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왜 푸른가?

하늘은 왜 푸른가?

작성일 2006.07.26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하늘은 왜 푸른지 알려주세요

저도 많이 찾아 볼테니까

님들도 ㅅㄱ

그리고 8월  28일 전까지 알려주시고요

중요한 내용만 알려주시면 감사드립니다!!!!!!!!!!!

 

그럼면 님들만 믿을 께욧!!!!


#하늘은 왜 나를 낳고 #하늘은 왜 나를 낳고 드립 #하늘은 왜 주유를 낳고 제갈량을 또 낳았는가 #하늘은 왜 #하늘은 왜 파랄까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 #하늘은 왜 드립 #하늘은 왜 디플러스 기아를 낳고 #하늘은 왜 파란가 #하늘은 왜 나를 낳고 디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가 보는 햇빛은 여러가지 색깔의 빛이 골고루 섞여 있어서 백색으로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하늘을 바라보면 약간 푸르스름하게 보입니다. 비가 온 후 맑게 갠 하늘이나 가을 하늘은 유난히 더 푸릅니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백색광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에 닿아서 사방으로 되튑니다. 이를 빛의 산란이라고 하는데 더 정확히 말하자면 공기를 이루는 산소, 질소, 수증기, 먼지 등과 같은 작은 알갱이들에 빛이 충돌해 사방팔방으로 되튀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외선쪽(즉 파란 쪽)의 빛이 더 잘 산란되고 적외선쪽(즉 붉은 쪽)의 빛은 잘 산란되지 않는 성질이 있습니다.

파장이 긴 빛(붉은 빛)은 산란 단면적이 좁고 파장이 짧은 빛(푸른 빛)은 산란 단면적이 넓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하늘은 일부 산란된 푸른 빛 때문에 우리 눈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붉은 쪽 빛이 잘 산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 바로 자동차의 뒷부분에 있는 브레이크 등입니다. 날씨가 좋지 않을 때에도 붉은 색 계통의 빛은 산란이 잘 안되어 멀리까지 전달되므로 뒤따라 오는 자동차에 앞차가 정지한다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저녁놀이 붉게 보이는 이유도 붉은 색의 빛이 잘 산란되지 않고 긴 공기층을 통과하여 우리 눈에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즉 저녁 무렵에는 빛이 대기층을 비스듬히 길게 통과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산란되지 않고 남은 붉은 빛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을에 왜 하늘이 더 파랗고 높게 보일까요. 그것은 공기가 건조해져서 수증기나 작은 물방울들이 상대적으로 적어집니다. 따라서 산소나 질소 분자와 같은 매우 작은 알갱이들만이 빛을 산란하므로 자외선 쪽에 더 가까운 빛(파장이 더 짧은 빛)이 더 잘 산란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을 하늘이 여름 하늘보다 더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태양의 빛이 우리 지구로 들어올때 이 문제가 생깁니다.

지구에 오존층을 뚤고 들어오는 빛은 굴절이 되죠?

굴절이 되면서 빛<백색광>은 분산되죠.

그래서 하늘이 푸르게 보입니다.

또, 오존층이 없는 달이나 다른 별,행성들은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없이,

하늘은 검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하늘이 왜푸른가.?...

 

하늘은 정말 아름답습니다. ^ㅡ^...

 

본론으로 들어가서 하늘이 푸른이유는

태양이 저 멀리서 빛을 쾅.................콰콰콰쾅

쏘죠?

그럼 우리 지구에도 도착할껍니다.

들어오면서 대기권을 거치면서 물분자는 들어오는 빛을 분쇄시켜버립니다.

혹시 프리즘이라는 것을 아십니까

및을 프리즘에 가하면 그 가하는 각도에 따라서

빨주노초파남보로 갈라지게 됩니다 ^ㅡ^ 그게 무지개에도 적용이 되는거죠

후후후

 

다시 본론으로...

물은 빛을 분산시킵니다. 그러나 모든 빛을 흡수하죠 단...푸른색을 제외하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눈에 푸른색깔로 보이는것입니다. ^ㅡ^>..

바다도 그렇게 보일껍니다.후훗...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사로 인해


지구의 대기에는 질소, 산소 등 아주 많은 기체 분자가 있다. 전자기파(태양광선)가 이러한 분자에 부딪치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데, 이를 산란이라고 한다. 산란효과로 인하여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복사 에너지량은 감소한다.

가시 광선의 파장은 기체분자의 반경보다도 휠씬 크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광선일수록 공기 분자에 의해 더욱 강하게 산란된다. 예를 들면, 가시광선에서 빨간색의 파장은 약 0.71μm이고 파란색은 약 0.45μm이다. 따라서, 파란색의 광선은 빨간색의 광선보다 더 많이(약6배) 산란된다. 따라서, 하늘은 산란된 파란색 파장에 의해 푸르게 보인다.

그러면 하늘은 왜 가시광선 중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보라색 부분의 에너지는 파란색 부분의 에너지보다 작다. 따라서, 보라색 부분의 빛은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하기전에 에너지를 잃어 우리눈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하늘의 색은 보라빛을 띤다.

그러니까 파란색 광선이 산란(산란이란 넓게 퍼지는 것을 말하죠)

이 되어 그런 것입니다.

이제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혹시 프리즘이라고 불리우는 삼각형 유리막대를 햇빛에 비춰본적 있나요??..

그럼 빨주노초파남보.. 여러색으로 분리가 되죠??...

하늘색도 이때문입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기중에는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등등.. 수 없이 많이 있죠..

이러한 물질들이 햇빛을 받으면 빛이 꺽이겠죠??.. 빛이 꺽이는 정도에 따라 색갈이 변하는데요..

그 중에서 대기 중을 통과할 때 짧은 파장의 빛(푸른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됩니다..(산란이란 빛, 파동(波動)이나 입자선(粒子線)이 물체에 부딪쳐 여러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흩어지는 일 입니다.)

원래는 보라색도 많이 나오지만.. 사람들은 보라색보다 파란색에 더 예민해서 파란색이 더 많이 보인답니다..^^

하늘은 왜 푸른가? 답변점 ..

... 1> 하늘은 왜 푸른가?? 구체적으로 어려운 말이 있다면 뜻도 .. ↑이것만 해주셔도 돼지만 . 아랫것도 해주시면 감사내공 드립니다 . 2>김치는 왜 시어지는가 ?? 구체적으로...

하늘은 왜 푸른가

학교숙제때문에 그러는데요 '하늘은 왜 푸른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조사로 인해 지구의 대기에는 질소, 산소 등 아주 많은 기체 분자가 있다. 전자기파(태양광선)가 이러한...

하늘은 왜 푸른가?

하늘은 왜 푸른가????? 정말 궁금해요 누가 답변좀/.. 부탁 ^^; 조사로 인해 지구의 대기에는 질소, 산소 등 아주 많은 기체 분자가 있다. 전자기파(태양광선)가 이러한 분자에...

하늘은 왜 푸른가?

하늘은 왜 푸른지 알려주세요 저도 많이 찾아 볼테니까 님들도 ㅅㄱ 그리고 8월 28일... 하늘이 왜푸른가.?... 하늘은 정말 아름답습니다. ^ㅡ^... 본론으로 들어가서 하늘이...

하늘은 왜 푸른가?

하늘은왜 푸른가? 내일이 계학이니까 빨리 답변좀 감사해여 자세히 말고 짧게 해주세열 ㅎㅎ 빛이 지구의 대기권으로 들어올때 파란빛계열의 색이 산란되어서 입니다.

하면 시어지지 않는가? 하늘은 왜 푸른가?

... 하늘은 왜 파랄까? 김치는 시어지는가? 할머니가 되면 키가 작아질까? 캄사캄사 ^-^ 딸국질은 날까? 딸꾹질은 가슴과 배 사이를 나누는 막처럼 생긴 근육인 횡격막이...

하늘은 푸른가?

학교 숙제 로 하을은 푸른가에 대하여 조사하기로 햇는데요 이유 좀 대주셔여~ 하늘은 푸른가여... 저도 궁금 ㅎㅎ 사람에 눈에는 파란색이지만 사실은 보라색이라는...

하늘은 왜 푸른가?

저는 학교 방학숙제 이기도 하지만 하늘이 푸른지 알고싶어요. 우주는 껌껌한데 하늘은 파랄까요? 답변들 많이 주세요.. 햇빛조아때문에

하늘은 왜 푸른가???

하늘은 왜 푸른가요??? 답변 부탁~!! 숙제에요 언제든지 답변 부탁 드릴께요 빨강색이면 이상하니까

하늘은 왜 푸를까요??????????????

... 제가 방학숙제로 하늘은 왜 푸른가 알아오기로 조사하는데 하늘은 왜푸른거인가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하늘은 왜푸른가요에 대해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