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다리기에대해서

줄다리기에대해서

작성일 2010.07.12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OOOO초등학교3학년입니다.

          줄다리기에 대해서 조사를 해야하는데여 ㅠㅠ

        줄다리기에 대해서좀 가르쳐주세염 ㅠㅠ

   내공냠냠 같은거 신고     오늘... 밤까지

오늘안에여!! 가르쳐줘요 ㅠ

             답변좀                       

답변하시는 여러분들을위해..<,,,X100번>

                <답변제발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가 생활의 뜻
     - 직장 생활이나 공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시간을 갖는 생활을 말한다.
 
2. 조상들의 여가 생활의 특징
1)성별의 따라 여가 생활의 종류가 달랐다.
2)나이에 따라 여가 생활의 종류가 달랐다.
3)신분에 따라 여가 생활의 종류가 달랐다.
4)계절에 따라 여가 생활의 종류가 달랐다.
5)명절에 따라 여가 생활의 종류가 달랐다.
 
3. 조상들의 여가생활의 분류
1) 성별
   *남자: 씨름, 장기, 바둑, 제기차기, 고누놀이, 윷놀이 등
   *여자: 수놓기, 널뛰기, 그네뛰기, 강강술래 등
2) 나이
   *어른: 씨름, 장기, 바둑, 윷놀이 등
   *아이:사방치기, 공기놀이, 연날리기, 자치기, 팽이치기 등
3) 신분
   *서민: 널뛰기, 농악놀이, 제기차기, 씨름 등
   *양반: 바둑, 산책, 서화, 수놓기 등
4) 계절
   *봄: 꽃생이놀이, 손더듬이, 풀 각시놀이, 호드기불기, 천렵놀이, 풀싸움 등
   *여름: 방아깨비놀이, 복놀이, 삼 굿, 두꺼비집 짓기 등
   *겨울: 썰매타기, 자치기, 제기차기, 팽이치기, 연날리기, 널뛰기, 잉어놀이 등
5) 명절
   *설날(음력 1월 1일): 널뛰기, 연날리기, 윷놀이, 투호, 팽이치기 등
   *정월 대보름(음력 1월 5일): 놋다리밟기, 달맞이, 동채 싸움, 쥐불놀이, 지신밟기, 나무 쇠 싸움 등
   *단오(음력 5월 5일): 그네뛰기, 씨름 등
   *추석(음력 8월 15일): 가마싸움, 강강술래, 소싸움 등
 
4. 조상들의 여가생활 종류
1)그네뛰기5월단오에굵은아이줄을나무에매고,그네에올라타몸을앞뒤로흔들어높이올라가는놀이이다
2) 제기차기: 제기를 땅에 떨어지지 않고 발로 많이 차는 쪽이 이기는 놀이이다. 음력 정월 초를 전후하여 남자 아이들이 즐겼던 놀이로, 추위를 이기기에 좋은 놀이이다.
3) 널뛰기: 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가서 번갈아 뛰는 놀이이다. 옛날 여자들은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못하여 널뛰기를 하는 도중에 높게 솟게 되면 담 밖의 세상을 보기도 하였다.
4) 씨름: 모래밭이나 잔디밭에서 두 사람이 몸을 밀착시켜 밀고, 당기고, 다리를 걸어 상체가 먼저 닿는 사람이 지는 놀이이다.
5) 강강술래: 부녀자들이 둥글게 원을 그려 돌면서 추는 춤이다. 해마다 대보름날과 추석에 흥겹게 춤을 추었다고 한다.
6) 연날리기: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높이 올리는 겨울철 놀이이다. 연에는 가오리연, 태극 연, 방패연, 꼬리 연, 반달연 등이 있다.
7) 공기놀이: 다섯 개의 작은 돌을 땅바닥에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집고, 받고 하는 놀이이다.
8) 자치기: 겨울철 놀이로, 짤막한 나무토막을 다른 긴 막대기로 쳐서 그 나간 거리의 멀고 가까움을 재어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9) 바둑: 두  사람이 바둑판에 흰 돌과 검은 돌을 번갈아 가며 놓아 집을 짓는 놀이이다. 자신의 집을 더 많이 지은 사람이 이기는 놀이이다.
10) 수놓기: 헝겊에 여러 가지 색실로 그림이나 글자를 떠서 손으로 무늬를 놓는 것으로, 옛날 여자들이 방안에서 하는 여가 생활이었다.
11) 윷놀이
         * 놀이 방법: 편을 갈라 윷을 던진다. 도, 개, 걸, 윷, 모에 따라 윷판의 말이 앞으로 나아가 상대편의 말보다 먼저 말판을 돌면 이기는 놀이이다.
         * 윷말은 동물의 몸 크기와 걷는 속도를 나타냈다.
            도-돼지, 개-개, 걸-양, 윷-소, 모-말
         * 윷의 종류
            ① 가락윷: 지금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윷이다.
            ② 밤윷: 길이를 짧게 만들어 종지에 담거나, 손바닥 안에 담아서 던지는 윷이다.
12) 동채 싸움: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 전해오는 놀이로,  차전놀이라고도 부른다. 대장 한 사람의 지휘 아래 수많은 사람들이 통일된 행동을 보여주는 놀이로, 협동과 단결을 필요로 한다.
13) 투호: 항아리를 뜰 가운데 놓고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화살같이 만든 긴 막대기를 던져서 어느 편이 더 많이 넣느냐를 겨루는 놀이이다.
14) 놋다리밟기: 경상북도 안동 지방에서 여자들이 하던 놀이로, 한 줄로 갈게 늘어서서 앞사람의 허리를 두손으로 껴안아 긴 사람 다리를 만든다. 맨 뒷사람부터 한 명씩 순서대로 건넌 후 그 자리에 허리를 굽히고 다시 놋 다리를 구성하는 놀이이다.
15) 소싸움: 두 소를 맞붙여서 싸우게 하는 놀이이다. 무릎을 꿇거나 밀리면 지게 된다.
16) 줄다리기: 줄다리기를 하는 이유:줄다리기는 보통 협동심과 친목을줄다리기는 다른 많은 민속 놀이와 마찬가지로 종교적인 기능을 주로 하였다. 줄다리기가 대부분의 지방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행하였던 것이 이를 말해 준다.
음력 정월 보름은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이다. 가득 찬 보름달은 곧 풍요로움과 다산의 상징이며, 또한 달님, 즉 월신(月神)은 곧 여신으로 생산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것은 많은 민속 놀이가 대보름날에 행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줄다리기를 새해의 첫 달이 찬 보름달에 행하는 이유도 보름달이 풍요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우리 조상들이 줄다리기 놀이를 행한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바로 풍년의 기원에 있다. 이 때문에 줄다리기는 가뭄 때 비를 비는 기우제의 행사로 행하기도 한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줄다리기에 쓰이는 줄을 뱀이나 용이라고 생각하였고 용은 비를 가져오게 하는 동물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가뭄 때 용이 비를 내려주기를 기원하면서 기우제의 한 행사로 줄다리기를 벌였던 것이라고 한다. 농사와 고기잡이가 생업이 되었던 옛날에 생산물의 풍작 또는 흉작은 농민과 어부의 생존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줄다리기 같은 놀이에도 그들이 평소에 바라던 소망이 담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줄다리기는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놀이이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인해 여러 가지 민간 신앙이나 속설이 전해진다. 아이를 못 가진 부녀자가 줄을 넘으면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하는 민간 신앙이 전해지기도 하며 줄다리기에서 승리한 편의 줄 조각을 자기 집 지붕 위에 올려 놓으면 아들을 낳게 되고 운수가 트인다는 속설도 있다.
그리고 소에게 그 짚을 먹이면 소가 잘 크고 그 짚을 거름으로 쓰면 농사가 잘 된다고 믿었다. 또한 어부가 줄다리기에서 승리한 편의 줄을 한 토막 배에 싣고 가면 배는 폭풍을 만나지 않으며 고기가 많이 잡힌다는 속설도 있다.
줄다리기를 할 때, 줄을 당기는 두 편을 각기 암줄과 숫줄로 정하여 암줄, 즉 여성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땅의 신은 대부분 여신이므로 여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여자편이 이겨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여성은 달ㆍ물ㆍ용ㆍ뱀 등과 함께 생산을 상징한다. 그래서 줄다리기를 할 때 암줄, 즉 여성편이 이겨야 풍요로운 생산과 수확이 이루어진다고 믿었던 것이다.
또 줄다리기는 액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고 믿기도 하였다. 줄다리기의 승부가 결정되고 나면 사람들은 미리 준비해 온 낫이나 칼로 서로 다투어 줄을 베어 가느라고 야단이 된다. 이 줄을 베어다가 달여 먹으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속설 때문이다. 그리고 줄다리기에 참가한 사람들은 모두 그 해를 건강하고 무사하게 보낼 수 있다고도 믿었다.
줄다리기는 종교적 기능을 했을 뿐 아니라 신체 단련과 마을 사람들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밀양의 게줄당기기가 좋은 사례가 된다. 밀양으로 흐르는 감내라는 개천은 예로부터 물맛이 좋고 게가 많이 잡히기로 유명하여 이웃 사람들이 서로 차지하려고 경쟁하였고 그러다 보니 자연히 인심이 거칠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마을의 어른들이 게줄당기기 시합을 생각해 내어 마을 사람들 간의 화합을 이루었다고 한다.
따라서 줄다리기는 협동 정신과 단결력, 그리고 애향심을 길러 주는 놀이였다고 할 수 있다 키우기 위해서 많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쫌....... 늦은거 같긴 하지만  아무튼 답변 올립니다!!!!!!! 글구 저도 3학년 늦었어도 사용해주시길  줄다리기의 대해서 간략하게 줄여서 해드릴게요.  마을 주민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당기며 승부를 겨루던 놀이이다. 이긴 쪽이 그해 농사도 잘 되고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제발~!!!! 답변확정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요

그 숙제 병풍을  만들어 오라는 숙제일거예요.

저는 온 곳을 찾고 있는데,

겨우 하나 했어요.

숙제야 물러가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잘모르겠네요 ㅈㅅ해여  긋지만 하는건 잘해요

줄다리기에대해서

... 줄다리기에 대해서 조사를 해야하는데여 ㅠㅠ 줄다리기에 대해서좀 가르쳐주세염 ㅠㅠ 내공냠냠 같은거 신고 오늘... 밤까지 오늘안에여!! 가르쳐줘요 ㅠ 답변좀 답변하시는...

줄다리기에 대해서

줄다리기를 소개하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이 들어가면 좋을 까요? 줄다리기의 유래와 하는 방법을 포함해서 5가지만 알려주세요 ㅠㅠ 나무위키나 위키백과를 참조해보세요

줄다리기에 유래와 하는방법등등...

숙제인데 줄다리기에 유래와 하는방법이나 다른것도 줄다리기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답변 부탁~~~ 제가요 한 책을 읽어보았는데요.. 그책이름이 아마 전래놀이? 뭐 그런거...

줄다리기에 대하여

... 선생님께서 갑자기 줄다리기에 대해서 조사해오라고 하셨는데 백과사전은 너무길고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잘않나오내요. 지식인 여러분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좀..

기지시 줄다리기에 대해서 조사주제를 설명해주시고. 주제 선정의 이유를 써주세요!! 그리고 조사 결과를 해석하고 개선할 사항이나 방향성을 작성해주세요!! 급해요!!...

줄다리기 팁 좀 주세요!

체육대회 때문에 학교에서 줄다리기를 하는데 오늘 예선경기가 있어서요ㅜㅜ 저희... 자리 배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팁이 있습니다. - 센터와 엔드(맨 끝)는 신장이 큰...

연날리기,줄다리기,달집태우기...

... 달집태우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어떤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풍년과 흉년을... 줄다리기 그 기원과 유래를 확인하기는 곤란하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확인된 줄다리기에...

횃불싸움,줄다리기,씨름,연날리기를...

... 놋다리밟기,동채싸움,돌싸움,달집태우기,횃불싸움,줄다리기,씨름,연날리기를... 달집태우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어떤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풍년과 흉년을 점치던...

줄다리기(작용반작용) 개념 확실히(내공)

지식in덕분에 줄다리기와 작용반작용에 대해서 대략 이해가 됬는데요... 아직 개념정리가 안되는 것 같아서... [얼음판위에서 A와B가 줄다리기를 할때] 여기서는 마찰력이...

줄다리기 하는방법!!

줄다리기 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여 학교숙제걸랑요;;ㅠㅠ... ㄳㄳ~ 줄다리기의 유래 간단합니다. 기우제로 쓰이는곳도... 줄다리기에서 이긴 편의 마을은 그해 논농사가 잘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