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에 대하여!!!!

박목월에 대하여!!!!

작성일 2006.03.06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요.. 박목월에 대해서 지은 시나 박목월에 대하여

누가 좀 간단하고 자세하게 써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박목월의 시와 박목월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올렸습니다.

 

 

 

                                             ㅡ박 목 월ㅡ

 

 

지상에는

아홉 켤레의 신발.

아니 현관에는 아니 들깐*에는

아니 어느 시인의 가정에는

알전등이 켜질 무렵을

문수(文數)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현관에 놓인 아홉 켤레의 신발

내 신발은

십구 문 반(十九文半).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그들 옆에 벗으면

육 문 삼(六文三)의 코가 납작한

귀염둥아 귀염둥아

우리 막내둥아.

 

신발에서 느끼는 가족애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얼음과 눈으로 벽(壁)을 짜 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憐憫)한 삶의 길이여.

내 신발은 십구 문 반.

 

고달픈 삶 속에서의 가장의 책임

아랫목에 모인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강아지 같은 것들아.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내가 왔다.

아버지가 왔다.

아니 십구 문 반의 신발이 왔다.

아니 지상에는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존재한다.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핵심정리

 

* 주제: ▷ 아버지로서의 고달픔과 애정 및 연민의 자의식

               ▷가장의 고달픔과 인간애

* 출전: 시집 , 1968

 

 

 

                                                    ㅡ박 목 월ㅡ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 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南道)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핵심정리

 

* 성격: 관조적, 서정적, 낭만적, 풍류적, 향토적

* 심상: 시각적, 후각적 심상

* 운율: 3음보(민요조)

* 어조: 달관의 어조

* 특징: 체언 종결의 간결한 형식미

* 구성: 변형된 수미쌍관의 구조

* 표현법: 명상형 사용, 압축미와 간결미를 살림, 서경과 서정의 조화, 주제연 반복, 음악성

                    의 고조

* 출전: , 1946.4

* 주제: 체념과 달관의 경지, 자연에 동화된 달관의 경지

 

 

 

                                                  ㅡ박목월ㅡ

 

 

송화가루 날리는

외딴 봉우리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 울면

 

산지기 외딴 집

눈먼 처녀사

 

문설주에 귀 대이고

엿듣고 있다.

 

 

핵심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서정적, 향토적, 낭만적, 민요적

* 제재 : 초여름 산 속의 정경

* 특징 1. 한국적인 정적미, 애절한 분위기

              2. 간결한 시어 선택

              3. 민요조 율격 (3음보, 7.5조)

* 모티브 : 송화가루 - 꾀꼬리 - 눈 먼 처녀

* 주제 : 외로운 기다림 (학국적 정적미와 애절성)

* 출전 :

 

 

 

                                                       ㅡ박 목 월ㅡ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뭐락카노, 바람에 불려서

 

이승 아니믄 저승으로 떠나는 뱃머리에서

나의 목소리는 바람에 날려서

 

뭐락카노 뭐락카노

썩어서 동아 밧줄은 삭아 내리는데

 

하직을 말자, 하직 말자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뭐락카노 뭐락카노

니 흰 옷자라기만 펄럭거리고.....

 

오냐, 오냐, 오냐.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음성은 바람에 불려서

 

오냐, 오냐, 오냐.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핵심정리

 

* 대화체: 죽음과 삶의 이원적 대립, 이별의 수용과 거부를 통한 극복

* 출전: 시집 , 1968

* 주제: ▶사별의 아픔을 정신적으로 극복함

               ▶죽음을 넘어선 인연의 그리움

               ▶생사를 초월한 이별의 정한

 

 

 

                                                       ㅡ박 목 월ㅡ

 

머언 산 청운사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나는 열두 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핵심정리

 

* 성격: 낭만적, 서경적, 전통적, 관조적, 향토적

* 심상: 정중동의 심상(2, 3, 5연)

* 어조: 담담하게 찬탄하는 어조

* 구성

청운사의 원경(1연)

계절의 변화(2연)

청운사의 근경(3연)

중심 소재의 제시(4연)

생명과 합일된 자연(5연)

* 출전: 3인 공동 시집 , 1946

* 주제: ▶봄의 정경과 정취

               ▶자연의 서경과 관조의 세계

               ▶아름다운 생명의 고향에 대한 예찬

               ▶탈속과 순수의 세계에 대한 동경

               ▶평화로운 삶에 대한 동경.

 

 

 






1916. 1. 6 경상북도 경주(慶州)출생. 본명은 영종(泳鍾). 대구 계성(啓星)중학을 졸업(1935), [문장]지의 추천 위원이던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문장(文章)]에 (1939. 9.)과 (1939. 9.)가 추천되어 등단. 진주 시인협회 간행 동인지 [등불]의 동인(1946). 대구 계성중학교 교사(1946), 김동리 서정주등과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1946), 조선문필가협회 상임위원,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靑鹿派)로 불리는 계기가 된 [청록집(靑鹿集)](1946, 을유문화사)을 간행하며 이후 청록파로 불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시인 박목월
목차
1 작가소개
1 소년 시절
2 구원의 여인상
3 달빛 속의 청노루
4 목마른 생의 여정
5 가나긴 여로의 동반자
6 마지막 강의
7 주요 시집 및 수필집
2 작품감상
1 작가소개
박목월 朴木月 1916 1 6 1978 3 24
1 소년 시절
그는 1916년 1월 6일 경상북도 월성군 서면 건천리 모량 毛良 이란 마을에서 박준필의 4남매 중 맏이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대구 농업학교를 나와 경주 수리조합 토지개량조합 이사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그이 모친은 절실한 기독교 신앙으로 아이들을 교육시키고 보살폈다 그의 본명은 영종 泳鍾 이다
먼 훗날 목월은 자기의 고향을 이렇게 썼다
『산』
건천은 고향
역에 내리자
눈길이 산으로 먼저 간다
아버님과 아우님이 잠드는 先山
거리에는 아는 집보다 모르는 집이 더 많고
간혹 낯익은 얼굴은 너무 늙었다
우리집 감나무는 몰라보게 컸고
친구의 손자가 할아버지의 심부름을 전한다
눈에 익은 것은 아버님이 거처하시던 방
아우님이 걸터앉던 마루
내일은 어머니를 모시고 성묘를 가야겠다
종일 눈길이 그 쪽으로만 가는 山
누구의 얼굴보다 친한 그 산에 구름
그 산을 적시는 구름 그림자
『사투리』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
나는 머루처럼 투명한 밤하늘을 사랑했다
그리고 오디가 샛까만 뽕나무를 사랑했다
혹은 울타리 섶에 피는 이슬마꽃 같은 것을 그런 것은
너무나 하늘이나 꽃이기보다
내 고장의 그 사투리라 싶었다
참말로 경상도 사투리에는
약간 풀냄새가 난다
그리고 입 안이 마르는 황토흙 타는 냄새가 난다
한편 목월은 다정다감했던 어린날의 추억을 달과 고무신 에서 다음과 같이 엮어놓고 있다
나는 소년시절을 달빛 속에서 잘랐다면 지나치게 시적인 표현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여도 나의 소년 시절의 회상은 거의 달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은 일종의 축복이리 수도 있고 어느 면에서는 서러운 일이기도 했다
내가 소년 시절을 보낸 곳은 경주다 지금처럼 개화된 경주는 물론 아니다 그 당시만 해도 신라의 고도로서의 폐허다운 애수를 짙게 간직하고 있었다 40여 년 전 경주는 달빛이 하얗게 비치는 골목길이 어린이들의 놀이터요 풀이 우거진 봉황대나 잔디가 아름다운 왕릉이 어린이들의 생활 무대였다
달이 밝은
.
.

[출처] 시인 박목월|작성자 연꽃향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학년 1학기 국어 읽기 책에도!!!!!!!!

박목월 선생님의 시 '물새알 산새알'도 있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가 정>

                                             ㅡ박 목 월ㅡ

 

 

지상에는

아홉 켤레의 신발.

아니 현관에는 아니 들깐*에는

아니 어느 시인의 가정에는

알전등이 켜질 무렵을

문수(文數)가 다른 아홉 켤레의 신발을.

 

현관에 놓인 아홉 켤레의 신발

내 신발은

십구 문 반(十九文半).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그들 옆에 벗으면

육 문 삼(六文三)의 코가 납작한

귀염둥아 귀염둥아

우리 막내둥아.

 

신발에서 느끼는 가족애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얼음과 눈으로 벽(壁)을 짜 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憐憫)한 삶의 길이여.

내 신발은 십구 문 반.

 

고달픈 삶 속에서의 가장의 책임

아랫목에 모인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강아지 같은 것들아.

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을 걸어

내가 왔다.

아버지가 왔다.

아니 십구 문 반의 신발이 왔다.

아니 지상에는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존재한다.

미소하는

내 얼굴을 보아라.

 

 

핵심정리

 

* 주제: ▷ 아버지로서의 고달픔과 애정 및 연민의 자의식

               ▷가장의 고달픔과 인간애

* 출전: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1968

 

 

 

<나 그 네>

                                                    ㅡ박 목 월ㅡ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 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南道)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핵심정리

 

* 성격: 관조적, 서정적, 낭만적, 풍류적, 향토적

* 심상: 시각적, 후각적 심상

* 운율: 3음보(민요조)

* 어조: 달관의 어조

* 특징: 체언 종결의 간결한 형식미

* 구성: 변형된 수미쌍관의 구조

* 표현법: 명상형 사용, 압축미와 간결미를 살림, 서경과 서정의 조화, 주제연 반복, 음악성

                    의 고조

* 출전: <상아탑 5호>, 1946.4

* 주제: 체념과 달관의 경지, 자연에 동화된 달관의 경지

 

 

 

<윤 사 월>

                                                  ㅡ박목월ㅡ

 

 

송화가루 날리는

외딴 봉우리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 울면

 

산지기 외딴 집

눈먼 처녀사

 

문설주에 귀 대이고

엿듣고 있다.

 

 

핵심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서정적, 향토적, 낭만적, 민요적

* 제재 : 초여름 산 속의 정경

* 특징 1. 한국적인 정적미, 애절한 분위기

              2. 간결한 시어 선택

              3. 민요조 율격 (3음보, 7.5조)

* 모티브 : 송화가루 - 꾀꼬리 - 눈 먼 처녀

* 주제 : 외로운 기다림 (학국적 정적미와 애절성)

* 출전 : <상아탑 (1946)>

 

 

 

<이 별 가>

                                                       ㅡ박 목 월ㅡ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뭐락카노, 바람에 불려서

 

이승 아니믄 저승으로 떠나는 뱃머리에서

나의 목소리는 바람에 날려서

 

뭐락카노 뭐락카노

썩어서 동아 밧줄은 삭아 내리는데

 

하직을 말자, 하직 말자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뭐락카노 뭐락카노

니 흰 옷자라기만 펄럭거리고.....

 

오냐, 오냐, 오냐.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음성은 바람에 불려서

 

오냐, 오냐, 오냐.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핵심정리

 

* 대화체: 죽음과 삶의 이원적 대립, 이별의 수용과 거부를 통한 극복

* 출전: 시집 <경상도의 가랑잎>, 1968

* 주제: ▶사별의 아픔을 정신적으로 극복함

               ▶죽음을 넘어선 인연의 그리움

               ▶생사를 초월한 이별의 정한

 

 

 

<청 노 루>

                                                       ㅡ박 목 월ㅡ

 

머언 산 청운사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나는 열두 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핵심정리

 

* 성격: 낭만적, 서경적, 전통적, 관조적, 향토적

* 심상: 정중동의 심상(2, 3, 5연)

* 어조: 담담하게 찬탄하는 어조

* 구성

청운사의 원경(1연)

계절의 변화(2연)

청운사의 근경(3연)

중심 소재의 제시(4연)

생명과 합일된 자연(5연)

* 출전: 3인 공동 시집 <청록집>, 1946

* 주제: ▶봄의 정경과 정취

               ▶자연의 서경과 관조의 세계

               ▶아름다운 생명의 고향에 대한 예찬

               ▶탈속과 순수의 세계에 대한 동경

               ▶평화로운 삶에 대한 동경.

 

 

 




<박목월>

1916. 1. 6 경상북도 경주(慶州)출생. 본명은 영종(泳鍾). 대구 계성(啓星)중학을 졸업(1935), [문장]지의 추천 위원이던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문장(文章)]에 <길처럼>(1939. 9.)과 <그것은 연륜이다>(1939. 9.)가 추천되어 등단. 진주 시인협회 간행 동인지 [등불]의 동인(1946). 대구 계성중학교 교사(1946), 김동리 서정주등과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1946), 조선문필가협회 상임위원,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靑鹿派)로 불리는 계기가 된 [청록집(靑鹿集)](1946, 을유문화사)을 간행하며 이후 청록파로 불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학년 1학기 읽기책에도 박목월의물새알산새알이란 시가 있어요 

박목월에 대하여!!!!

... 박목월에 대해서 지은 시나 박목월에 대하여 누가 좀 간단하고 자세하게 써 주세요!! 박목월의 시와 박목월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올렸습니다. <가 정> ㅡ박 목 월ㅡ...

박목월에 대하여!!조사해야되요!!

... 박목월 본명 영종(泳鍾). 경북 경주(慶州)에서 태어났다. 1935년 대구 계성(啓聖)중학을 졸업하고 1939년 문예지 《문장(文章)》에 시가 추천됨으로써 시단에 등장하였다....

박목월의진짜이름

... 박목월이 청록파시인 이라고 불린 이유 3.박목월에 대하여 4.청록파란 5.박목월시인의 시1가지 찾기거든요... 부탁드려요. http://100.naver.com/100.nhn?docid=69453이곳에...

박목월,박두진,조지훈에 대하여

1.박목월,박두진,조지훈이 누구인가? 2.박목월,박두진,조지훈의 유명한 시 3.세 사람이... 중요한 내용만 간추려서 알려주세요 1.박목월,박두진,조지훈이 누구인가? <박목월...

박목월시인의 하관에대해서

... 1년쯤 흐르니까, 아우가 죽었을 때 받았던 날것 그대로의 슬픔이 가라앉고 아우가 죽었다는 사실 자체가 말갛게 그저 바라보일 뿐이었습니다.” -「하관」에 대하여 박목월...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세명의 청록파...

제목과 같이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이 세명의 사람들을 시인으로 만들어준사람... 그러니까,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이 세명의 사람들을 시인으로 만들어준사람 ( 세명의 시를...

박목월이라는분이요

... 감사드릴께요ㅠㅠㅠㅠㅠㅠ수행평가라서요 * 박목월(朴木月)에 대하여 1916년∼1978년. 시인. 본명은 영종(泳鍾). 경상북도 경주 출신. 1. 약력 1935년 대구의 계성중학교...

박목월 시인 조사

박목월 시인 조사가 숙제인데.. 내일까지여서 빨리 도와주세요!! 내공은 10씩 드립니다!!... 그의 반근대화주의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하여 반항하는 꼴을 취하게도 만든다....

박목월시인

박목월시인 에대한엄청나게세세한것좀알려주세요 본명 영종(泳鍾). 경북 경주(慶州)... 그의 반근대화주의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하여 반항하는 꼴을 취하게도 만든다....

박목월

박목월위인전기나 박목월의 시등박목월에 관한 모든것을 올려주세요. ①"박목월"님은... 또는 그의 반근대화주의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하여 반항하는 꼴을 취하게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