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산과 강 모두 조사하기중에...

우리 나라의 산과 강 모두 조사하기중에...

작성일 2006.01.2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리나라 산과 강을 조사해서 정리하고 쓰는건데

 

보고서 형식이라서;'/...//

 

숙제요청아님!!

 

보고서를 한번도 쓴적이 없어서..

 

어떻게 쓰는지만 좀 알려주세요.

 

산과 강도 알려주시면 감사해옷

 

시간이 없음

 


#우리 나라의 문화유산 #우리 나라의 장애는 16개로 구분된다 #우리 나라의 문제점 #우리 나라의 지층 #우리 나라의 전통 음식 #우리 나라의 역사적 인물 #우리 나라의 화석 #우리 나라의 자연재해 #우리 나라의 축제 #우리 나라의 음악 문화유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나라의 산
[한라산]
높이 1,950m이다.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제3기 말∼제4기 초에 분출한 휴화산이다.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기는 제주도 중앙에서 동서로 뻗는다. 남쪽은 경사가 심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쪽은 비교적 높으면서도 평탄하다.
예로부터 부악(釜岳)·원산(圓山)·진산(鎭山)·선산(仙山)·두무악(頭無岳)·영주산(瀛州山)·부라산(浮羅山)·혈망봉(穴望峰)·여장군(女將軍) 등 많은 이름으로 불렸고, 민간 신앙에서는 금강산·지리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로 치기도 한다.
정상에는 둘레 약 3㎞, 지름 500m의 화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으며, 주위 사방에 흙붉은오름[土赤岳]·사라오름[砂羅岳]·성널오름[城板岳]·어승생오름[御乘生岳] 등 360여 개의 측화산을 거느리고 있다.
또 해안지대에는 폭포와 주상절리 등 아름다운 화산지형이 펼쳐지고, 해발고도에 따라 아열대·온대·냉대 등 1,800여 종에 달하는 고산식물이 자생하여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다. 봄의 철쭉·진달래·유채,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과 운해가 절경이며, 곳곳에서 한라산의 상징인 노루를 볼 수 있다.

[지리산]
높이 1915m. 신라 5악의 남악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으로 달라진다’하여 지리산(地理山)이라 불렀고, 또 ‘멀리 백두대간이 흘러왔다’하여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며, 옛 삼신산의 하나인 방장산(方丈山)으로도 알려져 있다.
남한 내륙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하는 지리산은 서쪽 끝의 노고단(1507m), 서쪽 중앙의 반야봉(1751m) 등 3봉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로 100여 리의 거대한 산악군을 형성한다.
천왕봉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주능선을 중심으로 해서 각각 남북으로 큰 강이 흘러내리는데, 하나는 낙동강 지류인 남강의 상류로서 함양·산청을 거쳐 흐르고, 또 하나는 멀리 마이산과 봉황산에서 흘러온 섬진강이다. 이들 강으로 화개천, 연곡천, 동천, 경호강, 덕천강 등 10여 개의 하천이 흘러들며 맑은 물과 아름다운 경치로 ‘지리산 12동천’을 이루고 있다.
지형은 융기작용 및 침식·삭박에 의해 산간분지와 고원·평탄면이 형성되어 있고 계곡은 깊은 협곡으로 되어 있다. 최고봉은 섬록암(閃綠岩)으로 되어 있고 주변은 화강암·화강편마암의 지질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화엄사, 천은사, 연곡사, 쌍계사 등 유서 깊은 사찰과 국보·보물 등의 문화재가 많으며, 800여 종의 식물과 400여 종의 동물 등 동식물상 또한 풍부하다. 1967년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되었다.
[설악산]
높이 1,708m이다. 신성하고 숭고한 산이라는 뜻에서 예로부터 설산(雪山)·설봉산(雪峰山)·설화산(雪華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고, 금강산(1,638m)을 서리뫼[霜嶽]라고 한 것과 관련해 우리말로 설뫼[雪嶽]라고도 하였다. 남한에서는 한라산(1,950m)·지리산(1,915m)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향로봉(1,293m)·금강산, 남쪽으로는 점봉산(點鳳山:1,424m)·오대산(1,563m)과 마주한다. 최고봉은 대청봉이다. 대청봉 남쪽에 한계령, 북쪽에 마등령·미시령 등의 고개가 있다.
위치상 산맥의 서쪽 인제군에 속하는 지역을 내설악, 동쪽을 외설악으로 나누는데, 남설악이라 하여 오색지구를 추가하기도 한다. 내설악에는 미시령·대청봉·한계령을 수원지로 하여 소양강·북한강으로 이어지는 계곡이 발달했다.
[태백산]
높이 1,567m이다. 설악산·오대산·함백산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영산’으로 불린다. 최고봉인 장군봉(將軍峰)과 문수봉(文殊峰:1,517m)을 중심으로 비교적 산세가 완만해 경관이 빼어나지는 않지만 웅장하고 장중한 맛이 느껴지는 산이다.
산 정상에는 예로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天祭壇:중요민속자료 228)이 있어 매년 개천절에 태백제를 열고 천제를 지낸다. 볼거리로는 산 정상의 고산식물과 주목 군락, 6월 초순에 피는 철쭉이 유명하다. 태백산 일출 역시 장관으로 꼽히며, 망경사(望鏡寺) 입구에 있는 용정(龍井)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서 솟는 샘물로서 천제의 제사용 물로 쓰인다.

[소백산]
높이 1,439m이다. 태백산에서 남서쪽으로 벋은 소백산맥 중의 산으로서 비로봉(1,439m)·국망봉(1,421m)·연화봉(1,421m)·제2연화봉(1,357m)·도솔봉
(1,314m)·신선봉(1,389m)·형제봉(1,177m)·묘적봉(1,148m) 등의 많은 봉우리들이 이어져 있다. 북서쪽은 경사가 완만하며 국망천이 흐르고, 동남쪽은 경사가 심하고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는 죽계천이 시작된다. 지질은 화강편마암이 중심을 이루며 주변으로는 중생대의 화강암류가 분포한다.
식물은 한반도 온대중부의 대표적인 식생을 갖는 지역으로서 낙엽활엽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철쭉 등 관다발식물 1,000여 종, 동물은 멧돼지 등 1,700여 종이 분포한다. 주봉인 비로봉은 수많은 야생화와 함께 희귀식물인 에델바이스(외솜다리)가 자생하고 이곳에서부터 연화봉 일대에는 주목(천연기념물 244)의 최대 군락지가 펼쳐져 있다.
[치악산]
높이 비로봉 1,288m, 남대봉(망경봉) 1,181.5m, 시명봉(남대봉) 1,187m
힘겨운 등반코스로 잘 알려진 치악산
"치가 떨리고 악이 받치는 산"이라고도 불리는 치악산은 그만큼 산세가 웅장하고 골이 깊어 고산다운 면모를 지닌 산중의 산이라 할 수 있다
차령산맥 남단부에 위치한 치악산은 동악명산, 적악산으로 불렸으나, 상원사의 꿩(또는 까치)의 보은전설에 연유하여 꿩치(雉)자를 써서 치악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치악산은 단일산봉이 아니고 1,000m 이상의 고봉들이 장장 14㎞나 능선으로 이어져 있어 치악산맥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요 봉우리는 주봉인 비로봉(1,288m), 남대봉(1,181m), 향로봉(1,043m), 매화산(1,085) 등이다
[계룡산]
높이는 845m이다. 주봉인 천황봉을 비롯해 연천봉·삼불봉·관음봉·형제봉 등 20여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능선의 모양이 마치 닭볏을 쓴 용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계룡산이라고 불린다.
신라 5악(五嶽) 가운데 하나로 백제 때 이미 계룡 또는 계람산, 옹산, 중악 등의 이름으로 바다 건너 당나라까지 알려졌으며, 풍수지리상으로도 한국의 4대 명산으로 꼽혀 조선시대에는 이 산 기슭에 새로이 도읍지를 건설하려 했을 정도이다. 특히 《정감록(鄭鑑錄)》에는 이곳을 십승지지(十勝之地), 즉 큰 변란을 피할 수 있는 장소라 했으며 이러한 도참사상으로 인해 한때 신흥종교 및 유사종교가 성행했으나 종교정화운동으로 1984년 이후 모두 정리되었다.
지질은 대체로 중생대 쥐라기·백악기에 형성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령산맥이 금강에 의해 침식되면서 형성된 잔구성 산지로서 산세가 웅장하고 경관이 뛰어나다. 노성천·구곡천·갑천·용수천 등이 발원하여 금강으로 흘러든다. 연평균기온은 11℃ 내외, 연강우량은 1,280mm이며 6~9월에 강우량의 90%가 집중된다.

[속리산]
높이는 1,058m이다. 태백산맥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나오는 소백산맥 줄기 가운데 솟아 있다. 784년(신라 선덕여왕 5)에 진표(眞表)가 이 곳에 이르자, 밭 갈던 소들이 모두 무릎을 꿇었다. 이를 본 농부들이 짐승도 저러한데 하물며 사람들이야 오죽하겠느냐며 속세를 버리고 진표를 따라 입산 수도하였는데, 여기에서 '속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전에는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 구봉산(九峰山)이라 하였고, 광명산(光明山)·미지산(彌智山)·형제산(兄弟山)·소금강산(小金剛山) 등 여러 별칭을 가지고 있다.
최고봉인 천황봉(天皇峰)을 중심으로 비로봉(毘盧峰:1,032m)·문장대(文藏臺:1,054m)·관음봉(觀音峰:982m)·길상봉(吉祥峰)·문수봉(文殊峰) 등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 팔경(八景) 가운데 하나에 속하는 명산으로, 화강암의 기봉(奇峰)과 울창한 산림으로 뒤덮여 있고, 산중에는
1000년 고찰의 법주사(法住寺)가 있다. 봄에는 산벚꽃, 여름에는 푸른 소나무, 가을에는 붉게 물든 단풍, 겨울에는 설경이 유명하다.

[덕유산]
최고봉은 향적봉(香積峰:1,614m)이다. 덕이 많고 너그러운 모산(母山)이라 하여 ‘덕유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상남도 거창군과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安城面)·설천면(雪川面)의 경계에 솟아 있으며, 북덕유산(향적봉)과 남덕유산(1,507m)으로 나뉜다.
남덕유산은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과 전라북도 장수군 경계에 솟아 있다. 두 산봉 사이의 약 20㎞ 구간에는 해발고도 1,300∼1,400m의 소백산맥 주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으면서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도 경계를 이룬다.
주봉우리인 향적봉을 중심으로 무풍면(茂豊面)의 삼봉산(三峰山:1,254m)에서 시작하여 대봉(1,300m)·덕유평전(1,480m)·중봉(1,594m)·무룡산(1,492m)·삿갓봉(1,410m) 등 해발고도 1,300m 안팎의 봉우리들이 줄 지어 솟아 있어 일명 덕유산맥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 강

[한강]
한국의 중부, 강원 ·충북 ·경기 ·서울을 거쳐 서해로 유입하는 강.
위치 : 한국 강원 ·충북 ·경기 ·서울
면적 : 유역면적 2만 6018㎢
길이 : 간선 유로연장 481.7km, 법정하천연장 405.5km

[낙동강]
영남지방 전역을 유역권으로 하여 그 중앙 저지대를 남류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하천.
위치 : 영남지방 전역
면적 : 유역면적 2만 3860㎢
길이 : 길이 525km
[영산강]
전남 담양군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황해로 흘러드는 강.
위치 : 전남 담양군
면적 : 3,371 ㎢
길이 : 115.5 km
[섬진강]
전북 남동부와 전남 북동부를 흐르는 강.
위치 : 전북 남동부와 전남 북동부
면적 : 유역면적 4,896.5 ㎢
길이 : 212.3 km
[금강]
전북 장수군 소백산맥 서사면에서 발원하여 충북과 충남을 거처 강경에서부터 충남 ·전북의 도계를 이루면서 군산만으로 흘러드는 강.
위치 : 전북 장수군 소백산맥, 충청남도, 충청북도, 군산만
면적 : 유역면적 9,858 ㎢
길이 : 401 km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FORM name=ans1902041 action=/service/ques_reply/ans_reply.html method=post></FORM>

우리나라 산:백두산. 한라산. 금강산. 천주산. 지리산.


우리나라 강(북한까지):낙동강. 한강. 두만강. 압록강
세부적으로..
한강(북한강,남한강),금강,청천강,낙동강,섬진강,압록강,두만강,임진강,예성강,영산강,어랑천,삽교천,만경강,형산강,동진강,재령강,비류강,용흥강,성천강,장진강,부전강,허전강,남대천,북대천,독로강,자성강,남강

 

그리고 보고서는. 간단하고..형식에 맞으면 됩니다..

너무길게해두 안좋구요..자세하게.사람이 받을떄..간단하고..

유익한것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우리 나라의 산과 강 모두 조사하기중에...

우리나라 산과 강조사해서 정리하고 쓰는건데 보고서... 없음 우리나라의 산 [한라산] 높이 1,950m이다. 남한에서... 우리나라 [한강] 한국의 중부, 강원 ·충북 ·경기...

우리나라 ,강 모두 조사하여서 보고서...

방학숙제에 우리나라 ,강 모두 조사하여서 보고서형식으로 쓰라네요 ㅠ.ㅠ 시간도 얼마 남지않았는데 얼른 답변부탁드려요~~~~~~~ 내공 20드림 흑흑 빨랑 급해요!!! 보고서...

우리나라의 산과 강 모두 조사

안녕하세요 제가 방학숙제를 해야하는데 우리나라의 산과 강모두 조사해야 해요. 급해요 ㅜㅜ 되도록이면 빨리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 강종류 북한강 끝 산종류 금강산...

우리나라의 산과 강

저 방학숙제 때문에 그러는데 우리나라의 산과 강 하나도... 정상에는 예로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 아는데까지 조사하여 했습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우리나라의 산과 강

... 인데요 우리나라의 산과 강~~두 꼼꼼히 조사하라... 정상에는 예로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제단... 유입하는 . 위치 : 한국 강원 ·충북 ·경기 ·서울 면적...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 강 10가지 조사

... 방학과제가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 강 10가지를 조사해라... 3악 중악(中岳)으로 불리운 산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1968년)되었다 능선이 마치 닭의 벼슬을 쓴 용의...

우리나라 산과강 조사 보고서 쓰는법

... 그런데 방학숙제로 우리나라 산과강조사 해서 보고서 써야 되는데요... 산과강 조사 보고서 쓰는법 좀 알려줄수 있을까요??? 제가 잘 몰라서요... 지금 이 나이면 알아야...

우리나라의 모든 산과 강 조사하기...

안녕하세요 제가 방학숙제로 우리나라의 모든 산과 강 조사하기가 걸렸어요. 집에 있는 책을 다 찾아봐도 나오긴 하지만 그걸 다 하나로 정리하기에 는 시간이 쥉일 걸릴 것...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강을 10가지 이상...

... 그러는데염..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강을 10가지 이상 조사... 3악 중악(中岳)으로 불리운 산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1968년)되었다 능선이 마치 닭의 벼슬을 쓴 용의...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 강

...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과 강을 10가지 이상 조사하고 특징과... 있는 산 과 강에 대하여 알아보면...(여기서 북한은 제외함) * 우리 나라의 4대 :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