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공유기 2대 연결방법 질문입니다.

무선공유기 2대 연결방법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2.07.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희 집에 무선공유기(iptime n104m)이 한대 있었고 여기에 PC를 유선으로 연결해두고 노트북PC한대와 스마트폰 한대를 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헌데 무선공유기는 거실에 있고 제 방은 좀 떨어져 있다 보니 노트북과 스마트폰 연결이 잘 안되어 무선공유기를 새것을 하나 샀습니다. (iptime 704s)

인터넷에 찾아보니 연결방법이 그냥 유선으로 공유기 2대를 연결하는방법, 멀티브릿지, WDS 등 여러 방법이 있더군요. 각 방법의 차이점과 저희 집에서 어떤 방법으로 연결해야 가장 빠른 무선인터넷을 쓸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희 집은 주택이며 본채와 제 방이 다른 건물로 되어 있습니다. KT인터넷이 인터넷선 하나로 본채에 들어와 n104m에 연결되어 있습니다.(옛날 한옥 주택이라 보통 아파트처럼의 인터넷 연결이 안되요) 무선 연결은 주로 제방에서 하게 됩니다.
 
보니 무선공유기끼리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던데 무선으로 연결하는것보다 유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Wi-Fi 채널을 만드는 방법은 없는지요? 15m짜리 랜선도 하나 있거든요
아니면 간단하게 두개의 Wi-Fi를 만들어 빠른것에 연결하는쪽이 빠를지요?
그리고 인터넷이 들어오는 선은 두개 공유기중 어느것에 연결하는것이 나을지요?(거실에 둘 무선공유기는 어느것으로?)

답변부탁합니다.
수고하세요^^


#무선공유기 2대 연결 #무선공유기 2대 와이파이 확장 #iptime 무선공유기 2대 연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공유기 2대 연결하는법

 

- 멀티 브릿지 방법과 wds, 허브 형태로 전환, 공유기 모드로 전환하는 등 총 4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wds : 무선 신호를 받아서 무선 신호를 다시 확장해 주는 방법

 

- 멀티브릿지 : wds와 기능은 같으나 설정하는 방법이 wds 보다 용이하고, 무선 영역의

확장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 허브 모드 : 공유기를 허브 모드로 변경하는 것으로 설정은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그러나

상위 공유기와 반드시 유선으로 연결을 해줘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공유기 모드 : 저는 주로 이렇게 사용하라고 합니다만, 설정도 쉽고 나만의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유선으로 반드시 연결을 먼저 해줘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주택인에 본채와 제 방이 다른 건물로 되어있다는 얘기는.. 상당히 부유하신 듯 합니다.. ^^

 

좋던 싫던, 위 방법들 중에서 wds나 허브, 공유기 모드를 사용해서 구성하셔야 하는데요,

(멀티를 권하지 않는 이유는 제가 그렇게 설정해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처음 설치된 공유기에서 내 방까지 랜선을 뽑아올 수 있는 경우라면 허브나 공유기 모드로

 

구성을 하시면 최적의 구성이 됩니다만, 선을 뽑아올 수 없다면 wds 방법을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단, 무선 신호가 충분히 전달된다는 전제하에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신호가 잘 안잡히거나 끊어지는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면 멀티 방식과 wds 방식은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3. 무선과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wds와 멀티 방법인데요, wds는 iptime에서도

 

설명이 잘 되어있지만, 멀티에 대한 방법은 이기종간의 내용만 설명이 가능해서

 

저도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다는 점을 이해해 주십시요. wds 연결법은 답변의 마지막에

 

설명하겠습니다.

 

 

4. 유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와이파이 채널을 만드는 방법은?

 

- 원 인터넷선이 연결된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와 자료를 교환한다거나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라면, 위 방법중에서는 허브로 연결하는 방법이 제일 확실한

 

연결법이 됩니다. 와이파이도 동일한 명칭으로 구성할 수 있고, 채널도 같이 맞출 수 있고,

 

위에 말한 자료 교환과 프린터 공유까지 모두 가능해 집니다..

 

- 이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라면 저는 무조건 유선으로 연결을 한 후 허브모드로

 

설정해서 사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5. 간단하게 두개의 와이파이를 만들어 빠른 것에 연결하는 쪽이 빠를까요?

 

- 어차피 인터넷 회선은 하나로 써야하는 제약조건이 있는 거기때문에 이 방식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아무리 빨라도 무선은 무선이니까요...

 

 

6. 인터넷 들어오는 선이 연결되는 공유기는 어떤게 좋을까요?

 

- 처음에 들어오는 회선에 연결되는 공유기는 성능이 조금이라도 좋은 공유기를

 

장착하는게 기본입니다. 내 무선 기기가 150Mbps 연결까지만 지원하는데

 

거기에 굳이 300Mbps를 지원하는 기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이고

 

방안에서 아무리 빠른 무선으로 연결되어봐야 거기서 거기니까요...

 

 

7. 결론

 

- 인터넷 회선과 최초로 연결되는 공유기는 N704S를  설치해 주십시요.

 

- 내 방에서 사요할 공유기와는 랜선으로 연결해 주십시요.

 

- 내가 사용할 컴퓨터와 원래 인터넷 회선이 연결되는 쪽에 있는 컴퓨터와 파일을 공유하려면

내 공유기를 허브 모드로 설정해서 사용하십시요.

 

- 자료 공유나 프린터 공유를 할 일이 없다면 공유기를 공유기 모드로 사용하십시요..

 

- wds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무선 신호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검증한 후

설정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아래는 위에 말씀드린 wds 설정법에 대한 iptime 제공 자료입니다...

WDS (wireless distribution system)기능이란?

WDS(무선 유통 시스템)을 통해 ipTIME 유무선 공유기는 무선으로 다른 WDS가 지원되는 AP 또는 유무선 공유기와
연결되고, 여러 개의 AP 또는 유무선 공유기가 무선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WDS의 응용 범위
- 무선 신호의 음영지역 해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랜케이블을 연결하기 힘든 구역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미관상 랜케이블 설치를 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WDS 구성도



[진행순서]
- 무선설정 확인
-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DHCP 기능 중지
-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내부 IP 주소 변경
- WDS 연결설정


1. 무선설정 확인
구성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과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무선설정을
확인합니다.(SSID는 서로 달라야 하며, 채널 및 암호화 방법은 같아야 합니다.)


(1)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 무선설정 확인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에 유선으로 연결한 공유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열어 주소 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신 후 [관리도구] -> [무선 설정/보안] 메뉴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무선설정 내용을
확인합니다.(예. SSID : iptime-AP, 채널 : 11, 암호화방법 : 사용안함)



(2)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 무선설정 확인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에 유선으로 연결한 공유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열어 주소 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신 후 [관리도구] -> [무선 설정/보안] 메뉴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무선설정 내용을
확인합니다.(예. SSID : iptime-WDS, 채널 : 11, 암호화방법 : 사용안함)



2.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DHCP 기능 중지
WDS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위 네트워크①와 WDS로 연결되는 공유기(구성도의 ②에 해당)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므로 WDS로 사용될②는 IP 주소 할당 기능이 정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에 유선으로 연결한 공유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열어 주소 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고,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메뉴에 접속합니다.

메뉴를 선택하고 아래 화면이 표시되면 붉은색 네모 안의 [내부네트워크에서 DHCP 서버 발견시 공유기의
DHCP 서버기능을 중단]을 선택하고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3.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내부 IP 주소 변경
공유기 2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유기가 다른 IP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WDS로 사용하고자 하는 공유기②의 내부IP주소를 변경하여야 합니다.

아래 화면의 붉은색 네모 안의 내용과 같이 WDS로 사용할 공유기② 내부 IP 주소의
끝자리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합니다.(예 : 192.168.0.200) 이때 변경되는 내부 IP 주소는
이후 네트워크의 다른 장비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할 주소를 입력이 완료되면 [적용 후 시스템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시스템이 다시 시작되면 변경된 IP 주소로 관리화면이 다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WDS 연결설정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와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에서 각각 상대 AP를 추가하여 줍니다.


(1)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에서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SSID 추가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에 유선으로 연결한 공유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열어 주소 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신 후 [관리도구] -> [무선랜 관리] -> [WDS 설정] 메뉴로 이동하여
[연결할 AP검색]을 클릭하여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의 SSID(예. iptime-WDS)를 선택하신 후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2)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의 SSID 추가

WDS로 연결할 공유기②에 유선으로 연결한 공유기에서 인터넷 탐색기를 열어 주소 입력란에
192.168.0.1을 입력하신 후 [관리도구] -> [무선랜 관리] -> [WDS 설정] 메뉴로 이동하여
[연결할 AP검색]을 클릭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공유기①의 SSID(예. iptime-AP)를 선택하신 후
[추가]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로서 WDS 구성을 통한 AP간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었습니다.
WDS로 연결한 공유기②에 연결된 유/무선 PC는 IP를 갱신해야 하므로, PC를 재부팅 하여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인지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위 설정은 두대의 AP를 통한 연결구성 예로, 추가로 WDS연결이 필요할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무선공유기 2대 연결방법 질문입니다.

... 안되어 무선공유기를 새것을 하나 샀습니다. (iptime 704s) 인터넷에 찾아보니 연결방법이 그냥 유선으로 공유기 2대연결하는방법, 멀티브릿지, WDS 등 여러 방법이...

무선공유기 2대 연결

... ㅋㅋㅋㅋ 질문이 심각하게 많지만 저는 지식인 좆문가분들을 믿습니다 답변드립니다.. 1. 무선공유기 2대(동일기종)를 바로 옆에 두고 랜선으로 연결해서 한대처럼 쓸수...

아이피타임 무선공유기 2대 연결

무선공유기 2대(동일기종)를 연결하고 싶은데요 그 지식인 설명 보니까... wds와 멀티브릿지 두가지 방법이 있던데 두가지다 서브공유기는 전원선만 꼽혀있어도...

무선공유기 2대 연결 질문드립니다

... 주워듣고 질문 남깁니다. 일단 큰방에 설치되어있는... 다른 공유기끼리도 사용할수잇는지... 유선으로 하기에는 에로사항이 있어서 무선으로 해결할 방법이있는지.....

(유선)노트북1대(무선) 총3개 연결방법

... 5.대략적인 설치 순서 방법 등을 알려주세요. 6.좀 괜찮은... 내공 20 질문하신 순서대로... 1.유무선 공유기를 사면 유선으로 2대 연결하고 무선으로 1대 연결 하는게...

무선공유기 2대 연결방법

... 무선공유기 2대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ㅎㅎ 랜선 여유분 도 있습니다.. 꼭..알기 쉽게 해주세요..ㅎㅎㅎ 안녕하세요 RUSH-314N 의 빈포트중 한곳에 랜선을 꼽고 반대쪽...

무선 공유기 2대 연결 사용 관련 !

여기는 현재 회사구요 무선공유기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1. 무선공유기의 와이파이 속도는 연결 되어 있는 PC의... 하는 방법은 없나요? 비밀번호 걸어 놓아도 어차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