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작성일 2007.07.16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파티션 분할이라는게 뭐져? ㅠㅠ

한개에 여러드라이브를 만들어준다는거라구 하든데...

그럼 뭐라고 해야하나...
한쪽에 오류가 생겨도 파티션 분할된 한쪽 드라이브에는
아무 이상이 안생기나여?  

제가 생각하고 있는게...
저희집 컴터가 드라이브가 두개인데...

한쪽이 맛이가서 포맷시켜 윈도우를 다시 깔아도  
나머지 드라이브는 파일도 멀쩡하고
삭제도 안되어 있고 멀쩡하드라구요...

파티션분할이라는게 대충 그런식인가여?

쉽게 설명 좀 해주세요...

그리고 파티션 분할하는게 좋을까여?
한다면 몇개정도 분할시키는게 나을까여?
전 한 3개정도 하고 싶은데.....

하면 좋은 점과 나쁜점이 있는지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ㅠ 제발여<!--"

 

그리고 제가 위에서 말한게(드라이버2개) 제대로 개념이 잡힌건지도 

 

쉽고 자세하게 좀 알려주세염~

 

300-500기가정도를 살건데... 

-파티션을 몇개로 나뉘어야 좋을지(전 한 3개정도로 생각)

-파티션을 나누는것에 대한 단점과 장점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
-그리고 외장하드 오류잘나나요?

하루아침에 자료가 다 날라간다든지... 이런일이 빈번한지...

-외장하드를 쓰면서 주의해야 할점... 등...

사용자분들 자세히 설명좀...


#외장하드 파티션 합치기 #외장하드 파티션 나누기 #외장하드 파티션 복구 #외장하드 파티션 인식불가 #외장하드 파티션 나누는 이유 #외장하드 파티션 할당되지 않음 #외장하드 파티션 삭제 #외장하드 파티션 초기화 #외장하드 파티션 형식 #외장하드 파티션 지우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파티션 분할이라는게 뭐져? ㅠㅠ


한개에 여러드라이브를 만들어준다는거라구 하든데...

 

맞습니다. 한개의 HDD를 사용자 임의적으로 두개 또는 여러개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뭐라고 해야하나...
한쪽에 오류가 생겨도 파티션 분할된 한쪽 드라이브에는
아무 이상이 안생기나여?  

대부분 오류가 생기는 쪽은 OS가 설치된 드라이브 입니다.

기본적으로 한쪽이 오류생겨도 다른쪽엔 오류가 생기지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게...
저희집 컴터가 드라이브가 두개인데...

한쪽이 맛이가서 포맷시켜 윈도우를 다시 깔아도  
나머지 드라이브는 파일도 멀쩡하고
삭제도 안되어 있고 멀쩡하드라구요...

파티션분할이라는게 대충 그런식인가여?

내 비슷합니다.


쉽게 설명 좀 해주세요...

그리고 파티션 분할하는게 좋을까여?
한다면 몇개정도 분할시키는게 나을까여?
전 한 3개정도 하고 싶은데.....

물론 많이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하면 좋은 점과 나쁜점이 있는지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ㅠ 제발여<!--"

 

그리고 제가 위에서 말한게(드라이버2개) 제대로 개념이 잡힌건지도 

 

쉽고 자세하게 좀 알려주세염~

 

300-500기가정도를 살건데... 

-파티션을 몇개로 나뉘어야 좋을지(전 한 3개정도로 생각)

 

상관은 없지만 OS가 설치될 드라이브는 40~80g정도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OS가 설치된 드라이브는 기타 잡스런 프로그램을 설치 하지않는게 좋으며

 

그로인하여 OS부팅속도나 실행속도가 향상됩니다.

 

-파티션을 나누는것에 대한 단점과 장점 

 

장점은 한개의 하드디스크로 여러개의 물리적 드라이브를 사용할수 있다는 점...

 

단점은 시스템 자원이 그쪽으로 할당된다는점..(뭐 그리 신경쓸 부분 아님....)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

 

자료빽업이 주를 이루조 중요한 파일이나

 

게임이나 영화나 음악이나  기타 잡 파일을 OS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로컬디스크에 넣어서 나중에 포멧을 하거나 OS를 새로 설치할때

 

그 대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외장하드 오류잘나나요?

 

오류라기보다는 관리죠.. 관리를 못하면 오류가 많이나고

 

관리를 잘하면 새것같이 쓰는거죠...

 

외장하드도 원래 기본적으로 하드디스크가 들어가는 제품으로

 

SATA1,2 용과(1이나 2나  같음) IDE용 두가지가 있는데

 

현재 메인보드에서는 최고 USB 2.0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초당 전송속도가 480M/bps죠

 

SATA를 하건 IDE를 하건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루아침에 자료가 다 날라간다든지... 이런일이 빈번한지...

 

말그대로 조심히 고히고히 잘 간직하신다면 상관 없죠

 

-외장하드를 쓰면서 주의해야 할점... 등...

 

외장하드는 실상 컴터에 들어가있는 하드디스크를 쓰는것과 같습니다.

 

컴터에 있는 하드디스크는 항상 고정되어 있지만

 

외장하드디스크는 들구 다니시거나 보관의 실수로 떨구실 수도 있기때문에

 

항상 관리에 중점을 두셔야 합니다. 관리를 못하시면

 

자료가 한번에 날라가거나 디스크가 고장 날수도 있기 때문이죠

 

물론 하드디스크가 망가지면 어느정도 기간까진 무상교체 해줍니다.

 

무상기간은 대부분 제조 년월일 이나 구입후 1년 반에서 2년이죠..

 

시게이트는 3~5년정도고 삼성은 2년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파티션을 나누면 알고 계신대로 드라이브가 여러개가 되죠. 물리적 드라이브 하나 안에 논리 드라이브를 여러개 만드는 겁니다. FDISK 같은걸로 파티션 나누면 논리 드라이브라고 나오잖아요.

 

-파티션을 몇개로 나뉘어야 좋을지(전 한 3개정도로 생각)

 

뭐 저도 한 서너개로 나누는 것을 추천 하겠습니다. 너무 커도 다 쓸거 아니라면 의미가 없으니까요.

 

-파티션을 나누는것에 대한 단점과 장점 

 

단점은 뭐 간혹 어떠한 이유에서든 파티션이 풀리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그런줄 모르고 디스크를 액세스 하면 모두 날아가는거죠. 파티션이 하나이면 그러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여러개라고 간혹 있는 일이구요. 또 저 같은 경우는 동영상 편집을 해서 그나마 파티션을 크게 나누는데 하드가 다섯개 DVD-RAM하나 DVD 콤보하나 있고 가상CDROM도 있고 카드리더기도 있거든요 이러면 문제가 드라이브가 A부터 P, Q까지 생기는데 뭐가 어디 있는지 안적어 놓으면 저도 모릅니다. ㅡㅡㅋ 이런건 중요한 문제는 아니죠.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

 

이유는 장점이라고 봐도 되겠군요. 다른 분들도 좋은 의견 주셨는데요. 파티션을 나누면 데이터 읽고 쓰기가 효율적으로 됩니다. 날아갈 경우를 대비해 백업 시킬수도 있구요. 500기가 짜리 통으로 쓰다가 윈도우 맛가면 포맷해야한는데 다른 데이터까지 지우려면 짜증나죠 참 그리고 500기가 포맷 해보셨나 모르겠는데 이거 아주 기다리다 미칩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하드도 어찌보면 소모품인데 한두개로 쓰다보면 항상 쓰는 부분만 쓰게 됩니다. 나머지 공간은 놀고 있는데 말이죠. 파티션을 여러개로 나누어쓰면 여러공간을 고루 쓰게 되니 한곳만 많이 써서 생기는 오류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좀 오래된 PC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파티션을 쓰지 못합니다. 억지로라도 나눠야하는거죠.

-그리고 외장하드 오류잘나나요?

 

외장하드도 안에는 PC안에 들어있는 거랑 같은 하드가 들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동시 충격에 주의하시고 절대 작동시에는 움직이시면 안됩니다.  전원도 컴 부팅중에는 켜지 마시고 완전히 들어온 뒤에 켜시거나 끌때는 왼쪽 아래 트레이에 보시면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라고 있습니다. 그거 먼저 누르시고 끄시는게 좋습니다. 또 안전한 고정해 놓으시면 되는데 위치에 세워놓으시려면 항상 놓으시고 눕혀 놓으시려면 항상 눕혀 놓는게 좋다고 합니다. - 이건 믿거나 말거나 입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파티션이라는 것은 논리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밑분이 설명하신 것처럼 30평짜리 방을 칸막이 없이 쓴다면 

 

물건을 많이 놓게 되고, 복잡해 져서 금방금방 지저분해지고 쓰는 물건 찾을 때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

 

하지만 파티션을 나누게 된다면 칸막이를 치게 되는 것이므로

 

방과 방 사이를 특정한 용도로 여러 개로  나누어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파티션을 나누는 것입니다.

 

파티션을 나누는 것은 꼭 몇개가 최적분할이다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질문자님이 대용량의 파일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회전율이 높으시다면

 

임시저장용으로 쓰시는 파티션을 크게 잡아 나눠 주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제 경우를 한번 들어 드리겠습니다.

 

저는 160G와 320G를 하나씩 사서 파티션을 두개씩 나누어 쓰고 있습니다 ^^

 

320G의 경우, 데이터 회전율이 높기 때문에 68G / 230G로 나누어서 쓰고 있죠.

 

외장하드도 오류는 잘 나지 않습니다만, e-SATA가 아닌 이상 USB의 전송 속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게임을 까신다거나 하는 경우는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좋은 답변 되셨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만약에 하드가 하나에 파티션을 나눌적에는 속에 있는 플랙터 갯수로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전 잘 몰라서 그냥 80 / 196...)

 

파티션을 나누면 단점 보다는 장점이 많습니다. (대부분 장점 때문에 씁니다.)

 

나누는 이유는 백업을 위해서 나누거나 98 같은 경우 포맷 방식에서 대용량하드 인식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외장하드는 오류보다는 보관을 잘못할시 엄청 힘듭니다. 차라리 대부분 하드를 컴퓨터 내부에 두고 쓰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외장하드는 USB 나 SATA 식이나 똑같습니다. 함부로 분리시키지 말고 설명서대로 하시면 되나 하드의 돌연사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수고하세요 ^^ (대부분 하드를 두개 사시는데 이것도 하드 돌연사 대비를 위해서입니다.)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하면 안 좋은가요?

제가 외장하드를 사려는데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해줄 수 있냐고 물으니 2개 이상으로 나누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파티션 분할 하면 안 좋은가요? (참고: 저는 1:1:3...

엠지텍 외장하드 윈도7에서 파티션 분할...

... 윈도 7에서 파티션 분할 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ㅠ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이요~ 이왕이면 사진으로 알려주심 정말 감사하겠네요ㅠ 흑흑... 글로 아무리 봐도 모르겠어서.....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 5.외장하드파티션 분할후 포맷형식을 ntfs와 fat32로 두파티션이 다르게 할수있나요? 답변 부탁드려요 ~~ 1. 발열이나 소음이 조금 더 나기는 하지만 외장하드에서...

외장하드 파티션분할 하는게 낫나요?

... >파티션분할하는게낫나요 아님 그대로 쓰는게 낫나요? 외장하드의 목적은 보통 두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1. 컴퓨터 수리를 위한 이동용 OS구축 및 자료 저장용 2. 개인...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 -외장하드를 쓰면서 주의해야 할점... 등... 사용자분들 자세히 설명좀... 파티션 분할이라는게 뭐져? ㅠㅠ 한개에 여러드라이브를 만들어준다는거라구 하든데... 맞습니다....

외장하드 파티션 분할

오늘 새 외장하드가 와서 파티션 분할을 해주려고 하는데 분할 축소가 클릭이 안되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외장하드에 파일이 없나요?...

외장하드파티션분할

네비게이션에 주로 사용하는 외장하드인데 파티션 분할을 해야 사용 한다더군요.. 초보라서 다른분이 해주셨는데 외장하드안에 내용이 다지워졌네여 파티션 분할 하는 방법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