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용어정리

수학용어정리

작성일 2009.01.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학용어좀 정리해주세요....밑에써논데로 내공100걸어요

 

7-가

I 단원 용어정리

1.집합

2.원소

3.원소나열법

4.조건제시법

5.유한집합

6.무한집합

7.공집합

8.부분집합

9.교집합

10.합집합

11.n(A)

12.여집합

13.A에대한B의 차집합

14.소수

15.소인수

16.소인수분해

17.서로소

18.최대공약수

19.최소공배수

20.십진법

21.십진법의 전개식

22.이진법

23.이진법의 전개식

 

III 단원 용어정리

1.정수

2.유리수

3.절댓값

4.덧셈의 결합법칙

5.덧셈의 교환법칙

6.곱셉의 교환법칙

7.곱셈의 결합법칙

8.분배법칙

9.역수

 

II 단원 용어정리

1.대입

2.식의값

3.항

4.상수항

5.다항식

6.단항식

7.계수

8.차수

9.일차식

10.동류항

11.등식

12.방정식

13.미지수

14.해,근

15.항등식

16.이항

17.일차방정식

18.농도

 

IV 단원 용어정리

1.정비례

2.반비례

3.변수

4.함수

5.함숫값

6.정의역

7.치역

8.공역

9.순서쌍

10.좌표

11.X축

12.Y축

13.좌표축

14.좌표평면

15.함수의 그래프

 

7-나

I 단원 용어정리

1.변량

2.계급

3.계급값

4.도수

5.도수분포표

6.히스토그램

7.도수분포다각형

8.상대도수

9.누적도수

10.계급의 크기

 

II 단원 용어정리

1.도수분포표에서의 평균

2.평면에서의 두N 직선의 위치관계

3.공각에서의 두 직선의 위치관계

4.동위각

5.엇각

6.평행선과 동위각,엇각의 크기

7.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8.선분의 수직이등분선

9.각의 이등분선

10.삼각형의 결정조건

11.합동인 도형의 성질

12.삼각형의 합동조건

 

III 단원 용어정리

1.다각형

2.삼각형의 내각과 외각의 성질

3.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4.n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

5.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

6.정n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

7.원

8.호와 현

9.부채꼴

10.활꼴

11.부채꼴의 호의 길이

12.부채꼴의 넓이

13.다면체

14.회전체

15.각뿔대

16.원뿔대

17.뿔의 겉넓이

18.뿔의 부피

19.구의 부피

20.구의 겉넓이

 


#수학용어정리 #고등 수학용어정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sup213입니다.

답변 드립니다. ^_^

 

 

 

 

순서대로 쓰기엔 좀 그렇네요.. 제가 저번에 이거 집필 했는데. ㄱ ~ ㅎ 글자 순으로 집필을 했었어요..

님이 보고 찾으셔서 쓰기를 바랍니다..

 

혹시 모르니 사이트 알려 드릴게요.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eid=gH/ze4nF86R+5sabmfRACAnlOcbrxf3T

 

 

가감법: 연립방정식의 해법으로서 두 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해서 두 식의 양변을 변변이 더하거나 빼어 한 개의 미지수를 소거한 다음 방정식을 푸는 방법이다.

가정: 어떤 명제에서 조건을 의미한다.

가평균: 어떤 자료의 평균을 임시로 어림잡은 값을 가평균이라 한다. 이 가평균과 원자료와의 편차를 고려하여 평균을 구하는 데 사용한다.

 각(angle):한 점에서 두 사선에 의해 만들어진 도형으로, 종류로는 평각, 직각, 예각, 둔각, 동위각, 맞꼭지각, 엇각, 내각, 외각, 대각, 내대각, 중심각, 원주각 등이 있음.

각뿔(pyramid): 뿔체 중에서 밑면이 다각형인 것

각뿔대(frustum of pyramid): 각뿔을 밑면에 평행이고 꼭지점을 지나지 않는 평면으로 잘라 꼭 지점의 부분을 없앤 입체

각의 꼭지점(vertex of angle): 각의 두 변의 교점

각의 변(side of angle) : 각을 만드는 두 개의 사선

각의 이등분선(bisection of angle) : 임의의 각을 2등분한 사선

거듭제곱(power, repeated square): 어떤 수나 문자를 거듭하여 곱한 것

결론: 명제 'p 이면 q이다.'에서 q를 의미하며 종결부분을 말한다.

결합법칙(associative law): 결합률이라고도 하며 덧셈 곱셈에 대하여

   x + ( y + z ) = (x + y ) + z
   x(yz) = (xy)z 

이 성립하는 것을 말함

계급(class) : 도수분포표에서 자료의 측정 내용을 구간별로 나눈 것

계급값 :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자료값

계급의 크기(class interval):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의 구간 폭을 의미함

계수(coefficient): 어떤 식에서 한 문자에 착안할 경우 그 문자의 이외의 수를 말함

공배수(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배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소인 수를 최소공배수라 한다.

공약수(common divisor):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약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대인 수를 최대공약수라 한다. 공인수라고도 함.

공역(codomain):  X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영역

공집합(empty set, null set):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  기호로는

  {  }, Ф를 사용함

공통내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의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양쪽에 있는 것을 말한다.

공통외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의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같은 쪽에 있는 것 을 말한다.

공통인수: 공통인자라고도 하며 다항식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항에 공통인 인수를 그들 항의 공통인수라 한다.

공통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을 말한다.

공통접선의 길이: 두 개의 원의 공통접선에서 두 접점간의 거리를 말한다.

공통현: 두 개의 원에 공통인 현을 말한다.

교각(angle of intersection): 두 직선 또는 두 곡선의 교각

교선(line of intersection): 두 평면이 오직 한 직선을 공유할 때에 만난다라고 하며 그 직선을 두 평면의 교선이라고 한다.

교점(point of intersection): 두 직선이 만나는 한 점

교집합(intersection set): 집합 A와 집합 B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는 원소 전체의 공통부분의 집합

교환법칙(commutative law): 두 수 a, b에 대하여 a + b = b + a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함

구(sphere):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공간의 점의 자취(공)이다.

근(root): 방정식의 해 또는 해집합을 말한다.

근사값: 참값을 반올림, 버림을 하여 얻거나, 어떤 측정에 의하여 얻은 측정값과 같이 참값대신 사용하는 참값에 가까운 값을 말한다.

근의 공식: 방정식의 계수를 써서 그 근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으로 2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있다.

근호: 근의 기호, 루트(root)라고도 하며 수의 거듭제곱근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기대값: 불확실한 현상에 대한 기대되는 값으로, 어떤 변량에 그 변량의 확률을 곱하여 더한 값을 말한다.

기울기: 경사라고도 하며 x 의 증가에 대한 y의 증가의 비율을 말한다.

꼬인 위치: 공간에서 두 직선이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은 위치

꼭지점: 두 선분의 교점이나 3개이상의 모서리의 공통된 끝점을 말함


내각(internal angle):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두 변이 만드는 각 중 도형의 내부에 있는 각

내대각: 다각형에서 한 꼭지점에서의 외각과 접하고 있지 않은 내각들을 그의 내대각이라고 한다.

내심: 삼각형의 내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내접다각형: 모든 꼭지점이 원주 위에 있는 다각형을 말한다.

내접원: 어떤 도형에 내접하는 원을 말한다.

누적도수(cumulative 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도수를 더하여 누적해 가는 도수

다각형(polygon): 한 평면 위에서 3개이상의 선분으로 닫힌 도형

다면체(polyhedron): 몇 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다항식(polynomial): 두 개 이상의 단항식들이 대수적으로 합해져 있는 식

단일폐곡선(simple closed curve): 단일 연속곡선의 양끝이 일치하고 있는 곡선

단항식(monomial): 숫자와 몇 개의 문자의 곱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식

닮음: 두 도형을 이동하거나 확대 축소하여 서로 겹치게 할 수 있을 때 닮았다고 한다.

닮음의 위치: 두 개의 도형 위의 점들이 1:1 대응이 만들어지고 그 대응하는 점을 잇는 직선이 모 두 한점 O에서 만나 그것이 O에 의하여 모두 같은 비로 내분되거나 외분되어 있을 때 이를 닮음의 위치에 있다라고 한다.

닮음의 중심: 두 도형이 닮음의 위치에 있을 때 이 중심 O를 말한다.

대각선(diagonal):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는 꼭지점을 잇는 선분

대변(opposite side): 삼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 혹은 사각형의 한 변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을 의미함

대응(correspondence): 한 집합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다른 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생각하는 하나의 규칙을 의미함

대입(substitution): 식 또는 함수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되는 문자나 변수를 그것과 같은 다른 것 으로 바꾸어 놓는 것

대입법: 연립방정식을 풀 경우, 한 식에서 한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정돈 표현하여 그것을 다른 식에 대입하여 하나의, 미지수를 소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값: 자료의 특징이나 경향을 가리키는 하나의 수의 값을 말하며, 종류로는 평균, 중위수, 최빈값 등이 있다.

도수(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에 나타나는 자료의 개수

도수분포다각형(frequency polygon): 도수분포표를 히스토그램으로 옮겼을 경우 이 기둥의 각 정 점을 이은 도수꺾은선을 말한다.

도수분포표(frequency table): 각 계급에 각각의 도수를 기록한 표

동류항(like term, similar terms): 수계수 이외의 문자인수가 모두 같은 단항식을 말한다.

동심원: 같은 중심을 가지고 반지름의 크기가 다른 원을 말한다.

동위각(corresponding angle): 두 직선에 다른 한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같은 위치의 각을 말함

둔각(obtuse angle): 직각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을 말한다.

등식: 양변에 각 항들을 등호로 연결한 식

맞꼭지각(vertically opposite angle):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각을 말한 다.

명제: 거짓과 참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말한다.

모선(generator): 기둥면을 이루는 하나의 모서리의 직선을 말한다.

뫼비우스띠(Mobius band): 긴 직사각형을 한 번 비꼬아서 대변을 서로 맞붙인 도형으로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도형이다.

무게중심: 삼각형에서 세 중선의 교점을 말한다.

무리수: 실수 중에서 유리수가 아닌 수를 무리수라고 하며 이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이다.

무한소수: 소수점아래 한없이 유효숫자가 계속되는 소수를 말한다.

무한집합(infinite set): 한 집합에 속한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인 집합

미지수: 아직 결정되지 않은 수 혹은 아직 구체적인 값이 안 알려진 수

밑: 거듭 제곱수에서 지수 밑에 쓰여진 수

반직선(half line): 한 직선을 한 점에 의해 두 개로 나눌 때 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양쪽부분을 각각 반직선이라고 한다.

방심: 삼각형의 한 내각의 2등분선과 두 외각의 2등분선이 만나는 점을 방심이라고 한다.

방정식(equation): 등식에서 한 문자에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할 때에 한하여 등식이 성립하는 식

배수(multiple): 어떤 수의 정수배를 배수라 한다.

부등식: 수학의 식이 등호가 아닌 부등호로 연결되어 있는 식

분모유리화: 분모에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이나 수를 분모에 근호가 없는 식으로 변환하는 것

분산(variance): 각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

사건(event): 확률실험에서 한 시행의 결과에 의해 발생하는 일

사인: 삼각함수와 삼각비의 하나로 직각삼각형에서의 높이/빗변을 의미한다.

산포도: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삼각비: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비를 각각 말하는 것으로 사인은 높이/빗변, 코사인은 밑변/빗변, 탄젠트는 높이/밑변의 비의 값을 의미한다.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면 양의 상관 관계,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감소하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상관도: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

상관표: 두 변수를 수평축과 수직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각 개체를 나타낸 표를 말한다.

상대도수(relative frequency): 각 계급의 도수를 전체도수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상수항(constant term):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항

서로소(relatively prime): 두 정수 사이에 1 이외의 공약수가 없을 때를 서로소라 한다.

선분(segment): 직선위에서 그 위의 두 점사이에 한정된 직선의 한 부분

소거: 연립방정식에서 어떤 문자를 다른 미지수로 표현하여 그 문자를 없애는 방법이다.

소수(prime number): 1이 아닌 자연수 중에서 1과 그 수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자연수

소인수(prime factor): 어떤 자연수의 약수를 인수라 하며 이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

소인수분해(factorization in prime factors): 합성수를 그의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수선(perpendicular): 어떤 일정한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r):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도는 평면과 만나는 점

수심: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교점을 말한다.

수직(perpendicularity):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두 도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를 말하며 여기에는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직교함을 말한다.

수직이등분선(perpendicular at midpoint): 주어진 선분의 중점에서 그 선분에 수직인 선

순서쌍(ordered pair): 순서가 정해진 두 원소의 쌍 (a,b)를 말함

순환마디: 순환소수에서 반복되는 숫자의 열을 순환마디라 한다.

순환소수: 무한소수로서 소수점이하의 일정한 숫자열이 계속 반복되는 소수를 말한다.

식의 값(numerical value of expression): 일정한 식의 문자에 수치를 대입하여 얻은 값

실수: 유리수와 무리수를 합하여 실수라 부른다.

십진법(decimal system): 10개씩을 모아 한 자리씩을 윗자리로 올라가게 하는 수의 표기법

쌍곡선(hyperbola):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의 자취

약수(divisor): 어떤 수를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

양변(both sides): 등식 또는 부등식에 있어서 왼쪽 변과 오른쪽 변을 모두 일컫는 말

양수(positive number): 0 보다 큰 수를 의미한다.

양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는 경우를 말함

양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양의 정수: 정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엇각(alternate interior angles): 어떤 두 직선에 한 직선이 만날 때 두 직선에 의한 내부각 중에 서로 엇갈려 있는 두각을 엇각이라 한다.

여집합(complement): 전체집합과 그 부분집합이 있을 때 이 부분집합에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구 성된 집합

역(converse): 조건문 'p 이면 q이다'에서 가정과 결론을 바꾸어 ' q이면 p이다' 라고 할 때 이를 역이라 한다.

역수(invers number): 1을 어떤 수 a로 나누어 얻은 수, 즉 1/a

연립방정식: 몇 개의 등식을 짝으로 한 방정식

연립부등식: 몇 개의 부등식으로 짝을 이룬 부등식

연립일차방정식: 연립방정식에서 그 속의 방정식의 차수가 가장 높은 것이 1차인 것을 말한다.

예각(acute angle): 0도와 90도 사이의 각의 크기를 말한다.

오진법(quinary): 수 0,1,2,3,4를 사용하여 5씩을 정리하여 한자리씩 윗자리로 올리는 표시방법

오차의 한계: 오차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참값으로부터의 측정값이 얻어지는 범위를 정한 것

오차: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말한다.

완전제곱식: 어떤 식이 다른 식의 제곱꼴로 완전히 표시 될 때 이를 완전제곱식이라 한다.

외각(external angle): 다각형에서 하나의 변과 그것에 이웃하는 변의 연장과 이루는 다각형의 외부의 각

외심: 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외접다각형: 각 변이 한 원에 접하고 있는 다각형

외접: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하나의 원 주위에 있을 때 이를 원이 외접한다고 한다.

외접원: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한 원 주위에 있을 때 이 원을 외접원이라고 한다.

우변(righ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오른쪽에 있는 변

원(circle): 평면 위에서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

원뿔(circular cone): 평면 위의 한 곡선 a를 택하여 평면 위에 없는 한 점 b와 곡선 a위의 모든 점을 이은 직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곡면을 뿔면이라고 하고 특히 평면 위의 곡선이 원이면 원뿔이라고 한다.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자르고 꼭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을 없앤 공간도형을 말한다.

원소(element): 요소라고도 하며,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사물들을 원소라고 한다.

원소나열법: 집합을 표시하는데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여 표시하는 방법

원점(origin): 직선 상에서 좌표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

원주(circumference): 원의 둘레를 의미함

원주각: 원주상의 한점을 꼭지점이라고 하고 그 원의 두 개의 현을 변으로 하는 각을 말한다.

유리수(rational number): 두 개의 정수 a, 0이 아닌 b를 취하여 분수 a/b의 꼴로 나타내어 지는 수

유한소수: 무한소수에 대해 소수점이하에 유한 개의 수가 있는 소수

유한집합(finite set): 원소의 수가 유한 개로 이루어지는 집합

유효숫자: 근사값이나 측정값의 윗자리에서 의미가 있는 숫자를 말한다.

음수(negative number): 0보다 작은 수

음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은 감소하는 경우를 말함

음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음수인 수

음의 정수(negative integer): 음의 정수 -1, -2, -3, ....을 말하는 정수 중에 음수를 말함

이진법(binary notation): 숫자 0, 1만을 사용하여 2개씩을 묶어서 윗자리로 올리는 표기법이다.

이차방정식: 방정식에서 차수가 2차인 식을 말한다.

이차함수: 2차식으로 표현되는 함수를 말한다. y=ax^2 + bx + c 꼴임

이항(transposition of terms): 등식이나 부등식에서 항의 부호를 바꾸면서 이동시키는 것

인수분해: 수를 소수의 곱으로 표시하면 이는 유일하게 표시되고 이를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또한 정식에서는 한 식이 두 개이상의 식의 곱으로 나타낼 경우 이를 인수분해라고 하는데 더 이상 인수로 분해할 수 없을 때까지의 곱의 형태를 취한다.

인수: 어떤 수나 식이 다른 수나 식들의 곱으로 표시 될 때 이들을 인수라 한다.

일차방정식(linear equation): 정리하여 미지수에 대한 1차식만을 포함하는 방정식을 말한다.

일차부등식: 최고 차수의 항이 1차인 부등식을 말한다.

일차식(linear expression): 차수가 1차인 항을 말한다.

일차함수: 차수가 1차인 함수를 말하며 y=ax +b형태를 취한다.

작도(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에 맞는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하며, 기하학에서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한다.

전개: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행동

전개식: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 태로 만든 식

전체집합(universal set): 하나의 집합을 정하고 이 집합의 부분집합을 고찰하는 대상으로 할 경우 이 원래의 집합을 전체집합이라고 한다.

절대값(absolute value): 양, 음의 수의 부호를 없앤 수로 양수와 0은 그 수 자신이며 음수는 부호를 없앤 수이다.

절편: 한 직선이 좌표축과 만나서 축을 자르게 되는 점을 절편이라고 한다. 예로 x절편, y절편

접선(tangent line): 원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면 할선, 한 점에서 만나면 이 직선을 접선이라 한다.

접선의 길이: 원 밖의 한 점에서 접선을 그은 경우 한 점에서 접점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접점(point of contact): 곡선 또는 곡면의 접선 또는 접평면이 그 곡선 또는 곡면과 접하는 점 을 말한다.

정다각형(regular polygon):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도 모두 같은 다각형을 말한다.

정다면체(regular polyhedron): 다면체중에서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되어 있고 어느 꼭지점에서도 모이는 면의 수가 같고 입체각도 같은 것을 말한다.

정리(theorem): 수학적 논증의 결과 옳다는 것이 증명된 사항 중 중요한 것을 말한다.

정수(integer): 자연수, 0, 음의 정수를 합쳐서 정수라 한다.

정의(definition): 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을 정확히 일의적으로 규정한 문장이나 식.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 함수가 X에서 Y에로의 함수 일 때 X의 영역을 말함

제곱근: 제곱하여 a 가 되는 수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

조건제시법: 집합을 표시할 때 원소의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

좌변(lef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왼쪽에 있는 변

좌표(coordinates): 수직선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단위길이를 정한다음 임의 점 p에 대하여 그 매겨진 수를 점 P의 좌표라고 한다.

좌표축(coordinates axis): 직교좌표계 또는 사교좌표계 O-xy에서 수직선 Ox와 Oy를 각각 x 축, y축이라 하고 이 둘을 합쳐 좌표축이라고 한다.

좌표평면(coordinate plane): 공간의 직교좌표계 O-xyz 에 대하여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xy평면 , y축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yz평면 , z축과 x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zx평면이라고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좌표평면이라고 한다.

중근: 2차방정식에서 판별식 D=0일 때 갖게되는 두 근이 중복된 경우의 근을 중근이라 한다.

중선: 삼각형의 꼭지점과 그 대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그 삼각형의 중선이라 한다.

중심각(central angle): 중심이 O인 원의 호 AB에 대하여 각 AOB를 호 AB에 대한 중심각이라고 한다. 중심각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두배이다.

중심거리: 두 원의 중심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중심선: 두 원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말한다.

중점(middle point): 2등분점이라고 하며, 선분 위의 양 끝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 다.

중점연결의 정리: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잇는 선분은 제 3의 변에 평행이고 길이는 그 절반과 같다.

증명: 논증이라고도 하며 참이라고 인정되는 몇 개의 명제로부터 유효한 추론에 의해 다른 명제가 참임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지수(index number): 물가나 임금 등과 같이 해마다 변하는 것의 변화를 알아보기 쉽도록,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이것을 100으로 잡아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하나는 거듭제곱에서 밑에 대하여 제곱하게 되는 수를 말한다.

직각(right angle): 각의 크기가 90도 인 각

직교: 두 직선이나 평면이 교차하는 경우 그 교각이 90도인 경우 직교한다고 한다.

직선의 방정식: 평면 위에서 직선의 모양을 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y=ax +b꼴로 나타낸다.

집합(set): 집합은 식별이 분명한 원소들로 구성된 모임을 말하고, 집합론에서 무정의용어로 취급된다.

짝수점(even point): 한붓그리기 문제에서 길이 짝수 개만 있는 점을 말한다.

차집합(difference of two sets):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말하며 A-B로 표기한다.

참값: 일정한 측정에 의하여 알려고 하는 양의 정확한 값을 말한다.

최대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큰 값을 말한다.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measure): 두 개 이상의 공약수중에서 최대인 것을 말함

최소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말한다.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공배수 중에서 최소인 것을 말함

축: 좌표평면에서 기준이 되는 선을 말하며 평면에서는 x축, y축이 있다.

측정값: 어떤 계측기를 사용하여 관측을 한 값으로 이는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치역(range): X 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하는 범위

코사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밑변/빗변의 비의 값이다.

탄젠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높이/밑변의 비의 값이다.

편차: 어떤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이를 말한다.

평각(straight angle): 각의 두 변이 꼭지점의 양쪽에 있고, 한 직선을 이룰 때 이 각을 평각이라고 하고 180도를 의미한다.

평균: 변량들의 값을 총 도수로 나눈 값

평행(parallel):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이를 두 직선이 평행한다고 한다.

평행사변형: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4변형을 말한다.

평행선(parralel curve): 평면 위의 하나의 곡선을 따라서 그 곡선과 공통의 법선을 갖는 곡선을 원래의 곡선과 평행이라고 한다.

평행이동: 평면 위에서 점이나 도형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것을 말함

포물선: 정해진 한 점과 한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를 말한다.

표준편차: 편차의 제곱합을 총 도수로 나눈 다음 제곱근을 취한 것으로 자료의 흩어짐 정도를 재는 척도이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각각의 제곱의 합과 같다.

한붓그리기: 평면 위에 어떤 도형을 그릴 경우 한 번 붓을 댄 이후에는 떼지 말고 그리고 같은 선을 다시 지나는 일이 없도록 그리는 방법

할선(secant line): 원 밖의 한 점으로부터 그은 직선이 원 위의 두 점을 지나 원을 자르는 경우. 이 때의 선을 할선이라 한다.

함수값: 어떤 함수에서 정의역 x의 값을 대입하면 치역 y값이 결정되는데 이 값을 함수값이라 한다.

함수: 두 개의 변수 사이에 어떤 대응관계가 있어 x값이 정해지면 y의 값이 오직 한 개가 대응하는 관계를 함수라 한다.

함수의 그래프: X 에서 Y에로의 함수를 좌표평면 위의 (x,y)좌표로서 그래프로 표현한 것

합동(congruent): 두 개의 도형이 운동에 의해 완전히 포개질 경우 이를 합동이라 한다.

합성수(composite number): 1과 자신의 수 이외의 약수를 갖는 수를 말한다. 즉 소수가 아닌 1보다 큰 수를 일컫는다.

합집합(union set): 두 개의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거나, 혹은 두 집합 모두에 속한 모든 원소의 집합을 말함

항(term): 수나 문자들의 곱(상)이나 합(차)으로 이루어진 식을 항이라 부른다.

항등식(identity): 등식에서 그 속의 문자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언제나 성립하는 식

해(solution): 근이라고도 하며 어떤 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의미한다.

현(chord): 원주 위의 두 점을 맺는 선분을 말한다.

호(arc): 원주의 일부분을 말한다.

홀수점: 한붓그리기 문제에서 길이 홀수개만 있는 점을 말한다.

확률: 하나의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수로 나타낸 것으로 수학적 확률과 경험적 확률이 있다.

활꼴(segment): 원의 호와 그 양끝을 잇는 현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형

회전체(solid of revolution): 평면도형을 그 평면 위에서 한 직선을 축으로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입체를 회전체라고 한다.

히스토그램(histogram): 도수분포표를 나타내는 일종의 그래프이다. 수평축에 계급구간을, 수직 축에 도수나 도수밀도(상대도수밀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상입니다-

-답변확정부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sup213입니다.

답변 드립니다. ^_^

 

 

 

 

순서대로 쓰기엔 좀 그렇네요.. 제가 저번에 이거 집필 했는데. ㄱ ~ ㅎ 글자 순으로 집필을 했었어요..

님이 보고 찾으셔서 쓰기를 바랍니다..

 

혹시 모르니 사이트 알려 드릴게요.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eid=gH/ze4nF86R+5sabmfRACAnlOcbrxf3T

 

 

가감법: 연립방정식의 해법으로서 두 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해서 두 식의 양변을 변변이 더하거나 빼어 한 개의 미지수를 소거한 다음 방정식을 푸는 방법이다.

가정: 어떤 명제에서 조건을 의미한다.

가평균: 어떤 자료의 평균을 임시로 어림잡은 값을 가평균이라 한다. 이 가평균과 원자료와의 편차를 고려하여 평균을 구하는 데 사용한다.

 각(angle):한 점에서 두 사선에 의해 만들어진 도형으로, 종류로는 평각, 직각, 예각, 둔각, 동위각, 맞꼭지각, 엇각, 내각, 외각, 대각, 내대각, 중심각, 원주각 등이 있음.

각뿔(pyramid): 뿔체 중에서 밑면이 다각형인 것

각뿔대(frustum of pyramid): 각뿔을 밑면에 평행이고 꼭지점을 지나지 않는 평면으로 잘라 꼭 지점의 부분을 없앤 입체

각의 꼭지점(vertex of angle): 각의 두 변의 교점

각의 변(side of angle) : 각을 만드는 두 개의 사선

각의 이등분선(bisection of angle) : 임의의 각을 2등분한 사선

거듭제곱(power, repeated square): 어떤 수나 문자를 거듭하여 곱한 것

결론: 명제 'p 이면 q이다.'에서 q를 의미하며 종결부분을 말한다.

결합법칙(associative law): 결합률이라고도 하며 덧셈 곱셈에 대하여

   x + ( y + z ) = (x + y ) + z
   x(yz) = (xy)z 

이 성립하는 것을 말함

계급(class) : 도수분포표에서 자료의 측정 내용을 구간별로 나눈 것

계급값 :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자료값

계급의 크기(class interval):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의 구간 폭을 의미함

계수(coefficient): 어떤 식에서 한 문자에 착안할 경우 그 문자의 이외의 수를 말함

공배수(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배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소인 수를 최소공배수라 한다.

공약수(common divisor):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약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대인 수를 최대공약수라 한다. 공인수라고도 함.

공역(codomain):  X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영역

공집합(empty set, null set):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  기호로는

  {  }, Ф를 사용함

공통내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의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양쪽에 있는 것을 말한다.

공통외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의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같은 쪽에 있는 것 을 말한다.

공통인수: 공통인자라고도 하며 다항식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항에 공통인 인수를 그들 항의 공통인수라 한다.

공통접선: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을 말한다.

공통접선의 길이: 두 개의 원의 공통접선에서 두 접점간의 거리를 말한다.

공통현: 두 개의 원에 공통인 현을 말한다.

교각(angle of intersection): 두 직선 또는 두 곡선의 교각

교선(line of intersection): 두 평면이 오직 한 직선을 공유할 때에 만난다라고 하며 그 직선을 두 평면의 교선이라고 한다.

교점(point of intersection): 두 직선이 만나는 한 점

교집합(intersection set): 집합 A와 집합 B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는 원소 전체의 공통부분의 집합

교환법칙(commutative law): 두 수 a, b에 대하여 a + b = b + a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함

구(sphere):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공간의 점의 자취(공)이다.

근(root): 방정식의 해 또는 해집합을 말한다.

근사값: 참값을 반올림, 버림을 하여 얻거나, 어떤 측정에 의하여 얻은 측정값과 같이 참값대신 사용하는 참값에 가까운 값을 말한다.

근의 공식: 방정식의 계수를 써서 그 근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으로 2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있다.

근호: 근의 기호, 루트(root)라고도 하며 수의 거듭제곱근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기대값: 불확실한 현상에 대한 기대되는 값으로, 어떤 변량에 그 변량의 확률을 곱하여 더한 값을 말한다.

기울기: 경사라고도 하며 x 의 증가에 대한 y의 증가의 비율을 말한다.

꼬인 위치: 공간에서 두 직선이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은 위치

꼭지점: 두 선분의 교점이나 3개이상의 모서리의 공통된 끝점을 말함


내각(internal angle):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두 변이 만드는 각 중 도형의 내부에 있는 각

내대각: 다각형에서 한 꼭지점에서의 외각과 접하고 있지 않은 내각들을 그의 내대각이라고 한다.

내심: 삼각형의 내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내접다각형: 모든 꼭지점이 원주 위에 있는 다각형을 말한다.

내접원: 어떤 도형에 내접하는 원을 말한다.

누적도수(cumulative 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도수를 더하여 누적해 가는 도수

다각형(polygon): 한 평면 위에서 3개이상의 선분으로 닫힌 도형

다면체(polyhedron): 몇 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다항식(polynomial): 두 개 이상의 단항식들이 대수적으로 합해져 있는 식

단일폐곡선(simple closed curve): 단일 연속곡선의 양끝이 일치하고 있는 곡선

단항식(monomial): 숫자와 몇 개의 문자의 곱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식

닮음: 두 도형을 이동하거나 확대 축소하여 서로 겹치게 할 수 있을 때 닮았다고 한다.

닮음의 위치: 두 개의 도형 위의 점들이 1:1 대응이 만들어지고 그 대응하는 점을 잇는 직선이 모 두 한점 O에서 만나 그것이 O에 의하여 모두 같은 비로 내분되거나 외분되어 있을 때 이를 닮음의 위치에 있다라고 한다.

닮음의 중심: 두 도형이 닮음의 위치에 있을 때 이 중심 O를 말한다.

대각선(diagonal):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는 꼭지점을 잇는 선분

대변(opposite side): 삼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 혹은 사각형의 한 변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을 의미함

대응(correspondence): 한 집합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다른 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생각하는 하나의 규칙을 의미함

대입(substitution): 식 또는 함수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되는 문자나 변수를 그것과 같은 다른 것 으로 바꾸어 놓는 것

대입법: 연립방정식을 풀 경우, 한 식에서 한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정돈 표현하여 그것을 다른 식에 대입하여 하나의, 미지수를 소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값: 자료의 특징이나 경향을 가리키는 하나의 수의 값을 말하며, 종류로는 평균, 중위수, 최빈값 등이 있다.

도수(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에 나타나는 자료의 개수

도수분포다각형(frequency polygon): 도수분포표를 히스토그램으로 옮겼을 경우 이 기둥의 각 정 점을 이은 도수꺾은선을 말한다.

도수분포표(frequency table): 각 계급에 각각의 도수를 기록한 표

동류항(like term, similar terms): 수계수 이외의 문자인수가 모두 같은 단항식을 말한다.

동심원: 같은 중심을 가지고 반지름의 크기가 다른 원을 말한다.

동위각(corresponding angle): 두 직선에 다른 한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같은 위치의 각을 말함

둔각(obtuse angle): 직각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을 말한다.

등식: 양변에 각 항들을 등호로 연결한 식

맞꼭지각(vertically opposite angle):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각을 말한 다.

명제: 거짓과 참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말한다.

모선(generator): 기둥면을 이루는 하나의 모서리의 직선을 말한다.

뫼비우스띠(Mobius band): 긴 직사각형을 한 번 비꼬아서 대변을 서로 맞붙인 도형으로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도형이다.

무게중심: 삼각형에서 세 중선의 교점을 말한다.

무리수: 실수 중에서 유리수가 아닌 수를 무리수라고 하며 이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이다.

무한소수: 소수점아래 한없이 유효숫자가 계속되는 소수를 말한다.

무한집합(infinite set): 한 집합에 속한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인 집합

미지수: 아직 결정되지 않은 수 혹은 아직 구체적인 값이 안 알려진 수

밑: 거듭 제곱수에서 지수 밑에 쓰여진 수

반직선(half line): 한 직선을 한 점에 의해 두 개로 나눌 때 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양쪽부분을 각각 반직선이라고 한다.

방심: 삼각형의 한 내각의 2등분선과 두 외각의 2등분선이 만나는 점을 방심이라고 한다.

방정식(equation): 등식에서 한 문자에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할 때에 한하여 등식이 성립하는 식

배수(multiple): 어떤 수의 정수배를 배수라 한다.

부등식: 수학의 식이 등호가 아닌 부등호로 연결되어 있는 식

분모유리화: 분모에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이나 수를 분모에 근호가 없는 식으로 변환하는 것

분산(variance): 각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

사건(event): 확률실험에서 한 시행의 결과에 의해 발생하는 일

사인: 삼각함수와 삼각비의 하나로 직각삼각형에서의 높이/빗변을 의미한다.

산포도: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삼각비: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비를 각각 말하는 것으로 사인은 높이/빗변, 코사인은 밑변/빗변, 탄젠트는 높이/밑변의 비의 값을 의미한다.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면 양의 상관 관계,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감소하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상관도: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

상관표: 두 변수를 수평축과 수직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각 개체를 나타낸 표를 말한다.

상대도수(relative frequency): 각 계급의 도수를 전체도수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상수항(constant term):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항

서로소(relatively prime): 두 정수 사이에 1 이외의 공약수가 없을 때를 서로소라 한다.

선분(segment): 직선위에서 그 위의 두 점사이에 한정된 직선의 한 부분

소거: 연립방정식에서 어떤 문자를 다른 미지수로 표현하여 그 문자를 없애는 방법이다.

소수(prime number): 1이 아닌 자연수 중에서 1과 그 수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자연수

소인수(prime factor): 어떤 자연수의 약수를 인수라 하며 이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

소인수분해(factorization in prime factors): 합성수를 그의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수선(perpendicular): 어떤 일정한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r):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도는 평면과 만나는 점

수심: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교점을 말한다.

수직(perpendicularity):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두 도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를 말하며 여기에는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직교함을 말한다.

수직이등분선(perpendicular at midpoint): 주어진 선분의 중점에서 그 선분에 수직인 선

순서쌍(ordered pair): 순서가 정해진 두 원소의 쌍 (a,b)를 말함

순환마디: 순환소수에서 반복되는 숫자의 열을 순환마디라 한다.

순환소수: 무한소수로서 소수점이하의 일정한 숫자열이 계속 반복되는 소수를 말한다.

식의 값(numerical value of expression): 일정한 식의 문자에 수치를 대입하여 얻은 값

실수: 유리수와 무리수를 합하여 실수라 부른다.

십진법(decimal system): 10개씩을 모아 한 자리씩을 윗자리로 올라가게 하는 수의 표기법

쌍곡선(hyperbola):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의 자취

약수(divisor): 어떤 수를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

양변(both sides): 등식 또는 부등식에 있어서 왼쪽 변과 오른쪽 변을 모두 일컫는 말

양수(positive number): 0 보다 큰 수를 의미한다.

양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는 경우를 말함

양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양의 정수: 정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엇각(alternate interior angles): 어떤 두 직선에 한 직선이 만날 때 두 직선에 의한 내부각 중에 서로 엇갈려 있는 두각을 엇각이라 한다.

여집합(complement): 전체집합과 그 부분집합이 있을 때 이 부분집합에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구 성된 집합

역(converse): 조건문 'p 이면 q이다'에서 가정과 결론을 바꾸어 ' q이면 p이다' 라고 할 때 이를 역이라 한다.

역수(invers number): 1을 어떤 수 a로 나누어 얻은 수, 즉 1/a

연립방정식: 몇 개의 등식을 짝으로 한 방정식

연립부등식: 몇 개의 부등식으로 짝을 이룬 부등식

연립일차방정식: 연립방정식에서 그 속의 방정식의 차수가 가장 높은 것이 1차인 것을 말한다.

예각(acute angle): 0도와 90도 사이의 각의 크기를 말한다.

오진법(quinary): 수 0,1,2,3,4를 사용하여 5씩을 정리하여 한자리씩 윗자리로 올리는 표시방법

오차의 한계: 오차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참값으로부터의 측정값이 얻어지는 범위를 정한 것

오차: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말한다.

완전제곱식: 어떤 식이 다른 식의 제곱꼴로 완전히 표시 될 때 이를 완전제곱식이라 한다.

외각(external angle): 다각형에서 하나의 변과 그것에 이웃하는 변의 연장과 이루는 다각형의 외부의 각

외심: 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외접다각형: 각 변이 한 원에 접하고 있는 다각형

외접: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하나의 원 주위에 있을 때 이를 원이 외접한다고 한다.

외접원: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한 원 주위에 있을 때 이 원을 외접원이라고 한다.

우변(righ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오른쪽에 있는 변

원(circle): 평면 위에서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

원뿔(circular cone): 평면 위의 한 곡선 a를 택하여 평면 위에 없는 한 점 b와 곡선 a위의 모든 점을 이은 직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곡면을 뿔면이라고 하고 특히 평면 위의 곡선이 원이면 원뿔이라고 한다.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자르고 꼭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을 없앤 공간도형을 말한다.

원소(element): 요소라고도 하며,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사물들을 원소라고 한다.

원소나열법: 집합을 표시하는데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여 표시하는 방법

원점(origin): 직선 상에서 좌표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

원주(circumference): 원의 둘레를 의미함

원주각: 원주상의 한점을 꼭지점이라고 하고 그 원의 두 개의 현을 변으로 하는 각을 말한다.

유리수(rational number): 두 개의 정수 a, 0이 아닌 b를 취하여 분수 a/b의 꼴로 나타내어 지는 수

유한소수: 무한소수에 대해 소수점이하에 유한 개의 수가 있는 소수

유한집합(finite set): 원소의 수가 유한 개로 이루어지는 집합

유효숫자: 근사값이나 측정값의 윗자리에서 의미가 있는 숫자를 말한다.

음수(negative number): 0보다 작은 수

음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은 감소하는 경우를 말함

음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음수인 수

음의 정수(negative integer): 음의 정수 -1, -2, -3, ....을 말하는 정수 중에 음수를 말함

이진법(binary notation): 숫자 0, 1만을 사용하여 2개씩을 묶어서 윗자리로 올리는 표기법이다.

이차방정식: 방정식에서 차수가 2차인 식을 말한다.

이차함수: 2차식으로 표현되는 함수를 말한다. y=ax^2 + bx + c 꼴임

이항(transposition of terms): 등식이나 부등식에서 항의 부호를 바꾸면서 이동시키는 것

인수분해: 수를 소수의 곱으로 표시하면 이는 유일하게 표시되고 이를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또한 정식에서는 한 식이 두 개이상의 식의 곱으로 나타낼 경우 이를 인수분해라고 하는데 더 이상 인수로 분해할 수 없을 때까지의 곱의 형태를 취한다.

인수: 어떤 수나 식이 다른 수나 식들의 곱으로 표시 될 때 이들을 인수라 한다.

일차방정식(linear equation): 정리하여 미지수에 대한 1차식만을 포함하는 방정식을 말한다.

일차부등식: 최고 차수의 항이 1차인 부등식을 말한다.

일차식(linear expression): 차수가 1차인 항을 말한다.

일차함수: 차수가 1차인 함수를 말하며 y=ax +b형태를 취한다.

작도(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에 맞는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하며, 기하학에서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한다.

전개: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행동

전개식: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 태로 만든 식

전체집합(universal set): 하나의 집합을 정하고 이 집합의 부분집합을 고찰하는 대상으로 할 경우 이 원래의 집합을 전체집합이라고 한다.

절대값(absolute value): 양, 음의 수의 부호를 없앤 수로 양수와 0은 그 수 자신이며 음수는 부호를 없앤 수이다.

절편: 한 직선이 좌표축과 만나서 축을 자르게 되는 점을 절편이라고 한다. 예로 x절편, y절편

접선(tangent line): 원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면 할선, 한 점에서 만나면 이 직선을 접선이라 한다.

접선의 길이: 원 밖의 한 점에서 접선을 그은 경우 한 점에서 접점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접점(point of contact): 곡선 또는 곡면의 접선 또는 접평면이 그 곡선 또는 곡면과 접하는 점 을 말한다.

정다각형(regular polygon):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도 모두 같은 다각형을 말한다.

정다면체(regular polyhedron): 다면체중에서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되어 있고 어느 꼭지점에서도 모이는 면의 수가 같고 입체각도 같은 것을 말한다.

정리(theorem): 수학적 논증의 결과 옳다는 것이 증명된 사항 중 중요한 것을 말한다.

정수(integer): 자연수, 0, 음의 정수를 합쳐서 정수라 한다.

정의(definition): 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을 정확히 일의적으로 규정한 문장이나 식.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 함수가 X에서 Y에로의 함수 일 때 X의 영역을 말함

제곱근: 제곱하여 a 가 되는 수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

조건제시법: 집합을 표시할 때 원소의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

좌변(lef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왼쪽에 있는 변

좌표(coordinates): 수직선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단위길이를 정한다음 임의 점 p에 대하여 그 매겨진 수를 점 P의 좌표라고 한다.

좌표축(coordinates axis): 직교좌표계 또는 사교좌표계 O-xy에서 수직선 Ox와 Oy를 각각 x 축, y축이라 하고 이 둘을 합쳐 좌표축이라고 한다.

좌표평면(coordinate plane): 공간의 직교좌표계 O-xyz 에 대하여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xy평면 , y축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yz평면 , z축과 x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zx평면이라고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좌표평면이라고 한다.

중근: 2차방정식에서 판별식 D=0일 때 갖게되는 두 근이 중복된 경우의 근을 중근이라 한다.

중선: 삼각형의 꼭지점과 그 대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그 삼각형의 중선이라 한다.

중심각(central angle): 중심이 O인 원의 호 AB에 대하여 각 AOB를 호 AB에 대한 중심각이라고 한다. 중심각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두배이다.

중심거리: 두 원의 중심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중심선: 두 원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말한다.

중점(middle point): 2등분점이라고 하며, 선분 위의 양 끝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 다.

중점연결의 정리: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잇는 선분은 제 3의 변에 평행이고 길이는 그 절반과 같다.

증명: 논증이라고도 하며 참이라고 인정되는 몇 개의 명제로부터 유효한 추론에 의해 다른 명제가 참임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지수(index number): 물가나 임금 등과 같이 해마다 변하는 것의 변화를 알아보기 쉽도록,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이것을 100으로 잡아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하나는 거듭제곱에서 밑에 대하여 제곱하게 되는 수를 말한다.

직각(right angle): 각의 크기가 90도 인 각

직교: 두 직선이나 평면이 교차하는 경우 그 교각이 90도인 경우 직교한다고 한다.

직선의 방정식: 평면 위에서 직선의 모양을 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y=ax +b꼴로 나타낸다.

집합(set): 집합은 식별이 분명한 원소들로 구성된 모임을 말하고, 집합론에서 무정의용어로 취급된다.

짝수점(even point): 한붓그리기 문제에서 길이 짝수 개만 있는 점을 말한다.

차집합(difference of two sets):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말하며 A-B로 표기한다.

참값: 일정한 측정에 의하여 알려고 하는 양의 정확한 값을 말한다.

최대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큰 값을 말한다.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measure): 두 개 이상의 공약수중에서 최대인 것을 말함

최소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말한다.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공배수 중에서 최소인 것을 말함

축: 좌표평면에서 기준이 되는 선을 말하며 평면에서는 x축, y축이 있다.

측정값: 어떤 계측기를 사용하여 관측을 한 값으로 이는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치역(range): X 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하는 범위

코사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밑변/빗변의 비의 값이다.

탄젠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높이/밑변의 비의 값이다.

편차: 어떤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이를 말한다.

평각(straight angle): 각의 두 변이 꼭지점의 양쪽에 있고, 한 직선을 이룰 때 이 각을 평각이라고 하고 180도를 의미한다.

평균: 변량들의 값을 총 도수로 나눈 값

평행(parallel):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이를 두 직선이 평행한다고 한다.

평행사변형: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4변형을 말한다.

평행선(parralel curve): 평면 위의 하나의 곡선을 따라서 그 곡선과 공통의 법선을 갖는 곡선을 원래의 곡선과 평행이라고 한다.

평행이동: 평면 위에서 점이나 도형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것을 말함

포물선: 정해진 한 점과 한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를 말한다.

표준편차: 편차의 제곱합을 총 도수로 나눈 다음 제곱근을 취한 것으로 자료의 흩어짐 정도를 재는 척도이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각각의 제곱의 합과 같다.

한붓그리기: 평면 위에 어떤 도형을 그릴 경우 한 번 붓을 댄 이후에는 떼지 말고 그리고 같은 선을 다시 지나는 일이 없도록 그리는 방법

할선(secant line): 원 밖의 한 점으로부터 그은 직선이 원 위의 두 점을 지나 원을 자르는 경우. 이 때의 선을 할선이라 한다.

함수값: 어떤 함수에서 정의역 x의 값을 대입하면 치역 y값이 결정되는데 이 값을 함수값이라 한다.

함수: 두 개의 변수 사이에 어떤 대응관계가 있어 x값이 정해지면 y의 값이 오직 한 개가 대응하는 관계를 함수라 한다.

함수의 그래프: X 에서 Y에로의 함수를 좌표평면 위의 (x,y)좌표로서 그래프로 표현한 것

합동(congruent): 두 개의 도형이 운동에 의해 완전히 포개질 경우 이를 합동이라 한다.

합성수(composite number): 1과 자신의 수 이외의 약수를 갖는 수를 말한다. 즉 소수가 아닌 1보다 큰 수를 일컫는다.

합집합(union set): 두 개의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거나, 혹은 두 집합 모두에 속한 모든 원소의 집합을 말함

항(term): 수나 문자들의 곱(상)이나 합(차)으로 이루어진 식을 항이라 부른다.

항등식(identity): 등식에서 그 속의 문자에 어떤 값을 대입하여도 언제나 성립하는 식

해(solution): 근이라고도 하며 어떤 방정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의미한다.

현(chord): 원주 위의 두 점을 맺는 선분을 말한다.

호(arc): 원주의 일부분을 말한다.

홀수점: 한붓그리기 문제에서 길이 홀수개만 있는 점을 말한다.

확률: 하나의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수로 나타낸 것으로 수학적 확률과 경험적 확률이 있다.

활꼴(segment): 원의 호와 그 양끝을 잇는 현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형

회전체(solid of revolution): 평면도형을 그 평면 위에서 한 직선을 축으로하여 1회전 시켰을 때 생기는 입체를 회전체라고 한다.

히스토그램(histogram): 도수분포표를 나타내는 일종의 그래프이다. 수평축에 계급구간을, 수직 축에 도수나 도수밀도(상대도수밀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상입니다-

-답변확정부탁-

출처 : 내가 집필했던 것

고1 수학 용어정리

고1 때 배우는 수학 용어 정리해주세요 ebs에 정승제쌤이 개념끝장내기 수상 수하 강의를 하는데, 첫번째 강의에서 이런 말씀을 하십니다. 수학 만점은 개념이해만 완벽하게...

수학 용어 정리좀 해주세요ㅎ

여러가지 수학 용어 정리좀 해주세요~ 격자, lattice, 30 결정불가능, undecidable, 128 곱집합, product, 7,17 곱하기, multiplication, 38,45 공역...

수학용어정리

수학용어정리해주세요....밑에써논데로 내공100걸어요 7-가 I 단원 용어정리 1.집합 2.원소 3.원소나열법 4.조건제시법 5.유한집합 6.무한집합 7.공집합 8.부분집합 9....

수학2학년1,2학기 용어 정리

... 수학 2학년 1,2 학기 수학용어 정리를 좀해서 공부를할까하는데... 그게 쉽지가않네요.. ㅎㅎ 여러분에좀 추천좀해주시구요~내공걸게요 안녕하세요...

수학용어정리[내공有]

... 중점연결 정리 28삼각형의 한 변에 평행한 직선에 대한 성질 29역 30외심 31외접... 41증명: 수학용어로서 ‘p이면 q이다’라는 합성명제에서 명제 p를 전제(가설 또는...

미국 수학,과학 용어 정리좀여~

... 수학용어 정리 2. 과학용어 정리 풀내공 걸어요^^ 일단 수학단어부터 올려 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하세요! about : 약, 예) 49.5 는 약 50 absolute...

수학용어정리

... 약분이라고는 부르지 않을테로..공통인수 제거하는 수학용어를 까먺었어요 소거(cancellation)라고 보통 부릅니다. 양변에서 (x-5)를 소거한다. 양변의 (x-5)를 사선을그어...

중3 1학기 수학 용어정리

제가 방학숙제로 수학용어정리를 해야하는데 용어정리를 해본 기억이 없어서ㅜㅜ 문제집 보고 해보려고 했는데 용어정리가 안되있는거로 사와서 보고할수도 없구..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