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인조잔디를 깔지 말아야한다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지 말아야한다

작성일 2012.10.10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필요 없다" 에 대한 근거자료나 근거를 써주시기 바랍니다.

 

내공 100 걸께요 ^^ 좋은 답변만 채택되고 별로 안좋은건 채택 안됩니다 ^^

전 여자이구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설]학교운동장 인조잔디, 재검토하라 
2007년 09월 11일 (화) 경남도민일보 [email protected]

막대한 예산을 들인 인조잔디 운동장 상당수가 발암물질 덩어리로 드러났다. 그동안 인조잔디 시공 후 냄새 때문에 창문을 닫고 수업하는가 하면, 두통과 아토피 증상을 보인다는 체육교사들 호소도 종종 있었는데, 뒤늦게 그 원인이 분명하게 밝혀진 것이다.

인조잔디가 설치된 전국 176개 학교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약 25%의 인조잔디 고무분말에서 다량의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두통과 정신착란 등을 일으키는 납이 최고 허용기준치의 20배 이상, 폐암과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벤젠화합물인 다핵방향족탄화수소가 검출된 곳도 있다. 결국 학교당 3400만원씩 들여 고무분말을 교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까지 전국 267개 학교 운동장에 인조잔디를 추가로 시공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는 인조잔디는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져 잔디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정원이나 일조시간이 짧은 고층건물 북쪽에 접한 옥외 스포츠 시설 등에 주로 조성되어 왔다.

시각적으로 깔끔하고 환경의 제약이 덜하며, 관리도 쉬워 학교 운동장까지 시공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운동장의 특성상 마찰에 의한 분진이 불가피하고, 바닥을 밟을 때마다 폐타이어 가루가 날아오르기 쉽다. 인조잔디 때문에 부상을 입기도 하고, 흙바닥 보다 인조잔디가 성장기 학생들의 관절과 근육에 좋지 않다는 목소리도 있다. 항상 푸르름을 유지한다는 것도 뒤집어보면 계절감이 없다는 의미여서 꼭 긍정적인 것만도 아니다.

더구나 인조잔디는 끊임없이 개·보수 비용이 들어간다. 만성적 예산부족으로 학교신축마저 민간자본에 의존하는 처지에 인조잔디 운동장이 그토록 필요한 것인지 의문이다. 선진국에서도 인조잔디 운동장은 더 이상 환영받는 존재가 아니라고 한다.

그동안 교육당국은 인조잔디 시공으로 '흙먼지 날리는 운동장'을 줄이는 대신 발암물질 날리는 운동장을 양산해 왔다. 성장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의 공간인 학교는 시공업체들의 실험무대가 아니기에 특히 안전성이 검증된 것만 적용해야 한다. 조만간 막대한 세금을 또 들여 철거해야 하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란다.

 

 

저건 신문에 나왓던 내용인데요 시간이 없어서 정리는 못하고 글만올리고 갑니다 ㅜ; 죄송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006년 흙 운동장에 인조잔디가 깔릴때만 하더라도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의 호응이 높았다.

 

쾌적하고 깨끗한 이미지와 편리성까지 더해져 일선학교의 시공요구도 높았다.

 

잡초와의 전쟁을 벌여야 하는 천연잔디에 비해 적은 관리비용도 인조잔디를 선택하는 이유였다.

 

과연 당시 기대처럼 인조잔디 관리비가 저렴할까?

 

생애주기가 영구적인 천연잔디와 달리 인조잔디는 조성비용과 이후 수반되는 관리비용, 폐기처리시 들어가는 철거비용이 뒤따른다.

 

철거 후 재시공이 이뤄지면 다시 정기적인 관리비용과 내구연한 경과시 폐기를 되풀이 한다.

 

인조잔디가 우후죽순 늘면서 예산문제가 불거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와 달리 잡초제거 등이 없어 잔디관리가 수월하고 사계절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이 마음껏 뛰어놀며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

 

실제 농어촌 소규모 학교와 달리 학생수가 많은 학교에 천연잔디를 조성할 경우 잔디 생육을 위해 학생과 주민들의 출입을 통제시키는 일이 다반사다.

 

인조잔디 조성을 위해서는 학교당 4~5억원 예산이 투입된다.

 

2006년 서귀포중을 시작으로 2012년 6월말 현재 도내 186개교 중 25%인 46곳이 인조잔디를 조성했다.

 

투입된 예산만 170억원 내외로 추산된다. 매해 인조잔디에 고무칩(충진재)를 보충하고 잔디를 세우는 작업에도 학교당 매해 수백만원을 투입해야 하는 처지다.

 

저도 위와 같이 비용도 많이드니 반대합니다. 인조잔디 보다는 흙이 나을듯합니다

 

또, 맨살에 넘어지면(인조잔디에) 1~2도의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고 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전 증거나 근거자료없이 제 의견을 주장합니다.

의견:깔지마라

이유1.축구를하다가 넘어지면 인조풀은 고무식이기때문에 열을 흡수하여 뜨겁습니다.그러므로 화상1~2도를 입습니다.

2.인조잔디는 고무라서 구하기 쉽기에 대충 만들어서 긁히면 피도나고 상처도 깁습니다.

3.진짜 안전한 풀이 잇는데 왜 까는 이유가 없습니다.왜냐면 진짜풀은 손질만 하면 찔리지도 않고 긁혀도 안다치고뜨겁지도 않습니다.

제 주장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깔지마십시오.

화상주의!

(꾸벅)

(__)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ㅎㅎ

 

 

인조잔디는 멀리서보면  사계절에도 이쁘고 파릇파릇하지만

가까이서보면 대관령의 초원과 비슷하다.

즉,이말은 젖소들이 다니는 대관령은 멀리서 보면 아름답지만

가까이서보면 소들의 배설물로 인해 생각보다 아름답지않다.

인조잔디도 마찬가지이다.

가까이서보면 검은알갱이(작은고무)들인데 다치지말라고한거같은데 실제로는

건강에 안좋다.그리고 가까이서보면 파랗게생긴게 있는데 그게

옷에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아 안좋다.

 

 이상입니다 !!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인조잔디에 관한 내용 정리 잘되있는 곳 소개해요.

궁금하신 인조잔디에 대한 모든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인조잔디 관련 고급정보들 많이 보유한 사이트

이제서야 알게된 인조잔디 정보 사이트 공유 합니다.



인조잔디에 대한 꼭 필요한 정보들 아래 네임카드 링크 ↓↓↓↓↓↓ 에서 찾아보세요~!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지 말아야한다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필요 없다" 에 대한 근거자료나 근거를 써주시기 바랍니다. 내공... 의견:깔지마라 이유1.축구를하다가 넘어지면 인조풀은 고무식이기때문에 열을...

인조잔디에서 슬라이딩 해서 생긴 찰과상

인조잔디에서 슬라이딩 해서 생긴 찰과상인데 관리를... 갈아주도록 한다. 주의: 하지 말아야 할 일 크거나... 지방자치단체), 학교(초·중·고·대학교), 병원(개인병원, 종합병원)...

5학년 2학기 듣말쓰. pg62

... pg62 쪽입니당 <= <= <= 토론 주제 :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아야 하는가 내 주장 : 깔지 말아야 한다. 근거 : 인조 잔디를 깔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것 입니다. 그런데 그...

쓸린 상처 처치법

안녕하세요, 방금 전 인조잔디에 다리가 쓸려 이렇게... 갈아주도록 한다. 주의: 하지 말아야 할 일 크거나... 지방자치단체), 학교(초·중·고·대학교), 병원(개인병원, 종합병원)...

병아리

... 온지 한달쯤됐어요 그런데막 깃털이나고 쫌 날아다녀요... 4.인공잔디는 까는게 좋을까요? 절대 깔지 마세요 ..... 하지말아야 합니다. 23.병아리가 너무 더러워서 씻겨야 될...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좀 알려주세요.

... 우진각지붕이라 한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썼다고 한다. 지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서울...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

서울 주요문화재

... 인조 14년(1636) 청태종(淸太宗)이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공하였을 때 인조는... 건설하였다 한다. 1910년 경희궁을 헐고 경성중학교(서울중고등학교)를 건립할 때 이...

서울주요문화재의 특징좀,...

... 인조 14년(1636) 청태종(淸太宗)이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공하였을 때 인조는... 건설하였다 한다. 1910년 경희궁을 헐고 경성중학교(서울중고등학교)를 건립할 때 이...

서울의 주요 문화재 특징

... 인조 14년(1636) 청태종(淸太宗)이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공하였을 때 인조는... 건설하였다 한다. 1910년 경희궁을 헐고 경성중학교(서울중고등학교)를 건립할 때 이...

서울의 주요 문화재의 특징은???

... 인조 14년(1636) 청태종(淸太宗)이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공하였을 때 인조는... 건설하였다 한다. 1910년 경희궁을 헐고 경성중학교(서울중고등학교)를 건립할 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