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브릿지 i7, 스카이레이크 i7 비교 질문입니다.

샌디브릿지 i7, 스카이레이크 i7 비교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6.08.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현재 제온 e3 -1280 사용중입니다.

제가 그래픽작업, 에프터이펙트나 오버워치나 고사향 pc 게임을 자주하는데

이번에 스카이레이크로 갈아타고 램도 ddr4로 갈아타려고합니다.

추가로 그래픽카드도 gtx1060으로 바꾸려고합니다.

그런데 cpu나 ddr3, ddr4 성능차이가 비싼 돈주고 바꿀필요는 없다라는 말이 있더라구요.

하도 말이 많아서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겠습니다.

1. cpu 샌디브릿지, 스카이레이크가 정말 성능차이가 적은지
2. ddr3, ddr4 램 성능차이가 적은지
3. 샌디브릿지와 ddr3 메인보드로 gtx 1060을 돌리면 성능저하가 일어나는지...
4. gtx1060과 1060 mini 제품간의 성능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컴퓨터 조합에는 플렛폼이라는것이 존재합니다.

플렛폼은 접어두고 한두개의 부품을 가지고 논하는것은 큰 의미가 없죠.

지금의 질문도,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한정되는 부분이라 나무만 생각하고 산은 존재 자체가 없죠.


FSB 기반에서 1세대 네할렘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획기적인 프로세서 성능 격차가 발생됩니다.

1세대를 또한 획기적으로 개선해서 2세대 샌디브릿지는 대폭적인 프로세서 성능 향상과 더불어

플렛폼적으로 이전 세대와는 비교 불가능한 수준의 주변장비간의 병목 현상 (대역 제한)을 개선하게되죠.

3세대는 2세대를 프로세서 제조공정과 완전한 DMI플렛폼의 구축, 메모리 콘트롤러의 향상등이 있고

완전체로 접어든 시기라고 보심되겠고요.

4세대는 전력 절감 및 제조공정의 안정화, 주변 장비간의 소통 통로에 확실한 구축이 있습니다.

6세대 스카이레으크는 DDR4의 전환, 네이티브 대역 구축을 보심 되겠고요.


2세대부터 현세대까지의 프로세서는 성능적으로 진화하기는 하지만

프로세서 하나의 가치측면에서는 큰 격차는 없습니다. 이게 현실이기는 하죠.

다른건 다 배제하고 프로세서의 성능만 본다면 말이죠. <<< 미련한 비교 의미가 되겠지요.

2세대는 플렛폼적인 구축에서 획기적인 이전 세대와 비교 불가능한 수준의 능력을 끌어올립니다만,

PCI-E 2.0 x16, PC3-10600 메모리 콘트롤러, 이전 세대 비교에서는 획기적이지만 아직까지는 병목 현상

유발되는 대역 제한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있습니다.

3세대는 PCI-E 3.0 x16, 네이티브 SATA3, 네이티브 USB3.0등으로 진화하였고

메모리 콘트롤러도 PC3-12800 (3세대 아이비브릿지 i5 이상에서 제공)으로 교체되었습니다.

네이티브 부분에서 3세대까지는 그래도 아직은 절름발이가되죠.

4세대 하스웰 부터는, 완전한 네이티브 SATA3, 네이티브 USB 3.0을 제공하며

PCI-E 3.0 x16도 안정화에 들어가고, 내장 메모리 콘트롤러도 하급 프로세서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펜티엄 G34xx 시리즈 이상) PC3-12800을 다 채용하게 됩니다.

4, 5세대는,

이전 장비들과의 병목 현상은 대부분 개선하였지만

기술이라는것이 멈춰있지 않습니다. 계속 진화하게되죠.

플렛폼이 상승되면 그에 걸맞는 장비나 기능이 새롭게 만들어지게 되는데

SATA-E를 비롯한 부가적 장비 효율성등이 대역 제한을 받게 됩니다.

6세대는 새로운 기능, 기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며 네이티브 SATA-E를 제공하게되죠.

메모리 콘트롤러도 DDR4로 전환이 되고요.


샌디브릿지는 태생이 2세대이니,

GTX1060과 같은 상위 라인이라면 PCI-E 2.0 x16의 대역 제한 발생됩니다.

GTX970의 경우, (GTX1060은 아직 써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그래픽을 출시 기준으로 바로 사지 않죠 그래픽카드만큼 감가상각율이 높은 부품이 없습니다. 전 절대 바로 구매하지 않습니다. 기다리죠)

2세대 기반에서 운용하시면 대략적으로 5% 정도의 손실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손실율도 실제 상황(실제 환경)이 아닌 점수 놀이라서 그 정도 손실이지 실제 상황에서는

손실율이 환경에 따라서 대폭 증가하기도 하고 아예 없기도 하니 랜덤이라 보심되겠고요.

1개의 그래픽 카드라면 그 손실이 크지 않으니 문제는 없습니다만,

퍼포먼스 유저나 플레그쉽 유저라면 대역 제한이 심각히 발생이 되죠.

메모리 입출력이 잦은 환경이라면 이 역시도 콘트롤러가 빈약하니 메모리 입출력 병목 현상 유발되죠.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 입출력을 잦은 사람과 아닌 사람은 극과 극을 달립니다.

싱글 채널/듀얼 채널의 답변에도 아무 상관이 없다는 사람과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답변으로 갈리죠.

아무 상관이 없다는 사람은, 본인이 그렇다는겁니다.

그런 환경이 아니니, 8GB 이상도 필요없다고도 하고 싱글/듀얼의 전송량(대역)도 문제없다 하죠...

현실은 안 그렇죠...

싱글에서 1시간 걸리는 작업이, 단순히 듀얼 구성해서 40분에 끝난다...

이게 아무런 차이가 없는것이라고 말 할 수 있겠습니까? 엄청난 시간단축이 되는것이죠.

DDR3는,

주상복합 건물에 승강기가 8개 운용되는 시스템이고,

DDR4는,

주상복합 건물에 승강기가 16개 운용되는 시스템이라고 보심됩니다.

사람이 몰리고 과부하 시간대에 승강기가 8대 있는 건물과 16개 있는 건물은 어떨까요?

반대로,

장사가 잘 안되는 상권이라서 8대가 동시 운용되지도 않고 4개만 운용해도 크게 승강기를 손님들이

기다리지 않는 그런 건물이라면 DDR3를 쓰든 DDR4를 쓰든 큰 상관이 없겠죠.

정말 장사가 잘되는 건물이고 사람이 붐빈다면 얘기가 달라지죠.

8개의 승강기와 16개의 승강기... 컴퓨터로 치면 병목 현상이죠... 차이가 없을수없죠.


그래픽은 제가 전문가는 아닙니다. 주 답변 카테고리도 아니고요.

GTX1060과 비레퍼런스로 크기를 줄인 제품의 성능적 격차가 얼마인지 저도 잘 모릅니다만

제가 확실히 아는것은,

그래픽의 GPU가 동일한 경우

코어 클럭, 메모리 버스, 메모리 클럭을 팩토링 오버하였다해도 실제 환경에서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초보자들이나,

팩토링 오버클럭된 제품을 보면서 레퍼런스는 1000MHz인데 이놈은 1100MHz이니 성능이 좋다...

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그 격차는 무의미한 숫자 차이로 봐도 됩니다.

GPU 자체가 중요한것이지 동일 GPU에서 큰 의미가 없죠.


질문에 대한 답변만 드리면,

저는 지금 즉시 6세대 스카이레이크로 전환합니다.

당연히 하죠...

투자금은 성능을 떠나서 이미 전기료에서 다 돌려받습니다...

농담하는것 같지만 실제 그렇습니다. 전기 누진세에서 돌려받게 됩니다.

1세대 네할렘 기반의 블룸필드 쓸때 한달에 7만원대 지불하다가,

4세대 하스웰 기반을 쓰니 5만원으로 내려 앉았고, 4세대가 정말 전기 적게 쳐 먹습니다.

6세대 스카이레이크쓰니 4만원대 내려 앉습니다. 6세대는 더 적게 쳐먹죠... 대단한 기술이긴 합니다.

실제 비교해보세요

전기 사용량이야 다 다르겠지만 본인이 내는 전기료 감안해서 계산기 두들겨보면 됩니다.

그래픽 카드 역시도 기존 구세대 쓰시다가 GTX1시리즈 현세대라면 애기가 달라집니다.

아직 제가 구매전이라 이 부분은 확실한 답변이 되지 않겠지만,

기존 GTX670 사용하다가, GTX970 사용하니 전기료 훅 떨어집니다.

지금도 GTX970에서 GTX1070쓰면 성능을 떠나서 전기료 혜택보겠죠.

단지 바꾸지않는건 그래픽 카드 감가상각율이 엄청나기 때문에 안삽니다... 더 기다렸다가

중고 매물들이 시장에 훅 풀리면 그때 그래픽을 바꾸기 때문에 그렇고요. (제 개인적인 성향)


프로세서/메인보드/메모리는 지금 즉시 저는 바꿉니다. 저라면 말이죠. 고민도 하지 않습니다.

샌디브릿지 i7, 스카이레이크 i7 비교...

... cpu 샌디브릿지, 스카이레이크가 정말 성능차이가... 지금의 질문도,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한정되는 부분이라... 세대와는 비교 불가능한 수준의 주변장비간의 병목...

샌드브릿지 i7-2600 vs 스카이레이크...

물론 i7(샌드브릿지) 3년째 쓰고있구요 요번에 보조로 i3-6100(스카이레이크)를 샀는데 왜 i3-6100이 체감상 2배는 빨라보이죠? ㅜㅜ 고수님들 답변좀 부탁드려요 내공...

샌디브릿지i5에서 스카이레이크i7으로...

현재 쓰고있는 CPU가 샌디 2500입니다... i7-6700으로 업그레이드 한다고 했을때..... 에서 스카이레이크 i7으로 업그레이드했을때 성능차이를 체감 할 수 있을것인가. 아니면...

i7 노트북 쓰는데요 스카이레이크로...

2011년 2월에 센디브릿지 i7 그래픽은 540m 지포스고 램은 4기가 쓰는데요 이번에 나올 스카이레이크 i7 으로... 사용하시는게 샌디 쿼드코어라면 아무래도 스카이레이크로...

샌디브릿지 i5 i7질문이요

... 어차피 i7은 i5랑 비교하면 i7은 하이퍼쓰레딩이잔아요 근데 그게 게임에 필요없는거잔아요 아키텍쳐적으로는 차이 없구말이죠 근데 i5종 보다 i7이랑 비교를 한다면...

샌디브릿지 쿼드코어 i5 스카이레이크...

... 아이맥 2011년 샌디브릿지 쿼드 i5를 사용하고 하고 있습니다. 슬슬 교체를... 뉴맥북 2세대 스카이레이크 m3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 어느 것이 더 성능이 좋은가요?...

i7-6 6700스카이레이크 제온E3-1231V3...

... 아이비브릿지보다 늘어났습니다. i7-6700은 스카이레이크로 주류인 6세대입니다. 제조공정은 14nm, 트리게이트 설계가 그대로 이어져 왔으며, 하스웰 리프레시 대비 30...

샌디브릿지 i7-3820 견적질문

... 아이비 브릿지로 선택하셔도 됩니다만... 아이비... 1155소켓과 2011소켓을 비교 한다는 것 자체가... BMW 가 더... 현제 질문자님이 선택하신 케이스는.... 보급형 케이스 중.....

i7스카이레이크 질문입니다.

... 6700이랑 비교했을때 확연한 성능차이가 있습니다. (단, 6700K를 오버클럭 한다면 부가적인 부품에 금액이 많이들어가서 가성비가 좋지는 않습니다.) 부족한 설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