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전공대학을 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전공대학을 좀.....

작성일 2004.11.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디자이너가 꿈이랍니다.
그래서 외국에 있는 유명한 대학들을 찾아보고 있거든요.....
꿈은 넓게 가져라.....
못가더라도 이름이라도 알아야죠~!~!
뭐 하버드는 철학과 경제등을 공부하고,
음악은 줄리아드 음대.....
여러 과목중 미술만 없는거 같네요~!~
부탁드립니다.
정확한 답변을.........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 #세계에서 가장 비싼 차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 #세계에서 가장 단어가 많은 언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세계에서 가장 긴 다리 #세계에서 가장 예쁜 여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미국에서는

로드아이렌드 인스티튜트오브 아트엔 디자인,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아트 센터인 파사디나,

페션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노로지,

예일 미대 등등이 있겠습니다.

블란서에는 파리 국립대학이 단연 위라고 평가하더군여.

따른 좋은 미대도 많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http://user.chollian.net/~cha0523/university/univ-t.html

 

 

전세계에서 최고의 인문학 대학 하버드

 

전세계에서 최고의 기초과학대학 프린스턴

 

전세계에서 최고의 공학대학 MIT

 

전세계에서 최고의 의학대학 1.존스홉킨스, 하버드 항상 순위가 바껴여,

100년동안 치열한 경쟁

 

전세계에서 최고의 법학대학 예일

 

전세계에서 최고의 문학대학 스텐포드

 

 

전세계에서 최고의 음악대학 최고의 소수 정예는 커티스, 그담에 줄리아드, 피바디등등

 

 

전세계에서 최고의 미술대학 쿠퍼 유니언, RSID, 등등

 

전세계에서 최고의 체육대학 Physical education방면은 뉴질랜드 대학이 세죠.

 

1.오클랜드대학 University of Auckland

2.오타고 대학 University of Otago

 

오타고대학은 의대로 유명한데, 미국에서 SAT점수 엄청 높게 받아도 PE학과에는 들어가기 어려운 대학입니다. 참고로, 체육/스포츠 의학, 체육 심리학 그밖에 그 분야에 관련된 과목도도 전공항목으로 있다고 합니다.

 

추가로....

 

경제학 -

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5.0

2. Harvard University (MA) 4.9

Princeton University (NJ) 4.9

Stanford University (CA) 4.9

University of Chicago 4.9

 

비즈니스 -

1. Harvard University (MA) 100 4.8 4.7 3.60 705 9.7% $109,587 77.7% 88.9% $31,800 1,808

2. Stanford University (CA) 97 4.8 4.4 3.58 716 7.9% $108,840 78.4% 81.7% $33,300 749

University of Pennsylvania (Wharton)

 

교육만으로써 -

1. Harvard University (MA) 100 4.4 4.7 596/613 13.3% 20.8 72 41.0% $18.8 $586.8

2. Stanford University (CA) 95 4.7 4.6 554/646 10.8% 8.6 29 53.2% $14.4 $495.1

3. University of California–Los Angeles

 

수학 -

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4.7

New York University 4.7

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6

 

영문학 -

1. Harvard University (MA) 4.8

Stanford University (CA) 4.8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4.8

Yale University (CT) 4.8

 

정치학 -

1. Harvard University (MA) 4.9

2. Stanford University (CA) 4.7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4.7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4.7

 

역사학 -

1. Princeton University (NJ) 4.9

Yale University (CT) 4.9

3. Stanford University (CA) 4.8

 

컴퓨터공학 -

1. Carnegie Mellon University (PA) 4.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4.9

Stanford University (CA) 4.9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4.9

 

생물학 -

1. Stanford University (CA) 4.9

2. Harvard University (MA) 4.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4.8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4.8

 

화학-

1.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5.0

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9

Harvard University (MA) 4.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4.

 

지질학 -

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9

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4.8

3. Stanford University (CA) 4.5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4.5

 

참고로 지금 미국 대학 rank 는

 

1 프린

2 하버드, 예일

4 stan, MIT, U.penn, 듀크

8 노스웨스턴, 다스머스 등등 입니다.mins0653

 

http://www.wolganmisool.com/02wolgan/serv/200403/index.php( 2004년 )

 

http://www.wolganmisool.com/02wolgan/serv/200403/01_special/main01.php

 

• 미국 동부의 명문 미술대학 | 서상숙-

유니버시티 오브 펜실베니아 미대(필라델피아),

버지니아 커몬웰스 대학교 미대(버지니아),

메릴랜드 인스티튜트 미대(메릴랜드) 등도 좋은 평판을 받고 있다.

예일미술대학(www. yale.edu/art)은 1900년에 졸업한 프레드릭 레밍턴을 비롯, 척 클로스, 브라이스 마덴, 리처드 세라, 에바 헤세, 낸시 그레이브스 등과 최근에는 매튜 바니, 존 커린(M.F.A) 등을 배출한 학교다.

아이비대학이라는 명망에 까다로운 입학과정을 거친 수준 높은 학생들, 전통을 중요시하면서 현대미술의 변화도 무시하지 않는 교육으로 50년 이상 미국 최고의 미술대학으로 손꼽혔다.

미국의 지성과 예술의 대표적인 도시인 보스턴과 뉴욕의 중간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으로 보고 듣는 현장감 넘치는 교육에 유명 작가는 물론 학자, 비평가, 작가 등을 수시로 초대하여 학생들을 자극한다.

1832년에 미술교육을 시작, 1864년에 미대가 세워졌으며 미국 최초의 미술대학, 미국 최초의 미술관이라는 전통을 자랑한다.

대학원 중심의 교육으로 학사과정은 예일컬리지의 아트전공으로 예술학학사(B.F.A)가 아닌 인문학학사(B.A.)과정이며 예일 대학교의 스쿨 오브 아트는 예술학석사(M.F.A.)만을 수여하는 대학원과정만 설치되어 있다.

120명이 재학중이며 소수정예 프로그램으로 파트 타임이나 편입생을 받지 않고 일반인이나 취미생 등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야간수업도 없다.

전공은 페인트/프린트 메이킹이외에 그래픽 디자인, 사진, 조각 등 4 분야로 나뉘어 진다. 작가 피터 헤일리가 최근 학장을 맡은 예일의 입학절차는 해외거주학생을 제외하고는 모두 직접 작품을 들고 가 인터뷰를 치러야 하는 등 까다롭기로 이름나 있다. 입시전쟁이 치열한 우리 나라에서는 크게 놀랄 일도 아니지만 페인팅/프린트 메이킹 전공에만 매년 500명 이상이 지원하며 그중 20명을 뽑는다. 슬라이드, 추천서, 에세이 등 자료를 제출하면 우선 75명 정도가 1차로 뽑혀 인터뷰를 하게 된다. 교수 전원이 나와 지원자들의 실제 작품을 보면서 인터뷰를 하는 데 꼬박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테크놀러지를 이용하는 현대미술의 추세에 따라 디지털 랩, 미술 디지털 미디어센터(DMCA) 등이 설립되었으며 이 밖에 부대시설로 랄프 메이어 러닝센터, 예일대 아트갤러리, 예일 브리티시 아트센터 등이 있다.

 

• 샌프란시스코 해안지역의 미술학교 | 정도련 -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San Francisco Art Institute, SFAI)와

캘리포니아 컬리지 오브 아트(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CCA)를 들 수 있다. 1871년에 설립된 SF AI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예술학교 중 하나다.

러시안 힐(Russian Hill) 구역에 위치한 메인 캠퍼스는 스페인 식민지시대 양식의 건물과 근대양식의 콘크리트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알카트라즈섬과 금문교와 샌프란시스코만이 눈앞에 펼쳐지는 이 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예술학교 중 하나일 것이다.

건물 내부의 벽화를 그린 멕시코 화가의 이름을 따온 디에고 리베라 갤러리(Diego Rivera Gallery)는 그 자체가 중요한 역사적 예술품일 뿐만 아니라 SFAI 학부생들의 전시장이기도 하다.

이 학교는 최근 도시 내의 산업지역에 대학원 과정(M FA, Master of Fine Arts)을 위한 센터를 열어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하였다.

SFAI는 개교 당시부터 새로운 시도와 연구를 위한 실험적 환경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매우 유연하고 탄력적인 교육과 커리큘럼에 잘 반영되어 있다. 학교에서 학제간 연구를 매우 장려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혼합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과학과 문학 등의 고려를 통해 좀더 복잡한 수준의 사고를 하도록 유도한다. 학생들은 스스로 교과과정을 만들 수 있고 지도 교수들과 일 대 일로 작업할 수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단순히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예술로 향하는 길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SFAI 교수진 중에 많은 수가 현재 활동중인 작가로서, 이들은 ‘전문적 예술가로서의’ 문화를 학교에 불어넣는다.

비평, 개념적 사고 및 전시 등에 관련된 기술을 배우는 과정에 학생들은 잠재적 예술가로서 다루어진다. SFAI는 뉴 장르/행위예술/비디오, 영화제작 및 디지털 미디어/음향을 비롯하여 페인팅/드로잉, 사진, 인쇄, 조각/도예 등의 학부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의 유명한 SFAI 졸업생으로는 행위예술가인 폴 매카시(Paul McCarthy), 사진작가인 샤론 록하트(Sharon Lockhart), 설치미술가인 제이슨 로즈(Jason Rhoades) 및 그래피티 화가인 베리 맥기(Barry McGee)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휘트니 비엔날레 또는 베니스 비엔날레에 초대되었다. 두 비엔날레에 모두 초청된 비디오 예술가 폴 파이퍼(Paul Pfeiffer)는 2002 휘트니 비엔날레에서 가장 유망한 예술가에게 수여되는 벅스바움 어워드의 첫 수상자이다.

 

• 1990년대 세계미술을 바꾼 영국의 미술대학 | 이지윤 -

보통 4년제인 대학에 비해, 영국의 대학교는 3년제가 기본이다.

그러나 고등학교(Alevel) 과정을 지나, 미대 지원학생들은 파운데이션 과정을 밟아야 한다. 보통 이 과정은 그들의 정규 입학을 위한 포트폴리오 제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미술작업과 관련된 전통적인 기술에서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교육하며, 미술사 수업도 동반된다.

미술사 수업은 고등학교에서도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매우 심도 있는 공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학부에서 3년을 공부하며, 작가를 지망하는 사람들은 학교를 바꾸어 석사과정으로 진학한다.

주로 많은 학생들이 진학을 원하는 석사과정은

석사과정부터 시작하는 교육기관인 RCA(Royal College of Arts),

UCL(런던 대학)의 미술대학인 슬레이드 스쿨(Slade School), 골드스미스 대학(Goldsmiths’ College), 런던 인스티튜트 중 하나인 첼시미술대학 등이다.

또 하나 영국에는 외국에서 유학을 오거나, 학부에서 철학이나 미술사 등 다른 과목을 공부한 학생들을 위한 ‘Postgraduate Diploma’라는 과정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대부분의 수업 내용은 거의 비슷하지만, 논문을 쓰지 않아도 되는 용이함이 있어 자신의 주제를 잡기 전 하기에는 매우 좋으며, 학교에서도 매우 권장하는 코스이다. 특히 외국 유학생이라면, 이 과정을 밟아볼 것을 매우 추천하는 바이다. 이 글에서는 영국에 있는 수많은 미술학교 중에서 특별히 런던에 위치하고, 지난 20년간 다수의 스타 작가를 배출한 세 기관만 소개하기로 한다.

영국 왕립 미술학교

런던의 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 비의 거주지였던 켄싱턴 궁을 포함한 켄싱턴 파크와 로열 앨버트 홀 사이에 위치한 이 학교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석사 이상의 과정으로 구성된 교육기관이다

 

• 전통과 현대를 잇는 프랑스의 미술학교 | 박지은 -

대학(Universite)1),

국·공립에콜(Ecole nationale ou publique)2),

사립에콜(Ecole prive)의 세 가지 가능성이 있다.3)

각 교육기관의 성격이 다르므로 학업이수 후에 주어지는 학위도 다른데, 예를 들어 미술대학의 졸업자는 일반적인 대학제도에 주어지는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는 데 비해 에콜을 졸업한 학생에게는 국가 혹은 각 학교에서 공인하는 학위(diplome)가 주어진다. 특히 프랑스의 국립교육은 대학이건 에콜이건 간에 등록금과 보험료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무료이며, 우리 나라 미술대학의 높은 학비수준을 고려할 때, 프랑스에서의 미술고등교육은 상대적으로 학비 부담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대학에서의 미술교육은 미술사, 미학 등의 이론교육과 창작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예술기법을 균형있게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교육목표는 미술심리학, 사회학 등 미술이론을 담당하는 교수들과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실기를 다루는 교수들이 반반씩인 교수진의 분포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프랑스에서의 대학교육은 수업료가 없고 거의 국가가 지원하기 때문에 충분한 작업실과 전시공간, 기타 장비를 요하는 실기교육은 재정문제에 부딪혀 소홀해지는 경향도 있다.

일반적으로 실기능력의 평가를 포함하는 경쟁시험(concours)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국·공립에콜은 실제 교육내용에서도 이론교육보다는 실기교육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파리뿐 아니라 각 지방마다 거의 하나씩 설립되어 있는 에콜 데 보자르(Ecole des Beaux-Arts)는 입학경쟁이 꽤 치열한 편이고 편입 조건이 까다로우며 나이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주로 응용미술전공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사립에콜은 전술하였듯이 자신의 관심분야에 따라 다양한 전공을 선택할 수 있고, 입학이 국·공립에콜보다는 용이하지만 각 학교의 수준이 일정치 않으며 학비가 매우 높은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의 미술고등교육이 대학을 중심으로 한 입시 위주의 일원화된 구조인 것과 달리, 프랑스의 미술교육은 학생들에게 비교적 다양한 선택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회화, 조각, 판화, 설치 등 순수예술창작을 목적으로 하는 조형미술(Arts plastiques)교육과 실생활에 적용되는 그래픽 디자인이나 광고, 실내 및 의상 디자인 등의 응용미술(Arts appliqus)교육이 나누어져 있기는 하지만 퍼포먼스, 설치, 디지털작업 등 여러 미술장르가 혼재되고 그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대미술의 특성과 함께 전공교육간의 명확한 구분보다는 다양한 매체와 기법의 연구가 전분야에 걸쳐 강조되는 추세다.

 

한국의 시스템과 같이 입학 전에 전공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학년이 진행되면서 세부전공이 나누어지므로 학생 스스로 충분히 숙고한 후에 자신의 적성에 맞는 전공분야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응용미술 분야의 전공은 의상디자인, 실내디자인, 사진, 광고, 디스플레이, 영화, 만화 등 극도로 세분화되어 있어 각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창작을 위한 실기교육 이외에도 미술사, 미학, 전시기획, 미술관 행정, 문화재 및 미술품 복원 등 관련전공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 도제제도에서 벗어나고 있는 독일의 미술대학 | 류희동 -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z), A.R. 펭크(A.R. Penck),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 지그마르 폴케(Sigmar Polke), 레베카 혼(Rebecca Horn), 로즈마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 등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독일 출신의 세계적인 작가들이다. 그들은 거의 모두 미술대학의 교수였거나, 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독일의 대학과 한국의 대학이 크게 다른 점은 한국의 대학교들이 국공립 대학교와 사립대학교가 있는 데 비해 독일의 경우에 사립학원들은 소규모로 전문적인 직업을 양성하며, 독일의 대학교는 모두 국립으로 각 16개의 연방 자치주(우리 나라의 도, 특별시, 광역시와 유사)에 하나씩 있다.

특히 미술대학은 우리 나라의 경우처럼 대학교에 속하기보다는 따로 분리되어 있고, 역시 각 연방 자치주에 한 곳밖에 없다.

그리고 그 명칭은 쿤스트아카데미(Kunstakademie)이거나 쿤스트호크슐레(Kunst Hochschule)로 불린다. 전자가 전통적인 의미에 따른 이름으로, 순수미술계열 학과만 있고 미술실기 수업 외에 기타 미술이론 수업이 없거나 이수증(Schein)이 필요없는 이론 수업이 있다면, 후자는 기존 독일의 교육시스템에 따른 이름으로서, 미술이론 수업의 이수증(Schein)이 꼭 필요하다.

현재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Kunstakademie D웧sel-dorf)와 슈투트가르트 쿤스트아카데미(Staat-liche Akademie der Bildenden K웢ste Stutt-gart)가 대표적인 쿤스트아카데미인데, 이 두 학교의 차이는 졸업에 있어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는 ‘Diplom’ 또는 ‘Meisterschu-ler(in)’라는 학위가 인정되지만, 슈투트가르트 쿤스트아카데미는 그에 준하는 학위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는 독일의 바우하우스(Bauhaus)계열의 교수가 많았던 이 학교에는 예술가에게는 학위가 필요없다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외에 독일의 대부분 미술대학은 쿤스트호크슐레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또한 2002년도부터 이름을 바꾼 베를린 예술대학교(Universit둻 der Kunste Berlin)가 있다.

 

• 아시아 근대미술의 시발점에 서 있는 일본의 미술대학 | 김진엽

Japan일본의 미술대학은 우리 나라 근대미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본의 미술대학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한국 작가들이 우리 나라 근대 미술을 이끌고 국내 대학의 교수로 부임하면서 일본의 미술교육 방식을 그대로 도입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미술학교 세 곳의 역사와 특성을 알아보자.

일본에서 미술은 곧 생활이다. 일본의 곳곳에서 디자인적 요소가 쉽게 발견되고 일본인들은 집 안의 아무리 구석진 곳도 미적인 공간으로 바꾸기를 원한다. 특정한 작업 행위가 아니라, 미적인 생활 그 자체를 그들은 즐기는 것이다. 특히 일본 문화에는 동양적인 특성과 서양적인 특성이 잘 조화되어 미술을 풍부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일본의 미술을 이끌어 갈 전문가를 양성하는 일본의 미술대학은 크게 네 가지의 형태로 나뉘어진다.

 

첫째로, 국립대학의 교육학부 내에 교사 양성을 목표로 한 미술교육과정이 있다. 둘째로, 전문작가를 키워 내는 미술대학으로 도쿄예술대학(東京藝術大學), 무사시노미술대학(武藏野美術大學), 다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學) 등이 있는데, 이 학교들은 학생의 전공분야를 중심으로 수업을 하고 사범대학처럼 졸업 후 교원 자격을 준다. 이 둘의 중간 형태로 종합대학 중에 예술전문학교가 있는데 쯔쿠바대학(筑波大學)이 대표적인 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는 ‘대학원대학’이라는 것이 있는데 고분(誤聞)교육대학(시고쿠현, 四國縣), 효고(兵庫)교육대학(효고현, 兵庫縣), 조에츠(上越)교육대학(니가타현, 新潟縣) 세 학교뿐이다. 실제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미술대학은 둘째 유형으로,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 작가들은 대부분 이곳을 졸업했다.

전통 일본화에서 현대미술의 맥을 이어가는 세 대학, 도쿄예술대학, 무사시노미술대학, 다마미술대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자.

 

도쿄예술대학은 1887년에 세워진 도쿄미술대학과 도쿄음악대학이 1947년에 합쳐지면서 생겨난 대학이다.

한 세기도 더 이전에 세워진 두 대학의 합병은 도쿄예술대학이 명실상부 일본의 대표적인 예술학교로 발돋움하게 하였고, 지금까지 뛰어난 미술가와 음악가를 많이 배출하며 일본 그리고 세계의 예술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 중국 고등미술교육 기관과 제도적 특색 | 김백균 -

China

근대로 넘어오면서 중국의 미술교육제도는 서구 아카데미 체계를 도입하고 서양화에 대한 본격적인 교육을 시작했다.‘도화서’와 같은 국가기관은 미술학원으로 대체되었는데 최근에는 다시 미술학원이 종합대학에 합병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서양과 동양의 전통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중국미술학교는 세계적인 작가들을 배출하면서 중국미술사의 새로운 장을 쓰고 있다.

 

현재 중국의 교육제도는 우리 나라의 교육제도와 마찬가지로 역동하는 근대의 소용돌이 속에서 서구 아카데미 체계를 도입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의 교육제도가 근대국가의 틀 안에서 근대적 가치, 즉 ‘민주’와 ‘민족’의식의 고취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미술교육 역시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고등미술교육은 국가 주도의 학원 설립으로 시작된다.

 

근대 이전 개인적인 친분과 교우관계로 맺어지는 사승관계나 ‘사숙’을 제외하면, ‘도화서’와 같은 국가 주도의 기관이 국가사업에 필요한 화원을 양성하였다.

근대 이후에는 그 일을 미술학원이 대신하였으며, 그 설립 취지와 교육목표도 이전 화원화가의 육성과는 다른 근대적 의미의 ‘미술’과 예술가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자리잡는다.

 

중국 미술교육은 만청(晩淸)과 민국 초에 리루이칭(李瑞淸), 쉬페이홍(徐悲鴻), 리우하이수(劉海粟), 린펑미엔(林風眠), 리수통(李叔同) 등 서유럽과 일본등지에서 유학한 해외유학파의 노력에 의해 제도화한다.

만청기 리루이칭은 도화수공과(圖畵手工科)를 남경양강우급사범학당(南京兩江優級師範學堂)에 설립한 다음, 신해혁명 이후에는 전국 각지의 사범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 도화과(圖畵科)와 수공과(手工科)가 설립된다.

이 과정에 석고소묘와 유화명작의 임모 같은 과정이 교과과목으로 답변확정되며, 근대적 미술교육이 보편화하기 시작한다.

 

1912년 중국에서 처음으로 미술교육만을 전문으로 하는 상해도화미술원(上海圖畵美術院)이 저우시앙(周湘)의 제자 리우하이수에 의해 상해에 창립된다.

상해도화미술원은 곧 ‘상해미술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1920년에는 ‘상해미술학교’, 1921년에는 ‘상해미술전문학교’로 이름을 바꾸면서 도화(圖畵), 서화(西畵), 도안화(圖案畵), 노작(勞作, 실습)의 네 학과를 둔다. 1914년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나체 모델을 고용하여 인체습작을 시작한다.

물론 당시 나체 모델 사용은 반전통적이라는 이유로 사회적인 논쟁을 일으키지만, 리우하이수는 꿋꿋하게 나체모델 고용을 취소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전국 각지의 미술학원에서 나체 모델 사용이 보편적으로 유행하는 계기가 되며, 근대적 의미의 ‘미술’교육이 시작되었다.

 

중국의 3대 미술학원

 

1918년에는 북평미술전문학교가 북경에 설립된다.

1928년 ‘북평대학예술학원’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국화, 서화, 실용미술, 음악, 희극, 건축 6개 학과를 설립하며, 쉬페이홍이 원장을 맡는다.

1930년 봄에 북평대학에서 분리되어 나와 ‘북평예술직업전과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34년 ‘북평예술전과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회화과(국화와 서화로 분리), 조소과(조각과 소조로 분리), 도공과(도안과 도공으로 분리)를 설립한다. 북평예술전과학교는 항일전쟁시기를 거치고, 1946년 쉬페이홍이 중건하면서 1950년 초 화북대학 미술과와 합병함으로써 오늘날 중국미술학원(中國美術學院), 루쉰미술학원(魯迅美術學院)과 더불어 현재 중국의 3대 미술학원 중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중앙미술학원(中央美術學院)’이 설립된다.

작년까지 중국화, 유화, 판화, 벽화, 조소, 디자인, 미술사 7개 학과로 운영하다가, 작년 말부터 학부체계로 바꾸면서 회화, 건축, 디자인, 이론 4개 학과 체계로 바꾸었다.

http://www.wolganmisool.com/02wolgan/serv/200403/01_special/main07.php

[본지에 계속..]

 

• 전통과 변화가 공존하는 러시아 미술대학의 오늘 | 정다원 -

Russia

러시아의 미술전통은 유럽의 전통을 이어 근대적 사회변혁을 거치며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러시아제국주의 시대에 최초로 미술대학이 설립된 이래 최근 설립 10돌 안팎의 미술대학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미술교육의 맥은 오늘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러시아 예술아카데미의 화풍을 계승한 국립수리코프미술대학과 국립레핀미술대학을 비롯해 러시아 미술계의 새로운 코드로 등장한 신흥 미술대학의 면모를 살펴본다.

 

안드레이 루블료프, 일리야 레핀, 바실리 칸딘스키…등, 미술공간에 거성(巨星)으로 빛나는 러시아 화가들이 붓의 마력(魔力)을 마음껏 휘둘렀던 초대형 캔버스 ― 러시아! 바로 그 뮤즈들이 살아 숨쉬는 러시아 미술대학의 현재를 업데이트해 봄은 어떨까.

 

러시아 미술대학의 역사는 유서(遺緖)가 꽤 깊다.

러시아에 최초로 미술대학이 세워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대략 250년 전인 러시아 제국주의시대였다. 1757년 계몽주의자로 널리 알려진 I. I. 슈발로프 백작의 창안에 의해서 당대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러시아예술아카데미가 최초로 문을 열었다. 이듬해 이 대학의 미술학부는 회화, 조각, 건축, 판화, 금속공예의 5개 강좌를 개설하고 수업을 시작해서 러시아 미술의 역사를 열었다.

 

우선 러시아 미술대학의 효시인 러시아예술아카데미의 전통과 화풍을 고스란히 계승한 러시아 미술계의 양대 산맥, 모스크바 국립수리코프미술대학과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레핀미술대학을 탐방해 보자. 이 두 대학은 모두 실기에 강한 대학이다.

 

모스크바 국립수리코프미술대학의 모체는 1843년에 세워진 모스크바미술학교이다. 이 학교는 혁명 직후인 1918년 고등미술학교로 개편되는데, 1939년 이고리 그라바리가 모스크바 예술학파의 전통을 계승한다는 이념의 푯대를 세우고 미술대학으로 승격·설립한다.

그라바리는 러시아예술아카데미에서 레핀과 함께 공부했던 화가이자 예술이론가이다. 1948년 이 대학은 역사화의 지평을 개척한 화가 바실리 수리코프(1848∼1916)의 예술정신과 화풍을 후학교육의 귀감으로 삼으려는 취지에서 수리코프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수리코프대학에는 회화, 조각, 조형예술이론, 데생, 건축의 5개 학부가 있는데, 학교 건물이 두 곳에 위치한다.

타간스카야 지하철역 인근(타바리스키 거리)에 자리한 건물에서는 회화, 조각, 조형예술이론 학부의 강의가 진행되고, 또 러시아 회화의 대표작들을 보관·전시하고 있는 트레티야코프스키 미술관과 정면으로 마주한 명당자리(라브루쉰스키 거리)에 위치한 건물에서는 데생학부와 건축학부 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다.

이 대학은 내부가 인상적이다. 현관에 들어서면 학생들의 작품으로 깔끔하게 장식된 내부공간이 따뜻하게 맞아준다.

 

대학은 학부(6년, 예술이론학부는 5년), 석사(2∼3년), 박사(3년) 등의 정규과정을 두고 있다.

이외에 외국인 입학생을 위한 예비학부(1년)와 단기연수생을 위한 특별과정도 열어 놓고 있다. 이 대학의 특징은 그룹교육이다.

즉 5∼7명 단위로 구성된 그룹을 전담교수가 맡아 지도하는 수업방식인데, 정규교수는 물론 화단에서 활동하는 조형예술가, 러시아예술회원 등 외래교수가 수업을 맡는다.

학생들(500명, 한국학생 8명)의 수업분량은 하루에 전공 3시간, 데생 2시간 정도이다.

[본지에 계속..]

 

• 한국의 미술대학, 무엇을 위한 미술교육인가? | 심상용- http://www.wolganmisool.com/02wolgan/serv/200403/01_special/main09.php

 

 

미국의 미술대학 - Parsons School of Design

 

세계의 미술대학 site.

 

세계 각 나라의 유명 미술대학

 

Hunter College > (New York, USA) >

http://www.hunter.cuny.edu

 

Lehman College > (Bronx, New York, USA) >

http://www.lehman.cuny.edu

 

Cooper Union > (New York, USA) >

http://www.cooper.edu

 

School of Visual Arts > (New York, USA) >

http://www.schoolofvisaularts.edu

 

Otis School of Art and Design > (Los Angeles, USA) >

http://www.otisart.edu

 

CalArts > (Los Angeles, USA) >

http://www.calarts.edu

 

The Art Institute > (San Fransisco, USA) >

http://www.sfai.edu

 

Carnegie Mellon > (Pittsburgh, USA) >

http://www-art.cfa.cmu.edu

 

School of the Art Institute > (Chicago, USA) > http://www.artic.edu/saic/saichome.html

 

The School of the Museum of Fine Arts > (Boston, USA) > http://www.smfa.edu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Vancouver, Canada) >

http://www.ubc.ca

 

Emily Carr Institute > (Vancouver, Canada) >

http://www.eciad.bc.ca

 

Nova Scotia College of Art and Design > (Halifax, Canada) > http://www.nscad.ns.ca

 

Ontario College of Art > (Toronto, Canada) >

http://www.ocad.on.ca

 

Universit?Laval > (Quebec) >

http://www.ulaval.c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Canberra, Australie) > http://www.anu.edu.au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 (Perth, Australie) > http://www.curtin.edu.au

 

Bezalel Academy of Arts and Design > (Jerusalem, Israel) > http://www.bezalel.ac.il

 

Musashino Art University > (Tokyo, Japon) >

http://www.musabi.ac.jp

 

Ecole des arts visuels > (Rio de Janeiro, Brasil) > http://www.eavparquelage.org.br

 

Bilkent University > (Ankara, Turquie) >

http://www.art.bilkent.edu.tr

 

Silpakorn University > (Bangkok, Thailande) >

http://www.su.ac.th/first

홈페이지:http://www.artsenal.co.kr

 

시카고 미술관 1863년 미술대학으로 창설

 

영국의 미술·디자인 명문 ‘런던예술대학(University of the Arts London)’런던 인스티튜트’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학교는 100여개국 출신 학생 2만4000명이 재학 중인 세계 최대 규모의 예술대학. 순수미술, 패션·산업디자인, 공연·출판·영상예술을 망라하는 5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돼 있다. 존 갈리아노(크리스찬 디올), 스텔라 매카트니(클로에) 등 숱한 유명브랜드 수석디자이너들이 이 학교 출신.

 

http://www.sslife.com/2004special/world/hana/product.htm

 

런던 인스티튜트(The London Institute)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5개의 미술 및 디자인 대학이 모여서 만들어진 영국의 국립예술대학입니다. 각각의 대학들은 저마다 독특한 미술, 디자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학생수는 22,000여명에 달하며 수료과정에서부터 학사, 석사, 박사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술 및 디자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화, 예술의 중심지인 영국 런던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런던 인스티튜트는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고 있는 크리스찬 디올의 수석 디자이너 존 갈리아노, 지방시의 수석 디자이너 알렉산더 맥퀸, 구찌의 스텔라 메카트니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를 배출해낸 유럽 최고의 예술대학으로서 미술 및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

 

세계 70여 개국으로부터 온 학생들은 각 분야별로 전문 교수진 및 유명 객원 아티스트들의 지도아래 전문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있으며 영어 점수가 부족한 학생들은 조건부로 입학허가를 받을 수가 있으며, 어학 능력이 불충분한 유학생들을 위하여 부설 어학연수원에서 매년 4월부터 9월까지 무료 어학연수의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런던 인스티튜트의 졸업생들은 해마다 British Fashion Designer of the Year, Jerwood Prize 및 Turner Prize등 주요 미술 및 디자인 공모전에서 수상을 해 왔으며, 런던 인스티튜트의 재학생들 역시 Royal Society of Arts, John Moores Prize, Saatchi Scholarship, Art Director’s club, Royal Television Student Film Awards, Sunday Times Award, World Press Award, FujiFilm, Marie Claire Prize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수상경력과 더불어 많은 교육 평가 기관들이 런던 인스티튜트의 교육의 질적 우수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최근 Sunday Times University Guide 는 2003년 영국에서 최고 5대 대학중의 하나로 (one of the best five universities of the year)로 런던 인스티튜트를 선정하였습니다.

 

 

5개 각 college 별 특징

1. Camberwell College of Arts

캠버웰 예술대학은 100여년 이상의 오랜 전통과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예술, 그래픽, 예술품 보존학 및 북 아트등에서 그 명성을 자랑하고 있으며, 특히 1996년 영국 여왕상(Awards of the Queen’s Anniversary Prize for Higher Education)을 수상한 영국 유일의 예술대학입니다.학사과정으로는 도예, 금속공에, 보존학, 그래픽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순수미술등이 있으며 자신의 전공 이외에 학생들의 취향에 맞게 여러가지 선택과목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석사과정으로는 이 대학 특유의 전공 분야인 북아트, 보존학등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2.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and Design

센트럴 세인 마틴스 예술대학은 순수미술, 패션대자인, 텍스타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제품디자인과 더불어 무대 디자인으로 유명하며 에비과정으로부터 학사, 석사 및 박사학위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과정을 개설해 놓고 있습니다. 세인 마틴스는 특히 현직에 활동하고 있는 유명 아티스트, 디자이너, 평론가등이 교수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술 및 디자인 업체와의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체계적이고 현장감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교의 졸업생, 교수진들은 일상생활의 미술 및 디자인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그 예로서 Douglas Scott 는 런던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Red Bus 를 디자인 했으며 유명한 오페라의 유령(Phantom of the Opera)의 무대 디자인은 Maria Bjornson이 하였습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인 존 갈리아노, 알렉산더 맥퀸, 및 스텔라 매카트니가 세인 마틴스 출신입니다.

 

3.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첼시 예술대학은 1891년 설립되어 110년간 인테리어 디자인, 섬유 디자인, 및 순수미술분야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리고 있습니다. 첼시에는 순수미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가구디자인, 섬유디자인등의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예비과정에서부터 학사 및 석사, 박사학위까지 수여하고 있습니다. 첼시는 국제적인 명성은 오랜 전통과 유능한 교수진,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수상경력, 유명기업으로부터 채용경쟁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 학교는 개개인의 연구 과정 및 창의력을 중요시 하고 있습니다.

 

4. London College of Fashion

런던 패션 대학은 패션 디자인에서부터 패션 사진, 패션 스타일링,패션경영, 패션저널리즘, 액세서리, 신발 및 텍스타일에 이르기까지 패션 교육의 총 집합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특수분장, 메이크업, 미용치료등에 관한 분야의 교육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런던 패션대학은 오랜 역사와 전통으로 영국 패션 및 섬유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여 왔으며 산업현장에 필요한 교육과정으로 재학생 및 졸업생들은 각 패션업체에서 큰 인기가 있으며 졸업 후 상당히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학교 시설로는 패션 및 미용전문 분야를 위하여 무대, 스튜디오, 비디오 및 오디오 실, 사진관, 컴퓨터 및 방송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영국 최대규모의 패션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London College of Printing

런던 프린팅 대학은 1895년 설립되어 100주년이 넘었으며 유명한 그래픽 디자이너인 네빌 브로디를 비롯하여 세계적인 예술가들을 많이 배출하였습니다. 이 대학의 교육과정은 크게 그래픽분야, 방송분야, 출판분야, 마케팅(경영) 분야 및 판매 분야로 나뉘어 지며 각 분야별로 기초과정에서부터 석,박사과정에 이르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런던 프린팅대학의 특징은 각 분야별로 산업체와 밀접한 연계에 의한 재학생들의 현장실습에 있습니다. 특히 인쇄 및 그래픽 분야의 기술 및 시설은 세계제일이라는 평판이 있으며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최신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타이포 및 그래픽 디자인, 북 디자인, 사진학, 영화, 애니메이션, 비쥬얼 머천다이징, 마케팅등이 입니다.

 

과정별 영어점수 requirement

Foundation 또는 Access 과정 : IELTS 5.0 이상

HND and BA 과정: IELTS 6.5 이상

MA 과정: IELTS 7.0 이상

영어 점수가 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은 조건부 입학허가를 받을 수 있으며 4월부터 9월까지 학교에서 제공하는 무료어학연수를 통해 영어점수를 향상시키고 입학전까지 점수를 제출하면 된다.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3&docid=61986

smartcat ;순수미술(fine arts)이 좋은 학교가 디자인도 괜찮습니다.

 

미국은 art school이라고 미술전문사립대(우리나라 전문대가 아닙니다)가 따로 있고,

 

아니면 종합대, 주립대 산하 미술 단과대가 있습니다.

 

비평쪽으로 가실 거 아니면 학위가 일반적으로 BFA(미술사), MFA(전문사)가 있고

 

각각 학부졸업, 대학원졸업시 주어지는 학위입니다.

 

순수미술붙야에서 1,2위를 다투는 Chicago 아트인스티튜트와 Rhode Island 디자인스쿨이 있고

 

뉴욕에는 Parsons, Pratt, 디자인쪽으로 SVA(school of visual arts)가 있습니다.

 

또 힘들기로 유명한 LA의 artcenter도 알아준다고 하고요.

 

다른 학교들도 찾아보시면 괜찮은 곳이 많이 있습니다.

 

단지 아트스쿨은 엄청난 학비(1년에 2만달러 이상)와 대도시에 대부분 위치해 있어서 생활비가 많이 들죠. 특히 뉴욕은 렌트비가 상상을 초월한다고 하더라고요.

유학의 가장 큰 문제는 돈인거 같습니다. 특히 미대에서 외국인을 위한 장학금은 거의 없습니다.

 

미국으로 가실려면 일단 TOEFL은 필수고요. 대학원에 가려면 학교에 따라 GRE도 보셔야 됩니다.

 

 

 

미국이 학비가 비싸다면 영국은 학비가 상대적으로 싼 대신 물가가 비싸니까 합치면 거의 비슷하군요.

 

영국은 편입이라는 제도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술 전공 안하셨으면 거의 Foundation(기초과정 1년)으로 가고요.

 

했더라도 포트폴리오가 아주 뛰어나지 않으면 1학년으로 입학하기 힘듭니다.

 

참 영국 미대는 대부분 3년제입니다. 파운데이션까지 합치면 4년...

 

영국의 장점은 일단 유럽에 있다는 거고...디자인쪽이 강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아르바이트도 정식으로 할 수 있고요. 학생복지도 좋고...

 

 

학교는 일단 런던 인스티튜트가 있는데요. 그 안에 세인트 마틴 같은 유명대학들이

 

5개가 있죠. 해마다 우리나라 유학원에 교수들이 직접 와서 인터뷰하고 뽑아갑니다.

 

그리고 왕립예술원이라고 최고의 학교가 있는데 거긴 들어가기 거의 불가능..

 

그 밖에 런던에도 학교가 있고 각 지방마다 좋은 학교들도 좀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 영국으로 가실려면 IELTS란 시험을 보셔야 되고... 상당수 학교가 토플로 대체도 가능합니다.

 

 

유학비용이 너무 걱정되시면 호주도 몇몇 대학 괜찮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길.

 

 

결론적으로, 님이 미술 유학을 가시려면 먼저 엄청난 유학비용을 몇년 동안 충당할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시고... 이름만 유명한 대학이 아니라 자신이 정말 가고 싶은 전공에 대해 그 학교가 좋은지를 따져보심이 현명한 판단일 거라 생각합니다

 

이상 인터넷에서 검색된 자료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삼은리에 있는 조선시대 유명건의 묘갈().
지정번호 경기문화재자료 제45호
지정연도 1983년 9월 19일
소재지 경기 안성시 고삼면 삼은리 산 3-1
시대 조선시대
크기 총높이 257㎝, 비신 높이 180㎝ 너비 69㎝ 두께 35㎝
분류 석비
안성 유명건묘갈 /
본문

1983년 9월 19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총높이는 257㎝이며, 비신의 높이 180㎝, 너비 69㎝, 두께 35㎝이다. 조선 숙종 때 양성현감으로 임명되어 선정을 베푼 유명건()은 사후 양주 선영에 안장되었다가 1744년(영조 20)에 이곳으로 이장되었다. 그의 조카 유척기(:1691~1767)가 영의정으로 있을 때 1759년(영조 34)에 건립한 것이다.

비문은 영조 때 대유학자도암 이재(:1680~1746)가 찬()하고, 유척기가 전액()을 했으며, 글씨는 곡운 김수증(:1624~1701)의 글씨를 집자()한 것이다. 비의 구성은 비문이 새겨진 비신, 비의 덮개석인 가첨석, 비신을 꽂아 세울 수 있는 받침석 기대, 기대를 받치고 있는 대좌의 네 부분으로 되어 있다.

가첨석에는 기와집 지붕 부분을 모사하여 다포의 형상까지 나타내었다. 서까래와 부연()도 양각하여 처마를 섬세하게 나타내었고, 윗부분에 용을 올렸는데, 지붕의 용 머리에는 용신을 꽂아 올렸다.

가장 유명한 미술전공대학을 좀.....

... 과목도도 전공항목으로 있다고 합니다. 추가로....... 1871년에 설립된 SF AI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 각 나라의 유명 미술대학 Hunter College > (New York, USA)...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술대학은 어디죠?

... 미술 대학원 입학 자격도요,,. 과연 세계에서 제일 좋은... 참, 유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라 합니다.... 만약 님께서 미술전공하지 않으셨다면 대학원으로...

세계에서 가장 멋있는 유명한 미술대학

... 세계적인 사람이 되려고 합니다. 가장 유명한 미대....존재하나요? 유명하다기보다는... 세계에서 학교건물이 가장 멋있고 아름다운 미술대학교. 2. 세계에서 가장 명성이...

미술 전공

... 저는 그림 그리는 것을 전공 하고싶고, 지방에 살긴... 고려대학교에는 미술 과 같은것이 무엇이 있나요? 3. 지금부터 어떠한 노략을 햐야할까요? 1. 가장 유명한 대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