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위성,태양계를자세하게알려주세요.

혜성,위성,태양계를자세하게알려주세요.

작성일 2007.12.1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5학년인데요..

태양계,행성,위성

이것들 자세하게알려주세요~

[사진도포함해주새요]

이번주금요일까지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왕이면빨리요~~~~

내공 20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수성

 

 

궤도긴반지름은 0.387AU, 궤도의 이심율은 0.2056이다. 태양에 가깝기 때문에 한밤중에 보이는 일은 없고 초저녁의 서쪽 하늘에서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만 잠깐 동안 보인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저녁에 보일 때에는 헤르메스, 새벽에 보일 때에는 아폴로라 하여 2개의 다른 별로 생각한 적도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진성()이라 하였다. 밝기는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 약 -1.8~4등 사이에서 변한다. 공전주기는 87.97일이고, 115.88일의 회합주기()마다 지구와 가까워진다. 지구에서 보아 수성이 태양의 동쪽(저녁별)이나 서쪽(새벽별)으로 가장 멀리 떨어질 때를 각각 동방최대이각과 서방최대이각이라고 하는데, 그 각도는 18°∼28°가 된다.

수성의 궤도가 이심률이 큰 타원이므로 최대이각근일점()에서 일어나면 18°, 원일점()에서 일어나면 28°나 떨어지기 때문이다. 수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으로 그 반지름은 2,439km(지구의 약 38%), 질량은 3.3 × 1023kg(지구의 5.5%)에 지나지 않는다. 자전주기는 58.65일이다.
2.금성

 

 

서양에서는 로마 신화에 나오는 미()의 여신의 이름을 따서 비너스라고 부른다.

금성은 그 크기가 지구와 비슷하다.  지름은 12100km로 지구 지름보다 644km 가 작다. 금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오는 행성으로, 가장 가까울 때에는 약 4140만km 까지 접근한다.

금성은 지구에서 볼 때 태양, 달 다음으로 세 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금성은 일 년 중 한동안은 초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또 다른 때는 아침 동쪽 하늘에서 그 어떤 행성이나 별보다 늦게까지 보이기도 한다. 금성이 가장 밝은 곳에 있을 때는 대낮에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고대천문학자들은 아침에 보이는 금성을 '샛별'이라 하고 저녁에 보이는 금성을 '저녁별' 이라고 했다.
3.지구

 

태양으로부터 세번째 궤도를 돌며, 달을 위성()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특유한 지구자기()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우주에서 고등생물이 서식하는 유일한 존재이다.

지구의 기원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여러 설이 있었다. 그러나 지구의 기원을 생각할 때 태양계 내의 다른 행성들의 기원과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 태양이 포함된 은하계물리적 조건에 적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타당성이 있는 지구의 기원설은 크게 줄어든다. 대표적인 지구의 성인설()로는, 지구가 고온의 가스덩어리에서 형성되었다고 한 I.칸트와 P.S.라플라스로부터 근대의 H.O.알벤으로 이어지는 고온기원설()과, 태양계의 행성이 저온상태의 우주진()과 가스덩어리에서 발생하였다고 하는 C.F.바이츠제커와 O.Y.시미트의 저온기원설() 등이 있다.

4.화성 

화성의 대기
화성에는 자기장은 없으나 대기가 존재하며, 이 대기는 지구 대기 성분과는 많이 다르다. 화성의 대기 중에는 황색을 띤 먼지, 흰색과 푸른색의 구름과 안개가 양 극지방과 명암 경계선 근처에서 잘 나타난다. 화성의 낮에 자주 발생하는 구름은 큰 화산 근처에서 형성되며, 추측하기를 CO2나 H2O의 빙정 또는 수증기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많다. 화성 대기의 화학 조성과 구조는 마리너 9호가 직접 행성 대기를 탐사함으로써 밝혀지게 되었다. 화성의 대기에도 온도가 200K 가량의 두 개의 이온층이 100km와 150km지점에 존재한다. 


화성의 궤도

화성의 궤도는 약간 찌그러진 타원이다. 태양과 화성 사이의 거리는 1.52AU정도이다. 화성의 공전 주기는 687일정도이며, 자전주기는 24시간 37분이다. 화성은 지구처럼 자전축이 25도정도 기울어져 있기때문에 계절 변화가 뚜렷하다.


화성의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
화성에는 화성 주위를 돌고 있는 두 개의 위성이 있는데, 포보스와 데이모스라고 불리는 위성이다. 그들은 1877년 호올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이 두 위성은 화성의 적도면 근처를 거의 원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있다. 포보스는 화성으로부터 9380km의 거리에서 7시간 30분의 공전 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지구와 비슷한 무게를 지구의 약 1.8배정도 이다. 데이모스는 화성으로부터 23500km 떨어져서 30시간 30분의 공전 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무게는 지구의 3배이다. 화성 표면에서 볼 때 포보스는 빠른 공전 속도 때문에 서쪽에서 떠서 동쪽으로 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5.케레스

 

19세기의 시작일인 1801년 1월 1일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피아치에 의해 발견된 케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큰 소행성이며, 가장 먼저 발견된 소행성이기도 하다.

2002년 콰오아(Quaoar)가 해왕성 궤도 바깥에서 발견되기 전까지 가장 큰 소행성이기도 했다.

1766년 티티우스가 발견하고, 1772년 보데에 의해 알려진 티티우스-보데의 법칙(Titius-Bode law)에 따르면 n의 값이 4인 화성과 목성 사이에 행성이 존재해야 했지만 18세기까지 발견되어지지 않았다.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은 d=0.4+(0.3×2ⁿ)으로 d는 행성궤도반지름(AU)를 의미한다.

수성은 n의 값이 0, 금성은 1, 지구는 2, 화성은 3, 목성은 5, 토성은 6이며 이 계산식은 행성의 궤도와 거의 일치했다.

1781년 천왕성이 n=7의 값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는 지점에서 발견됨으로써 이 법칙은 큰 주목을 받았으며, 케레스 역시 n=4의 지점에서 발견되어졌다.

그러나 해왕성은 n=8의 값보다는 안쪽에서 발견되어졌다.

 

케레스는 발견 후 새로운 행성으로 인식되어졌다.

하지만 이듬해인 1802년 팔라스(Pallas), 1804년 주노(Juno), 1807년 베스타(Vesta)가 케레스와 비슷한 지점에서 잇다라 발견됨으로서 케레스는 소행성 중 하나로 강등되었다.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플루토(명왕성), 에리스와 함께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었다.

 

지름이 975×909 km, 질량이 9.5×1020 kg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의 1/3의 질량을 차지한다.

4.599년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가장 밝을때의 시등급이 7.0등급으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6.목성

목성의 궤도는 이심률이 작으며(0.0484), 궤도면은 황도면에 대하여 1.30도만큼 기울어져 있다. 공전 주기는 11.862년이며, 자전 주기는 9시간 55.5분이다. 목성의 밀도는 1.33g/㎤밖에 안 되는데 이는 목성형 행성의 공통적인 특징이며, 화학 조성이 수소, 헬륨 같은 가벼운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성을 보면 커다란 붉은 점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대적반()이라고 하며 19세기 이래로 계속 유지되고 있다. 크기는 가로길이 약 50,000km, 세로길이 약 20,000km로 지구보다도 크다. 목성의 적도에는 평행한 검고 밝은 줄무늬들이 번갈아 보이는데, 검은 줄무늬를 검은’띠(belt)’라고 일컬으며, 밝은 줄무늬를 ‘대(zone)’이라고 부른다. 적외선 관측 결과에 의하면 대는 띠보다 온도가 낮다. 대기의 온도는 고도가 클수록 떨어지기 때문에 대는 띠보다 더 높은 상층에 위치한다. 곧 대는 고압의 상승 영역의 상단, 띠는 저압의 하강 영역이기 때문에 온도의 차가 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7.토성

약 1등성의 밝기로 황색으로 빛난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이전에 옛사람들이 알고 있던 5개의 행성(동양에서의 ) 가운데 가장 바깥쪽에 있는 행성으로, 동양에서는 진성()으로 불렸다. 궤도의 긴반지름은 9.54 천문단위(AU), 공전주기는 29.46년, 이심률은 0.056이다. 토성은 행성 중에서 목성 다음으로 커서 적도반지름은 약 6만 km(지구의 약 9.5배), 질량은 지구의 약 95배인데, 편율()은 약 1/10로 행성 중 가장 크다. 이것은 자전이 빠르고 표면이 두꺼운 유체로 덮여 있음을 암시한다.

평균밀도는 0.71g/cm3으로 행성 중 가장 작고 물보다도 작다. 토성의 표면에는 띠 모양의 무늬가 보이는데, 이것이 때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전주기스펙트럼선도플러효과를 이용해서 얻어진다. 그 값은 적도에서 10시간 14분, 극 근방에서 10시간 38분으로 측정된다. 이처럼 위도에 따라 자전주기가 다른 것은 표면이 고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8.천왕성

천왕성의 발견
천왕성은 망원경을 통해 발견해 낸 최초의 행성이다. 수성부터 토성까지는 오래전부터 이미 그 존재가 알려 져 있었다. 그러나 그 밖의 행성들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였다. 이러 던 와중에 1781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이 천체를 혜성으로 착각하였지만 수주일 동안 관측한 결과 이 천체의 운동이 굉장히 느린 것을 통해 토성보다 멀리 있음을 알게 되었고 핀란드의 천문학자 렉스엘의 궤도 계산을 통해 이 천체가 행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천왕성의 일반적 특징
궤도의 긴반지름은 19.19천문단위(AU)이고, 궤도의 이심률은 0.046이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근일점에서 17억 3000만km, 원일점에서 29억 9000만km이다. 태양주위 공전주기는 84.02년이다. 적도반지름은 2만 5600km이고, 극반지름은 이보다 약 18분의 1이 작다. 평균광도는 5.9로 육안으로 겨우 보인다. 망원경으로 보면 시지름이 3.6초(평균 최근거리)인 녹색의 원반 모양을 하고 있다.
천왕성의  자전주기는 10시간 49분이다. 천왕성의 적도면은 궤도면과 98° 경사를 이루고 있다. 자전축이 황도면과 거의 일치하여 공전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전한다. 즉, 공전궤도면과 거의 평행으로 누운 모습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다. 위성에 작용하는 인력으로부터 구한 천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4.56배이다. 비중은 1.3으로 지구보다는 아주 작고 태양과 비슷하다. 적도 부근에서의 표면중력은 지구의 0.92배이다. 스펙트럼은 목성이나 토성과 비슷하고 대기 중에는 메탄과 수소분자가 존재한다. 암모니아도 존재할 것이나 동결되어 있을 것이므로 스펙트럼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9.해왕성


태양에서부터의 평균거리는 30.13천문단위(1천문단위=1.496×108km), 궤도의 이심률은 0.00786(금성을 제외한 어느 행성보다도 작다), 자전주기 0.583일, 공전주기 165.383년, 지구와의 회합주기 367.5일이다. 또 적도반지름은 2만 4700km로 지구의 4.2배이다. 편율()은 0.02, 부피는 지구의 60배, 질량은 17.239배, 비중은 1.6, 적도중력은 지구의 1.11배, 태양에서 받는 복사량은 적어서 지구의 0.0011배이다.

반사능()은 0.71이고, 지구에서 본 극대광도는 7.9등급으로 맨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스펙트럼천왕성보다 강한 메탄 CH4의 흡수대()가 보인다. 대기 중에는 고체 암모니아 NH3와 고체 메탄이 있고, 성분은 수소와 헬륨으로 추정된다. 위성은 트리톤(Triton)과 네레이드(Nereid) 등 13개이고, 트리톤은 행성의 공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전하는 역행() 위성이다

10.명왕성

공식명칭은 134340 플루토이다. 1930년에 발견되어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정의되었다가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행성에 대한 분류법을 정정한 이후로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된 천체이다. 처음 왜소행성 명왕성은 저승 세계의 지배자(Hades)의 이름을 따서 플루토(Pluto)라 명명하였다. 하지만 2006년 8월에 왜소행성으로 분류된 이후로 소행성 목록에 포함되어 134340번째 소행성이 되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명왕성 궤도 가까이에 있는 카이퍼 띠(Kuiper Belt:해왕성 바깥쪽에서 태양의 주위를 도는 얼음덩어리와 미행성체들의 집합체)를 끌어들일 만큼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1846년 해왕성이 발견된 이후 계속된 행성운동 관측에 따라 최초로 발견되었다. 천문학자들은 천왕성의 궤도상 운동을 자세히 관측해 본 결과 해왕성으로부터의 영향 외에도 어떤 작은 힘의 영향을 받아 궤도 운동이 불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섭동력이라고 하는데, 1930년 3월에 미국의 톰보(Tombaugh, Clyde W.)가 로웰(Lowell, Percival)이 예측한 위치 근방에서 명왕성을 발견해 냈다. 그러나 오늘날 그의 발견은 요행으로 일어난 사건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는 명왕성의 질량이 매우 작아서 실제 천왕성의 궤도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명왕성의 반경은 달(1,738km)보다도 작아서 1,151km밖에 되지 않는다. 질량 또한 매우 작고(1.3*10^22kg) 공전궤도이심률과 궤도기울기가 커서 다른 행성과 차이를 보인다. 위성으로는 카론(charon:134340 I), 닉스(nix:134340 II), 히드라(hydra:134340 III)가 있다

11.카론

 

미국 천문학자 제임스 크리스티에 의해 1978년에 발견되었다.

카론은 원래 S/1978 P1으로 불렸다. 그러나 발견자 크리스티는 카론의 이름을 붙였다.

이 이름은 IAU에 의해 1985년 공인되었다. 카론은 그리스 신화에서, 죽은 자를

실어 나르는 배의 뱃사공 이름이다.

카론의 표면은, 명왕성과는 달리 물의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유력해 보인다. 그 이유로, 명왕성은 붉은 기를 띠고 있음에 반하여, 카론은 밝은 흰색임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명왕성-카론의 중력 중심점은 어느 천체의 내부가 아니라, 두 천체의 중간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쪽이 다른 쪽을 도는 현상이 아니라, 두 별 사이 빈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빙빙 도는 모양을 하게 된다. 이 점이, 카론을 명왕성의 위성이라고 말하기 곤란하게 하는 유력한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격하되었으며, 카론은 위성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12.제나

2003 UB313해왕성 바깥 천체캘리포니아 주 팔로마 천문대천문학자가 발견하였다. 지름이 약 2400 킬로미터명왕성보다 크다. 제나(Xena)라는 이름으로 불리나, 공식적인 것은 아니다.

제나를 태양계의 10번째 행성으로 인정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맹은 제나를 명왕성과 함께 왜행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발견된지는 2003년 10월 21일 발견되었고 현재 공식명칭은 2003UB313입니다. 발견자는 마이클 브라운 외 몇명있구요.

 

평균거리 : 67.668AU
공전주기는 203.5년

궤도 경사각은 44도

 지름은 2200~2400km

 

질량,밀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구성물질도 정확히 밝혀진건 없습니다.

 현재 밝혀진 위성은 1개입니다.

이 천체는 행성으로 분류될려고 했다가 국체천문연맹(IAU)에서 명왕성과 함께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두 같은 5학년입니다..

그림은 없지만..

 

 

시작!!

 

 

수성 (水星 Mercury)

 

반지름 : 2439㎞ (달의 1.4배)

자전주기 : 59일

공전주기 : 88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평균 5700만㎞

질량 : 지구의 1/20

밀도 : 5.43

온도 : 낮350℃, 밤 -160℃

탐사선 : 매리너10호(미국)

대기 : 거의 없음

특징 : 대기가 없어서 크레이터가 많음.

 

금성 (金星 Venus)

    

반지름 : 지구보다 약간 작음

자전주기 : 243일

공전주기 : 224.7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1.082×10㎞

질량 : 지구보다 약간 작음

밀도 : 5.24

탐사선 : 매리너10호, 베네라8호

온도 : 470℃

기압 : 90기압

대기 : 이산화탄소95%, 질소3~4%, 아르곤 등등...

특징 :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 때문에 표면이 보이지 않음. 기압이 매우 높음.

 

지구 (地球 earth)

 

반지름 : 적도반지름6378㎞, 극반지름6357㎞

자전주기 : 1일

공전주기 : 365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1억5천만㎞

대기 : 질소78%, 산소21%,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등...

위성 : 달

특징 : 생명체가 사는 행성.

 

화성 (火星 Mars)

 

반지름 : 3397㎞

자전주기 : 24시간 37분

공전주기 : 687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2억2794만㎞

질량 : 지구의 0.107배

밀도 : 3.93

탐사선 : 보이저1,2호, 매리너9호, 바이킹, 패스파인더, 글로벌서베이어

기압 : 6∼7mb (1기압 : 1013mb)

대기 : 이산화탄95.3%, 질소2.7%, 아르곤1.6%, 산소0.3% 등등..

위성 : 포보스, 데이모스

특징 : 지구처럼 4계절이 있고 극관은 대부분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져있음. 물이 흐른 흔적이 있음.

 

목성 (木星 Jupiter)

 

반지름 : 71400㎞

자전주기 : 9시간 50분

공전주기 : 11.862년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7.783×10㎞

질량 : 지구의 317.891배

밀도 : 1.36

탐사선 : 보이저1,2호, 파이어니어10호

기압 : 30기압

대기 : 수소89%, 헬륨11%, 메탈, 암모니아, 아세틸렌, 에탄 등등..

위성 : 아말테아,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레다, 히말라야, 에라라, 리시테아, 아난케, 냉카르메, 파시파에, 시노페, 메티스, 아드라스테아, 테베

특징 : 고리, 줄무늬, 대적점

 

토성 (土星 Saturn)

 

반지름 : 6만㎞

자전주기 : 10시간 14분

공전주기 : 29.46년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14억2940만㎞

질량 : 지구의 95배

밀도 : 0.71

탐사선 : 보이저1,2호, 파이어니어11호

대기 : 수소, 헬륨, 암모니아 등등...

위성 : 17개 이상

특징 : 물보다 밀도가 작음, 줄무늬, 고리

 

천왕성 (天王星 Uranus)

 

반지름 : 2만5400㎞

자전주기 : 16.8시간

공전주기 :  84.022년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28억7500만㎞

질량 : 지구의 14.5배

밀도 : 1.30

탐사선 : 보이저2호

대기 : 주로 메탄

위성 : 아리엘, 움브리엘, 티타니아, 오베론, 미란다 등등..

특징 : 고리, 자전축이 98도나 기울어짐.

 

해왕성 (海王星 Neptune)

반지름 : 2만5100㎞

자전주기 : 16시간

공전주기 : 164.8년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44억 9,700만㎞

질량 : 지구의 17.2배

밀도 : 1.76

탐사선 : 보이저2호

대기 : 메탄, 수소 등등..

위성 : 8개

특징 : 고리, 대흑점

 

명왕성 (冥王星 Pluto)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 59.14×10㎞

밀도 : 물과 비슷

대기 : 메탄

위성 : 샤론(카론)

 

 

 

 

넘 길조??

ㅋㅋ

그래도 저 힘들게 찾은 거랍니다..

 

 

혜성,위성,태양계를자세하게알려주세요.

... 태양계,행성,위성 이것들 자세하게알려주세요~ [사진도포함해주새요]... 처음에는 이 천체를 혜성으로 착각하였지만 수주일 동안 관측한 결과 이 천체의 운동이...

과학 행성,위성,태양계 알여주세요

안녕하세요 저 5학년인데요 행성, 위성, 태양계알려주세요 1.뜻 2.언제생겼나... 왜소행성, 혜성, 유성체 등의 천체로 이루어진 계(系). 본문 ↑ 태양계 행성...

태양계특징과위성

... 있는 위성을 좀 알려주세요. 수성,금성은 없으니까... 2.태양계의 구조 태양, 행성들, 소행성,왜소행성,혜성,위성 기타 등등 3. 태양에 대해서 태양 (SUN) - 크기...

태양계에서 태양계랑 소행성 혜성에...

태양계에서 태양계랑 소행성 혜성에 대해서만 알려주세요 행성들은 말고요 빠른답변... 크기도 워낙에 작은대다가 자기위성한테 휘둘릴정도라니...;; 소행성은 말대로 小...

위성,행성 태양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5학년인데요 위성 ,행성, 태양게에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지구... 태양계에는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등 이 속해 있는데요 태양계에는 9개의 행성...

위성, 혜성, 행성에 대해 요약해서...

... 알려주세요... 최대한 빨리요 내공90! 위성: 행성의 인력에 의하여 그 둘레를 도는 천체 혜성:태양이나 큰 질량의 행성에 대하여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도는 태양계...

태양계의 행성특징을 알려주세요.

... 행성들의 위성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그리고 요약을 해주시면... 2.태양계의 구조 태양, 행성들, 소행성,왜소행성,혜성,위성 기타 등등 3. 태양에 대해서 태양...

중2 태양계에있는 특징 자세하게점...

태양계에있는 특징좀 자세하게알려주세요 1. 태양... - 위성의 수 : 항성은 위성이 아니라 행성,소행성등을... - 온도 : 최대 450K~최소 15K - 특징: 크기는 혜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