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행성에 대해 아주아주 자세히 특징을 알려주세요..

태양계 행성에 대해 아주아주 자세히 특징을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6.12.0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태양계 행성의 특징들 자세히~~~~~~

 예 : 1.수성

          (1) 태양과 아주 가깝다...

 

                                                               이런식으로 오늘까지 부탁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성 :   크기가 가장 작은 행성이다.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으로 일교차가 매우크다.

               자전속도와 공전속도가 지구보다 빠르다.

               초저녁의 서쪽하늘에서나 새벽의 동쪽하늘에서만 잠깐 동안 보인다

               물, 대기, 위성이 없다.

 

금성 :   대기의 90%가  이산화탄소로 이루고있어 온실효과로 인해 온도가 높다 .       

               지구와 마찮가지로 많은 대기현상과 지각현상이 있다.  또 기압이 매우 높다.

               위성은 없고, 자전 방향과 공전 방향이 반대다.

               태양·달 다음의 세 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샛별 또는 명성 이라고 부르는 별이다.

               수성과 마찬가지로 새벽과 초저녁에 관찰가능하다.

 

지구 :  질소와 산소위주의 대기를 이루고 있으며 여러가지 기상현상이 일어나고,

              유일하게 바다가 있고, 생명체가 살기 가장 적당하다.

              위성으로 달을 가지고 있다.

           

화성 :  붉은 색을 띠고 있다.

               남극과 북극에 물과 이산화탄소가 얼어붙은 흰색의 극관이 있다.
                대기는 매우 희박하며 표면에서 과거의 물의 흐른 흔적이 있다.

               생명체가 살고있을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있는 별이다.
             

목성 :  기체덩어리로 이루어진 행성이다.

              이로인해 표면에 지구보다 몇배나 큰 붉은 반점이 있다.

              또한 , 매우 빠르게 부는 바람이 만든 다양한 줄무늬가 있다.

              매우 질량이 크다.

              아주 빠른 속도로 자전한다.

              주위에 있는 이오 , 칼리스토 , 유로파 , 가니메데 라는 위성들이있다.

 

토성 :   태양계 내 행성중 두 번째로 큰 행성이다.

               얼음덩어리와 작은 암석들, 그리고 가스들로 구성된 아름다운 고리가 있다.

               금성류의 행성으로 기체로 이루어져 있다

               목성과 같이 빠른속도로 자전하기때문에 생긴줄무늬가 있다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다.

 

천왕성 :  다른 행성과는 달리 마치 옆으로 누은 듯 한 자세로 자전한다.

                   초록색으로 빛나는 두꺼운 대기와 희미한 고리가 있다

 

해왕성 :   멀리서 보니 푸른 대기에 둘러싸여 마치 깜깜한 우주의 오아시스 처럼 보인다.
                    목성의 대적점과 같은 검은점의 소용돌이가 있고 얇은 고리가 몇개 있다.
                   위성은 2개 라고 한다.


명왕성 : 아직까지는 태양계 마지막 행성 이라고 알려져있다.

                  행성들 중 크기가  달보다 더 작지만 거대한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성은 젤가깝은 행성이구요 밤과낮의 온도차가심하다고 들엇어요

금성은 자전주기가 공전주기보다 느린 행성이에요 쉽게말하면 하루가 일년보다 긴 이론상으로 불가능한 것이에요(우주엔 이런것이 많겟죠??)

지구는 태양계중유일하게 생물이살구요

화성은 작고 얼음이 나왓다는 예전에 화성에 외계인 잇다고해서 좀 유명한곳이구요

목성은 제가듣기로는 태양처럼 항성이돼려다만 행성이라네요 항성이란 태양 같은거라 보시면됄거에요

토성은 아름다운고리를 가지고잇으며들은말로는 토성이가지고잇는 위성은 유일하게 대기를 가지고 잇다네요~_~
천왕성은 다른 행성과는 달리 마치 옆으로 누은 듯 한 자세로 자전한다는군요

                   초록색으로 빛나는 두꺼운 대기와 희미한 고리가 있다네요......

해왕성 :   멀리서 보니 푸른 대기에 둘러싸여 마치 깜깜한 우주의 오아시스 처럼 보인다(진짤까요...보고픈)

 목성의 대적점과 같은 검은점의 소용돌이가 있고 얇은 고리가 몇개 있다라는군요-ㅂ-
                   위성은 2개 라고 한대요-ㅂ-  

해왕성도

명왕성 요번에 퇴출당한 행성이에요~_~ 질량이 안됀다 뭐그런식으로 퇴출돼서 없어진거죠 모.........

X행성 저번에 어떤천문학자가 유일하게봣다는군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 성

 

태양계의 막내아들인 수성은 1974년 3월 미국 무인 탐사선 매리너 10호의 관측에 의해 수성의 표면이 달의 표면과 마찬가지로 크레이터로 뒤덮여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성은 인력이 아주 작고 온도가 높은 행성이므로 대기를 잡아둘 수 없기 때문에 대기층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으로 궤도 반지름은 5,790 만 km 정도로 지구의 궤도 반지름의 약 38.7%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궤도의 이심율은 명왕성 궤도 다음으로 커서 근일점과 원일점이 많이 다른 타원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수성의 근일점의 거리는 약 4,600만 km 이고 원일점의 거리는 7,000만 km 나 됩니다. 수성의 공전 주기는 87.97 일이고 자전 주기는 30 일 정도나 차이가 나는 58.646 일입니다.

수성은 항상 태양 가까이 에서 돌고 있기 때문에 한밤중에 하늘에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수성이 태양의 앞에 있을 때는 새벽에 잠깐 보이고 뒤에 있을 때는 초저녁에 잠깐 관찰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옛날에는 새벽과 초저녁에 보이는 별이 서로 다른 별이 아닌가 생각하기도 했었습니다.

수성의 반지름은 지구 반지름의 38% 정도인 2,439 km이며

질량은 지구 질량의 5.5%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성이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이라고 오랫동안 믿어 왔었는데 최근에 그 자리를 명왕성에게 내어 주었습니다. 수성은 지구보다 태양에 훨씬 가까워 태양의 열을 7배나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자전주기와 공전 주기가 30일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176일이나 낮이 계속되고 밤이 또한 같은 시간계속되므로 낮과 밤의 온도차이가 매우큽니다.

태양 빛을 수직으로 받는 지점의 온도는 430℃나 되고 태양 빛이 비치지않는 밤에는 -183℃까지 내려갑니다. 행성 중에서 기온의 일교차가 가장 큰 행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성은 달과 비슷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규산암으로 이루어진 표층과 맨틀이 핵을 감싸고 있는데,

자기장의 세기가 지구 자기장의 세기의 100분의 1 정도의 약한 자기장이지만 자전속도가 느린 것을 감안하면 수성의 핵에는 다른 어느 행성의 핵보다 철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지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마리너 10호가 1974년 3월 29일에 찍은 사진을 모자익하여 만든 수성의 모습입니다. 이 사진은 수성으로부터 5,380,000 km 떨어진 지점에서 찍었습니다.

수성은 지름이 지구 지름의 0.38 배 정도이고 질량이 0.55배 밖에 안되는 작은 행성입니다.

수성의 평균밀도는 지구와 비슷한 5.42입니다.

 

 

금 성

수성 다음으로 태양을 돌고 있는 금성은 태양의 앞에 있을 때는 샛별이 되어 새벽에 보이고,

 태양의 뒤에 있을 때는 태백성이 되어 초저녁에 보입니다.

 태양과 달을 뺀 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금성은 오랫동안 인간에게 감동과 희망을 안겨주는 찬란한 별이었습니다.

 17세기에 최초로 금성의 표면을 망원경으로 관찰하기 시작한 천문학자들은 많은 것을 금성에서 발견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었지만 사람들이 발견한 것은 누르스름한 밝은 구름층 뿐이었습니다.

 금성의 대기는 짙은 구름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구름층의 온도는 - 40o C 정도가 됩니다.

 1970년 소련의 우주선 비너스 7호가 금성 표면에 착륙하는데 성공하였고 보내온 자료에 의하면 표면은 453°C 에서 495° C 에 이르는 고온 상태이고 대기의 압력은 90기압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자들은 금성이 이처럼 뜨거운 표면을 가지게 된 이유를 찾기 위해 여러 해 동안 고심했고 그 원인은 바로 금성의 두꺼운 대기 속에함유된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에 의한온실효과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 금성 탐사에서 가장 흥미를 끈 발견은 금성의 자전에 관한 것일 것입니다.

금성의 자전 속도는 매우 느릴 뿐 아니라 자전의 방향이 다른 행성의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렇게 역 방향으로 자전하는 것은 금성과 천왕성 뿐으로 이것은 아직 전혀 풀리지 않는 태양계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금성의 자전주기는 약 243일입니다. 공전 주기가 약 224일이므로 두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금성에서의 낮과 밤의 길이는 지구의 117일에 해당됩니다.

 1978년 미국의 파이어니어 비너스호 탐사선이 금성을 수백번 도는 동안 금성 표면의 80%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금성에는 넓은 평원, 고원지대, 에베르스트산 보다도 높은 산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금성의 대기압은 지구의 대기압의 90배나되는 90기압에 이르고 성분은 주로 유황과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금성의 내부구조는 지구나 화성과 마찬가지로 여러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금성에서의 자기장의 세기가 지구 자기장의 세기의 1만 분의 1 밖에 안되어 금성의 핵에는 액체 상태의 철의 함량이 아주 적습니다.

금성의 자전 속도가 느린 것도 금성의 자기장이 약한 한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 할 수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관심을 끄는 또 다른 사실은 금성의 표면에는 크레이터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몇 개의 크레이터가 관측되기는 했지만 달이나 수성에 있는 크레이터에 견줄만한 것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것으로 금성에서도 지구에서와 같이 대규모의 침식작용이 있었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관측한 금성의 모습입니다.

두꺼운 대기에 싸인 금성은 그 표면 모습이 감춰진 채 노란색으로 빛나고 있습니다. 하늘에 빛나는 모든 천체 중에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게 빛나고 있으며 금성은 오랫동안 인류에게 희망과 꿈의 상징이었습니다.

 

지 구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생명체들의 고향인 지구는 태양에서 세번째에 위치한 행성입니다.

현재로서는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이라고 알려진 지구를 생명체의 요람이라고도 합니다.

 지구는 태양에서 약 1억 5000만 km 떨어저 약 1년의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공전속도는 약 초속 30 km 정도나 됩니다. 그런가 하면 지구는 공전면과 23.5 기울어진 자전축을 중심으로 약 1 일의 주기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반지름은 약 6,300 km 정도입니다.

지구의 질량은 5.98 x 10^24kg 으로 행성중에서 작은 편에 속하지만 지구의 밀도는 5.52°로 행성중에서 가장 높습니다.

지각과 맨틀을 지각의 두께는 해양과 육지에 따라 크게 달라서 육지에서는 약 40 km 정도이지만 해양에서는 5 km 정도 밖에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각은 주로 화강암을 비롯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평균밀도는 2.8g/cm3로 지구의 평균 밀도보다 훨씬 작습니다

맨틀의 두께는 약 2,900 km 나 되는데 이 부분은 주로 암석인 고체로 되어 있으나 부분적으로 녹아 있는 암류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구의 중심을 이루는 핵이 자리잡고 있는데 핵은 고체인 내핵과 외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의 대기를 이루는 공기의 주성분이 질소와 산소인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대기층은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지상에서 11 km 까지를 대류권이라고 부릅니다. 대류권의 상공에는 평균온도가 약 -55℃ 정도로 대체로 온도가 일정한 부분이 35 km 정도 계속됩니다.

 이 부분을 성층권이라고 하는데 대류권과 비교하면 대기의 운동은 격렬하지 않지만 동서 방향의 대기 순환이 일어납니다.

성층권에는 오존층이 있는데 오존은 산소분자가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면서 만들어진 산소 세 개로 이루어진 분자입니다.

중간권은 성층권 상공의 90 km 까지를 말하는데 이 부분에서는 태양 자외선의 영향으로 광화학반응이 극히 활발하여 전자 밀도가 높은 곳이 생기는데 이런 곳을 전리층이라고 합니다. 고도 100 km 에서 500 km 사이에서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는 열권이 있습니다.

고도 500 km 이상의 부분을 외기권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에서는 거의 모든 기체가 이온화 되어 있어 전기전도도가 아주 높은 일종의 플라즈마 상태를 이루고 있고 산소와 질소와 같은 무거운 원소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지구 지름의 약 10배에 이르는 지역까지 계속됩니다.

 

화 성

화성은 매우 희박한 대기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면을 관측하기가 다른 행성들 보다 용이합니다.

계절의 변화 짐작되는 것 같은 변화와 고등 생물이 만든 것이라고 믿어지는 구조물 같은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화성의 참 모습이 드러남으로서 화성에 대하여 가지고 있던 환상은 사라져 버렸습니다.

 이제 화성의 많은 것이 밝혀졌고 고등생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확실해 졌습니다. 화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지구의 궤도 반지름의 약 1.5배이고 궤도는 이심율이 큰 타원 궤도를 이루고 있어서 지구에 가까워 질 때는 5,000 만 km 까지 접근하기도 하고 멀어질 때는 1억 km 이상 떨어지기도 합니다.

화성이 지구에 가까이 오는 것을 대접근이라고 하는데 15년 또는 17년의 간격으로 일어납니다. 화성의 공전 주기는 지구의 공전주기의 약 2배에 가까운 690일입니다.

화성의 반지름은 약 3,390 km 로 지구의 반지름의 약 반 정도이고, 부피는 지구의 약 6분의 1이며 질량은 지구의 10분의 1 정도인 작은 행성입니다.

화성은 지구와 비슷하게 공전면과 약 25.3o 기울어진 축을 중심으로 1.1 일을 주기로 자전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하루의 길이가 지구에서와 비슷합니다.

 화성에는 물이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양극에서 희게 반짝여 보이는 극관은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얼어서 생긴 얼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기압은 지구의 1% 이하이고 대기의 성분은 이산화탄소가 95 %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소량의 질소와 아르곤, 그리고 수증기로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온도의 일교차가 커서 태양빛을 수직으로 받는 적도 지방에서 낮에는 25o C 정도이지만 저녁에는 - 85o C 까지 내려갑니다.

화성표면에는 작은 먼지로 된 절연층이 깔려 있어서 표면의 온도는 10 cm 밖에 침투하지 못하므로 지하 30 cm 에서의 평균 온도는 -60o C 정도입니다.

화성 표면에서는 많은 거대한 화산이 있습니다. 화성 표면에서는 홍수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골짜기가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오래 전에는 홍수를 일으킬 만큼 많은 물이 흐르고 있었음이 틀림없습니다. 화성에는 위성이 두개가 있어 화성을 돌고 있습니다.

직경이 13 km 밖에 안되는 데이모스는 화성으로부터 23,500 km 떨어지고, 30시간 30분의 공전주기로 돌고 있고, 직경 23 km 의 포보스는 9,380 km 떨어지고, 7시간 30분의 공전주기로 돌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춥고 건조한 화성의 모습으로서, 꺼져 버린 화산과 대규모의 캐년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얇은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화성 표면의 온도는 평균 섭씨 영하 63도 정도입니다.

 극지방에는 약간의 물을 포함한 드라이 아이스로 이루어진 만년설이 덮고 있습니다.

 현재 화성의 표면에는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하지 않고 있습니다. 화성표면이 붉게 보이는 것은 풍부한 산화철 때문입니다.

 

목 성

목성의 지름은 지구 지름의 11배정도나 되어 부피는 1,300배나 되고 질량도 무려 318배나 됩니다.

 그러나 목성은 크기에 걸맞지 않게 행동은 재빨라서 자전주기가 10 시간 정도 밖에 안됩니다.

태양으로부터 7억 7,800 km 떨어져 태양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이 거리는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의 5배가 넘는 거리입니다. 목성의 밀도는 1.33 g/cm3 으로 지구 밀도의 4분의1 도 안됩니다.

이것은 목성이 수소와 헬륨과 같은 가벼운 기체로 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목성의 중심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핵의 온도는 태양표면의 온도보다 훨씬 높은 20,000°C 정도일 것입니다.

 10줄에서 14줄 사이의 띠로 보이는 줄무늬는 쉴새없이 움직이면서 서로 섞이기도하고 넓어지기도 하며 때로는 없어지기도 합니다.

목성에서는 양극에서의 온도도 적도에서의 온도 만큼 높습니다.

 그 이유는 목성이 태양에서 받는 열과 맞먹을 정도의 열을 극지방으로 분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목성대기의 상층부를 떠다니는 밝은 구름은 암모니아의 결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기압이 낮고 온도가 낮기 (- 150oC) 때문에 암모니아가 증발하지 않고 고체알갱이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고체의 암모니아 입자로 이루어진 구름층 밑에는 액체 상태의 암모니아로 이루어진 구름이 있고 그 아래에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얼음으로 된 구름층이 있습니다.

이 구름층들이 태양빛을 받아 갈색, 오렌지색등으로 변색되어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줄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목성의 대기의 관찰에서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길쭉한 계란 모양으로 남열대에 자리잡고 있는 대적점입니다.

목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가장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한 자기장에 의해 지구의 반 알렌대와 같은 하전 입자로 된 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성에는 63개의 위성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크고 밝은 4개의 위성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갈릴레오 위성이라고 합니다.

갈릴레오 위성은 이오,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입니다. 목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이오입니다.

 보이저1호는 이오에서 8개의 분화중인 화산을 발견하였습니다.

위의 사진은 1995년 2월 13일에 허블 망원경으로 찍은 목성의 모습입니다. 이 사진에는 대적점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용돌이가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진에 나타난 구름의 위치는 7 개월 전에 찍은 구름의 위치와 많이 다릅니다. 대적점 근처에 있는 흰 색으로 보이는 타원형의 구름은 대적점에서 동쪽으로 멀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흰색으로 보이는 소용돌이 바람 중 두 개는 1930연대 형성되었으며 중심부에서는 상승기류가 있어 암모니아 기체를 위로 밀어 올리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은 아래에서부터 온도가 영하 130도인 위쪽으로 밀려 올려진 기체가 얼기 때문입니다.

 

토 성
토성은 태양계에서 목성 다음으로 큰 행성입니다. 지름은 지구 지름의 9배 정도이고 질량은 지구의 95배나 됩니다. 그러나 토성의 밀도는 매우 낮아서 0.7 g/cm3 밖에 안됩니다. 자전 주기는 10시간 40분으로 매우 빠르게 회전하고 있으므로 적도 지방은 극지방에 비해 많이 부풀어올라 있습니다. 적도 반지름이 극 반지름보다 10,500 km 나 길어서 행성 중에서 가장 납작한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토성이 받는 태양 에너지는 지구에서 받는 에너지의 100분의 1 정도밖에는 안되어 토성의 대기 윗 층은 온도가 낮습니다. 토성은 지구자기장의 세기에 1,000배나 센 자기장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나 목성과 마찬가지로 하전입자의 벨트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하전입자의 벨트 안에 토성은 멋진 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테는 크기가 아주 커서 테의 가장바깥쪽에서 가장 안 쪽까지의 거리가 67,000 km 나 됩니다. 처음에는 이 테가 하나로 되어 있는 거대한 테라고 생각했었으나 관측이 진행됨에 따라 이 테는 여러 개의 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각 테에 A 에서부터 G 까지의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토성대기의 성분은 주로 수소와 헬륨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이저 우주선이 토성을 탐사하기 전에는 토성의 위성이 12개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보이저 1호가 5개, 2호가 4개의 위성을 더 발견하여 토성의 위성 수는 21개로 늘었습니다.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은 두터운 대기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대기의 성분은 질소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대기의 압력은 지구의 대기압력보다는 훨씬 작지만 화성대기의 압력보다는 큽니다. 따라서 태양계에서 가장 지구와 비슷한 대기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타이탄의 크기는 수성만큼 크지만 밀도는 매우 낮고, 표면은 액체 질소의 바다로 뒤 덮여 있으며 내부는 얼음과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위의 사진은 1981년 7월 21일에 보이저 2호가 토성으로부터 3,390만 km 떨어진 지점에서 찍은 토성의 사진입니다. 이 사진에는 토성의 아름다운 테와 함께 대기의 여러 가지 움직임도 나타나 있습니다. 북반구의 중앙에는 대류하는 구름의 모습이 보이고 토성의 좌측에는 여러 개의 검은 점들이 보입니다. 토성의 위성인 레아와 디오네도 토성의 남쪽에 작은 점으로 보입니다.

 

천왕성
1781년 3월 13일에 허셜이 천왕성과 천왕성의 위성도 2개 발견하였습니다. 천왕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지구 궤도 반지름에 20배에 가까운 28억 7,000만 km입니다. 천왕성의 직경은 약 51,800 km로 지구의 8배나 크며 질량도 지구의 질량에 14배나 되어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세 번째로 큰 행성입니다. 천왕성은 공전 면과 82.1도나 기울어진 자전축을 중심으로 약 하루의 주기로 공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전축이 공전면과 거의 나란할 정도로 누워서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하고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자전축의 방향은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할 수 밖에 없다.) 공전면을 따라 공전하고 있으므로 때로는 자전축의 북극이 태양을 향하게 되고 때로는 남극이 태양을 향하게 됩니다. 자전축의 북극이 태양을 향하고 있을 동안은 북반구에서는 낮이 계속되고, 자전축이 태양에서 보아 수평으로 놓여 있을때는 밤과 낮이 매일 바뀌게 되며, 자전축의 남극이 태양을 향하게 되면 남반구는 낮이 계속되고 북반구는 밤이 계속되게 됩니다. 천왕성의 공전 주기는 84년이므로 이러한 현상은 84년을 주기로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한 설명에 의하면 천왕성의 테도 토성의 테와 마찬가지로 암석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토성의 테를 이루는 알갱이들은 겉에 얼음으로 둘러싸여 이 얼음 표면이 빛을 반사해서 밝게 빛나는 것과는 달리 얼음으로 싸여 있지 않아 잘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이론에 의하면 이 테는 기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천왕성 대기에는 많은 수소와 헬륨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천왕성이 연한 초록색으로 빛나는 것으로 보아 메탄도 많이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그 온도는 매우 낮아서 대기의 최상층에서의 온도는 -215°C 쯤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천왕성의 내부는 토성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수소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천왕성은 다섯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란다,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들인데 그들의 공전면은 천왕성의 적도면과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천왕성의 자전축이 누워 있음으로 적도면에 평행한 원 궤도를 돌고 있는 이 위성들의 운동을 지구에서 관찰하면 천왕성을 중심으로 아래위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천왕성의 위성들의 운동이 천왕성의 자전축이 누워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단서가 되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처럼 천왕성은 망원경으로 통해서 볼 때 푸른색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천왕성의 대기에 메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해왕성
해왕성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17배 정도이고 밀도는 1.5g/cm3 정도이며 반지름은 지구반지름의 4배 정도입니다. 해왕성은 아주 큰 궤도를 돌고 있기 때문에 공전 주기가 매우 길어서 165년이나 됩니다. 해왕성의 자전주기는 18시간 정도입니다. 보이저 2호는 다른 목성형 행성과 마찬가지로 해왕성의 적도 상공에도 메탄 덩어리로 된 2개의 테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왕성의 대기는 천왕성의 대기와 매우 비슷한 조성을 하고 있을 것으로 보여 주로 수소와 헬륨, 그리고 메탄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초속 수백km의 폭풍, 흰색의 대기이동 등이 확인되어 해왕성의 대기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해왕성의 표면은 수소액체로 되어 있으며 수소액체의 깊이는 8,000 km 정도이고 그 밑에는 물이 언 얼음과 암모니아가 언 얼음이 뒤섞인 얼음층의 맨틀이 다시 8,000km 쯤 계속된 후에, 철을 함유하고 있는 매우 뜨거운 상태의 핵이 있을 것입니다. 해왕성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해왕성 주위를 돌고 있는 8개의 위성 중 비교적 큰 두 위성의 운동입니다. 바깥쪽을 돌고 있는 작은 위성 네레이드는 일년을 주기로 해왕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데 반해 안 쪽을 돌고 있는 달보다 조금 작은 트리톤은 6 일의 주기로 해왕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위성 중에서 목성의 가장 바깥쪽을 돌고 있는 매우 작은 4개의 위성의 공전 방향이 역방향이긴 하지만 트리톤처럼 큰 위성의 공전 방향이 역 방향인 것은 트리톤 밖에는 없습니다. 또한 모든 행성의 위성들은 행성의 적도면과 나란한 공전면을 가지고 있는데 해왕성의 두 위성은 서로 다른 공전면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네레이드와 트리톤은 지구에서 망원경의 도움으로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6개의 위성은 보이저2호의 활약으로 발견되었습니다. 트리톤은 화성대기보다 훨씬 두터운 대기층을 가지고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 온도는 매우 낮아서 -230°C 정도이어서 트리톤 위의 모든 것은 다 얼어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관측에서 해왕성은 태양에서 받는 에너지 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도 아직 잘 이해되어 있지 못합니다.

대해 아주아주 자세히 특징을 알려주세요..

태양계 행성특징자세히~~~~~~ 예 : 1.수성 (1) 태양과 아주 가깝다... 이런식으로 오늘까지 부탁해요 수 성...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궤도를...

방법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

... 시츄를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네공 20)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시츄를 키우는 시츄 엄마 입니다^^ 시츄 기르는 법이 궁금하시나요? 답변드릴게요...

일생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창호에 대해 알려고 싶어서 이글을 쓰는데요~ 안창호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 (욕설이나 너무 짧게 답변해주지는 마세요...) <안창호 가족사진> 안창호:1878(고종...

태양계 행성특징 알려주세요!!

태양계 행성특징 대표적인것들로 각각 3개씩만 알려주세요!!! 수성 1.태양과 제일 가까이 있다. 2. 암석으로... 3.저녁 하늘에서 망원경을 통해 보면 아주 아름다워서...

태양계 행성특징을 알려주세요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행성특징알려주세요 지름... 구름은 처음에는 아주 천천히 돌지만 안으로... 자세히 보면 지구의 공전운동은 달이나 다른 행성의 영향을 받아...

동방신기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

동방신기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주세요 동방신기 이름 뜻이랑 멤버수 , 멤버들의 생년월일 동방신기의 특이사항 몇년간 트레이닝을 하고 등등 장점들같은거 ~ 자세히좀...

독서실에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 주세요!!

제목 그대로 자세히 알려주세요! 처음 들어갈땐 어떻니 전등은 어찌키는거니 뭐는 먹어도되고 뭐는 안되고 등등 아주상세히 알려주세요 내공 70 걸게요!! 안녕하세요?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