른 도움말 파일에서 정보를 찾아서 이동하게 된다. 윈도우즈내에서는 바꿀수 없으므로 직접에디트 해야한다.
IFPopupColor=r g b
윈도우즈 도움말의 파일간 pop-up 텍스트의 글자 색을 지정한다.이 색으로 지정된 텍스트는 클릭하면 pop-up 윈도우가 나 타나서 다른 도움말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간략한 설명을 출력해 준다.
JumpColor=r g b
도움말 중에서 이동을 위한 글자색을 지정한다. 클릭하면 같은 도움말 파일 내에서 지정한 위치로 이동한다.
MacroColor=r g b
매크로를 수행하는 텍스트 색을 지정한다. 클릭하면 해당 매크로가 수행된다.
PopupColor=rg b
윈도우즈 도움말의 pop-up텍스트의 글자 색을 지정한다. 클릭하면 pop-up 윈도우가나타나서 같은 도움말 파일에 기록되어 있 는 간략한 설명을 출력해 준다.




안녕하세요 일단은 win.ini 가 하는일은 위에 써놓앗구(윈도우정복 -책발췌-)

시작의 찾기 에서 fntldr.exe 파일을 찾아서 지워주시고요

98이라면 시스템파일검사기(sfc) 를 xp 시라면 시스템복원메뉴로 복원을 해보시고

그래도 안돼시면 문의나 전화주세요

cafe.daum.net/comdoumi

제가 카페운영자 '부엔지니어'입니다.

02-2695-0889 로 연락주셔도 친절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win.ini파일이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 처음에는 이 행이 WIN.INI 파일에 없기 때문에, 디폴트 값은 왼쪽에 정돈하게 되어 있다. 이 행은 사용자가 추가해야한다. MenuShowDelay=milliseconds(default...

worm.win32.agobot.272387 바이러스에...

... WIN98 에러 현상: 부팅시 치명적인오류가 발생하였읍니다라는문구(055F000158C번지...) 생각되는 원인: SYS템 파일... SYSTEM.INI의 [386enh] 섹션에서 다음의 형식을 가진 줄을...

NTLDR의 존재는 무엇인가요?

... 이외에도 ntdetect.com, boot.ini 등이 있습니다 C 루트에 있는 ntldr, boot.ini, ntdetect.com 세개 파일을 다른 컴퓨터에서 복사하여 놓으면 됩니다. 해결 방법 상세...

win xp 54가지 팁 정리된거에 관해서..

... ======================================================= 이하가... 1.도스부팅티스켓(Win98/me부팅디스켓,XP에서 포맷시... C:\WINNT\system32폴더에서 oeminfo.ini 파일을 찾아서...

포지다운파일좀요

... (Forge)란 무엇인가? 모드를 마크가 읽어 오려면... 마크포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공식 파일 다운 사이트는 http://files.minecraftforge.net/ 입니다. (1.5.2 이하 버전은...

exe파일이 도스로 연결되여~~

... WIN98 에러 현상: 부팅시 치명적인오류가 발생하였읍니다라는문구(055F000158C번지...) 생각되는 원인: SYS템 파일... SYSTEM.INI의 [386enh] 섹션에서 다음의 형식을 가진 줄을...

포지,모드파일 (소닉쉐이더)

... (Forge)란 무엇인가? 모드를 마크가 읽어 오려면... 마크포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공식 파일 다운 사이트는 http://files.minecraftforge.net/ 입니다. (1.5.2 이하 버전은...

IT관련 NETWORK 문제입니다. 꼭 좀...

... 1.네트워크 연결 WINS주소 2.BOOT.INI SETTING 3.네트워크... 2.WIN XP설치 후 default는 "네트워크 사용자의 파일...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HOST NAME RESOLUTION 은 무엇인가? 1....

초악성 바이러스 어떻게 해야하죠?

... 서비스나 system.ini 혹은 win.ini 파일에 등록되어서 계속... ^^) 위의 화면처럼 MCI Extensions.BAK 이하의 모든 부분의... 이미지 파일 만들고 설명을 적었는데.. 무엇인가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