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의 종류와 기능들이 궁금해여..

코덱의 종류와 기능들이 궁금해여..

작성일 2003.07.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예를들어,

mpeg2 - DVD코덱

mpeg4 - divx코덱

AC3 - 5.1채널 사운드코덱

코덱의 종류와 지원형식, 기능들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대개의 경우 사람들은 디빅을 보려 하잔아여.

그리고 보통 디빅은 2~4cd로 구성되어 있구여.

속성을 보면 mpeg4와 AC3라고 되어 있구여.

다른 종류의 동영상과 사운드 코덱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코덱의 종류와 이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CODEC 이란.......

코덱(Codec)은 'COder/DECoder'라는 컴퓨터 부호화/부호 번역화 혹은, 'COmpression/DECompression'이라는 압축/해제의 약자로서 영상혹은 음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coder)와 디지털 신호를 음성이나 영상으로 바꾸어주는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입니다.

음성정보를 비롯해 영상정보 등 많은 정보가 아날로그 신호로 돼 있는데 이들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송로를 통해 반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또 반송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변복조 또는 부호화.복호라고 하며 그 기능을 가진 장치를 CODEC이라고 합니다.

영상정보가 기록된 장치를 컴퓨터에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코덱 파일을 설치하여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ㅏ. 코덱 파일이 없다면 영상 파일을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윈도우 98 SE이상에 설치된 Windows Media Player가 있다면 대부분 영상정보를 디지털화 하여 볼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코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나오는 코덱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보려면 해당 코덱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즉, Divx라는 코덱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보려면 반드시 Divx 코덱을 윈도우에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만일 DivX 코덱을 설치하지 않고 영상을 플레이 하면 음성밖에 나오지 않는 등의 오류가 생기고 영상은 볼 수 없게 됩니다.

코덱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코덱으로서는 인텔이 제안한 인디오(indeo)코덱이 있으며, 동영상 편집에서 이용되는 MPEG코덱이 있습니다. 최근 MPEG4코덱들, 예를들어 DivX같은 코덱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선 자기 컴퓨터에 어떤 코덱이 설치가 되어 있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코덱 살펴보기

시작-->설정-->제어판-->멀티미디어을 불러옵니다.
멀티미디어 선택 후 여러 항목중에서 장치를 선택합니다.
장치를 여시면 멀티미디어 드라이브 아래 과 코덱> 있을겁니다.
에서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있는 코덱이 무엇인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윈도우 설치시 생성되는 몇가지 코덱이 있을 겁니다.

* Cinepak
* IndeoTM
* Microsoft Run-Length Encoding(RLE)
* Microsoft Video 1

* 먼저 "Cinepak" 는 위 네가지 비디오 코덱중에 가장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며,
재생능력도 뛰어나서 320X240의 이미지를 일초에 15프레임이상 재생 가능하며
Supermac Technologies사가 개발하고 Microsoft에서 라이센스한 코덱.

* "IndeoTM" 는 Intel사에 의해서 개발된 비디오 코덱이며 압축속도는 inepak
보다 더 빠릅니다. Cinepak과 함께 Indeo도 윈도우와 매킨토시 양 기종에서
개발되는 CD-ROM 타이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디오 코덱입니다.

* Microsoft Run-Length Encoding(RLE)이 코덱은 그림판에서 그려진 비트맵
이미지나 간단한 선, 막대챠드등의 애니매이션 같은 그래픽 이미지의 압축에
사용됩니다.
CPU의 부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Microsoft Video 1
Microsoft에 의해서 개발된 비디오 코덱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압축해주고,
CPU에 걸리는 부하가 적어서 효율적이며, 적당한 수준의 풀모션(full-motion)
비디오를 제공합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Divx를 보기 위해 기본적인 코덱으로는

* divx 3e
* divx 311alpha
* Mpeg4

세가지만 있으면 모든 디빅을 전부 보았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SBC용 코덱인 apmpg4v1-702 그리고 AC3 사운드 포멧을 지원
하는 코덱만 깔면 뭐든지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갈수록 디빅도 고사양을 요구하게 되고...
나름대로 코덱을 깔다가 충돌이라도 나면 머리를 아프게 하곤 했는데...
요즘은 편리하게도 이란것이 나왔습니다.
통합코덱 한방이면 모든 영화를 볼수가 있습니다.
디빅을 볼때 필요한 모든 코덱이 합쳐져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선택해서 설치를
할수도 있습니다. 정말로 과학의 승리가 아닐까 싶네요. ^^*
아직까지 통합코덱을 깔고 이상이 있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습니다.



PDivXNG311

Divx 사운드를 AC3 5.1ch을 감상할수 있게 하는 코덱입니다.
AC3 filter와는 다른것입니다.
단 Directx 8.1 깔려 있어야 합니다.
요즘 집에서 스타 크래프트나 디아블로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최소
Directx 7.0 이상 깔려 있을겁니다. 8.1이상으로 업그레이드 하세요.

설정은 에서 , 선택후 다른건 만지지 마시고
두번째 선택후 로 설정.


▶ 가장 널리 쓰이는 영화 파일의 압축코덱 Divx 좀 더 자세히..

DivX
우리가 가장 많이 알고 또한 가장 많이 접하는 파일 형식이다. DVD에서 VOB 파일을 추출하여 DivX 코덱으로 압축한다. DivX 3.x, DivX 4, DivX 5의 세 가지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DivX 3.x 가장 널리 우리에게 알려진 코덱 형식이다. DivX ;-)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알려진 코덱으로, Microsoft의 MPEG-4 V3를 기반으로 해서 제작된 코덱이다. 다루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음에 설명할 DivX 4에 비해서 약간이나마 속도가 빠른 장점 또한 존재한다.

●DivX 4 DivXnetworks에 의해서 개발된 코덱으로 많이 쓰이지는 않는 코덱이다. 이유는 바로 뒤에 설명할 DivX 5가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DivX 5 DivX 4에 비해서 많은 기능과 높은 수준의 영상을 보여주는 코덱이다. 또한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용도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전 DivX 버전과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발전된 MPEG-4 기능들을 제공하는 코덱이다.

XviD
현재는 아쉽게도 개발이 중단된 상태지만 최근 혜성처럼 등장한 새로운 코덱이다. DivX와 마찬가지로 MPEG-4를 기반으로 하는 코덱이며,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알파 버전에서도 상당히 뛰어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오픈 소스를 내세우는 코덱이기 때문에 누구나 개발을 통해서 보다 나은 코덱으로로 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많은 코덱이다. 반면 코덱 설치가 DivX에 비해서 약간 번거로운 것이 단점.

SVCD
앞선 두 가지의 코덱과는 달리 DVD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같지만 인코딩 방식이 MPEG-2이다. MPEG-4보다는 압축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인코딩 후의 파일 용량이 좀 더 크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화질의 손상이 적기 때문에 화질은 보다 더 깨끗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SVCD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MPEG-2 코덱을 설치해야 한다.


▶방송용 영상포맷의 종류와 특징

(1)H.261


H.261은 P가 64kbit/sec의 배수를 나타내는 정수가 있는 P×64로 알려져 있다. H.261은 화상회의 applications를 목표로 했고 현재는 특히 일대일 비디오폰 applications과 ISDN을 통한 비디오전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 엔코딩 알고리즘은 MPEG알고리즘과 유사하다(호환은 되지 않지만). H.261은 실시간 엔코딩을 위해 MPEG보다 적은 CPU점유율을 필요로 한다. 알고리즘은 동화상에 대한 bandwidth사용을 최적화하는 장치를 포함하므로 빠른 화면전화에서 상대적으로 정지화상보다는 화질이 나빠지게 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H.261은 화질유지, 가변 bit-rate encoding보다는 일정한 bit-rate encoding를 유지하게 된다.




(2)H.263


H.263은 낮은 H.263은 낮은 bitrate 통신을 위해 설계된 ITU-T표준의 초안이다. 이 표준은 낮은 bitrate applications만이 아니라 광범위한 bitrate에 사용된다. H.263은 여러 applications에서 H.261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 H.263의 코딩 알고리즘은 H.261과 유사하긴 하지만 성능 개선과 에러 보상을 위해 일부 가 개선되고 변경되었다. H.261과 H.263 코딩 알고리즘간의 차이는 아래와 같은데, H.261이 full pixel precision과 loop filter를 사용한 반면, H.263 motion compensation을 위해 half pixel precision이 사용되었다. 데이터 스트림의 계층구조의 일부가 현재는 옵션이어서 코덱은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나 더 나은 error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성능개선을 위한 옵션이 현재 네 가지가 있다: 제한되지 않은 모션 벡터, syntax기반 산술 코딩, Advance prediction과 MPEG에 서 P-B 프레임이라 일컫는 것과 유사한 forward, backward frame prediction이 있다. H.263은 다섯 가지 해상도를 지원한다. H.261이 지원하는 QCIF와 CIF외 에 SQCIF, 4CIF, 16CIF가 있다. SQCIF는 QCIF의 해상도의 약 절반 정도이다. 4CIF와 16CIF는 CIF해상도의 4배와 16배이다. 4CIF와 16CIF를 지원한다는 것은 MPEG표준과 같은 고 bitrate video coding 표준과 비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3)MPEG-1


MPEG-1, 2, 4는 비디오/오디오의 효율적인 대역폭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개발되고 있다. MPEG-1 코덱은 CIF해상도(352x288)와 초당 30프레임에서 VHS화질 을 제공하는 1-1.5Mbps의 대역폭을 목표로 하고 있다.(1배속 CD롬드라이버의 데이터 전송속도) MPEG-1은 실시간 엔코딩을 위해 고가의 하드웨어가 필요하 다. 디코딩은 소프트웨어로 할 수 있지만 CPU의 점유율 또한 상당하다. MPEG-1은 해상도 scalability가 없으므로 화질이 P와 B 프레임간 패킷 손실에 매우 민 감하다. B프레임은 또한 엔코딩 프레임 N이 N+k프레임을 필요로 하여 엔코딩 과정에서 대기시간이 발생하므로 Round Trip이 있어서 화상회의에는 적합하지 않다.




(4)MPEG-2


MPEG-2는 고해상도 비디오와 성능이 개선된 오디오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MPEG-1을 확장한 것이다. MPEG-2의 목표 비트레이트는 방송용화질의 full-screen 비디오를 제공하는 4-15Mbits/s이다. MPEG-2의 초안 표준은 scalability를 제공하는 것이다. Scalability에 대한 세가지 유형이 정의되었다; Signal-to-Noise Ratio(SNR), spatial and temporal, one extension Data Partitioning. MPEG-1과 비교해, 엔코드/디코드에 더 고가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또한 MPEG-1과 같은 이유로 손실에 의한 화질저하가 되기 쉽다. MPEG-1과 MPEG-2는 개발된 목적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MPEG-1은 CD-ROM에서 재생하 는데 아주 적합하고, MPEG-2는 고화질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과 TV방송용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위성방송의 경우, MPEG-2는 현재 하나의 아날로그 채 널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bandwidth로 화질의 손상 없이 5개 이상의 디지털 채널을 엔코딩할 수 있다. 이런 주요한 이점에 비하면 엔코딩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사실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현재의 컴퓨터/인터넷 인프라스트럭쳐용으로는 MPEG기반의 솔루션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많은 bandwidth를 필요 로 한다. 이는 인터넷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5)MPEG-4


MPEG-4는 매우높은 압축효율을 얻음으로서 매우 낮은 비트율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화상회의를 위해 적합한 압축형태(예, 64Kbits/s이하의 데이 터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MPEG-4는 시청각화면을 서로 다른 네트웍상에서의 다중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AVOs 또는 "audio/visual objects"로 분할 하는데 기반을 둔 것이다. MPEG-4의 구조는 현재 MSDL(MPEG-4 Syntactic Description Language)라는 언어에 초점을 맞춰 개발중이다. MSDL을 사용해 어플리케이션을 더 기본적인 컴포넌트로 구성하고 인터넷상에서 이런 컴포넌트를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코덱으로 구성이 가능하게 한다. 이런 개념은 선마이크로시스템의 자바용 멀티미디어 API가 코덱 콤포넌트를 다운로드 받기 쉽도록 한 것과 유사하다. 이런 추세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넷스케이프와 같은 유력 업체들이 자신들의 실시간 스트리밍 솔루션에 다중 오디오/비디오 코덱을 플러그인 하도록 한 제품에서도 볼 수 있다.

코덱의 종류와 기능들이 궁금해여..

예를들어, mpeg2 - DVD코덱 mpeg4 - divx코덱 AC3 - 5.1채널 사운드코덱 코덱의 종류와 지원형식, 기능들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대개의 경우 사람들은 디빅을 보려...

동영상 코덱 관련 여러가지 궁금해요....

... 캐논의 Mjpeg코덱과 소니의 MpegVX코덱에 대해서 궁금해... 만약 위의 두 종류 모두 일반적인 상태에서 동영상... 결정을 내려봐 주세요.ㅋㅋ 아니면, 더 좋은 기능의...

고등학생에게필요한 전자사전기능!

... 그냥 뒤에꺼가 유의어 반의어사전이 있는지가궁금해... 기능 있는걸루 하세요. rd-em1이 지원하는 인강 종류도... rd-em1이 지원하지 않는 동영상 코덱은 샤프매니저라는...

거원iAUDIO4와 아이리버 IFP...

... 하는 기능이 있는지 궁금해여~~!! 그러나... iFP-500시리즈는 256MB, 512MB, 1Giga 총 3종류로 이루어져... 다기능 멀티코덱 플레이어입니다. 아이리버의 최고의...

겔럭시노트 동영상파인 변환에 대해서

... 정확한 종류와 해상도 어떤프로그램을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아마도 저말고도 궁금해하시는... 해상도나 코덱을 변환 해주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사양에 대해서 궁금해

... 버스 종류 : PCI Express 16배속 - INTERFACE : D-Sub... 사운드 코덱 (M/B 내장) - 5.1채널 사운드를... CD-ROM 기능 : 읽기 52배속 -> CD-RW 기능 : CD 쓰기 52배속...

pmp와 psp

... 워낙 종류고 다양해서 무지 고민되요~ 제가... 앞으로 얼마정도 가격이 내릴지도 궁금해요~ 꼭 빨리... 재생기능(20~30기가)(동영상 코덱 지원수 많음) PSP - 적은용량...

그래픽카드 업글 문의

... 있는지도 궁금해요 8600 달고 랙이 없어지면... 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든데 뭘사야 할지... 0 USB 커넥터 4개 [ 부가 기능 ] 내장 사운드 칩/코덱 ALC...

LG TV 좀 골라주세요.

... 궁금해요..설명봐도 몰겠어요.. 글구 USB 및 코덱지원이 많이되는것, 디빅스 재생가능한것, 타임머신 기능... 종류 여러개 추천주심 감사합니다. 일단 55인치는 너무 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