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전략을 알려주세요

스타크래프트 전략을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3.08.1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스타크래프트 전략 알려주세요
저그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tarcraft


폭발형태 & 유니트 크기

스타크래프트에는 세가지의 다른 크기의 유니트가 있다 : 소형, 중형, 대형 유니트의 크기는
각각 다른 형태의 피해를 입힌다. 예를 들어, 파이어벳은 마린에 대해서는 아주 효과적인다.
하지만 시즈탱크에 대해서는 작은 피해를 준다.
피해의 등급은 유니트에 따라서 세가지로 나뉘어진다.

일반형 무기는 모든 유니트크기에 같은 영향을 준다.
진동형 무기는 중형에 대해 50%, 대형에 대해 25%의 피해를 입힌다.
폭발형 무기는 소형에 대해 50%, 중형에 대해 75%의 피해를 입힌다.

프로토스의 방어망은 모든 공격에 대해 100%의 피해를 입는다.
건물은 대형유닛으로 간주한다.

Scarab같은 어떤 무기는 근처의 다른 유니트에 대해 같이 피해를 입힌다. 그것은 어떤 유니
트나 건물이 가까운 거리에 있다면 주변에 같은 양의 피해를 입히는 것을 의미한다.

밑의 표는 각 유니트에 대한 피해형태이다.

테란 유니트들

유니트 크기 지상 공격 공중 공격
SCV 소형 일반형 -
Marine 소형 일반형 일반형
Firebat 소형 진동형 -
Ghost 소형 진동형 진동형
Vulture 중형 진동형 -
Siege Tank ?Tank 대형 폭발형 -
Siege Tank ?Siege 대형 폭발형 -
Goliath 대형 일반형 폭발형
Wraith 대형 일반형 폭발형
Dropship 대형 - -
Science Vessel 대형 - -
Battlecruiser 대형 일반형 일반형

Medic 소형 - -
Valkyrie 대형 - 폭발형


--------------------------------------------------------------------------------

저그 유니트들

유니트 크기 지상 공격 공중 공격
Larva 소형 - -
Drone 소형 일반형 -
Zergling 소형 일반형 -
Hydralisk 중형 폭발형 폭발형
Ultralisk 대형 일반형 -
Infested Terran 소형 일반형 -
Broodling 소형 일반형 -
Defiler 중형 - -
Queen 중형 - -
Overlord 대형 - -
Scourge 소형 - 일반형
Mutalisk 소형 일반형 일반형
Guardian 대형 일반형 -

Lurker 중형 일반형 -
Devourer 대형 - 폭발형



--------------------------------------------------------------------------------


프로토스 유니트

유니트 크기 지상 공격 공중 공격
Probe 소형 일반형 -
Zealot 소형 일반형 -
Dragoon 대형 폭발형 폭발형
High Templar 소형 - -
Archon 대형 일반형 일반형
Reaver 대형 일반형 -
Shuttle 대형 - -
Observer 소형 - -
Scout 대형 일반형 폭발형
Carrier 대형 - -
Interceptor 소형 일반형 일반형
Arbiter 대형 폭발형 폭발형

Dark Archon 대형 - -
Dark Templar 소형 일반형 -
Corsair 중형 - 폭발형

지형 활용하기

스타크래프트의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고지대와 같은 좋은 위치를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각기 다른 종족들의 매우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전술들도 많다

유니트 구조 체제들을 커버가 고려되어야 한다. 어떠한 유니트도 단지 70%의 기회만 공격한다. 더 상처 입히기 쉽게 유지 하려면 마린들과 같이 그들의 생명치와 더 강력한 유니트를 만들 수 있게 도와준다.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공격하는 유니트들은 단지 70%만의 공격 기회를 가질 뿐이고 또한, 저지대의 유니트들은 고지대를 볼 수도 없다. 고지대의 유니트들도 볼 수는 없을지라도 고지대로 공격하는 어떠한 유니트에게도 바로 역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지대에서의 시즈 탱크처럼 사정거리가 긴 유니트를 사용할수록 시야 확보 및 적들을 공격하기가 쉬어진다.

기본 명령어

Move (이동)
단축키: M Move 버튼은 당신이 클릭한 유니트들을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뜻한다. 만일 중간에 적이 공격한다해도 그들은 계속해서 피해에 대한 반응없이 목적지까지 갈 것이다. 이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무조건 그곳으로 가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매우 신중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만일 유니트들을 그룹으로 지정하여 어떤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매복한 적에게 기습을 당한다해도 그들은 반격하기 보다는 계속 목적지까지 이동만 할 것이다. 주의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당신에게 엄청난 손실을 입힐 것이다. 그럴 경우엔 벙커로 들어가거나, 시즈탱크 옆으로 바싹 이동하거나 만일 주변에 아무것도 없다면 재빨리 그 곳을 벗어나야 한다. 그들은 물같은 물리적인 장애물이나 고지대로 이동하지 않는 이상 그들의 공격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당신은 이 명령어를 단지 조심하지 않아도 피해를 입지 않거나 어떠한 적도 없는 곳으로 이동 할 때 또는, 적의 매복이 없다고 확신할 수 있을때만 사용하여야 한다. 한 예로는 당신의 병력들을 적의 방어를 지나쳐서 그들의 일꾼에게로 직접가서 공격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노트: 유니트나 건물이 없는 곳으로 오른쪽 클릭킹을 하면 같은효과를 볼수 있다.
Follow (따라가기) 유니트에게 다른 특정한 유니트를 따라가도록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먼저 따라갈 유니트 또 는 그룹을 선택한다. 그리고 앞서갈 유니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다. 앞서갈 유니트의 주변에 깜박이는 녹색 원이 나타나면 제대로 지정된 것이다. 이제 앞서갈 유니트를 이동시키면 따라가라는 명령을 받은 유니트들이 일제히 따라가게 된다.
Follow 버튼은 당신이 선택한 다른 유니트를 당신이 따라가기를 원하는 유니트에게 오른쪽 클릭킹을 하면 볼 수 있다. 한번에 12대의 유니트 까지만이 가능하다.
이 버튼은 정찰할 때 매우 유용하다. 이것은 특별히 당신이 공격할 수 없는 유니트를 따라가게 하고 싶은 경우에 쓰인다. 예를 들면 만일 당신이 파이어뱃을 가지고 드롭쉽을 따라가게 할 수 있다. 당신은 공격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받을것입니다. 하지만, 유니트는 계속 적을 따라갈 것이다. 그렇게 하면 당신의 본진 세력들이 바로 공격을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만일 오버로드나 옵저버를 가지고 있다면, 적의 오버로드를 따라가게 하여 적의 기지를 정찰하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클락킹된 유니트와 싸울 때는 디텍팅 유니트가 가까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디텍터 유니트들은 공격 유니트보다 느리므로 호위한다. 당신의 공격 부대가 디텍터 유니트를 따라가게 한다면 길을 잃지는 않을 것이다.
Stop (정지)
단축키: S Stop 버튼은 유니트가 임무를 수행하던 중 현재 수행하던 임무를 중단하고 새 명령을 기다리게 된다. 특히, 유니트들이 그룹지어서 이동하다가 즉시 멈추고 공격을 시키려고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Attack (공격)
단축키: A Attack 버튼은 Move로 이동시에 적을 만나도 전투를 벌이지 않고 계속 이동만 하게 되므로, 적과 만날 만한 장소로 이동할 때에 활용할 수 있다. Attack 버튼을 쓰면 적을 만나게 되면 즉각적으로 공격을 하게된다. 또한 자동공격 대상이 아닌 아군 건물등을 공격할 경우에도 Attack 버튼을 이용한다.
Patrol (순찰)
단축키: P Patrol 버튼을 클릭한 다음 특정 위치를 클릭하면 처음 유니트가 위치한 곳과 나중에 클릭한 위치 사이를 반복해서 왕복한다. 그리고, 순찰 모드에 있는 동안 유니트가 적을 만나면 자동 공격한다. 또한 공격이 끝나면 다시 순찰로 돌아갑니다. 효과적인 전투를 벌일 때 유용하게 쓸수 있다.
Hold Position (위치고수)
단축키: H Hold Position 버튼을 클릭하면 명령을 받은 유니트는 이동중이더라도 현재 위치를 고수한 상태에서 방어 작전을 펼칠 것입니다. 위치 고수 명령을 받은 유닛은 적을 추적하거나 달아나지 않는다. 위치 고
단축키와 특수키의 활용법
단축키
각 유니트의 명령에는 단축키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어떤 유니트에 커서를 가져다놓으면 그 명령어에 대한 이름들이 나올 것이다. 이중에 노란색으로 나타나는 것이 이 명령어의 단 축키이다. 특별능력을 위한, 공격을 위한, 생산을위한 단축키를 사용하면 좀더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단축키와 특수 명령

유니트 선택 [UP]
더블클릭 (Double-Clicking)
유니트에 더블클릭을 하면 그 화면에서 최대 12마리 까지의 같은 형태의 유니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Countrl) 키와 왼쪽 클릭을 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때때로 사용자가 한 그룹으로부터 유니트를 빼거나 포함시키려 할 때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마린과 고스트, 파이어벳과 SCV를 선택했다고 하자. 이 때 컨트롤을 누르 면서 빼고자 하는 유닛의 화면을 선택해보자. 그 큰 화면에서 더블클릭을 할 때 그리고 컨 트롤 키를 누르고 클릭할 때 보다 더 빠르게 유닛을 더하거나 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으로부터 선택하고자 하는 유니트를 빼고자 하면 Shift를 누르시오. 이 것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유니트를 선택하였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이다.

Alt 키를 누르고 한 유니트를 클릭하게 되면 가장 최근에 묶여져있던 그 그룹의 모든 유니 트가 포함되어진다. 이 그룹은 단축키로 포함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어떤 유니트는 한 그룹 에만 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마리의 마린을 선택했는데, 그 후 다른 종류의 유니트를 선택했을 때, 후에 이 5마리의 마린은 Alt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면 다시 선택되어진다.

사용자가 "We're under attack!", "Building complete"등과 같은 메시지를 들었을 때 Space Bar를 누르시오. 그러면 최근 메시지가 나왔던 스크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편리하고 특별한 단축키이다.
컨트롤 그룹 [UP]
사용자가 건물이나. 건물의 부가건물(add-on), 혹은 12마리 유니트의 그룹을 하나의 키로 지 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지정할 때는 컨트롤(Control)과 0-9사이의 숫자를 선택 하여 지정한다. 그 후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을 선택하려고 할 때 간단하게 한가지 숫자를 누름으로써 그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룹의 숫자를 두 번 누르게 되면 화면의 중앙에 그 그 룹이 오게 된다.

사용자가 컨트롤 그룹을 잘 사용하면 전쟁을 하는 동안에도 유닛을 계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예상치 못했던 적의 공격에 대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Command Center나 Nexus를 컨트롤 그룹으로 지정함으로써 빠르게 건물을 선택할 수 있고, 새로운 일꾼들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 만약 Command Center를 1번으로 지정했 다면, 1번을 누르고 s를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던 간에 아무런 제약 없 이 SCV를 생산할 수 있다. 이것은 저그 종족을 사용할 때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테란이나 프로토스는 각각 생산하는 곳이 다르지만, 저그는 Hatchery에서 저그의 모든 유니트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그의 해처리를 숫자로 모두 지정함으로써, 사용 자는 빠르게 원하는 유니트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에 Rally Point까지 결합시켜 생 산한다면, 저그 플레이어는 공격하든 방어를 하든 빠르게 병력을 생산할 수 있다.
테란 사용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Comsat Station을 컨트롤 그룹으로 지정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안보이는 유니트와 적 기지를 정찰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유니트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수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SCV나 케리 어, 베틀쿠르져, 스카우트, 뮤탈리스크등과 같은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그 것을 조종할 수 있을 것이다. 디파일러등은 그룹으로 지정해 놓고 땅속에 숨겨놓으면 전쟁 중에도 그들이 어디에 있건 간에 쉽게 그들을 찾아내서 조종할 수 있다.
위치지정과 컨트롤 그룹 [UP]
사용자가 각 확장기지를 0-9까지 지정한다면 지정한 숫자를 항상 기억해야만 한다. 이것은 빠르게 유니트를 생산하는 것을 도와줄 것이다. 하지만 건물이 없거나 적 기지가 있는 곳은 컨트롤 그룹으로 지정할 수 없다. 그땐 손쉽게 F2-F4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F2-F4키를 사용하여 특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지의 입 구를 항상 지켜볼 수 있다.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곳이 있다면 Shift키를 누른 후에 F2, F3, F4를 누르시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지정한 위치를 보고자 하면 그에 적당한 키를 눌러주 면 된다.
Waypoints의 지정 [UP]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웨이포인트를 사용하여 유니트들이 갈 곳을 지정할 수 있다. 유니트를 선택하고, Shift를 누르면서, Attact(공격)을 선택하십시오. 그리고 반복적으로 공격을 선택하 고 미니맵이나 사용자의 화면에서 가고자 하는 곳을 클릭하시오. 사용자가 그것을 다 끝냈 을 때 shift키를 놓으십시오. 사용자는 지도에서 오른쪽 클릭한것과 같은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Move와는 다르다. 사용자의 군대는 다양한 웨이포인트를 돌아다닐 것이고, 멈추지 않고 어떠한 공격을 받았을 때 반격을 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의 유니트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면 Move를 사용해야만 한다.
˙웨이포인트는 공중에서 정찰할 때 아주 유용하다. 먼저 공중유니트를 선택하고 각 자원이 있는곳에 웨이포인트를 찍으십시오. 그 공중유닛은 각 자원이 있는 곳을 돌아다 닐 것이고 이것은 옵저버나 감추어진 레이스를 사용할 때 효과가 좋다.
˙사용자의 군대가 나쁜 지형을 통과할 때 웨이포인트를 사용해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웨이포인트의 숫자는 제한되어있다. 사용자는 그 제한된 숫자 에 도달하게 되면 그에 대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Queuing Commands (예약 명령) [UP]
웨이포인트와 Queuing commands는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예약 명령은 Shift버튼을 누 른 상태로 유닛에 명령을 내린다. 사용자의 모든 명령을 마친 후에 Shift버튼을 놓으십시오. 각 유닛트들은 하나거나 그룹지어져 있든 각각의 여러 가지 명령들을 수행할 것이다. 사용자는 좌측 클릭이나, 우측클릭, 정지, 공격, 홀드포지션, 수리, 이동, 순찰, 그리고 수송등을 예 약 명령 제한까지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테란의 레이스 그룹을 수선하려면 SCV에게 Shift와 우측클릭을 누르고 'R'을 누름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만약 레이스를 수리할 필요가 없다면 레이스는 수리할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듣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 수리의 명령은 취소되는 것이 아니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건물에도 적용되고 마지막 명령은 다시 자원 채취로 돌아오게 할 수도 있다.

정찰과 게임 운영

* 정찰

정찰은 단순히 적의 위치만을 파악하는 것만이 다는 아니다. 적의 위치 파악과 적의 빌드오더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적의 진출을 방해하고 초반 공격등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테란의 정찰
초반에 SCV를 이용한 초반 정찰로 상대방의 기지를 발견했다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을 교란 시킬수가 있다. 테란의 SCV는 체력이 강하기 때문에 공격을 할 수도 있다. 그 방법으로는 미네랄을 채취하는 상대방의 일꾼 방해, 남의 가스 분출기에 건물 짓기, 벙커 만들기, 등등 방해를 하면 그만큼 심리적으로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초반에는 SCV로 정찰을 하고 후반에는 컴셋 스테이션으로 스캔을 하면 된다. 중하급의 실력을 가진 사람은 초반에 SCV로 정찰을 하면 그만큼 자원 채취가 늦어 과감한 정찰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대방을 찾아 헤매는 시간과 상대방의 전술을 몰라 효과적으로 대응을 못하는 것에 비하면 전혀 아깝지가 않다. 정찰은 승부에 있어 중요하므로 계속적으로 해야한다.
저그의 정찰
저그는 초반에 있는 오버로드를 보내어 정찰을 할 수 있다. 드물지만 드론으로 정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오버로드로 정찰을 할 때에는 적의 위치 발견이 먼저 이루어져야하고 적 기지에 이르러서는 적이 어떤 건물을 짓는지 유심히 살펴야 한다. 적의 건물을 짓는 것을 보고 이에 맞추어 유닛을 생산을 하거나 기지 확장을 시도할 수 있다.
프로토스의 정찰
프로토스는 프로브나 처음에 나오는 질럿으로 정찰을 할 수 있다. 정찰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테란에서는 프로브로 정찰을 하는 편이 비교적 좋다. 배럭스를 두 개 지어서 바이오닉 테란으로 가는지, 배럭 하나에 가스를 채취해 메카닉 테란으로 가는지 파악하는 중요하다. 테란의 경우는 마린이 원거리 공격 유닛이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정찰이 힘들어 지므로 빨리 정찰을 해야 한다. 프로토스의 경우는 질럿 한명을 보내 적 유닛의 공격을 무시하고 지나가 상대방의 기지를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질럿은 체력이 세므로 상대방이 기지 확장을 먼저하거나 수비가 허술할 때 일꾼에게 상당한 타격을 줄 수도 있다.
* 게임 운영
충분한 자원 확보
일반적으로 말하는 초보와 고수의 차이는 자원을 캐는 일꾼의 수에 따라서 다르다. 스타크래프트에서 미네랄 한 덩어리당 적절한 일꾼의 수는 1.5 마리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거리가 좀 멀 경우에는 2마리 정도의 일꾼을 배정하는게 좋다. 초보들은 중반 이후에도 일꾼의 수가 많이 않아 나중에 게임이 끝나고 보면 멀티를 하지 않았다고 해도 자원 채취에서 큰 차이가 나는걸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채취 만큼 중요한 것은 자원의 소모이다. 자원이 계속해서 쌓이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유닛이나 건물을 생산을 안 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대방보다 열세에 놓여있다는 말이다. 자원은 모이는 대로 써야한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 지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일꾼의 최대 확보
일꾼은 자원을 채취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건물을 짓는 작업 등 많은 일을 한다. 또한 유닛의 수리도 한다. 그만큼 일꾼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게임 초반에는 거의 하나의 미네랄에 두 개의 일꾼을 배치를 하고 가스를 채취하는데는 많은 일꾼을 배정해야 한다. 자원을 많이 모아 유닛을 생산하여 전투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보통 미네랄에는 2마리의 일꾼을 배정을 하고 가스에는 4-5마리 정도의 일꾼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건물을 짓기 위한 일꾼을 두 대 정도 추가로 생산을 하는 것이 좋다. 일꾼을 생산을 한 후에는 일꾼의 보호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적의 공격으로 일꾼이 모두 죽으면 게임을 진행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역으로 공격시에도 초반에는 일꾼이 주요 공격대상이 된다. 프로토스의 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 테린의 시즈탱크는 일꾼에게는 치명적인 대상이다. 이 유닛들은 한꺼번에 일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꾼 주위에 방어병력을 배치를 해야 한다.
최상의 방어는 공격이다.
실시간 전략 게임에서는 공격보다 좋은 방어는 없다. 수비는 한정적인 지역에서만 활동을 하게 되고 공격은 지도의 넓은 부분과 많은 자원을 확보를 할 수 있다. 유닛의 수가 적더라도 초반에 기선을 제압하고 확장기지를 확보를 하도록 해야한다. 같은 자원으로 수비를 하는 쪽은 공격하는 쪽에게 질 수 밖에 없다. 공격시에도 물론 본진의 방어를 어느정도 한 상태에서 해야한다. 수비에 치중하기 보다는 공격에 치중을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승리를 하기 위한 지름길이다.
초반에는 미네랄에 중점을 둔다.
게임 시작 후에 가스를 채취하는 건물을 건설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이다. 초반의 기초 유닛은 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중에 가스는 필수적인 자원이지만 초반에는 별로 사용을 하지 않는다. 테란의 리파이너리, 저그의 어시밀레이터, 프로토스의 익스트랙터가 가스를 채취하는 건물이다. 또한 하나의 가스 채취 건물에 일꾼을 3개 정도 배치하는 것이 좋다. 물론 가스 채취 거리가 긴 경우에는 어느 정도 숫자를 늘려주는 것이 좋지만, 한번에 한 유니트만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숫자가 많은 것은 별 효과가 없다. 차라리 가스 채취 건물을 더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다.
지도를 탐색해야 한다.
초반에는 검은 안개로 가리워진 지도에서 적의 위치를 빨리 파악을 해야한다. 초반 정찰의 중요성은 말이 필요없다. 적이 어떤 작전을 세우고 건물을 짓는지, 확장 기지를 어디에다가 건설 하는지를 알아야만 전략을 세울수가 있기 때문이다. 지도를 잘 알아야 공격 루트나 방어루트를 파악할 수 있고 상대방에 따른 전략을 수정해 가면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지도가 섬 맵인 경우에 지상 유닛만 열심히 만들면 공중 공격에서 패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도의 특성을 미리 파악을 해야 한다.
적절한 시기의 세력 확장
게임 시작시 시작 지점 근처에는 보통 확장을 위한 미네랄과 가스가 하나씩은 있다. 이 자원은 초반에 유닛 생산과 어느정도의 기술 발전을 하면 소모가 되고 만다. 그러므로 확장기지를 세워 계속적으로 자원을 채취를 해야 할 것이다(물론 요즘 일반 배틀넷에서 유행하는 무한 자원 맵의 경우에는 확장 기지가 큰 의미가 없다). 자원의 부족 없이 업그레이드와 유닛 생산이 된다면 승리가 가까이에 있다. 세력 확장을 위해서는 정찰은 필수이다. 확장 기지 설립의 시기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판단을 해야 한다. 확장 기지를 건설하려면 본기지의 방어가 이루어진 다음에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확장기지 방어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확장기지가 발견이 되면 적의 공격을 당할 확률이 높다. 그리고 적의 공격이 거세어지면 확장기지를 포기하는 것이 빠르다. 확장기지를 방어하기 위해 유닛을 보낸다면 본 기지의 방어가 허술하여 집중 공격을 당하기 때문이다.
유닛 운영
유닛의 효율적인 이용이 게임의 승패를 좌우한다. 이동과 공격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단축키를 사용하여 유닛을 그룹으로 만들어 운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룹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유닛의 배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일반적으로 테란의 골리앗, 저그의 히드라리스크, 프로토스의 드라군은 어느 유닛과도 잘 어울린다. 그러나 테란의 시즈탱크는 공격력은 강하지만 대공 능력이 없으므로 공중 유닛에게는 효과가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골리앗이나 마린과 함께 이동을 해야 한다. 이처럼 각각 보완이 되는 유닛을 한 그룹으로 묶어 운영을 해야 한다. 반대로 적의 공격을 받았을때에는 유닛의 맥을 끊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테란의 레이스로 공격할 때에는 적의 디텍터를 먼저 공격을 하고 클로킹을 한 상태에서 공격을 하는 방법을 취해야 할 것이다.
자원의 운영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을 해야 한다. 자원의 확보가 중요하지만 자신의 자원에 맞추어 건물과 유닛을 생산을 해야 한다. 자원을 낭비해서는 안된다. 테란의 배틀 크루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이언스 퍼실리티와 피직스 랩을 건설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배틀 크루저 보다는 다른 유닛을 생산하여 공격을 하는편이 더 낫다. 배틀 크루저는 후반에 자원이 충분할 때 생산하도록 하자. 자원을 남겨놓는 것은 비 효율적이다. 자원이 많이 남았다고 게임에서 이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적절한 업그레이드
상대방과의 전투에서 같은 수의 유닛이라면 업그레이드의 상태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마린의 경우라면 사정거리와 스팀팩, 공격력, 방어력의 업그레이드 차이로 인해 전력에 많은 차이가 날 것이다. 처음부터 업그레이드는 자원의 낭비지만 돈의 여유가 있다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은 필수이다.
필요한 건물은 2개이상 건설한다.
반드시 필요한 건물은 최소한 2개는 건설을 해야 한다. 자원이 아깝다고 한 개만 지으면 안된다. 유닛 생산 건물이나 업그레이드 건물이나 마찬가지이다. 프로토스의 게이트웨이나 테란의 팩토리, 저그의 해처리는 2개 이상을 지어야 생산 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 건물은 반드시 2개를 지어야 한다. 저그의 에볼루션 챔버, 프로토스의 포지, 테란의 아머리는 반드시 2개를 지어야 한다. 하나에서 업그레이드를 하는 속도보다는 2개에서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해야만 한다. 3개는 필요가 없다. 모두 동시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업그레이드의 우선 순위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은 초반이 아니라면 업그레이드가 승패를 좌우한다. 공격력과 방어력중에서 어떤 것을 먼저 업그레이드를 시켜야 할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근거리 공격 유닛, 예를 들어 저그나 질럿의 경우는 공격력을 먼저 업그레이드를 시켜야 하고 원거리 공격 유닛, 테란의 마린 경우는 방어력을 먼저 업그레이드를 시켜야 한다. 또한 유닛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을 업그레이드 시켜야 할 것이다. 레이스나 고스트의 클로킹, 하이 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을 먼저 업그레이드 시켜야 할 것이다. 자원의 상태를 고려하여 업그레이드를 켜야 한다. 무조건적인 업그레이드는 패배의 지름길이다.
공격 대형의 유지
적을 공격할 때에는 대형을 잘 유지를 시켜야 한다. 특히 테란의 마린의 경우는 일렬로 공격을 해 들어가다가 저그의 럴커한테 하나씩 죽어가는 경우도 있고 저그링의 경우는 벙커에 도달하기도 전에 일렬로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격지점 바로 앞에서 유닛을 정렬시켜 효과적인 대형을 유지해야 한다. 럴커의 경우는 아군과 적군을 구별을 안하고 공격을 하므로 배치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특수 유닛의 효과적인 활용
고급 유닛의 사용이 승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손이 빠르고 유닛의 컨트롤 능력이 능숙한 사람에게는 이 유닛이 매우 효율적이다. 저그의 히드라리스크나 뮤탈리스크는 프로토스의 하이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 한번에 전멸을 당할 수 있다. 또한 아콘은 테란의 사이언스 베슬이 사용하는 EMP 쇽웨이브의 한번 공격에 360의 방어막이 사라진다. 또한 저그의 퀸은 테란의 시즈탱크를 한번의 브루드링 공격으로 없앨수가 있다. 이런 유닛의 개발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되지만 개발한 후에는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어진다. 이런 유닛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차례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데 그 시간동안 미네랄과 가스가 충분해야 하고 개발 도중에도 적의 공격으로부터 아군의 기지를 방어를 해야한다. 그리고 이런 유닛은 에너지가 채워져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유닛은 게임을 한순간에 역전을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패배 직전에 특수 유닛으로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고수로 가는 지름길이다.
유닛의 치료
공격 유닛이나 방어 유닛은 모두 체력이 없어질때까지 동일한 공격력으로 전투를 한다. 데미지에 따른 공격력의 저하가 없다는 것이다. 접전이 벌어지면 데미지를 입은 유닛은 후방으로 배치를 하고 새로운 유닛을 전방에 세우도록 해야 한다. 세 종족은 모두 회복 능력이 있다. 테란의 기계 유닛은 SCV로 치료가 가능하고 생체 유닛은 메딕으로 빠르게 회복을 시킬수가 있다. 저그는 자연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회복이 되며 프로토스는 기본 체력은 복구가 안 되지만 쉴드는 자연 치유가 된다. 쉴드 배터리를 사용하면 순간적으로 원상 복구가 가능하다. 부상당한 유닛을 끊임없이 돌보아야만 한다. 기회가 주어지는 대로 치유를 해주어야만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자원의 활용


자원
사용자가 부대를 생산하기 위하여, 또는 유닛을 생산하거나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자원이 필요하다. 자원에는 미네랄과 가스 두 종류가 있다. 사용자의 부대가 더욱 강해지기 위하여는 그 두가지가 필수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미네랄 채취
행성의 가장자리에는 종종 비행기, 운송수단, 혹은 병사들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미 네랄이 있다. 저그는 그들의 뼈와 이빨 등갑등을 발달시키고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미네랄 이 꼭 필요하다. 그 크리스탈은 오직 Terran의 SCV, Zerg 의 Drones, Protoss의 Proves로 채취할수 있고, 그들은 그것을 작은 조각으로 깨서 그들의 본래의 건물로 돌아온다. 각 미네랄들은 오직 일꾼에 의해서 채취되어질 수 있다. 만약 사용하지 않는 미네랄이 있다 면 일꾼은 그것 앞으로 가려고 할 것이다. 만약 그 미네랄들이 다 사용중이라면 그 일꾼은 다른 일꾼 뒤에서 줄을 서고 그들이 돌아갈 동안 기다릴 것이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미네 랄을 채취하는 일꾼이 너무 많다면 사용자는 그 일꾼 수만큼의 빠른 자원채취를 할 수 없을 것이다. 일꾼의 가장 좋은 숫자는 각 미네랄 광산에 두 마리의 일꾼을 넣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의 메인 기지가 그 미네랄로부터 더 먼 곳에 떨어져 있다면 이 법칙은 변할수 있고 사 용자는 좀더 빠른 자원채취를 위해 더 많은 일꾼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Vespene Geysers (베스펜 간헐천)
베스펜 가스는 특별하게 높은 잠재에너지를 갖고 있다. 그래서 고급 유니트를 만들어내는 연료로 사용한다. 저그는 높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기위해 베스펜가스를 사용하기로 했다. 프로토스는 그들의 psi를 위해 촉진제로써 베스펜가스를 사용한다. 파워풀한 녹색의 가스는 많은 행성의 가장자리에서 발견된다. 다른 종류에 의해 그것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geyser위 에 Refinery같은 건물을 지어야 한다.

Terran 사용자는 가스를 추출하기 위해 Refinery를 지어야 한다. 프로토스는 Assimilator를 워프 시켜야 하고 저그는 드론을 Extractor로 변형시켜야 한다. 이 각각의 Geyser는 그 안 의 무한한 양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들의 군대를 키우기 위해 항상 새로운 geyser들을 찾아야 한다.

Geyser가 다 떨어졌을 때 사용자는 "Geyser has been depleted"라는 메시지를 받을 것이다. 스페이스바를 눌렀을 때 사용자의 화면에 고갈된 geyser가 보일 것이다. 이점에서 만약 이 용가능한 새로운 geyser가 없지 않다면 고갈된 geyser는 더 이상 가치가 없다. 만약 사용자 가 새로운 geyser를 찾지 못하였다면, 곧 가스 수집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 다.

만약 가스를 채취하는 곳이 사용자의 기지에 가까이 있다면 사용자는 그 지점에 4마리 이상 의 일꾼을 투입할 필요가 없다. 만약 그 이상 투입하게 되면 그들을 낭비하는 것이다. 만약 가스를 채취하는 곳이 그 이상 떨어져 있다면 사용자는 좀더 빠른 가스채취를 위해 좀더 일 꾼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가스채집 하는 곳 앞에서 일꾼이 기다리고 있는 것을 본 다면 그곳에 너무 많은 일꾼을 투입한 것이다.

가스는 업그레이드를 위해 필요하고 좀더 발달된 건물과 유니트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하다. 어떤 사용자는 가스를 걱정하지 않을 때까지 많은 가스를 얻으려고 한다. 고급유니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3-4개 이상의 가스수집이 이상한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채집하는 일꾼을 공격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가스채집 하는 곳 은 종종 4마리의 일꾼이 있고 상대방이 4마리의 일꾼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다. 미네랄을 채집하는 일꾼을 목표로 공격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곳은 그 지역에 좀더 많은 일꾼이 있고 그들은 그들이 일을 하는 동안 계속 노출되기 때문이다.

Geyser에 얼마나 많은 가스가 남았는가를 보기 위해서는 Refinery(Assimilator, Extractor) 을 선택해라. 밑에 나와있는 숫자가 남아있는 가스를 의미한다.
Command Center/ Nexus/ Hatchery의 위치
만약 미리 놓여진 위치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기지를 미네랄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시키도 록 노력해야 한다. 모든 종족의 게이머들은 가능한 그들의 일꾼들이 먼거리를 걷는 것을 줄 이기 위해 가능한 미네랄 가장 가까운 곳에 그들의 기지를 짓도록 노력해야만 한다. 만약 미네랄 채취하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졌다면, 그들은 자원을 채취해서 돌아오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할 것이다. 이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사용자가 미네랄이나 가스중에 더 가까운곳을 선택해야 할 때는 미네랄을 선택하는게 낫다. 만약 가스에 더 가까운 곳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는 그 미네랄 덩어리마다 각각 더 일꾼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미네랄에 가까운 곳을 선택하였다면 5-10개 이상의 미네랄보다 오직 하나의 가스만을 위한 일꾼을 생산하기만 하면 된다.

미네랄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그것들은 좀더 윤택하게 해준다. 가스는 미네랄보다 더 필요하지 않다. 미네랄은 모든 건물을 지을 때 사용되며, 오직 미네랄만을 필요로 하는 유닛 들도 있다.

한번 왕복에 할 때마다 8미네랄이 모아진다. 각각 미네랄이 얼마나 남았나를 보기 위해서 사용자는 미네랄을 하나씩 선택할 수 있다. 그 수는 얼마나 많은 미네랄이 남았는지를 보여 준다.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했을 때 네 마리의 일꾼을 모두 선택해서 미네랄에 오른쪽 클릭하는 것은 아주 나쁜 생각이다. 모든 네 마리의 일꾼을 같은 지점에서 그것을 캐도록 노력한다면 무슨일이 일어나겠는가?
하나의 일꾼이 그것을 캐려고 하는 동안 다른 세 마리의 일꾼은 그 미네랄을 위해 줄을 서 서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게임을 너무 늦게 시작하게 만들어 버린다. 좀더 빠르게 하려면 각각의 일꾼을 선택해서 각기 다른 지점에 오른쪽 클릭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빠르게 하는 방법은 네 마리를 전부 선택해서 이동시 팀 전략.

팀플레이


팀플레이는 개인이 혼자서만 잘한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혼자서 공격하고 방어를 한다면 승리를 하기 어렵다. 팀원 전체의 호흡이 가장 중요하다. 각자 방어만 하고 있다보면 적의 연합 공격에 힘없이 무너지게 될 뿐이다. 팀 플레이에서 합동 작전을 펴는 이유는 두 개의 병력의 힘이 나누어진 4개의 병력에 준하기 때문이다. 동맹군의 병력을 한곳에 모아서 근거리 공격 유닛이 선공을 하고 뒤쪽에서 원거리 공격 유닛이 후방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일순간에 공격을 해야 한다. 적을 한명만 제거를 해도 전세는 아군쪽에 유리하게 된다. 초반에는 저그의 오버로드가 아군의 기지에 디텍터 기능을 해 주어야 하고 나중에도 항상 아군의 병력을 따라 다녀야 한다. 항상 아군끼리는 모여서 이동을 하고 공격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적의 두팀 이상의 병력에 몰살을 당하기 때문이다. 한 팀이 적의 공격을 받았을 경우에는 상황 판단을 잘 해야 한다. 무조건 도움을 주러 가면 공격을 당한 쪽 뿐만 아니라 자기의 본진도 방어병력이 없어서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팀플레이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아군과 적군의 상황 판단과 끊임 없는 정찰, 그리고 항상 아군끼리 같이 다녀야 한다는 것이다.킨 후에 다시 각각 하나씩을 선택해서 각기 다른 지점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저그




개요
저그의 게임 운영에 대하여...

저그에겐 특별하게 강한 유닛은 없지만, 전체적으로 강한 종족이다. 저글링이나 히드라리스크, 뮤탈리스크 등 대부분의 유닛이 효과적으로 빠른 시점에 생산된다. 저그의 최대 강점은 유닛생산이 빠르고 생산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저그는 특성상 강한 유닛이 없기 때문에 중반 이후로 가는 것보다 기본유닛을 대량으로 만들어 중반이전에 승부 하는 것이 좋다.

또 유닛생산 건물은 해처리뿐이라 그 외 건물은 하나만 지어도 되기 때문에 건물을 짓는 자원이 절감되고 건물 지을 공간이 다른 종족에 비해서 좁게 차지하는 편이다. 브루드워 에서는 라바가 나오는 시간이 길어졌지만 여전히 저그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러쉬, 인해전술이 가능하다.

저그는 또한 유닛이 서플라이의 기능을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서플라이를 대신하여 오버로드라는 유닛이 하늘을 날라 다니면서, 정찰의 기능을 해주고 많은 수의 디텍터를 보유하게 된다. 또한 업그레이드를 해주면 수송선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드롭을 가능하게 해준다.

빌드오더


4드론
모든 종족에서 SCV러쉬를 제외하고 가장 빠른 러쉬이다.
이 러쉬는 자원확보 보다도, 가장 빠른 시간에 저글링을 만들어 내어 공격하는 공격법이다. 이 때문에 러쉬에 실패함은 그 전쟁에서 패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1. 게임 시작시 주어지는 4마리로 미네랄을 캔다.
2. 미네랄 150일 때 스포닝 풀을 만든다.
3. 미네랄 50일 때 드론 생산
4. 스포닝 풀이 완성되면 6마리의 저글링 생산후 공격
7드론
4드론 러쉬와는 다르게 자원확보에도 신경을 쓰면서 저글링러쉬를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작전은 4드론 처럼 끝을 본다기 보다는 상대를 계속적으로 괴롭히는 전술이다.
1. 게임시작시 주어지는 4마리로 미네랄을 캔다.
2. 7마리 까지 계속해서 드론을 만든다.
3. 미네랄이 150이 되면 스포닝풀을 만든다.
4. 드론을 한 마리 더 만든다.
5. 미네랄 100이되면 오버로드를 만든다.
6. 미네랄 50이 되면 드론 한 마리를 더 만든다. 8/9
7. 스포닝 풀이 완성되면서 6마리의 저글링 생산후 공격
8드론
일반적 팀플레이를 할 때 자주 쓰는 전술이다.초반 저글링 공격도 가능하고 그 다음 체제변환도 쉽다. 이 역시 7드론 러쉬처럼 끝을 보기는 힘들다.하지만 상대에게 저글링 공격에 대한 위험을 느끼게 하고 팀플레이같은 경우엔 같은 팀의 질럿이나 마린등과 같이 들어가기 쉽다.
1. 게임시작시 주어지는 4마리로 미네랄을 캔다.
2. 8마리까지 계속해서 미네랄을 만든다.
3. 미네랄 150에서 스포닝 풀을 만든다.
4. 계속적으로 2마리의 드론을 생산한다.
5. 미네랄 100에서 오버로드를 생산한다.
스포닝 풀이 완성되면서 오버로드가 완성되며 그 와 동시에 저글링을 생산한다.



공략

저그 vs 테란
저그가 가장 상대하기 쉬운 종족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테란이다. 그 중 가장 잘 통하는 러쉬가 럴커 러쉬이다. 혹은 오버로드의 럴커+히드라 드롭또한 강력하다. 초반 저글링러쉬는 상대가 벙커에 마린 한 마리만 있어도 유닛 컨트롤만 잘하면 막을 수 있으므로 가끔씩 저글링을 보내서 상대를 정찰하는 것에 만족해야 한다. 그리고 빨리 럴커 러쉬를 위한 빌드오더를 가지고 만약 럴커 러쉬가 실패할 경우에는 가디언과 디바우러 뮤탈리스크 퀸등을 이용한 종합선물세트를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적이 발키리와 레이스를 이용한다면 상대하기 곤란해진다.
저그 vs 프로토스
프로토스를 상대하기 가장 쉬운 방법은 무한 저글링이다. 해처리 8개 이상에서 끊임없이 나오는 저글링을 상대하기는 프로토스로서는 여간 힘든일이 아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저글링은 풀업된 저글링이다. 혹은 히드라리스크도 권장할 만 하다.

물론 상대의 하이템플러를 어떻게 상대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히드라리스크 역시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유닛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테란도 마찬가지지만 프로토스 역시 오버로드는 항상 동행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그 vs 저그
고수 대 고수의 래더게임에서는 보통 뮤탈리스크+저글링을 많이 이용한다.
아마 래더게임의 70%이상은 뮤탈리스크+저글링 전법을 사용할 것이다. 즉 얼마나 빨리 상대보다 많은 뮤탈리스크를 뽑았느냐가 관점이다. 물론 뮤탈리스크는 업그레이드가 생명이다. 스파이어가 완성되면 뮤탈리스크를 뽑음과 동시에 공격력 업그레이드를 해주어야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그 와중에 스커지와 디바우러까지 사용이 능숙하다면 이기는 것은 시간문제 이다.

또한 나이더스 캐널을 이용한 방법도 권장할만 하다. 특히 상대가 알지 못하는곳에 허를 찌른다면 나이더스 캐널을 이용한 히드라리스크작전이 아주 쓸만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상대가 고수면 나이더스 캐널 작전은 쓰기 힘들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저그의 팀플레이 전략

팀플레이의 경우는 초반에 빠른 시간내에 적을 제압을 해야 한다. 그래야 승리를 할 확률이 높다. 4 : 4 일 경우나 3 : 3 일 경우에는 적의 위치를 금방 알 수 있기 때문에 4드론 저글링 러시를 사용한다면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 4 일 경우에는 올 저그로 한다면 비슷한 실력일 경우에는 올 저그가 승리할 확률이 대단히 높다. 초반에는 저글링의 발톱을 업그레이드 시켜 공격을 하고 중반정도에 해처리가 3개정도 되고 남는 돈으로 히드라리스크를 만들어 공격을 하는게 효과적이다.

초반부터 히드라리스크를 만들면 패배를 할 수도 있다. 저그도 중앙을 점령하는데는 럴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럴커의 단점은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피해를 주므로 배치를 잘 해야 한다. 방어진을 건설할 때는 저그는 클립이 없으면 만들수가 없으므로 문제가 된다. 그리고 저그는 오버로드가 디텍터 기능을 하므로 초반에 적의 다크템플러나 럴커, 레이스가 올 때 아군의 기지에 오버로드를 한 마리씩 배치를 하면 좋다.

2:2


저그 + 저그
이 조합의 특징은 다른 종족보다 초반에 신속한 러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5드론이나 6드론으로 스포닝 풀을 지어 저글링 러시로 적을 초반에 섬멸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첫 러시에 실패를 하면 그 뒤에는 게임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약점이 있다.

3:3

올 저그
3저그의 초반 저글링 러시는 막강하다. 2저그의 러시는 전술적으로 막아낼 수 있으나 3저글링의 러시는 거의 막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때 적의 다른 2팀의 역러시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초반에 승부를 보지 못한다면 종족의 단일성 때문에 중반으로 가면 전술적으로 불리함이 있다


4:4

올 저그
말이 필요없는 조합이다. 초반에 최소한 2명은 엘리미네이트를 당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초반에 너무 공격위주로 가기 때문에 한 팀을 제거할 동안 역러시를 당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러시부터는 조심을 하여야 한다. 저글링 러시라는 것을 알면 테란은 벙커를 많이 지어 방어에 신경을 쓰기 때문이다. 테란이 벙커로 방어에 전념을 하면 저글링으로는 벙커를 뚫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어디서 퍼오신거같은데 저도 알려주시면

안될까여 저도 저그전략 알고싶어서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드랍하는게 최고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전략을 알려주세요

스타크래프트 전략 알려주세요 저그 알려주세요 starcraft 폭발형태 & 유니트 크기 스타크래프트에는 세가지의 다른 크기의 유니트가 있다 : 소형, 중형, 대형 유니트의...

스타크래프트전략알려주세요.

스타크래프트를많이하는사람인데요....스타에서저그,테란,프로토스전략알려주세요......스타밀리를안한지좀오래되서요.내공20임! 안녕하세요 답변해드리겟습니다 저그...

스타크래프트 테란 전략 등등 좀 알려주...

제가 스타크래프트를 할려는 데요 스타크래프트 전략, 빌드 좀 알려 주세요.( 웬만하면 메카닉 ) 또 정찰은 언제쯤가는지도 좀 알려주세욤 ㅎㅎ 내공 85 걸겠어요 ㅎ 정찰 가는...

스타크래프트전략좀..내공:40

스타크래프트전략알려주세요... 저는 다 할줄알아요..그런데 잘 못해요.. 테란: 저그: 프로토스: 전략좀부탁..내공40이요... 스타크래프트 전략 설명 곧바로 들어갑니다!!!!!...

스타크래프트 태란 전략알려주세요~~~~~

스타크래프트 태란 전략알려 주세요. 내공 팍팍드릴께요 Q. 테란 전략알려주세요 ! A. 밑에 글 참고하세요. B B S [ 배럭 배럭 서플라이 디팟 ] 배럭 2개를 먼저 건설한 뒤...

스타크래프트 테란 전략알려주세요!

스타크래프트 처음 시작한 사람입니다. 종족은 테란으로 하려고 하는데요. 커스텀... 그리고 다른 테란 전략도 좀 알려주세요. 테란전은 자리싸움이 심하고 지겹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전략알려주세요~

제가 친구들이랑 스타크래프트를 하기로 했는데, 3:3으로... 만드는지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팀플3:3 을 하신다면 헌터나 헌트리스 맵 일거라고 생각합니다. 저그 전략은...

스타크래프트 전략 알려주세요!

스타 테란 전략 알려주세요! 테란vs저그전 할때 전략이랑 저그전략에따른 상황대처법 알려주세요 저그가 이렇게나오면 ..테란은 어떻게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