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과학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 말인데요.

중2 과학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 말인데요.

작성일 2005.04.2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2 과학 공부를 하는데,,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 중입니다.,

 

평균속력을 구할때는 처음속력+나중속력/2 인데,

 

이 식은 전체걸린시간/전체이동거리 랑 식이 같잖아요?

 

그런데,, 이 식 두개가 같은 값이 안나오는 경우도 있는데요,

 

처음속력+나중속력/2는 어떨때 쓰이고 또 방향과 속력이 어떨때 쓰이고,

 

전체걸린시간/전체이동거리 식은 어떨때 쓰이고또 방향과 속력이 어떨때 쓰이 는지

 

가르쳐 주세요,,

 

내공 많이 거니까,, 정확하고 이해할수 있도록 쉽게 설명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중2 과학 교과서 #중2 과학 #중2 과학 요점정리 pdf #중2 과학 기출문제 무료 #중2 과학 기출문제 pdf 무료 #중2 과학 목차 #중2 과학 기출문제 pdf #중2 과학 비상 교과서 pdf #중2 과학 문제집 pdf #중2 과학 문제집 추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뇽하세여 ^^

저도 중 2에요ㅜㅜ

 

처음속력 + 나중속력 /2

 

 요거는여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했거나 감소했거나

 일정하게 라는 말이 들어갔을때 쓰는거구요

 

 전체이동거리/전체걸린시간

 

 요거는요 일정하지 않게 증가하거나 감소

 요럴때 쓰는거에요

 

 시험 얼마 안남으셧을텐데 시험 잘 보시구요 ^^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길 바래여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처음속력 + 나중속력/2

 

처음속력 + 나중속력 /  2 는요

시간에 따라서 이동거리가 비례할때,

음. . 그러니깐 이동거리가 일정하게 늘어나거나 감소할  때, 속력이 일정할 때 평균속력을 구하는 식이구요

 

예 ) 1초일때 2m이동했고

       2초일때 4m이동했고

       3초후에는 6m 를 이동하는 그래프가 있으면

        1초마다 2m씩 가니깐

        속력이 일정하고 이동거리도 일정하게 늘어나잖아요 ? 그럴때

 

 처음속력 + 나중속력/2 를 씁니다.

 

 이럴 경우에는 그래프가   

 /    ←이런 모양을하고있다는 -  - ..   

 

2. 전체걸린시간 / 전체이동거리

 

전체걸린시간 / 전체이동거리는요

속력이 일정하지 않고 이동거리도 일정하지 않을 때

 

A구간에서는 속력이 1m/s 이다가

B구간에서는 속력이 2m/s .. 이렇게 속력이 일정하지 않게 막 변할때 있죠 -  -?

 

속력이 증가하다가 일정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고 .. 이런 그래프요 ;;

 

그럴때 전체걸린시간 / 전체이동거리로 평균속력을 구합니다.

 

 

 

 

설명이-  _ - .. 혼자 주절주절떠들어댄것같은데- -

 

죄송합니다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흐흑 슬프군요 저도 중2 과학 때문에 고생하고있는 학생입니다

기출문제를 찾아다니다 님글을보고 좀 슬프네요;;

저도 잘은 못하지만 제가 하는방식은. 줏어먹기 식이랄까;;

어제 제가 과학을 다 끝냈는데 ebs처음부터 끝까지 다보고 끝냈어요.

그다음 학교에서 준 유인물로 마무리를 하고 모르는건 친구에게 물어보는게 최고에요

유인물다 본후에 문제에 매우 집착하는편...이렇게 하면 성적이 어느정도 유지 되더군요

흠.. 과학 정리는요

1. 물체의 위치와 이동 거리

(1) 물체의 위치를 나타낼 때 필요한 요소 : 기준점,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 기준점으로부터

     의 방향

(2) 물체의 이동 거리=나중 위치?처음 위치

(3)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동 거리는 기준점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2. 물체의 운동과 속력

(1) 물체의 운동을 나타낼 때 필요한 요소 : 기준점, 빠르기, 운동 방향

(2) 물체의 빠르기

    ① 물체가 운동하고 있을 때 물체의 위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② 같은 거리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물체의 빠르기는 빠르다.

    ③ 같은 시간 동안에 이동하는 거리가 길수록 물체의 빠르기는 빠르다.

(3) 물체의 속력

    ① 물체가 단위 시간 동안에 이동한 거리를 속력이라고 한다.

( 속력(V) =  

거리(s)

 )

시간(t)

    ② 속력의 단위 : km/h, m/s

(4) 물체의 평균 속력

    ① 물체의 속력이 불규칙하게 변하면서 운동을 하고 있을 때 중간의 속력 변화는 무시

        하고, 물체의 전체 이동 거리를 물체가 이동하는 동안 전체 걸린 시간으로 나눈 것을

        평균 속력이라고 한다.

( 평균속력(V) =  

전체 이동 거리(s)

 )

전체 걸린 시간(t)

    ② 평균 속력의 단위 : km/h, m/s

(5) 물체의 순간 속력

    ① 물체가 이동하는 동안 어느 한 순간에 측정된 물체의 속력을 순간 속력이라고 한다.

    ② 속도 측정기나 스피드 건으로 측정하는 속력이 순간 속력이다.

 

3. 운동의 기록

(1) 시간 기록계

    ① 철로 만든 작은 진동판을 같은 시간 간격으로 빠르게 진동시켜 타점을 찍는 장치이다.

    ② 시간 기록계로 찍은 타점 분석

(2) 여러 가지 운동을 기록하는 방법

    ① 시간 기록계를 이용하는 방법

    ② 다중 섬광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③ 물체에 속력계를 직접 장치하는 방법

    ④ 속도 측정기를 이용하는 방법

    ⑤ 스피드 건을 이용하는 방법 등

1. 속력과 방향이 일정한 운동
(1) 등속 직선 운동 : 속력과 방향이 바뀌지 않고 일정하게 움직인다.
(2) 등속 운동의 예 : 에스컬레이터의 운동, 무빙 워크(자동 보도) 운동, 컨베이어 벨트의
                             운동, 스키장 리프트의 운동

(3) 속력과 이동 거리 : 속력은 항상 일정하고, 이동 거리는 시간에 비례한다.

속력(V) =  

이동 거리(s)

 ,   이동 거리(s) = 속력(v) 시간(t)

걸린 시간(t)


2. 등속 직선 운동의 그래프
(1) 시간-속력 그래프

    ① 시간-속력 그래프는 시간축에 나란한 직선이 된다.

    ② 시간-속력 그래프에서 직선 아래의 넓이는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2) 시간-이동 거리 그래프

    ① 시간-이동 거리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 모양이 된다.

    ② 직선의 기울기는 속력을 나타내므로 기울기가 클수록 속력이 빠르다.

3. 등속 직선 운동의 조건
(1) 마찰이 없는 경우 : 에어 트랙 위의 물체의 운동이나 드라이아이스 통의 운동, 고무
                                 풍선차의 운동과 같이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이 없다면 물체는 등
                                 속 직선 운동을 한다.
(2) 마찰이 있을 때의 운동 : 마찰이 있는 수평면에서는 마찰력만큼의 힘을 계속 작용하면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

4. 힘을 받지 않는 물체의 운동
(1) 마찰이 작용하면 : 운동하던 물체는 속력이 점점 감소하여 결국 정지한다.
(2) 마찰이 작용하지 않으면 : 운동하던 물체는 계속해서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


5. 갈릴레이의 사고 실험



(1) A, B를 따라 올라가는 경우 : 처음 출발 높이와 같은 높이만큼 올라간다.       
(2) C를 따라 운동하는 경우 : 물체는 영원히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
(3) 마찰이 없을 때의 운동 : 운동하는 물체에 마찰이 작용하지 않으면 물체는 영원히 등
                                        속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6. 관성
(1) 관성 : 물체가 처음의 운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
(2) 관성의 법칙 :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정지해 있던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던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계속한다.

(3) 관성의 예

    ① 멈추어 있던 버스가 갑자기 출발하면 승객들이 뒤로 쏠린다. (정지 관성)

    ② 막대기로 이불을 두드려서 먼지를 턴다. (정지 관성)

    ③ 달리던 버스가 갑자기 정지하면 승객들이 앞으로 쏠린다. (운동 관성)

    ④ 달리다가 돌부리에 걸리면 넘어진다. (운동 관성)

(4) 관성과 질량과의 관계 : 질량이 클수록 관성도 크다.

 속력만 변하는 운동

 

1. 속력만 변하는 운동

(1) 속력이 일정하게 변하는 운동의 평균 속력과 이동 거리

평균 속력  =

(처음속력 + 나중속력)

 

2

 

=

(U + v)

=

v

 

2

2

이동 거리 = 평균 속력 × 시간 =

1

vt

2

(2) 빗면을 굴러 내려가는 물체의 운동

    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속력은 일정하게 증가하고, 방향은 변하지 않는 직선 운동을 한다.

    ② 속력은 시간에 비례한다.

    ③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물체가 일정한 크기의 중력을 받기 때문이다.

(3) 자유 낙하 운동

    ①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물체는 항상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으로 낙하한다.

    ② 속력은 일정하게 증가하고, 운동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③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일정한 크기의 중력을 받기 때문이다.

    ④ 공기의 저항이 없을 때 속력의 변화는 물체의 질량이나 크기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4) 똑바로 위로 던진 물체의 운동

    ① 위로 올라갈 때 : 운동의 방향은 중력과 반대 방향이고, 속력은 일정하게 감소한다.

    ② 다시 떨어질 때 : 운동의 방향은 중력과 같은 방향이고, 속력은 일정하게 증가한다.

    ③ 올라갈 때나 다시 떨어질 때 물체의 속력이 일정하게 변하는 이유는 일정한 크기의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2. 힘을 받는 물체의 운동

(1) 속력의 변화

 

 평균 속력 =

전체 이동 거리

 

 

걸린 시간

(2) 힘의 크기와 속력의 변화 관계

    ① 질량이 일정할 때 속력의 변화는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

 

(속력의 변화 힘의 크기)

    ② 힘의 크기가 크면 속력의 변화는 크고, 힘의 크기가 작으면 속력의 변화는 작다.

(3) 질량의 크기와 속력의 변화 관계

    ①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일정할 때 속력의 변화는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

 

속력의 변화

1

 

질량

 

    ② 질량이 크면 속력의 변화는 작고, 질량이 작으면 속력의 변화는 크다.

(4) 질량과 힘의 크기에 따른 속력의 변화 관계 : 속력의 변화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고, 질

     량에 반비례한다.

 

속력의 변화

힘의 크기

 

질량

(5) 힘의 방향과 물체의 속력 변화

    ① 정지한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물체는 힘의 방향으로 운동한다.

    ② 힘의 방향이 물체의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이면 속력은 증가한다.

    ③ 힘의 방향이 물체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이면 속력은 감소한다

1. 힘을 받아 방향이 변하는 운동
(1)
운동 방향과 수직으로 힘이 작용할 때 : 운동 방향만 변한다.
(2)
운동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힘이 작용할 때 : 운동 방향과 속력이 동시에 변한다.

2. 힘에 의한 운동 방향과 속력의 변화
(1) 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 다음 그림과 같이 운동하는 쇠구슬에 수직으로
     기력이 작용하면 쇠구슬의 운동 방향이 변한다.
    ① 질량과 운동 변화의 정도 : 물체의 질량이 작을수록 운동 방향의 변화 정도는 크다.    

    ② 속력과 운동 방향의 변화 정도 : 물체의 속력이 느릴수록 운동 방향의 변화 정도는
        
크다.
    ③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운동 방향의 변화 정도 :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클수록 운동
        향의
변화 정도는 크다.

(2) 운동 방향에 나란하지 않게 작용하는 힘 : 다음 그림과 같이 빗면을 따라 굴러 내려오는
    쇠구슬에는 중력이 운동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작용하므로 운동 방향과 동시에 속력이
    
변한다.
    
미끄럼대에서 내려오는 순간 : 운동 방향의 변화 정도가 크다.
    ② 빗면을 따라 내려오는 동안 : 운동 방향의 변화보다는 속력의 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난다.


3. 수평으로 던진 물체
(1)
수평으로 던진 물체 : 중력이 물체의 운동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작용하므로 운동 방향과
     속력이 동시에 변한다.
    ① 수평 방향의 운동 : 수평 방향으로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
    수직 방향의 운동 : 수직 방향으로는 중력이 계속 작용하므로 속력이 점점 빨라진다.
(2) 운동 방향과 속력의 변화 정도

    ① A 위치 : 운동 방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② B 위치 : 운동 방향과 속력이 동시에 변한다.
    ③ C 위치 : 운동 방향보다는 속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4. 낙하 운동

(1) 낙하 운동 :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한다.
    ① 물체의 질량에 관계없이 속력의 변화는 일정하다.
    ②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질량에 관계없이 동시에 떨어진다.
(2) 공기 중에서의 낙하 운동 : 공기 중에서 쇠구슬과 깃털을 동시에 떨어뜨리면 쇠구슬이
    먼저 떨어진다.
    ① 쇠구슬의 경우에는 공기의 저항을 거의 무시할 있어 빨리 떨어지지만 깃털의 경우
        에는 공기의 저항에 의한 마찰력 때문에 천천히 떨어진다.
    ② 공기의 저항은 물체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공기의 저항이 클수록 속력 변화도 줄어
        든다.
(3) 진공 속에서의 낙하 운동 : 질량에 관계없이 모든 물체의 속력 변화가 같으므로 동시에
     떨어진다.




방향이 변하는 운동(2)

1. 원운동

(1) 운동 방향은 원의 접선의 방향이고, 물체가 원운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의 중심 방향
     으로 구심력이 필요하다.
(2) 원운동하는 물체의 구심력이 없어지면 물체는 원의 접선 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
(3) 구심력은 질량이 클수록, 속력이 빠를수록, 반지름이 작을수록 크다.

2. 등속 원운동

(1) 속력은 일정하고 운동 방향은 원의 접선 방향으로 계속 변하는 운동을 한다.
(2) 원을 한 바퀴 도는 시간이 일정하다.
(3)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속력을 구할 때는 원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원의 둘
     레를 나누면 된다.

3. 포물선 운동

(1) 운동의 방향과 속력이 동시에 변하는 운동을 한다.
(2) 물체의 운동 방향은 포물선의 접선 방향이다.
(3) 수평 방향으로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하고, 수직 방향으로는 등가속도 운동(똑바로 위로
     던져 올린 물체 운동의 경우)을 한다.
(4) 공이 포물선 운동을 하는 동안 일정한 크기의 중력이 계속 작용한다.

4. 진자 운동

(1) 일정한 경로를 왕복 운동하는 추를 진자라고 한다.
(2) 진자는 O점에서 속력이 가장 빠르고, O → A, O → B에서 속력이 점점 느려진다.

(3) 진동수와 주기는 서로 반비례한다.
(4) 진동수와 주기, 주기와 실의 길이의 관계

진동수( f ) =

1

[Hz]

주기(T )

[s]

(5) 진자의 주기는 실의 길이가 길수록 길어진다.

이상입니다 저는 물체의운동보다도 지구와 별이 시험범위여서 정말 고생하고있답니다.

하지만! 할수 있어요 이까짓거 하루만새면 되는걸요 뭐

수고하세요

(혹시 궁금한게 있으시다면 메일이나 쪽지로 말해주세요 제가 아는범위안에서

성심 성의껏 알려드릴께요)

중2 과학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 말인데요.

중2 과학 공부를 하는데,,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 중입니다., 평균속력을 구할때는 처음속력+나중속력/2 인데, 이 식은 전체걸린시간/전체이동거리 랑 식이 같잖아요? 그런데...

중2과학평균속력구하는거;;

중2 과학에서요, 평균속력 구하는 공식이 2개가 있잖아요! ① 전체이동거리 이거랑 ②... 2 문제 풀다 보면, ①,②중에서 골라 사용하는게 좀 어렵거든요 어떤 경우에 ①,②를...

중2과학 평균속력 구하는

중2 과학 평균속력이요.. 좀 알려주세요 ; ;ㅜㅜ 문제1.어떤 자동차가 20분 동안 60km... 평균속력은 몇 km/h인가? 인데요. 여기서 평균속력 구하는건 총걸린시간 분의...

중2 과학 평균속력 구하는방법

... 평균속력 구하는 공식이 2개가 잇잖아요. 전체이동거리 첫번째공식은 평균속력... (처음속력 + 나중속력) 2 가있지요^^ 과학 문제집에서 보면 평균속력을 구하라는 문제가...

중2 과학 평균속력 구하는 문제(내공 30)

제가 중2인데요 과학과 시험이 4월 29일 이어서 물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모르는 문제평균속력 구하는 문제에요... 문제:A에서 B까지 갈 때는 30km/h로 올 때는 60km...

중2과학 평균속력문제...

... 1번 문제 설명은.. 평균속력구하는건데요, 울산에서 대구까지 100으로 달렸고 수원에서 서울까지 50으로 달렸어요 그런데 평균 속도가 66.7 이랬죠 아마도...

중2 과학 평균속력 계산문제.

... 그럼 문제푸는 단계는... 주어준 속력값을 활용해서, 나머지 두값(시간, 이동거리)를 구해서, 왕복의 평균속력을 구하여야겠네요. ------ 시간은 갈때와 올때의 속력이...

중2과학 - 순간속력 구하는 문제좀...

문제 풀이좀,,,부탁드려요~ㅠㅠ 이문제 이해가 잘 안되가지고,,크윽 높은 곳에서... 3초 동안의 평균속력이 14m/s였다면 바닥에 닿는 순간의 속력은 몇m/s인가? 답이 (28m/s)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