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개발에 대해

우주개발에 대해

작성일 2010.11.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5학년인데요 숙제인데 우주개발에 대해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우주의 음식

냉장고가 없는 우주에서 먹기위해

40도 진공상태에서 수분을 모두 제거한상태로 만들엇다네요 ..ㅎㅎ

- 우주개발의 뜻

*우주개발은 다른 첨단 산업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인공위성 띄우기,로켓 개발사업,다른 별에 도시건설,직접적인 운석연구등이 있다.


 


 

#영향: 대기권 밖의 우주공간에 관측기기나 인간을 내보내어 새로운 지식·정보 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행해지는 일련의 활동. 대기권 밖에서의 관측은 지상에서의 관측으로는 상상할 수조차 없었던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였고, 우주공간에서의 비행은 획기적이고 다양한 우주공간 이용의 길을 열었다.

#뜻: 우주선과 인공위성을 이용해 천문학 연구,통신 중계,기상 관측,군사 활동 나아가 지구 이외의 행성 탐사에 나서는 것이 우주개발이다.

- 우주개발의 장단점

우주개발의 장점
지구가 급속한 인구폭팔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우주여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생물을 만날수도 있을것이고
다른나라의 왕복도 매우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개발의 단점
우리가 지구에서 한번도 쉬지 않고(정거장을 들르지 않고) 우주여행을 하려면 우선 식량문제가 있고 폐기물 같은 문제도 있고, 산소문제외에도 여러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조건은 어떻게 공기와 물을 모두 자체 해결할지도 걱정입니다.
그리고 조건은 공해가 없어야 한다는것입니다..(ㅜ.ㅡ)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몇십년이 걸릴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우주선의 뜻

우주선(Spaceship)

 

우주공간()에 발사된 인공천체()로서 관측·시험 및 연구조사뿐만 아니라 어떤 실용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우주개발 초기에는 인간이 로켓으로 발사한 인공위성을 모두 우주선이라고 하였으며, 영어 'space'란 단어를 우주라고 번역하기에는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우주(universe)와 혼동이 될 것 같아 우주공간이라는 말로 표현하게 되었다.

우주개발의 눈부신 발달로 인공천체도 세분해서 분류하게 되어, 지금은 사람이 타고 지구 주위를 도는 위성궤도상의 유인인공천체는 유인위성()이라 하며, 지구궤도 밖으로 나간 사람이 탄 인공비행체를 한국에서는 우주선이라고 한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지구궤도를 벗어난 인공천체는 모두 'spacecraft'라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무인인공위성일 경우에는 인공위성이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

우주선에 관하여 이렇게 구별하는 이유는, ① 우주공간을 여행할 경우 지구궤도로부터 발사된 속도로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우주선의 자세를 항상 조정할 수 있게 추진제·분사장치, 또 지구에 다시 귀환할 수 있는 로켓추진제와 대기권 진입에 있어서 마찰열을 이겨낼 수 있는 구조물을 구비하여야 하고, ② 지상관제소로부터의 전파지령 등에 의하여 우주선은 거의 자동적으로 조종되며 우주비행사의 부담을 덜어주는 여러 시설을 갖춰야 하고, ③ 지상과 완전히 격리되어 있어야 하며, 진공, 큰 온도차, 각종 방사선, 행성()이나 그밖의 성간물질()로 인한 생명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뜻에서이다. 아폴로우주선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 우주선의 역사

1957년


--------------------------------------------------------------------------------

10월 4일 - 지구를 돈 첫 인공위성인 스푸트닉 1호(Sputnik 1)가 구소련(U.S.S.R.)에 의해 발사된다. 스푸트닉 1호는 1958년 1월 4일까지 지구 궤도에 남아 있는다.

11월 3일 - 첫 우주 비행 생명체인 라이카 (Laika)를 태운 스푸트닉 2호(Sputnik 2)가 구소련(U.S.S.R.)에 의해 발사된다. 처음으로 우주 비행을 한 라이카는 개로 7일간 지구 궤도에 머문다. 스푸트닉 2호는 1958년 4월 13일까지 지구 궤도를 비행한다.




1958년


--------------------------------------------------------------------------------

1월 31일 - 미국(U.S.A.)의 첫 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Explorer 1)가 케이프 커내버럴(Cape Canaveral)에서 발사된다. 익스플로러 1호는 반 알렌(James A. Van Allen)의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지구의 방사선대 (radiation belt)를 발견한다.

3월 5일 - 익스플로러 2호(Explorer 2)가 발사되지만 궤도 진입에 실패한다.

3월 17일 - 뱅가드 1호(Vanguard 1)가 발사된다. 뱅가드 1호는 3년간 신호를 전송한다.

5월 15일 - 구소련(U.S.S.R.)이 스푸트닉 3호(Sputnik 3)를 발사한다.

10월 1일 - 나사 (NASA :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가 설립된다.

10월 11일 - 미국(U.S.A.)에 의해 파이오니어 1호(Pioneer 1)가 발사된다. 이 위성은 I.G.Y.* space probe로 70,700마일의 높이까지 발사된다. (*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1959년


--------------------------------------------------------------------------------

1월 2일 - 구소련(U.S.S.R.)에 의해 발사된 루나 1호(Luna 1)는 처음으로 태양 궤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sun orbiter)이 된다.

3월 3일 - 미국(U.S.A.)의 네번째 I.G.Y. space probe인 파이오니어 4호(Pioneer 4)가 발사된다. 파이오니어 4호는 달에서 37,000마일 안쪽을 지나면서 지구-달 궤적(earth-moon trajectory)을 얻고, 태양 궤도에 진입해 미국의 첫 sun orbiter가 된다.

9월 12일 - 루나 2호(Luna 2)가 발사된다. 루나 2호는 9월 13일 달과 충돌해 달표면에 도착한 첫 인공위성이 된다.

10월 4일 - translunar satellite인 루나 3호(Luna 3)가 발사된다. 루나 3호는 달 궤도를 공전하며 달 뒷면의 70%를 촬영하는데 성공한다.




1960년


--------------------------------------------------------------------------------

4월 1일 - 첫 기상위성(weather satellite)인 타이러스 1호(Tiros 1)가 미국(U.S.A)에 의해 발사된다.

8월 18일 - 카메라가 장착된 미국(U.S.A.)의 첫 첩보위성(Corona spy satellite)인 디스커버러 14호(Discoverer XIV)가 의해 발사된다.


1961년

4월 12일 - 구소련(U.S.S.R.)의 첫 유인 우주선인 보스토크 1호(Vostok 1)가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가가린 (Yuri A. Gargarin)을 태우고 발사된다. 가가린은 지구를 한번 공전한다.

5월 5일 - 머큐리(Mercury) 프로그램에 의해 미국의 첫 유인 우주선인 프리덤 7호(Freedom 7)가 우주비행사 셰퍼드 (Alan B. Shepard, Jr.)를 태우고 발사된다. 프리덤 7호는 준궤도 비행(suborbital flight)을 수행한다.

8월 6일 - 보스토크 2호(Vostok 2)가 우주비행사 티토프 (Gherman Titov)를 태우고 발사된다. 티토프는 처음으로 하루동안 우주 비행을 한다.




1962년


--------------------------------------------------------------------------------



2월 20일 - 머큐리(Mercury) 프로그램의 하나로 프렌드쉽 7호(Friendship 7)가 우주 비행사 글렌 (John H. Glenn, Jr.)을 태우고 발사된다. 글렌은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지구 궤도 비행에 성공하고 지구를 3회 공전한다.

5월 24일 - 머큐리(Mercury) 프로그램의 하나인 오로라 7호(Aurora 7)가 우주 비행사 카펜터 (M. Scott Carpenter)를 태우고 발사된다. 오로라 7호는 지구를 3회 공전한다.

7월 10일 - 미국의 인공위성 텔스타 1호(Telstar 1)가 처음으로 대서양을 횡단하는 생중계(live transatlantic telecast)를 한다.

12월 14일 - 미국은 행성 탐사 위성인 매리너 2호(Mariner 2)를 발사한다. 매리너 2호는 금성(Venus)을 탐사하는데 성공하고 태양 궤도에 진입한다.




1963년


--------------------------------------------------------------------------------

6월 16일 - 첫 여성 우주 비행사인 발렌티아 테레쉬코바(Valentia Tereshkova)가 보스토크 6호(Vostok 6)에 탑승하고 지구를 48번 공전한다.




1964년


--------------------------------------------------------------------------------

7월 31일 - 미국의 위성 레인저 7호(Ranger 7)가 처음으로 달의 close-range 사진을 전송한다.




1965년


--------------------------------------------------------------------------------

3월 18일 - 구소련의 위성 보스크쇼드 2호(Voskshod 2)에 탑승한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Alexei A. Leonov)는 처음으로 약 12분 동안 우주 유영(space walk)을 한다.

3월 23일 - 제미니(Gemini) 프로그램 중 첫 유인 우주선인 제미니 3호(Gemini 3)가 우주비행사 그리좀 (Virgil I. Grissom)과 영 (John W. Young)을 태우고 발사된다. 제미니 3호는 지구를 3회 공전한다.

3월 24일 - 레인저 9호가 달의 고화질 화상들을 전송한다. 이 화상들은 달에 대한 첫 텔레비젼 spectacular에서 생방송으로 보여진다.

6월 3일 - 제미니 4호(Gemini 4)에 탑승한 우주비행사 에드워드 화이트 2세(Edward White II)가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약 22분간의 우주 유영을 성공한다.

7월 14일 - 매리너 4호(Mariner 4)가 화성(Mars)의 첫 close-range image를 보내온다.

11월 16일 - 구소련의 위성 비너스 3호(Venus 3)가 발사된다. 비너스 3호는 1966년 3월 1일 금성과 충돌한 첫 우주선이 된다.

12월 4일 - 제미니 7호(Gemini 7)가 프랭크 보먼(Frank Borman)과 제임스 로벨 주니어(James A. Lovell, Jr.)를 태우고 발사된다. 제미니 7호는 지구를 206회 공전하고 달까지의 여행이 가능함을 증명한다.

12월 15일 - 제미니 6호(Gemini 6)에 탑승한 우주비행사 월터 쉬라 주니어(Walter Schirra, Jr.)와 토마스 스태포드(Thomas Stafford)가 제미니 7호(Gemini 7)와 첫 우주 랑데뷰를 성공한다.




1966년


--------------------------------------------------------------------------------

2월 3일 - 구소련의 루나 9호(Luna 9)가 달에 처음으로 착륙한다.

3월 1일 - 구소련의 베네라 3호(Venera 3)가 금성과 충돌한다. 베네라 3호는 다른 행성에 도착한 첫 우주선이 된다. 하지만 베네라 3호는 데이타를 전송하는데는 실패한다.

3월 - 루나 10호(Luna 10)가 달 궤도에 들어가 공전하게 된다. 루나 10호는 달을 공전하는 첫 인공위성이 된다.

6월 2일 - 서베이어 1호(Surveyor 1)가 미국 우주선으로는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다.

8월 14일 - 미국의 루나 오비터 1호(Lunar Orbiter 1)가 달 궤도를 공전하게 된다. 루나 오비터 1호는 처음으로 달에서 지구 사진을 찍어 보내온다.




1967년


--------------------------------------------------------------------------------

4월 23일 - 구소련의 소유즈 1호(Soyuz 1)가 코마로프 (Vladimir M. Komarov)를 태우고 발사된다. 그러나 소유즈 1호는 4월 24일 폭발해서 코마로프가 사망한다. 이것은 첫 우주비행사고로 기록된다.

10월 18일 - 베네라 4호가 금성의 대기로 descent capsule을 보내 대기 성분에 대한 데이타를 전송한다.




1968년


--------------------------------------------------------------------------------

9월 15일 - 구소련이 존드 5호(Zond 5)를 발사한다. 존드 5호는 달 궤도를 공전하고 귀환하는 첫 우주선이 된다.

10월 11일 - 아폴로 계획(Apollo mission) 중 첫 유인 우주선인 아폴로 7호(Apollo 7)가 쉬라 (Walter M. Schirra), 에이젤 (Donn F. Eisele), 커닝햄 (Walter Cunningham)을 태우고 발사된다. 아폴로 7호는 지구를 1회 공전한다.

12월 21일 - 아폴로 8호(Apollo 8)가 보먼 (Frank Borman), 로벨 주니어(James A. Lovell, Jr), 앤더즈 (William A. Anders)를 태우고 발사된다. 아폴로 8호는 유인 우주선으로는 처음으로 달 주위를 공전한다. 6일간의 미션 중 달을 10회 공전한다..




1969년


--------------------------------------------------------------------------------

1월 - 소유즈 4호와 5호(Soyuz 4 & 5)가 소련 우주선으로는 처음으로 우주 랑데뷰를 수행한다.

7월 20일 - 아폴로 11호(Apollo 11)에 탑승한 암스트롱(Neil Armstrong)과 올드린(Edwin Aldrin, Jr.)이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고 달에 첫 걸음(moonwalk)을 내딛는다.

7월 31일 - 매리너 6호(Mariner 6)가 화성 적도 부분 표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전송한다.

8월 5일 - 매리너 7호(Mariner 7)가 화성 남반구 표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전송한다.




1970년


--------------------------------------------------------------------------------

4월 11일 - 아폴로 13호(Apollo 13)가 발사된다. 아폴로 13호는 발사 도중 생긴 SM 산소 탱크의 폭발로 달 착륙 미션이 취소되고 탑승한 세 우주비행사들의 생명도 위협받는다. 다행히도 세 우주비행사 로벨 (James A. Lovell, Jr.), 스위거트 (John L. Swigert), 헤이즈 (Fred W. Haise, Jr.)는 무사히 귀환한다.

9월 12일 - 루나 16호(Luna 16)가 발사된다. 루나 16호는 처음으로 달 토양 표본을 가지고 돌아온다.

11월 17일 - 루나 17호(Luna 17)가 달에 착륙한다. 루나 17호에는 첫 자동 로봇인 루노코드 1호(Lunokhod 1)가 실려졌다. 루노코드 1호는 지구에서 5명으로 구성된 팀에 의해 조종되었고, 달 표면을 11일 동안 탐험하였다.

12월 15일 - 구소련의 베네라 7호(Venera 7)가 처음으로 금성에 착륙하여 23분 동안 데이타를 전송한다.


1971년

4월 19일 - Space station 살류트 1호(Salyut 1)가 발사된다. 살류트 1호는 1973년 5월 28일까지 궤도에 머문다.

5월 30일 - 매리너 9호(Mariner 9)가 발사된다. 매리너 9호는 화성 궤도를 돌면서 화성을 탐사하는 첫 우주선이 된다.

6월 6일 - 소유즈 11호(Soyuz 11)에 탑승한 우주비행사 도브로폴스키 (G.T. Dobrovolsky), 볼코프 (V.N. Volkov), 파차예프 (V.I. Patsayev)가 space station 살류트 1호(Salyut 1)로 옮겨 타는데 성공한다. 궤도 상의 space station에 인간이 탑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6월 29일 우주비행사들은 소유즈 11호로 되돌아오는데 실패해 사망한다.

7월 30일 - 아폴로 15호(Apollo 15)에 탑승한 스콧 (David Scott)과 어윈 (James Irwin)이 첫 달 탐사선(moon rover)을 조종한다.

11월 13일 - 5월 30일에 발사된 매리너 9호(Mariner 9)가 화성 궤도에 진입한다. 매리너 9호는 다른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첫 우주선이 된다. 다음해까지 매리너 9호는 화성의 전표면을 촬영한다.






1972년


--------------------------------------------------------------------------------

3월 2일 - 파이오니어 10호(Pioneer 10)가 목성(Jupiter)을 향해 발사된다. 파이오니어 10호에는 외계 생명체에 인류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가 실려졌다. 파이오니어 10호는 1973년 목성에 무사히 도착해 목성의 근접 촬영 사진을 전송한다.

7월 15일 - 파이오니어 10호가 역사상 처음으로 소행성대(asteroid belt)를 통과한다.


1973년

4월 5일 - 파이오니어 11호(Pioneer 11)가 목성을 향해 발사된다. 파이오니어 11호는 1974년 목성을 통과하고 1979년 토성(Saturn)에 도착해 새 고리(rings)를 발견한다.





5월 14일 - 미국에 의해 스카이랩(Skylab)이 발사된다. 스카이랩은 세 명의 승무원에 의해 유지된다.

5월 25일 - 발사때 스카이랩(Skylab)에 생긴 손상을 수리하기 위해 스카이랩(Skylab)과 스카이랩 2호(Skylab 2)로 첫 승무원이 발사된다.

11월 3일 - 매리너 10호가 발사된다. 매리너 10호는 처음으로 두 개의 행성을 탐사하는 미션을 수행한다. 매리너 10호는 금성과 수성의 사진을 전송한다.




1974년


--------------------------------------------------------------------------------

5월 17일 - 나사(NASA)는 첫 동기 유성 탐사 위성(Synchronous Meteorological Satellite) SMS-1을 발사한다.

6월 24일 - 첫 군사 우주 정거장(military space station)인 살류트 3호(Salyut 3)가 발사된다. 살류트 3호는 1975년 1월까지 궤도에 머문다.

12월 26일 - 민간 우주 정거장(civilian space station) 살류트 4호(Salyut 4)가 발사된다. 살류트 4호는 1977년 2월 2일까지 궤도에 머문다.




1975년


--------------------------------------------------------------------------------

7월 - 미국의 아폴로 18호(Apollo 18)와 소련의 소유즈 19호(Soyuz 19)가 도킹을 한다. 이것은 첫 국제적인 우주선 랑데뷰로 기록된다.

10월 - 소련의 베네라 9호와 10호(Venera 9, 10)가 처음으로 금성 표면 사진을 전송한다.




1976년


--------------------------------------------------------------------------------

6월 22일 - 소련의 군사 우주 정거장 살류트 5호(Salyut 5)가 발사된다. 살류트 5호는 1977년 8월 8일까지 궤도에 머문다.

7월 20일 - 바이킹 1호(Viking 1)가 화성 표면의 사진을 전송한다. 미국은 바이킹 1호로 우주선을 다른 행성에 착륙시키는 첫 시도를 한다.

9월 3일 - 바이킹 2호(Viking 2)가 화성의 유토피아 평원(the Plane of Utopia)에 착륙한다. 바이킹 2호는 그곳에서 얼음(water frost)을 발견한다.




1977년


--------------------------------------------------------------------------------



8월 - 9월 - 보이저 1, 2호 Voyager 1, 2)가 목성(Jupiter)과 토성(Saturn)을 만나기 위해 지구를 떠난다. 목성에는 1979년, 토성에는 1980년에 도착한다.

9월 29일 - 우주 정거장 살류트 6호(Salyut 6)가 발사된다. 살류트 6호의 승무원은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ia), 폴란드(Poland), 동독(G.D.R.), 불가리아(Bulgaria), 헝가리(Hungary), 베트남(Vietnam), 쿠바(Cuba), 몽골(Mongolia), 루마니아(Romania) 등 여러 나라 사람들로 구성된다.




1978년


--------------------------------------------------------------------------------

11월 - 아인쉬타인 옵저버토리(Einstein Observatory)가 30일간의 미션을 시작한다.

12월 - 두 파이오니어(Pioneer) 우주선이 금성에 도착한다. 하나는 네 개의 프루브(probe)를 대기 중으로 떨어뜨리고, 다른 하나는 표면의 지도를 만든다.




1979년


--------------------------------------------------------------------------------

9월 1일 - 파이오니어 11호(Pioneer 11)가 13,000마일을 여행해서 토성에 도착한다. 파이오니어 11호는 첫 근접 사진을 전송한다.




1981년


--------------------------------------------------------------------------------

4월 12일 - 우주 왕복 시스템(Space Transportation System : STS)의 첫 유인 미션인 콜럼비아호(Columbia : STS-1)가 발사된다.

6월 19일 - 유럽 우주 기구(European Space Agency : ESA)가 세번째 아리안(Ariane) 로켓을 발사한다.

12월 20일 - ESA가 네번째 아리안(Ariane) 로켓을 발사한다.




1982년


--------------------------------------------------------------------------------

3월 1일 - 베네라 13호(Venera 13)가 금성에 착륙하여 처음으로 금성의 토양 분석을 수행한다.

4월 19일 - 우주 정거장 살류트 7호(Salyut 7)가 발사된다. 살류트 7호는 아직까지도 궤도에 머물고 있다.

5월 13일 - 소련 우주 비행사 베레조보이(Anatoly N. Berezovoi)와 레베데프(Valentin V. Lebedev)가 살류트 7호(Salyut 7)와 랑데뷰하기위해 소유즈-T 5호(Soyuz-T 5)로 발사된다. 이들은 우주 정거장에 머무는 첫 팀이 된다. 이들은 211일간 우주 정거장에 머문 후 소유즈-T 7호(Soyuz-T 7)로 지구로 돌아온다.

8월 - 보이저 2호(Voyager 2)가 토성 옆을 지나간다.

11월 11일 - 우주 왕복선 콜럼비아(Columbia)가 다섯번째 미션으로 두 개의 인공위성을 궤도에 놓는 미션을 수행한다.



1983년


--------------------------------------------------------------------------------

4월 4일 -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Challenger)가 발사되어 첫 미션(STS-6)을 수행한다.

6월 19일 - 챌린저호(Challenger)가 두번째 미션(STS-7)을 수행하기 위해 발사된다. 챌린저호에 탑승한 샐리 K. 라이드(Sally K. Ride)는 우주를 여행한 첫 미국 여성으로 기록된다.

10월 10일 - 베네라 15호(Venera 15)가 금성 극지방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전송하고, 북반구 대부분의 열지도(thermal map)를 작성한다.

11월 28일 - 우주 왕복선 콜럼비아호(Columbia)가 ESA의 스페이스랩 1호(Spacelab-1)를 궤도에 올려놓는 미션(STS-9)을 수행한다.











1984년


--------------------------------------------------------------------------------

2월 3일 - 브루스 맥캔들스(Bruce McCandless)가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Challenger : STS-41B)로부터 MMU를 사용해서 처음으로 우주선에 연결된 줄 없이 우주 유영(space walk)을 수행한다.

8월 30일 - 세번째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Discovery : STS-41D)가 처녀비행을 한다.

10월 - 살류트 7호(Salyut 7)의 우주 비행사 키짐 (L. D. Kizim), 솔로비오프 (V. A. Solovyov), 아트코프 (O. Y. Atkov)가 우주에서 237일간 머무르는 기록을 세운다.

12월 - 베가 1, 2호(Vega 1 & 2)가 발사된다. 이들은 금성 대기에 프로브(probe)를 떨어뜨리는 미션과 핼리 혜성(Halley's Comet)을 탐사하는 미션을 수행한다.




1985년


--------------------------------------------------------------------------------

1월 8일 - 일본의 ISAS(Institute of Space and Aeronautical Science)에서 사키가케(Sakigake) 프로브를 발사한다. 사키가케는 핼리 혜성과 랑데뷰함으로써 첫 행성간(interplanetary) 프로브가 된다.

4월 29일 - 챌린저호(Challenger)가 ESA의 스페이스랩 3호(Spacelab-3)를 궤도에 올려놓는 미션을 수행한다.(STS-51B)

7월 2일 - ESA에서 위성 지오토(giotto)를 발사한다. 지오토는 1986년 핼리 혜성과 만나고 1992년 혜성 P/Grigg-Skjellerup을 만난다.

10월 3일 - 네번째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Atlantis)가 첫 미션(STS-51J)을 수행한다.








1986년


--------------------------------------------------------------------------------

1월 - 보이저 2호(Voyager 2)가 천왕성(Uranus)을 지나간다.

1월 28일 -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Challenger)가 STS-51L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발사되다가 폭발한다.

2월 20일 - 소련 우주 정거장 미르(Mir)의 중심 유닛이 발사된다.


1987년

12월 - 우주 비행사 유리 로마넨코(Yuri V. Romanenko)가 우주 정거장 미르(Mir)에서 돌아온다. 로마넨코는 우주에서 326일간 머무는 기록을 세운다.




1989년


--------------------------------------------------------------------------------

5월 4일 -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호(Atlantis)가 발사된다. 아틀란티스호는 우주선 마젤란(Magellan)을 발사한다.

7월 12일 - 포보스 2호(Phobos 2)가 발사된다. 포보스 2호는 화성 주위를 공전하며 화성의 표면, 대기, 자기장을 연구한다.

10월 18일 - 아틀란티스(Atlantis)로부터 위성 갈릴레오(Galileo)를 발사한다. 갈릴레오는 금성의 적외선 이미지와 소행성 아이다(Ida)의 이미지를 전송하고 목성을 향해 계속 비행한다.




1990년


--------------------------------------------------------------------------------

4월 24일 -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Discovery)가 발사되어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 HST)을 발사시킨다.

8월 - 마젤란(Magellan)이 금성에 도착한다. 마젤란은 다음 해까지 금성 표면의 레이다 이미지를 전송한다.

10월 6일 -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Discovery)가 위성 율리시즈(Ulysses)를 발사한다. 율리시즈는 태양을 향해 되쏘아지기 위해 목성을 향해 비행한다. 율리시즈는 태양 고위도의 데이타를 얻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991년


--------------------------------------------------------------------------------

6월 5일 - 우주 왕복선 콜럼비아호(Columbia)가 스페이스랩(Spacelab) SLS-1을 궤도에 진입시킨다. 스페이스랩 SLS-1은 무중력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1992년


--------------------------------------------------------------------------------

2월 8일 - 율리시즈(Ulysses)가 목성 근처에 도착한 후 다시 태양을 향해 비행을 계속한다.

5월 2일 - 우주 왕복선 인데버호(Endeavour)가 위성 인텔샛 VI(Intelsat VI)를 수리하는 첫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발사된다.




1993년


--------------------------------------------------------------------------------

12월 2일 - 우주 왕복선 인데버호(Endeavour)가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의 첫 궤도상(on-orbit) 수리를 위해 발사된다.




1994년


--------------------------------------------------------------------------------

1월 25일 - 향상된 탄도 미사일 방어 기술(ballistic missile defense technologies)을 사용해 달 지도 작성 미션을 수행할 새로운 DOD 위성(DOD satellite)인 클레멘타인(Clementine)이 발사된다. 클레멘타인은 5월 10일 기능 고장을 일으켜 미션 수행을 중지한다.

2월 - 러시아 우주 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Sergei Krikalev)가 처음으로 미국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Discovery)에 탑승해 비행한다.

9월 13일 - 율리시즈(Ulysses)가 태양에서 최대 남위 80.2도에 이른다. 율리시즈는 6년의 궤도 주기를 유지하면서 북위를 향해 계속 비행한다.

10월 12일 - 마젤란(Magellan)이 표면 지도 작성 미션을 마친 후 금성의 대기에 진입해서 타버린다.

12월 9일 - 소행성 XM1이 천문학적으로는 거의 충돌에 가까운 지구에서 65,000마일 정도되는 거리를 지나간다.




1995년


--------------------------------------------------------------------------------

2월 6일 -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Discovery)가 우주 왕복선과 우주 정거장 미르(Mir)의 도킹을 위한 준비로 미르에서 37피트 정도 거리까지 접근한다. 이 비행은 우주 왕복선 미션으로는 처음으로 여성 비행사에 의해 조종된다.

3월 22일 - 우주 비행사 발레리 폴리아코프(Valeriy Polyakov)가 우주 정거장 미르(Mir)에서 438일간의 미션을 마치고 지구로 돌아온다. 이것은 인간이 우주에 머문 새로운 기록이다.

6월 26일 -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Atlantis)가 10일간의 미션동안 러시아 우주 정거장 미르(Mir)와 랑데뷰를 하고 비행사들을 교환한다.

9월 - 파이오니어 11호(Pioneer 11)가 전력이 떨어져 과학 관측을 중지한다.

11월 12일 - 아틀란티스(Atlantis)가 미르(Mir)와 두번째 도킹을 하기 위해 발사된다. 아틀란티스는 두 개의 태양 전지(solar array)와 미래의 셔틀 도킹을 위해 도킹 모듈(docking module)을 운반한다.

12월 7일 - 위성 갈릴레오(Galileo)가 목성에 도착한다. 갈릴레오는 목성의 대기 중으로 프로브를 떨어뜨리고 목성을 돌면서 2년을 보낼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미션을 수행한다.




1996년


--------------------------------------------------------------------------------

2월 17일 - 나사(NASA)가 Near-Earth Asteroid Rendezvous(NEAR) 위성을 발사한다.
- 우주개발의 역사
지구도 우주의 한 구성이므로 넓은 의미로는 인간의 생활역사는 우주공간의 여러 현상과 독립해서 볼 수는 없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수천년 전에 정밀한 천체관측을 기초로 하여 태양력(太陽曆)을 만들어 이용하였다. 그것을 개선하여 BC 45년에 제정한 것이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역(曆)의 기초가 된 율리우스력이었다.

16∼17세기에 이르러 N.코페르니쿠스, G.갈릴레이, J.케플러 그리고 I.뉴턴 같은 위대한 과학자들이 나타나 우주과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20세기 들어 각종 공학적 수단이 도입되면서 우주공학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57∼1958년에는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실시한 국제지구물리관측년(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을 통해 지구와 지구 주변 환경의 입체적인 과학관측이 세계적 규모로 실시되어 우주과학에 일대 혁명을 가져왔다. 1957년 10월 4일 인류사상 처음으로 소련이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우주로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우주개발 제1기는 미국과 소련의 우주과학 경쟁기로서, 양국 전략무기의 공격력 정비경쟁을 반영한 시기이다. 미·소간 첨예하게 우주개발 경쟁을 시작한 시기는 1958년 1월 우주개발의 선두를 소련에 빼앗긴 미국이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면서부터이다.

한편, 1950년대 후반 핵무기 운반수단이 항공기로부터 로켓으로 옮겨갔고, 핵탄두의 폭발위력 및 명중정도(命中精度)와 운반거리의 경쟁이 중심이 되었다. 초기의 대륙간탄도탄(ICBM)는 연료탱크에 주입하지 않으면 저장이 안 되는 액체추진제를 사용하여야 했고, 미국과 소련은 초기에는 이런 종류의 유도탄을 보유하였다.

1959년 초부터는 달 탐사선이 발사될 수가 있었기 때문에 로켓의 조정기술은 기술적으로 비약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에 따라 유도탄의 명중정도도 급속히 향상되었다. 이는 곧 선제공격을 받았을 때 받은 쪽의 발사기지가 완전히 파괴되어 반격의 기회가 상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은 이 사실을 중요시하고 유도탄 기지를 지하에 구축한 뒤 로켓추진제를 주입한 채로 항상 대기시켜 놓을 수 있는 미사일(유도탄)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극북지대(極北地帶)에 레이더 탐지망을 구축하여 소련의 유도탄 공격을 사전에 탐지함과 아울러 반격의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하였다. 이에 따라 발사 직전에 추진제를 주입시켜야 하는 제1세대의 로켓인 토(Thou), 아틀라스(Atlas)와 같은 재래식 로켓은 사라지게 되었다.

2) 미항공우주국의 발족
미국에서는 유도탄의 개발을 육·해·공군 각각 독립적으로 추진하였으므로 소련과 달리 우주개발 계획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실패가 잦았다. 이에 따라 미국내에서는 비판의 여론이 높아 우주개발 추진을 일원화할 필요가 생겼다.

당시 기초 항공과학의 국립기관으로 1915년에 창설된 국가항공자문위원회(NACA)가 미국내 여러 곳에 연구소를 두고 오랜 역사와 항공과학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 뒤 이 조직을 중심으로 1958년 10월 미국항공우주국(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이 발족되면서 미국의 모든 우주개발은 이 기관이 전담하게 되었다.
제2기
유럽의 각국도 우주개발에 적극 참여하려 했으나 그 결과는 부진하였다. 그러나 1965년 11월 프랑스는 자체 개발한 디아망 3단 로켓으로 최초의 인공위성 A1을 발사하였다. 이렇게 해서 인공위성 발사의 기술은 10년간 미국과 소련의 독점시대가 끝나게 되었다. 1970년 2월 일본, 같은 해 4월 중국 등에 의한 인공위성 발사가 이어졌다.

인공위성 경쟁과 함께 우주선을 이용한 달의 개척도 치열하였다. 달에 처음으로 탐사선을 보내고 달의 뒷면을 촬영하기는 소련이 먼저였으나 이 기간에 미국은 아폴로계획으로 1969년 아폴로 11호에 암스트롱이 탑승하여 달 표면에 첫발을 내딛게 됨으로써 우주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1972년 12월까지 11호에서 17호까지(13호는 고장으로 도중 귀환) 6회에 걸쳐 달을 탐사했고 모두 385kg의 월석(月石)을 지구에 가지고 돌아왔다. 197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연(延) 171일간 9인의 우주비행사가 체재하여 방대한 실험자료를 구득했다.

이와 함께 우주정거장도 띄우기 시작하였는데, 최초의 우주정거장은 1971년 소련이 발사한 살류트이며, 미국의 우주정거장 스카이래브(sky-lab)는 1973년에 지구궤도에 올려져 1980년까지 사용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우주정거장은 1986년 소련이 쏘아올린 미르이다. 무엇보다 이 시기의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는 1972년 5월 미국과 소련간의 협정 조인에 따라 1975년 7월 15일 미국과 소련의 우주경쟁을 마감하는 협조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소련이 발사한 소유스 19호가 궤도에 오른 뒤 미국의 아폴로 18호가 지상을 출발하여 궤도상에서 도킹하여 공동실험을 한 뒤에 다시 분리한 뒤 무사히 자기 나라로 귀환했다. 이것을 ASTP(Apollo-Soyuz Test Project)라고 부르며 이것을 끝으로 제2기의 우주개발의 막은 내렸다.

4) 제3기
미국내에서는 베트남전쟁의 격화와 군비(軍費) 증가로 정부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지자 급속히 우주개발 관계의 비용도 삭감되어 이 일에 종사하는 인원도 감원되었다.

따라서 바이킹계획, 보이저계획, 스페이스 셔틀계획 등을 제외한 많은 우주개발계획이 취소되었으며, 개발비용 삭감으로 그 개발진행의 속도도 늦어졌다. 이런 미국 사정과는 달리 다른 일본이나 유럽 여러 나라는 오히려 활발한 활동을 보였으며, 소련도 1970년대에는 매년 100대 이상의 각종 위성을 발사하였다.]

미국은 30대가 평균대수이었던 것에 비하면 큰 대조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양적 측면뿐만이 아니었다.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은 14kg이었던 것이 1970년대 말에는 10t을 넘는 것이 만들어졌다. 제3기의 업적으로는 유인우주선으로 어떤 천체를 정복하는 대단한 성과는 없었으나 화성·목성·토성 등 행성에 대한 탐사가 이루어져 새로운 우주개발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1966년 소련의 비너스 3호가 금성으로 발사되었고, 1975년·1976년 미국의 바이킹 1·2호가 화성에 착륙, 화성 표면이 붉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과 생물이 살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밖에도 1977년 보이저 1·2호로 목성의 고리를 발견하였고, 1980년·1981년에는 보이저호를 토성에 발사하여 토성 사진을 구하기에 이르렀다. 1986년에는 천왕성, 1989년에는 해왕성으로 발사되어 각각 행성 사진을 보내오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1980년대부터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번 사용하면 폐기해야 하는 로켓을 대신할 우주왕복선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3월 22일 - 아틀란티스(Atlantis)가 미르(Mir)와 세번째 도킹을 한다.ㅎㅎ
- 우주선의 만들게 된 동기
 
달에 표면이나 다른 별의 상태를 연구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함니다.

그러면 무인우주선만 보내도 되지만 유인우주선을 보내는 이유는 유인우주선을

보내게 될 경우 다른나라로부터 기술력과 각종 기술을 인정받을 수 있음니다.
- 우주개발된 미래의 생활

인류의 우주여행의 꿈이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작년에만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갑부들이 각각 수백억 원의 거액을 내고 민간인으로 는 처음으로 러시아 우주선으로 우주를 관광했다. 그런데 작년 영국 BBC방송은 재사용 가능한 로켓을 이용해 7년 후면 우리나라 돈 1900 만 원 정도면 우주관광을 즐길 수 있으리라고 보도하였다. 우주 왕복 성 공에 이어 앞으로 우주개발은 탐사보다는 실용화에 비중이 두어지리라 는 관측이다. 우주정거장에 이어 우주공장, 우주제약소, 우주도시, 우주 농장, 우주군사기지의 건설과 달 등 행성으로의 인구 이주 등 지구 주변 의 생활이용이 우주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소 연료를 원자로에서 전기적으로 가속시켜 분출시키는 이온로켓이 새로운 우주선 엔진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빛을 분사시켜 그 반동으로 추진되는 광자우주선 등이 타 은하계 탐사용으로 거론되고 잇다. 채연석 한국항공 우주연구원 선임 연구부장은 “오는 2005년 우리 땅에서, 우리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발사할, 우주 발사체의 개발도 시작됐다”며“우리나라 도 본격적인 우주개발 과정에 들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 개발은 다른 첨단 산업 분야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로켓이나 인공위성을 개발하

는 데에는 여러 가지 첨단 기술이 이용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소형 인공위성 발사

를 시작으로, 우주 개발,연구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우주여행의 꿈이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작년에만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갑부들이 각각 수백억 원의 거액을 내고 민간인으로 는 처음으로 러시아 우주선으로 우주를 관광했다. 그런데 작년 영국 BBC방송은 재사용 가능한 로켓을 이용해 7년 후면 우리나라 돈 1900 만 원 정도면 우주관광을 즐길 수 있으리라고 보도하였다. 우주 왕복 성 공에 이어 앞으로 우주개발은 탐사보다는 실용화에 비중이 두어지리라 는 관측이다. 우주정거장에 이어 우주공장, 우주제약소, 우주도시, 우주 농장, 우주군사기지의 건설과 달 등 행성으로의 인구 이주 등 지구 주변 의 생활이용이 우주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소 연료를 원자로에서 전기적으로 가속시켜 분출시키는 이온로켓이 새로운 우주선 엔진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빛을 분사시켜 그 반동으로 추진되는 광자우주선 등이 타 은하계 탐사용으로 거론되고 잇다. 채연석 한국항공 우주연구원 선임 연구부장은 “오는 2005년 우리 땅에서, 우리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발사할, 우주 발사체의 개발도 시작됐다”며“우리나라 도 본격적인 우주개발 과정에 들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 개발은 다른 첨단 산업 분야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로켓이나 인공위성을 개발하

는 데에는 여러 가지 첨단 기술이 이용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소형 인공위성 발사

를 시작으로, 우주 개발,연구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주 생활방법

호흡하기

조정 우주선은 승무원이 호흡할수 있는 산소와 승무원이 발산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장치가 창작 되어있다.

음식물 공급

우주 비행사들은 물을 마실때 스트로를 이용해 물을 마셨다 .

비행사들은 모든것에 물을 말아 먹었다고 한다.

목욕

젖은 수건으로 스펀지 목욕을 하는것이다.

우주 비행사들이 우주 정거장에서 최초로 사용한 것은 완전히 동봉되면서 접혀지는 플라스틱 샤워장이었다.

 이정도면 되겠죠??       더 필요하신 자료가 있으시면 인터넷에 치셔서 찾아보세요^^

답변확정 부탁드려요~

 

 

 




우주개발의 필요성:

1. 지구의 자원은 거의 고갈되었으므로 마지막인 우주로 나가기 위해서 필요함

 

우리나라 우주개발 계획은 어느정도 수준?

1.  위성개발

현재 통신해양 기상위성(정지위성) 성공

아리랑 1,2 호 성공

무궁화 호 성공

과학기술위성1호 성공

2. 발사체 개발

고체 시험 로켓 성공

액체 실험 로켓 성공

나로호 실패

우주개발에 대해

저는 5학년인데요 숙제인데 우주개발에 대해알려주세요 - 우주의 음식 냉장고가 없는 우주에서 먹기위해 40도 진공상태에서 수분을 모두 제거한상태로...

우주개발에 대해 알려주세요.

제가 초등학교 5학년인데 우주개발에 대해알려주세요 . 요약해서 알려주세요. 사진도 있으면 좋겠네요. 잘 답변하신분에게 내공 50드릴께요 ~ ♡♥ 안녕하세요. 한국의 지식인이...

우주개발에 대해 궁금해요

우주개발이 왜 필요한건지 알려주세요 우주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아직까지 느끼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근데 엄연히 따지자면 더 이상 지구가 우리의 터전의 역할을 하지...

우주개발에 대해....

... 우주개발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일요일 까지 입니다.. 우주 개발의 시도는 많았지만 최초로 우주에 다다른 지구의 물체는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우주개발에 대해 알려주세요 ......

... 우주개발에 대해 알려주세요 !! >ㅁ< 잘아시는분 ~~ 글올려주시고 내공 팍팍줌 #우주개발의 영향 및 뜻 #영향: 대기권 밖의 우주공간에 관측기기나 인간을 내보내어 새로운...

첨단산업중우주개발에대해알려주세요......

... 첨단산업중에서 우주개발에대해 알려주세여...... 11시30분정도까지..... 부탁해여....... 길게해주셔도되고,...........짧게해주셔도되여....... 알려만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여....

우주개발에 대해 숙제 해야 되요ㅠㅠ

... 우주개발에 대한 그런 정보가 좀 필요해서. 내공10 드림 . 우주 개발의 영향과 의의 (1) 영향 : 대기권 밖의... 이 우주 개발이다. 2. 우주 개발의 장 ․ 단점 (1) 장점 ① 지구에...

우주개발&인공지능 관련해서 질문이...

... 국민들은 우주개발에 대해 상관 없다는 듯이 말하고, 국회의원들은 이를 알고 우주개발에는 거의 돈을 안쓸겁니다.그니까 방법은 우주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