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잘쓰는법/주인공시점 작가시점

소설잘쓰는법/주인공시점 작가시점

작성일 2012.01.3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소설 쓰기를 좋아하는 학생입니다
제가 어릴때부터 글쓰기 대회나가면 상도 자주
받곤했었거든요 그래서 소설 써보려고하는데
주인공시점으로 하면 횡설수설하개되고
작가시점으로 하자니 너무 딱딱하고 설명만되요
묘사의.정의와 시점에 대해 알려주새요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가장 이상적인 것은 실제로 많이 써보면서 개념을 이해하는 것입니다만, 시간이 한가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그럴 순 없겠지요. 저 같은 경우엔 대회 출전경험은 있지만 수상한 적은 없거든요. 그래서 그런 면으로는 질문자님보다 실력이 떨어질지도 몰라요. 하지만 그만큼 1년 동안 많이 썼습니다. 쓰다 보니까 소설을 어떻게 쓰는지 감이 잡히더라구요. 이론적으로 가르쳐주는 것보다 경험이 더 확실하긴 합니다. 그러나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는 없겠죠? 하하..

 

 묘사의 정의와 시점.

 우선 묘사의 역할부터 알아볼까요? 당연한 말이겠지만 소설에서 묘사는 없어서는 안 될 절대적인 역할을 차지합니다. 소설이란 '허구적인 세상' 이에요. 없는 세상을 있는 것처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만들어낸 세상이 어떻게 생겼는지 생생하게 '묘사' 할 필요가 있겠죠? 제가 왜 이런 이야기를 하냐면... 뭐든지 정확하게 모르면 그걸 다룰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묘사는 암시와 연결의 역할도 합니다. 뭔가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나기 직전이다, 하면 소설에는 어김없이 먹구름 낀 하늘이라든지 불안하게 흔들리는 바깥 풍경 등이 등장합니다. 이때 작가는 객관적인 묘사를 하지 않습니다. '그 사건' 의 주요 감정이 깃든 묘사, 그러니까 감정적인... 묘사를 씁니다. 두번째로, 소설에 등장한 소도구와 연결되어 독자에게 그것을 인식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으.. 말이 어렵네요.

 

 1인칭 시점에서는 보통 주인공의 내면, 심리묘사가 탁월하다고 하지요. 그리고 묘사하기가 가장 쉬운 것도 1인칭 시점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나' 가 보는 것만 묘사하면 되거든요. 묘사의 시점이라... 말이 좀 어렵습니다만, 일단 묘사를 할 때 바라보는 시각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아니라면 따로 말씀해주세요.

 

 그건 시점마다 다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1인칭에서는 '나' 의 눈에 보이는 것만 묘사하면 됩니다. 관찰자 시점에서는 상황 속에 있는 주인공과 그 근처를 묘사하구요, 그러니까 쉽게 말해 1인칭은 주인공이든 관찰자든 '나' 가 보이는 것을 그려내면 됩니다. 3인칭은 세상 전체를 내려다보니까 좀 더 포괄적인 시선으로 묘사를 해야겠지요? 황순원의 '소나기' 를 읽어보시면 됩니다. 소녀와 소년이 강을 건널 때부터 묘사가 등장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묘사에서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묘사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자연물을 묘사하는 배경묘사, 심리를 표현하는 심리묘사, 사건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사건묘사 등. 이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되는 것이 첫번째와 두번째가 되겠죠? 우선 첫번째 배경묘사에서는 묘사를 할 때 문장에 수식언이 많이 달리게 됩니다. 형용사나 부사나 관형사 같은 꾸며주는 말 (아름다운, 예쁜, 빛나는, 등등) 을 써야 하기에 잘못하면 문장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뚱뚱해집니다. 수식을 많이 한다고 좋은 묘사가 아닙니다. 단 몇 줄의 묘사만으로도 이미지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진정한 묘사의 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심리묘사. 횡설수설하게 되시는 원인이 이곳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주인공의 심리는 되도록 숨기는 편이 좋습니다. 너무 다 드러내버리면 독자가 재미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객관적으로 말하자면 각 단락에서 심리묘사가 5줄 이상 등장하면 그때부터 지루함이 느껴지는 것 같더라구요. 이건 물론 제 생각입니다.

 

 묘사를 할 때, 먼저 하나의 장소를 머릿속으로 정하세요. 그런 다음 시선을 처음에서 끝까지 끌고 갑니다. 쉽게 말해서 벛꽃이 핀 거리를 걷는다, 그 거리의 시작부터 벛꽃나무길이 끝나는 지점까지 상상 속의 거리를 걸어갑니다. 그런 다음 차차 묘사를 하는 거예요. 그 길에는 뭐가 있지? 우선 흰빛의 아름다운 벛꽃. 눈처럼 떨어진다. 그 사이로 보이는 파란 하늘, 그 거리를 걷는 다정한 연인, 가끔씩 벛꽃들을 맞으며 지나가는 차들, 뭐 등등. 이 사이에서 사건이 등장합니다. 보통 묘사는 소설의 첫머리에 도입하는 경우가 많고 폭풍적인 감정이 휘몰아친 뒤 여운을 남기게끔 끝을 낼 때 한두 줄의 묘사를 넣습니다.

 

 작가시점이 설명하듯 딱딱하게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제가 주로 1인칭 시점만 사용해서 잘은 모르지만 '나' 를 대명사나 명사로 치환하면 그게 작가시점이 아닐까요? 물론 그 특유의 장점이나 특징 같은 것이 그렇지만.. 죄송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말씀을 드리기가 힘드네요. ㅠ

 

 묘사뿐만 아니라 한 장면을 만들어낼 때도 시간의 흐름을 따라 한번 들어가보시면 됩니다. 처음에 어떤 사람들이 등장하지? 그들이 뭔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 그 뒤로는 이러이러한 배경이 있지. 그런데 그들 중 한 사람이 어디론가 뛰쳐가. 왜? 그런데 한 여자가 나머지 남자에게 다가오네. 비명소리 같은 것이 들려. 여자는 결국 울면서 뛰쳐가. 문득 그들 뒤로 펼쳐지는 황혼이 슬프게 느껴져. 이쯤... 될까나; 급조하느로 비루먹은 점은 양해해주세요;

 

 횡설수설하긴 했는데 (...) 더 필요하신 점이 있으시면 제게 메일 보내주시면 됩니다. 이번 주말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평일에는 인터넷을 사용하기가 힘들어서... ^^;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소설 잘쓰는 방법이라
우선 많은작품을 읽는게 기본이구요
그다음 보고따라적고
비슷한 내용 작품하시다보면
어느세 자신의스타일이만들어집니다
그렇게시작하구요
처음부터 스타일잡고하면 아마추어분힘들어요
차분히 위의코스진행하길 바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소설을 쓸때는 많은 시점이 있고, 각자마자 장단점이 다 따로 있습니다. 한 번씩 모두 써보시고 자신에게 맞자 싶은 것을 골라서 사용하시는게 좋겠네요.

1인칭 시점은 주로 소설 속에 있는 '나' 의 감각에 의존해 소설을 진행하는 형태입니다. 주인공에 심리를 독자가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신뢰감이나 주인공의 감정에 좀 더 몰입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한 사람의 감각에만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묘사의 한계가 찾아옵니다. 복선을 넣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지만 노력하면 별로 불가능한 것도 아니고, 가장 편하게 쓰실 수 있습니다.

관찰자 시점은 소설 밖에 있는 관찰자가 소설 속 인물들의 이름이나 혹은 다른 표현으로 '그, 그녀'를 사용해 캐릭터들의 행동을 묘사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묘사들이 대부분 담백한 것이 특징이고요(아닌 경우도 있다만...)아무래도 서술할 수 있는 범위가 1인칭에 비해 훨씬 넓다보니 자유로운게 특징이죠. 하지만 내면의 묘사가 조금 어렵다는게 단점.

전지적 작가시점은 아무래도 가장 많이 알려진 시점입니다. 소설 밖에 있는 관여자, 특히 작가가 전지전능한 위치에서 등장인물들의 심리나 모든 총체적인 것을 총괄해 해석하는 시점. 많은 부분을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표현력만큼은 다른 것에 비해 뛰어납니다. 꽤 편하기도 하고요.

주로 3인칭 관찰자 시점은 단편소설에 어울리고, 전지적 작가시점은 장편소설에 잘 맞는다고 하네요. 절대적인 경우는 아니니 편한대로 하세요.


소설잘쓰는법/주인공시점 작가시점

... 그래서 소설 써보려고하는데 주인공시점으로 하면 횡설수설하개되고 작가시점으로 하자니 너무 딱딱하고... 쓰다 보니까 소설을 어떻게 쓰는지 감이 잡히더라구요....

소설 시점. 전지적작가 시점 잘쓰는법

... 전지적작가시점에서 주인공들의 속마음을 줄줄... 이렇게 설명으로 들으면 어려우실 수 있지만, 여타 소설들을 보면 전지적 작가 시점도 문장을 간결하게 쓰는구나...

작가시점으로 소설 쓰는 법 자세하게...

... 한 글쟁이 소녀인데요 제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만... ㅠㅠ) 제가 소설잘 쓰는 편은 아니지만, 3인칭 관찰자 시점과 전지적 작가 시점의 차이를 쉽게 찾으실 수 있을...

(1인칭주인공,전지적작가시점...

제가 소설쓰는중입니다. 그런데 주인공을 2명으로 넣어서 소설을 진행해보고싶군요; 물론 전지적작가시전으로... 스테레오 시점이란게 뭔지 몰르겠고;...

남자 작가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소설...

... 쓸때 주인공작가와 반대인 성으로 써도 되는지, 그리고 또 그렇게 쓴 소설들이 실제로 있는지... 답변좀 해주세요 만약 없다면 지금 쓰는 소설을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1인칭 주인공시점 으로 게임소설쓰는법

... 그래서 그런데 제가쓴 소설을 어떻게 바꾸어야 1인칭 주인공시점이 될까요??(소설은 스크롤을 내리면 있어요) 또 주인공 시점으로 써야 할때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하는 점을...

[내공55]소설잘쓰는법

... 안돼더라구요 ,, 주인공시점 , 다른사람시점 , 작가시점 이렇게 뒤죽박죽되버리고 .. 하.. 그리고 자꾸 그 소설... 재밌게 쓰는법 3 . 신비스럽게 쓰는법 내공 55 1. 일단 전체적인...

<내공30> 판타지 소설 잘쓰는 법~

... 1) 3인칭 작가 시점 잘 쓰는 법 2)전투 장면 잘 쓰는 법 3) 판타지 소설의 기본적인 양식 입니다. 부탁드립니다... 예를들어 주인공이 어떻게 죽었다는 묘사도 없이 갑자기...

소설 작가시점 쓰는 방법

안녕하세요?소설을 좀 쓰고 있는 한 중딩여잔데요.. 제가... 3인칭 작가시점으로 쓰는 방법이나 요령같은거 없나요.. 제가 맨날 쓰면 주인공 시점으로만 써서 작가시점이 좀.....

인터넷소설 잘쓰는법

... 저는 여주인공 시점만 써봤는데 필요하면 남주인공 시점도 따로 써야하나요? 5. 그밖에 작가님들이 초보작가한테 할 조언이나 소설쓰는 노하우들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