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OCA, OCP) + 임상통계(CRA) 에 대한 전망은 어떨지?

오라클(OCA, OCP) + 임상통계(CRA) 에 대한 전망은 어떨지?

작성일 2011.04.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임상 통계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흔히 CRA라고 하는 일이죠.

 

제 질문은 임상통계쪽에서 일하고 계시는 분이나 오라클 쪽에서 일하는 분들 모두의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번호를 사용해서 질문하겠습니다.

 

 

 

1. 오라클 자격증(OCA,OCP)을 딸까 생각중인데, 아는 분이 만류하시더군요.

 

DB쪽 언어는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이 아니면 필요없다고 합니다.

 

데이터를 인풋하고 아우풋 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조화를 하고 이런일들, 막상

 

임상조사 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할일은 아니라고 하더군요.

 

프로그램 하는 사람이 연동해서 DB를 다루지, 일선에서 뛰는 사람이 뭐하러 DB쪽

 

자격증을 따느냐고 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가 궁금한 것은 실제로 DB쪽에서 일하시는분들 대부분 프로그래머 이고,

 

프로그래머가 아니면 구지 오라클 자격증 같은 DB쪽 능력이 필요없는게 맞는지 입니다.

 

사실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

 

 

2. 아직 2학년이라 선배들에게 건너건너 들어서 아주 구체적으로는 모르지만,

 

제가 알기로는 임상 통계쪽에서 일할 수 있는 DBA가 너무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통계쪽의 소스를 데이터화 하려면, 통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되는데 그게 없다나 뭐라나...

 

그런데 1번 답변에서 DB가 프로그래머가 아닌이상 구지 필요없다 라는 식으로 되어버리면,

 

제가 DB쪽 능력을 기른다고 해도,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어느정도 되지 않고서는

 

이것을 임상 통계쪽으로 접목시키기는 사실상 힘들지 않을까요?

 

백만원 이상 돈들어가는 자격증인데, 임상통계쪽으로 가려는 제가 땃다가 괜히

 

돈만 아까워 지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지식인 여러분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진솔한 답변 해주신 분들께 내공 확실히 보장해 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임상통계학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오라클 쪽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답변 드려보겠습니다.

 

대개의 경우 프로그래머가 들어가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객" ---> "프로그래머" ---> "임상조사 쪽에서 일하는 관리자" 


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고객이 임상조사측에 무언가 요구하는 것들이 증가하거나 다채로워짐에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그 부분을 반영하기 위해서 홈페이지를 수정하거나 특정소프트웨어 기능들을 수정 및 변경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걸 고객이 요구한다고 해서 프로그래머가 바로 반영하지는 않겠지요.

 

대개의 경우 임상조사측 회사의 관리자(대개 그 회사의 정규 직원) 이 회사내의 동료들끼리


회의 및 논의 끝에 프로그래머에게 요청을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래머는 그 요청에 응하여 작업을

 

하겠지요.

 

이때 이 프로그래머의 역량은 코딩능력 및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방법 거기에 더 나아가서 그 업무의

 

특성(임상조사 관련 학문) 등에 대해서 지식이 있다면 더 훌륭한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 때 회사의 관리자는 정규직원이지만 대개의 경우 이 프로그래머는 비정규직으로 아웃소싱등에


의해서 임시직으로 고용되어 프로젝트성으로 근무하며 치고 빠지는 타입의 직원이랄수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가 이렇게 임시적으로 프로젝트에 투입되서 프로그래밍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구요,

 

이 사람들은 임상관련회사 가 특정한 IT업체와 계약을 맺음으로써 이 프로그래머들이 그 회사에

 

상주하며 프로그래밍등의 업무를 수행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아는 분이 "데이터를 인풋하고 아우풋 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조화를 하고 이런일들" 막상 임상조사 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할일은 아니라고 하신부분은


아마도 위에서 제가 말씀드린 중간레벨의 '프로그래머' 가 되기 보다는 '임상조사관련회사의 정규직원' 이

 

되서 실제 프로그래밍에 개입 및 관여하는것이 아니라 고객의 요구를 분석하고 회의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프로그래머에게 요청하는 정규 직원을 하라는 것 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정규 직원이 프로그래머에게 요구 만 하고 그 결과를 감독하는 역할 을 하는것이 대부분이지만,

 

그 외에도 회사에서 정규직원에게 이 프로그래밍 하는 부분을 공부하고 직접하라고 지시를 내려서

 

프로그래밍 업무까지 병행하게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좀 힘들고 안좋은 회사로 가게 되면


이렇게 일이 많아지게 되겠지요. ^^;

 

 

"실제로 DB쪽에서 일하시는분들 대부분 프로그래머 이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잘못된 것임을 지적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DB 와 프로그래머를 같이 보신다는 것은 틀린 부분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대개의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래밍 하기 위해서는 DB 를 기본적으로 접근해서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DB 사용법을 숙지 및 이해하는 수준이지,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해서 DB를 한다 라는

 

부분을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DBA 는 프로그래머와는 다르다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DBA 의 주 역할은 프로그래밍이 아닙니다.

 

 

"임상 통계쪽에서 일할 수 있는 DBA가 너무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정확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여기서 말하는 DBA 가 정확히 순수 DBA 업무 만을 수행하는 DBA 시라면 Oracle 관련 자격증은 필요할 것이며, 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만 이 분야에 대해서 알아가는 과정은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 여기서 말하는 DBA 가 프로그래밍도 하고 DB도 기본적으로 관리할줄 알아야 하는 부류의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라면 프로그래밍을 주류로서 할줄 알아야 하며 DB 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수준에 한해서는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잘못된 상식중의 하나이지만, DBA 와 프로그래머 간의 차이에 대해서 혼동을 많이 하십니다.

 

프로그래머는 주로서 프로그래밍 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기본적으로 이 프로그래머들은 DB에 대해서 기초적인 사용법은 대개의 경우 숙지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위주로 종사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DBA는 프로그래밍에 개입하지 않으며 프로젝트 초입기에 Database 설계 및 구현 그리고 성능분석, 튜닝, 안정화 및 시스템 운영시 DBMS 유지등의 업무를 수행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지만 DBA 도 같이 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라는 분들은 규모가 작은 소형업체 에서 인력충당에 드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한명을 멀티플레이어로서 일하게 하는 경우로서 저와 같은 경우에는 특정부분에 심도있게 파고들기 어렵습니다.

 

 

"통계쪽의 소스를 데이터화 하려면, 통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되는데 그게 없다나 뭐라나...
그런데 1번 답변에서 DB가 프로그래머가 아닌이상 구지 필요없다 라는 식으로 되어버리면,
제가 DB쪽 능력을 기른다고 해도,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어느정도 되지 않고서는
이것을 임상 통계쪽으로 접목시키기는 사실상 힘들지 않을까요? "


'통계쪽의 소스를 데이터화'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질문자께서 좀 더 주변에 이 직종에 종사하시는 분들께
조사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부분은 초기 데이터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프로그래밍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후 DBA든 관리자든지 주기적으로 개발된특정프로그램 혹은 그와 유사한방법등으로

 

어렵지 않게 수행하실 것입니다.


다만 그 결과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 처리된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임상관련 지식이

 

있어야 하겠지요.

 

오라클 자격증은 국비지원과정으로 알아보신다면 과정수강료는 전액국가지원, 다만 자격증은 국가에서

지원안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한해서만 사비를 들이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

 

더 궁금하시면 메일주세요.

 


 

OCA, OCP) + 임상통계(CRA) 에 대한 전망...

... 흔히 CRA라고 하는 일이죠. 제 질문은 임상통계쪽에서 일하고 계시는 분이나 오라클 쪽에서 일하는 분들 모두의... 오라클 자격증(OCA,OCP)을 딸까 생각중인데, 아는 분이...

통계(CRA)쪽 종사자에게 오라클(OCA,OCP)...

... 흔히 CRA라고 하는 일이죠. 제 질문은 임상통계쪽에서 일하고 계시는 분이나 오라클 쪽에서 일하는 분들 모두의... 오라클 자격증(OCA,OCP)을 딸까 생각중인데, 아는 분이...

4년제 임상병리 ,3년제 간호, 4년제...

... 직업에 대한 10년 뒤(2015년)의 직업별 인력수급 전망을... SCNA 데이터베이스 - OCA,OCP,OCM 자바프로그래머 - SCJP,SCJD... Prometric,WDP오라클 국제자격증 시험센터 가...

대학진로.전망좋은과.추천

... 취직잘되고.전망이좋은 과를 .추천 받고싶어요.... 아래는 정보보안 전문가에 대한 간략의 개요이니 참고가... 인정받는 오라클 주관의 OCA, OCP, OCM 등의 자격을 취득하기...

컴퓨터 관련 직업에 대한 궁금증(내공 100)

... 컴퓨터에 대한 직업을 정했는데 제가 하고 싶은게 대략... 분들이 오라클의 국제 자격증인 OCP9i 또는 10g를 취득하고자 노력하는 추세입니다 취득 자격증 : OCA , OCP , OCM 넷...

보안전문가의 길

... 대학졸업후 취업전망은 ? 대학졸업후 어떤직업을... 분들이 오라클의 국제 자격증인 OCP9i 또는 10g를 취득하고자 노력하는 추세입니다 취득 자격증 : OCA , OCP , OCM 넷...

정보보안전문가 공부에 대해서요...

... 유지&보안에 대한 담당자를 말하는 겁니다. 정보보안... 분들이 오라클의 국제 자격증인 OCP9i 또는 10g를 취득하고자 노력하는 추세입니다 취득 자격증 : OCA , OCP , OCM 넷...

컴퓨터 자격증 관련 질문입니다....

... 직업에 대한 10년 뒤(2015년)의 직업별 인력수급 전망을... SCNA 데이터베이스 - OCA,OCP,OCM 자바프로그래머 - SCJP,SCJD... Prometric,WDP오라클 국제자격증 시험센터 가 운영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