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

작성일 2007.07.24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수학은 공부가 잘안되요....ㅜㅜ

그래서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좀 부탁드릴께요...ㅠㅠ

부탁드려요////^^*


#중1 2학기 수학 #중1 2학기 국어 목차 #중1 2학기 과학 #중1 2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중1 2학기 수학 기출문제 pdf #중1 2학기 사회 기출문제 pdf #중1 2학기 수학 개념 pdf #중1 2학기 수학 교과서 #중1 2학기 영어 #중1 2학기 국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V. 통 계

1. 자료의 정리

도수분포표

자료 전체를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 속하는 도수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


    변량 -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

    계급 - 변량을 나눈 구간

    계급의 크기 - 구간의 나비

    계급값 - 계급을 대표하는 값으로 계급의 중앙값

    도수 -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

히스토그램

주어진 도수분포표에 따라 계급의 크기를 가로, 도수를 세로로 하는 직사각형을 그려 나타낸 그래프

도수분포다각형

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을 차례로 선분으로 연결하고 양 끝은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그 중점과 연결해서 만든 그래프

*도수분포다각형 그리는 방법

    1. 도수분포표를 보고 히스토그램을 그린다.

    2.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한다.

    3. 양 끝은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그 중점을 연결한다.

도수분포다각형의 넓이는 히스토그램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2. 자료의 관찰

상대도수

전체도수에 대한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

    (각 계급의 상대도수) = (각 계급의 도수) / (도수의 총합)

    상대도수의 분포표 :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여 만든 표

상대도수분포다각형

가로축에 계급, 세로축에 상대도수를 잡아 도수분포다각형처럼 그린 그래프

 상대도수의 총합은 반드시 1 이다.

누적도수

도수분포표에서 작은 계급의 도수부터 어떤 계급까지의 도수의 합

    (각 계급의 누적도수) = (앞 계급까지의 누적도수) + (그 계급의 도수)

    누적도수의 분포표 - 각 계급의 누적도수를 써 놓은 표

    누적도수의 분포다각형 - 가로축에 계급, 세로축에 누적도수를 잡아 도수분포다각형처럼 그린 그래프

 마지막 계급의 누적도수는 도수의 총합과 같다.

VI-1. 평면도형(1)

1. 점·선·면

점·선·면 사이의 관계

교점 : 선과 선 또는 선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점

교선 :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선

▶삼각형이나 원과 같이 한 평면 위에 있는 도형을 평면도형이라 하고, 각기둥이나 구와 같이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는 도형을 입체도형이라 하는데, 이들은 모두 점, 선,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선 : 서로 다른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오직 하나이고 이것을 직선 AB 라 하고,

로 나타낸다.

▶반직선 : 점 A에서 시작하여 점 B 쪽으로 뻗어가는 직선의 부분을 반직선 AB 라 하고,

로 나타낸다.

▶선분 : 직선 AB의 점 A에서 점 B까지의 부분을 선분 AB 라 하고,로 나타낸다.

선분 AB의 길이도 로 나타낸다.


▶두 점 A,B를 양 끝으로 하는 무수히 많은 선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이 선분 AB이다. 이 선분 AB의 길이를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평면의 결정 조건 

  1.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2. 한 직선과 그 직선 밖의 한 점
  3. 만나는 두 직선
  4. 평행한 두 직선

▶평면을 그림으로 나타낼 때는 평면의 일부인 평행사변형을 그리고, 평면ABCD로 나타내거나 대문자를 붙여 평면 P, 평면 Q 등으로 나타낸다.

2. 각

한 점 O에서 시작한 반직선 OA. OB로 이루어진 도형

  • 예각 :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
  • 직각 : 90°인 각, ∠R 로 표시
  • 둔각 :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각
  • 평각 : 180°인 각

▶각을 나타내는 기호 : ∠AOB, ∠BOA, ∠O, ∠a ,…

맞꼭지각

▶맞꼭지각 : 두 직선이 만나서 생기는 네 개의 각 중 서로 마주 보는 각

    ∠a 와 ∠c, ∠b 와 ∠d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a = ∠c, ∠b = ∠d

수직이등분선

  • 교각 : 두 직선이 만날 때 생기는 각
  • 수직 : 교각이 직각인 두 직선을 서로 수직이라 하고, 이 때 한 직선은 다른 직선의 수선이라 하며 두 직선이 만나는 점을 수선의 발이라 한다.
  • 수직이등분선 : 선분의 중점을 지나 이 선분에 수직인 직선

▶직선 AB 밖의 점 C에서 위의 점에 그은 선분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은 C에서의 수선의 발과 C를 이은 선분이다. 이 선분의 길이를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3. 평행선의 성질

동위각과 엇각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생기는 8개의 각 중에서

  • 동위각 : 같은 위치에 있는 두 각
  • 엇  각 : 엇갈려 위치한 두 각

▶동위각 : ∠a 와 ∠e, ∠b 와 ∠f,∠c 와 ∠g,∠d 와 ∠h

▶엇각 : ∠c 와 ∠e, ∠d 와 ∠f

평행선의 성질과 조건

▶평행한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동위각과 엇각의 크기는 각각 같다.

▶동위각 또는 엇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

평면에서 두 직선의 위치 관계

 4. 도형의 작도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

① 점 O를 중심으로 적당한 원을 그려서, 반직선 OA, 반직선 OB와의 교점 C, D를 잡는다.

② 점 C, D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같은 원을 각각 그려서 교점을 P라 한다.

③ 점 O와 P를 연결하면 반직선 OP가 구하는 ∠AOB의 이등분선이다.

 

 각의 옮김

① 점 O를 중심으로 적당한 반지름의 원을 그려 반직선 OX, 반직선 OY와의 교점을 각각 A, B라 한다.

② 점 E를 줌심으로 ①과 같은 반지름의 원을 그려 반직선 EZ와의 교점 Q를 잡는다.

③ 컴퍼스로 선분 AB의 길이를 잡아 선분 AB를 반지름, 점 Q를 중심으로 원을 그려 ②에서 그린 원과의 교점 P를 잡는다.

④ 점 E와 P를 지나는 EP를 그으면 ∠PEQ가 구하는 각이다.


 

  5.도형의 합동

도형의 합동

  • 대응변의 길이가 서로 같다
  • 대응각의 크기가 서로 같다

삼각형의 합동조건

두 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합동이다.

1.대응하는 세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2.대응하는 두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다.

3.대응하는 한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끝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학정리 7-나  <1>

변량 : 줄넘기기록등과 같이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수로 나타낸 자료)
계급 : 변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눈 구간
계급의 크기 : 구간의 너비
도수 : 각 계급에 속한 자료의 수
도수분포표 : 각 계급에 속하는 도수를 표시하여 자료의 분포상태를 나타낸 표
계급값 :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을 대표하는 값
         각 계급의 중앙의 값
         (계급값)=(계급의양끝값의합)/2
도수분포표평균 : (평균)={(계급값)X(도수)}의 합
                        /도수의 합
히스토그램 : 도수분포표의 각 계급의 크기를 가로로,
             도수를 세로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자료의양을 나타낸 그래프
도수분포다각형 : 히스토그램의 양 끝에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히스토그램의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을 차례로
               선분으로 연결하여 그린 그래프
상대도수 : 도수분포표에서 도수의 합에 대한 각 계급 
           의 도수의 비율
           (상대도수)=(그 계급의도수)/(도수의 합)
상대도수의분포표 :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여 표로 나타낸 것
누적도수 : 도수분포표에서 처음 계급부터 어떤계급까지 각 계급의 도수를 차례로 더한 값
누적도수의 그래프 : 누적도수의 분포표에서 맨 위에 누적도수가 0인 계급이 하나 더 있다고 생각하고 순서쌍을 점으로 나타낸 다음 차례로 선분으로 연결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형의3요소 : 점, 선, 면
교점 : 선과 선 또는 면과 선이 만나서 생기는 점
교선 : 면과 면이 만나서 생기는 선
직선의결정 : 서로다른 두 점은 하나의 직선을 결정함
반직선AB : 직선AB위의 점A로로부터 시작하여 점B쪽
           으로 뻗어 나가는 부분
두점A,B사이의 거리 : 선분AB의 길이를 두점A,B사이
                    의 거리라고 하며, A?B의 길이가
                    a일 때,A?B=a와같이 나타낸다
중점 : 선분AB에서 A?M=M?B일때, 점M을 선분AB의
       중점이라고 한다.
직선 : 서로 다른 두 점A,B를 지나는 직선(A?B)
반직선 : 점A로부터 시작하여 B쪽으로 뻗어 나가는 부분을 반직선AB(A?B)
∠A0B&∠B0A : 한 점0에서 시작하는 두 반직선 0A,0B로 이루어지는 도형(=각)
각도는 그 단위를 직각의 크기의 1/90로 하고,
이것을 1˚라고 한다.
(직각)=90˚=∠R                0˚<(예각)<90˚
(평각)=180˚=2∠R             90˚<(둔각)<180˚
교각 : 두직선 AB,CD가 한점 0에 서 만날 때 생기는
       4개의각을 그 두 직선의 교각이라고 한다.
맞꼭지각 :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각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직교 : 두 직선 AB,CD의 교각이 직각일 때,
      이 두 직선은 서로 직교한다 A?B⊥C?D
수선의 발 : 직선AB위에 있지 않은 점P에서 직선AB
           에 수선을 그었을 때, 그 교점H를 점P에
           서 직선AB에 내린 수선의 발
동위갓 : 두 직선과 한 직선이 만나면 8개의 각이
        생기는데, 이때의 8각을 서로 동위각이라함.
엇각 : 가운데에 있는 각 4개(서로 엇갈려있는 각)
평행선 : 서로 평행한 두 직선(l//m)
평행선과 동위각(엇각) :
    1. 평행선과 다른 한 직선이 만날 때,
      동위각(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2. 두 직선과 한 직선이 만날 때,동위각(엇각)의
      크기가 서로 같으면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점이 직선 위에 있다 : 직선이 점을 지난다.
꼬인위치 : 두 직선이 서로 만나지도 않고 서로 평행
          하지도 않을 때, 두직선은 꼬인위치에 있다
직선과직선의 위치 관계 : 만난다, 평행, 꼬인위치
작도 :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X0Y의 이등분선 : ∠X0Y를 이등분하는 반직선0P
선분AB의 수직이등분선 : 선분AB의 중점M을 지나고
                        선분AB에 수직인 직선∫
대응 : 서로 합동인 두 도형에서 포개어지는 꼭지점과
      꼭지점, 변과변, 각과각을 서로 대응이라고 함.
      ?ABC≡?DEF(서로 합동일때, 표현)
삼각형의 합동조건 :
     1. 세변의 길이가 같다(SSS합동)
     2. 두변의 길이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다. (SAS합동)
     3. 한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각의 크기가
        같다. (ASA합동)
다각형 : 세 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
정다각형 : 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다각형
대각선 : 예를 들은 오각형의 AC, AD와 같이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은 두 꼭지점을 이은 선분
호 : 원에서 원 위의 두 점 사이의 부분 호AB(A?B)
현 : 원 위의 두점을 이은 선분
부채꼴 : 두 반지름과 호로 이루어진 도형
활꼴 : 호와 그것에 대한 현으로 이루어진 도형
중심각 :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을 두 반지름사이의
         호에 대한 중심각
할선 : 원과 두점에서 만나는 직선
접점 : 접선과 원이 만나는 점
수학정리 7-나  <2>

접한다, 접선 : 직선이 원과 한 점에서 만나면
              그 원에 접한다, 이 직선을 원의 접선
다면체 : 다각형인 면으로만 둘러싸인 입체도형
각뿔대 : 각뿔을 그 밑면에 평행한 평행으로 잘라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에서 각뿔이 아닌
         쪽의 다면체
정다면체 : 다면체 중에서 모든 면이 서로 합동인
           정다각형, 각 꼭지점에 모여 있는 면의
           개수가 같은 다면체
회전체 : 평면도형을 한 직선을 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때 생기는 입체도형
구 : 반원을 지름을 축으로 하여 1회전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
원뿔대 : 원뿔을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에서 원뿔이 아닌 쪽
회전체의 성질 :
      1. 회전체를 최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르면
         그 잘린 면은 항상 원이다.
      2. 최전체를 최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르면 그 잘린 면은 최전축에 대하여 선대칭도형이 되며, 모두 합동이다.
삼각형의 내각과 외각 :
      1.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
      2.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와 이웃하지 않은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다.
다각형의 내각·외각의 크기의 합 :
      1.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180˚X(n-2)
      2. n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360˚
정다각형의 한 내각·외각의 크기 :
      1. 정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180˚X(n-2)/n
      2. 정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360˚/n
원주율 : (원주)÷(원의 지름)의 값인 원주율은 항상
         일정하고, 기호로 π
원주와 원주의 넓이 :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에서
        원주::전체 원=2πr   넓이::원의넓이=πr²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 반지름의 길이가 r,중심 각의 크기가 a²인 부채꼴에서
     호의 길이::둥근 선분=2πrXa/360
     부채꼴의 넓이::전체넓이=πr²Xa/360
기둥의 겉넓이 : (밑넒이)X2+(옆넓이)
기둥의 부피 : (밑넓이)X(높이)
뿔의 겉넓이 : (옆넓이)+(밑넓이)
뿔의 부피 : ⅓X(밑넓이)X(높이)
구의 겉넓이 :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의 겉넓이
              S=4πr²
구의 부피 :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의 부피
              S=4/3πr²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학 - >

 

 

key point 정리 *  - >

 

1. 집합 - > 어떤 정확한 기준에 의하여 나눌 수 있는 모임.

2. 공집합 -> 원소가 없는 집합. 동그라미에 선을 하나 그어 표현한다.

3. 교집합 -> 예를 들어 집합 A와 B가 있다면 A와 B의 겹치는 부분

4. 합집합 -> 예를 들어 집합 A와 B가 있다면 모두를 합친 집합 (겹치는 부분은 하나로표현

5. 부분집합 - > 원소를 말한다고 보면된다.. 대표적인 문제의 예로 1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을 구하라는 것이 있다

                                = > 구하는법 : 집합 A = {1,2,3} 1을 포함하는 부분집합 - > 1을 제외한

                                                            원소 갯수를 2의 제곱으로 나타낸다

                                                             => 원소 1,2,3중에서 1을 포함하는 것이기때문에

]                                                                 1을 제외한 2,3(2개) 중 2에 2제곱을 하여

                                                                  부분집합의 갯수는 4개가 된다.

 

6.벤 다이어 그램 -> 벤 이라는 사람이 만든 것으로, 그림 안에 원소를 나열하여

                                     표현한 것이다.

 

7. 여집합 -> ex) 집합 A와 B가 있다면 A의 여집합 -> B. 즉,A를 뺀 나머지 것들을 말한다.

8. 차집합 -> 집합의 빼기라고 생각하면된다. <-> 합집합

9.거듭제곱 ->같은 수나 문자를 거듭하여 곱한것

10.소인수 분해 -> 어떠한 수를 소수로 나누는것이다.

11.약수의 갯수 구하는법 - > 소인수분해를 하여 각 지수 + 1 를하여 그 수를 곱해준다.

12. 최대공약수 -> 어떤 두수중에서 같이 나누어 지는 약수 중에서 가장 큰것을 이른다

       !!!! 최소공약수가 없는이유 -> 어떤 경우나 최소공약수는 1이기때문이다

13. 최소공배수 -> 어떤두수를 각각 어떤수를 곱하여 같은수로 만들어진 수.

       !!!!! 최대공배수가 없는이유 -> 어떤 경우나 최대공배수는 무한이기때문이다.

14.십진법 -> 평소 우리가 쓰는 법으로, 0부터 9까지의 10개 숫자를 이용한 방법이다.

15. 이진법 -> 컴퓨터가 많이 쓰는 법으로 0과 1을 이용한 방법이다.

16.유리수 -> 분자, 분모가 모두 정수인 분수로 나타낼수 있는수(단,분모는 0이 아님)

                                               양의 정수 ( 1,2,3,4.....)

                                         ↗

 참고!   유리수  →정수→ 0 ( 0은 양수도 음수도 아님)

                                        ↘

                         ↘               음의 정수 ( -1, -2, -3....)

                      정수가 아닌유리수 ( 0.2, 0.5, 5분의1 등)

17.수의 대소관계

      음수 < 0 < 양수

    * 음수는 숫자가 작을수록 큰 수이고, 양수는 숫자가 클수록 큰수이다,.

18. 부등호의 사용

   1) 초과,미만 ->    //       <,> (벌린쪽이 더 크다는뜻)

   2) 이상,미만 - >  //        <,> (벌린쪽이 더 크다는 뜻으로, 이밑에 = 이표시가 더해있어야함)

19. 유리수의 곱셈

    1) 같은부호 : 각 수의 절대값의 곱에 양의 부호를 붙인다

    2) 다른부호 : 각 수의 절대값의 곱에 음의 부호를 붙인다.

20. 유리수의 나눗셈 : 나누는 수의 역수를 곱한다 (역수 -> 분자와 분모의 수를 뒤집은수)

21. 유리수의 덧셈

   1) 같은부호 : 두 수의 절대값의 합에 공통인 부호를 붙인다.

   2) 다른부호 : 두 수의 절대값의 차에 절대값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22. 유리수의 뺄셈 : 빼는 수의 부호를 바꾸어 덧셈으로 계산한다.

 

 

국어

    * 생활국어는 별로 외울게 없네요. 그냥 보기에 참신해 보이는것 고르면 될거에요.

       참신한 표현이란거는 가장 신선한 표현, 좋은표현을 말하는거에요. 생활국어가

       어려운건 아니니까 따로 열심히 공부할 필요는 없답니다.

 

 

1.  새봄

벚꽃 지는 걸 보니

푸른 솔이 좋아.

푸른 솔 좋아하다 보니

벚꽃마저 좋아.

 

1) 1연과 2연의 대조 (벚꽃 지는걸 보니 푸른솔이 좋아짐)

 2) 벚꽃과 푸른솔의 특징

  벚꽃     - 변하는 성질 (가변성) . 봄에 활짝 피고 짐.

  푸른솔 - 변하지 않는 성질 (불변성) . 4계절 계속 푸름.

 3) 벚꽃이 화려해서 좋았는데 지고 나니까 변하지 않는 푸른솔이 좋아졌다.

 4) 벚꽃과 푸른솔의 조화. 즉 여러종류의 사람들이 조화롭게 사는 것을 원함

 

2. 아버지의 유물

 

 1) 글의 종류: 민담 - - > 민담의 특징 1. 흥미위주의 글이다.

                                                                    2. 옛날부터 전해내려오는 막연한 배경의 글이다.

 2) 구성 : 처음 -> 중간 1,2,3 - > 끝

 3) 특징 : 비현실적.교훈적.우연적

 4) 제재 : 대나무 지팡이, 장구, 표주박, 맷돌

 5) 주제 : 하찮은 것이라도 지혜롭게 사용하자.

 

3. 어린날의 초상

 

 1) 글의 종류 : 수필

 2) '눈물 한 방울'의 의미 --> 동생에대한 야속함 , 어머니가 소풍에 따라올수 없는 서글픔

                                                     자신의 소풍을 포기한 아쉬움 등 복합적인 감정

 

4. 이해의 선물

 

 1)글의종류 : 소설

 2) 이해의 장면 :  1- 위그든씨가 어린 '나'를 이해하는 장면 ( 이해의선물 - 2센트)

                                 2- 어린이된 '나'가 아이들을 이해하는 장면 (이해의선물 -2센트)

                                 3-헐값에 열대어를 준 '나'를 부인이 이해하는 장면 (이해의선물 - 입맞춤)

 

5. 강아지똥


 1)글의종류 : 소설

 2)주제 : 아무리 하찮아 보이는 것이라도 쓸 곳이 있어서 만들어졌다.

 

6. 마음으로 쓰는 편지

  1) 글의종류: 편지글

  2) 특징 : 첫인사,끝인사,날짜,보내는이 등이 빠져있다 (내용상에서 보이는 보내는이는

                                                                                                          편지의 내용에 포함되는것)

 

7. 어머니의 우산

 1) 글의종류: 수기(글쓴이(주인공)가 어려움을 이겨낸 일화를 담은 글)

 2) 눈물의 의미 - > 아들이 한 행동애 대한 대견함. 아들의 장애에 대한 불쌍함 등..

                                  

8. 국물이야기

 1)글의 종류 : 수필

 2)특징 -- > 서구화되는 음식문화에 대한 비판을 담고있음

                      선농단의 국물,덤,맛보기 - - > 인정한 나눔을 말하고있음

 

9. 호수

 얼굴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픈 마음

 호수만 하니

  눈감을 밖에

 

 1)글의종류 : 시

 2)특징 - >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자신이 그리워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표한하고 있다

 3) 문제의 예 ) 이 글에서 가장 두드러진 심상은 ?  - - > 시각적 심상

                         ) 이 글에서 가장 두드러진 정서는 ? - - - > 그리움

 

10. 현이의 연극

 

 1) 글의종류 : 수필

 2)  특징 - > 글쓴이의 감정 변화 -> 1. 무관심 - > 2. 기대 -> 3. 실망 -> 4. 미안함(놀람)

 

23.계산순서 ->  거듭제곱 -> 곱셈,나눗셈 -> 덧셈,뺄셈

                         *괄호 푸는법 :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사회부터는 그냥 건성으로 외워 두셔야할꺼 적어야겠네요. 좀 힘들어서요.. 죄송합니다

 

    사회

지역사회 -

 

지방 자치제도 - > 시 , 또는 구 등 어떠한 지역에서 생기는 문제는 지역에서

                                   직접 해결할수 있게 하는 제도

                                    이점 . 중앙에서 처리하기엔 너무 방대한 양이기에

                                                 지방에서 각자 처리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시민단체 - > 시민들이 인터넷이나 취미,흥미 등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서

                         단체를 이루어 여러 행동을 하는 시민들간의 모임.

지역사회 - > 사람들이 살고 있는 어떠한 지역만의 사회

도심 - > 빌딩등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같은곳.

부도심 - > 도심의 역할을 나누어맡는곳.

위성도시 -> 도심, 부도심에서 하지못하는 주거기능등을 분담해 맡아주는 곳.

주변지역 - > 주로 공업단지나 주택단지로 이루어져있음.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 > 무질서한 개발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이곳은

                                                      개발이 불가능하게 법적으로 막아놓은곳이다.

 지도 - > 대축척지도와 소축척 지도로 구분되며, 산과 강등을 그려놓은 일반적인 지도

                (일반도)와 주제를 가지고 그린지도 (주제도)로 나뉜다.

축척 - > 지도에서의 몇 cm 가 실제거리로 몇 cm(m,km)인지 나타낸 것으로

               예를들어 1:50000이라면 지도상의 1cm 는 실제거리 50000cm를 나타낸다.

대축척지도 - > 1:50000이나 1:25000의 지도를 이른다. 대부분 지역사회 조사에 쓰인다.

소축척지도-> 1: 100000부터의 지도를 이름으로써 대부분 나라의 전도등에 쓰인다.

막대바 -> 축척을 표시한 막대바이다.

방위표시 - > 기본적으로 방위표시가 없을경우엔 위쪽이 북쪽이된다.

그래프 보는법 - > 막대 그래프는 강수량, 꺾은선그래프는 기온을 나타낸다.

 

중부지방 -

 

태백산맥 - > 동쪽에 치우쳐서 우리나라 동고서저형의 원인이되는 우리나라 등줄기산맥

소백산맥 - >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경계가 되는 산맥

수도권 공업지역의 장점 -> 풍부한 소비시장. 뛰어난 기술. 풍부한 자본 등등

                        !!!!중요 - > 원료는 우리나라에 적기때문에 풍부한 원료는 틀린답!!

수도권 농업 -> 신선함이 중요한 낙농업이 발달.(빨리 소비해야하기떄문에). 즉 근교농업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 무질서한 개발을 막기위해 정해놓은 구역

CBD(중심업무지구) : 도심에 중심되어 있는 빌딩등을 이루어 말함.

도심 : 서울같은 사업의 본점이나 빌딩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

부도심 : 도심의 기능을 분담하여 나누어 맡는 역할을 한다.

!!!!중요: 도심과 부도심은 땅값이 비싸기 떄문에 주거기능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침에 출근하고 저녁에 퇴근하여 공동화현상이라고 불리우는

                 아침엔 인구많고 저녁엔 인구없는 현상이 생긴다. (상주 주거 주민 없음)

주변지역 : 도심이나 부도심으로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이 주거하고 공업단지가 모여있는

                     곳으로, 도심과 부도심에서 생긴 공동화현상때 밤에 이곳으로 사람들이 모임

위성도시: 부천,성남,인천,의정부 등 도심이나 부도심의 미흡한 것을 보완해주는 역할

      !!!!!중요 : 의정부 -> 군사지역

                        부천 -> 공업단지,주거기능

                         성남 -> 주거기능 

                         인천 -> 서울의 외항

한강 : 옛날엔 수운역할, 옛날 삼국의 군사적인 중심 요소로도 쓰였다. 

 

관동지방 (강원도지방)

 

특징 - > 석회석이나 텅스텐이 풍부하다(그러나 지금은 외국산 때문에 생산중단)

                관광산업이 발달하였다. (동해가 있기때문에)

 태백산맥 - > 관동지방을 영서지방과 영동지방으로 갈라놓는 경계선이된다.

높새바람 -> 북동풍을 이루는 순우리말로 영동지방에서 영서지방으로 가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되어 영서지방의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강릉이 겨울에 서울이나 홍천보다 따뜻한 이유 - >  1. 태백산맥이 바람을 막아준다

                                                                                                 2. 동해의 난류의 영향

동해 - > 수심이 깊고 조석간만의 차가 적고 해안선이 단조롭다.

                또한 난류와 한류가 만나서 황금어장을 이룬다.

고령지 농업 - > 대관령쪽 고위평탄면에서 재배하여 여름철 서늘한 기후로

                                농작물 생산 시기가 늦춰져 더 많은 값을 받고 팔수있게 된다.

 남부지방

 

*충청도 - > 공주.부여.대전.충주.청주 등이 있는 도로써,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갈린다.

 

충청북도 도청소재지 - > 청주

충청남도 도청소재지 - > 대전

공주 . 부여 - > 백제 문화권

충주 -> 교육의 거점.

 

임해산업단지 발전 - > 우리나라는 원료가 부족하기때문에 원료를수입  해야 한다.

                                             그러나 수도권에 공장이 있으면 운송비가 들기때문에

                                             바다에 붙어서 원료를 수입하여 가공무역을 하는 형태를이룬다.

호남지방 - > 최대의 곡창지대로 방대한 양의 쌀을 생산해낸다.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인 지역 - > 무역에 유리한 지리적 환경을 이룬다.

 

    과학

 

대기권의 구조

 

대기권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표로부터 1000km까지를 이르는 말로, 아래서 부터

대류권,성층권,중간권,대류권을 이른다. 대류권과 중간권에선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대류권에서 수증기가 있고 기상현상이 일어나나 중간권에선 대류현상만 일어남.

 

각 층의 특징 - > 대류권 ( 우리가 살고 있는곳으로, 대기권전체 공기의 70%이상 존재

                                                대류현상,기상현상일어남. 태양으로부터 데워진

                                                  지표로부터 멀어지기때문에 올라갈수록 온도 하강)

                               성층권 ( 안정적이여서 비행기 항로로 이용되며 오존층이 있어

                                                올라갈수록 온도가 올라간다. 대류,기상현상 없음)

                                 중간권 ( 태양에서도 멀고, 오존층에서도 벗어났기때문에 올라갈수록

                                                온도가 내려가고,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유성관측가능)

                                    열권 ( 대기권중 가장 태양에서 가깝고 두껍다. 때문에 올라갈수록  

                                                  온도는 올라가고 , 대류,기상현상이 없고, 오로라등이 관찰됨.

 

지구 내부구조

 

지각 , 맨틀 , 외핵 , 내핵

 

지구내부를 알아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지진파 분석이 있따.

지진파에는 P파와 S파가 있는데 P파는 피해정도가 작고 속도가 빠르며

고체액체 기체 모두 통과할수있다 (종파라고도 부름) S파는 그반대이며 고체만 통과할수있다.

 

지각 - > 지구의 가장 겉부분으로 해양지각과 대륙지각으로 나뉘어 있으며

                약 35km까지 분포하고있다. 지구 내부중 가장 적음 부피

맨틀 -> 지각과 맨틀사이의 경계면은 모호면(모호로 비치치 불연속면)이라고 하며,

               지구내부 구조중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 하고있다.

외핵 - > 액체로 이루어져있으며 (S파과 통과하지 못하므로 예상가능) 철과 니켈같은

                무거운 물질로 구성되어있다.

내핵 -> 지구내부구조중 가장 열과 압력을 많이 받으며 역시 철과 니켈같은 무거운 물질로

               구성 되어있고, 외핵에 비해 이곳은 고체로 이루어져있다.

 

 광물

 

지각 - > 지구의 가장 겉부분

암석 -> 지각을 이루는 요소

광물 -> 암석을 이루는 요소

조암광물 - > 암석을 이루는 주요 요소

굳기 -> 광물이 얼마나 단단한가를 나타냄.

조흔색 - > 조흔판에 광물을 긁었을때 나타나는 색

 

지각구성 8대 원소 - > 산소 규소 알루미늄 철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 순서대로 외우세요. 차지하는 양에 따라 정렬한것.

 

조암광물의 종류 : 석영,장석 / 흑운모 감람석 휘석 각섬석

                                          ↑                            ↑

                                    밝은광물 /     어두운 광물(철과 마그네슘 많이 포함)

 

결정형 광물 - > 석영 (육각기둥모양) 방해석 (기울어진 육면체모양)

                               장석 (두꺼운판모양) 석면 (섬유모양)

                                 흑운모(얇은판모양)

비결정형 광물 - > 흑요석, 단백석

 

깨짐이 나타나는 광물 - > 장석 , 흑운모, 방해석

쪼개짐이 나타나는 광물 - > 석영, 흑요석 , 단백석

 

모스굳기계 : 1단계부터 10단계 까지 순서대로 나열한것입니다.

- >  활석, 석고, 방해석, 형석, 인회석, 정장석, 석영, 황옥, 강옥, 금강석

 

맛이나는 광물 - > 암염 (짠맛)

자성이 있는 광물 -> 자철석

염산반응이 있는 광물 -> 방해석

 

색과 조흔색(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종류   |     금   |  황철석  |  황동석  |    석영     |  자철석 |  적철석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색      |  노랑 |  노랑색  | 노랑색   | 무*붉색 |  검은색 | 검은색  |

   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조흔색|  노랑 |   검은색 | 녹*흑색 |     X         |  검은색  | 붉은색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무.붉색은 무색,붉은색

* 녹.흑색은 녹색,검은색

*석영이 조흔색이 없는것은 조흔판보다 단단하기때문

 

    암석의종류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화성암 - > 화산에서 생산되는 암석으로, 심성암과 화산암이 있으며,

                    종류는 화강암,현무암,유문암,반려암 등이있고, 대표적인

                    실험으로는 스테아르산 결정관찰 실험이있다.

 

변성암 -> 화성암이나 퇴적암이 열과 압력을 받아 생기는 암석으로,

                    종류는 대리암(대리석),편마암,편암 등이 있고, 대표적인 실험으로는

                    고무찰흙에 색이 다른 찰흙을 넣고 눌르는실험 ( 줄무늬만들기 실험)

 

퇴적암 - > 퇴적물이 열이나 압력을 받아서 생기는 암석으로,

                    종류는 잘모르겠고(탐구가 부족해서..ㅠㅠ) 대표적인 실험으로는

                      변성암과 같은 실험이있다.

 

 

 

*쉬는시간에 답을 맞추지않고 자습합니다(다음에 맞출수도 잇잖아요~)

*절대 떠들지 않아요~ 떠들면 기억한거 다 까먹습니당^^;;

*앉아서 자습이 안돼면 그동안 풀었던 문제를 열심히 생각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V. 통 계

1. 자료의 정리

도수분포표

자료 전체를 몇 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 속하는 도수를 조사하여 나타낸 표


변량 - 자료를 수량으로 나타낸 것

계급 - 변량을 나눈 구간

계급의 크기 - 구간의 나비

계급값 - 계급을 대표하는 값으로 계급의 중앙값

도수 -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

히스토그램

주어진 도수분포표에 따라 계급의 크기를 가로, 도수를 세로로 하는 직사각형을 그려 나타낸 그래프

도수분포다각형

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을 차례로 선분으로 연결하고 양 끝은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그 중점과 연결해서 만든 그래프

*도수분포다각형 그리는 방법

1. 도수분포표를 보고 히스토그램을 그린다.

2.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한다.

3. 양 끝은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그 중점을 연결한다.

도수분포다각형의 넓이는 히스토그램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2. 자료의 관찰

상대도수

전체도수에 대한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

(각 계급의 상대도수) = (각 계급의 도수) / (도수의 총합)

상대도수의 분포표 :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여 만든 표

상대도수분포다각형

가로축에 계급, 세로축에 상대도수를 잡아 도수분포다각형처럼 그린 그래프

 상대도수의 총합은 반드시 1 이다.

누적도수

도수분포표에서 작은 계급의 도수부터 어떤 계급까지의 도수의 합

(각 계급의 누적도수) = (앞 계급까지의 누적도수) + (그 계급의 도수)

누적도수의 분포표 - 각 계급의 누적도수를 써 놓은 표

누적도수의 분포다각형 - 가로축에 계급, 세로축에 누적도수를 잡아 도수분포다각형처럼 그린 그래프

 마지막 계급의 누적도수는 도수의 총합과 같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식 요점 정리 필요 없어 요 그거 이해 만ㄱ ㅏ시 면 요점 정리 안하 고도 80~96 장담 함니다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

제가 수학은 공부가 잘안되요....ㅜㅜ 그래서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좀 부탁드릴께요...ㅠㅠ 부탁드려요////^^* V. 통 계 1. 자료의 정리 도수분포표 자료 전체를 몇 개의...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 해주세여

여름방학에 예습할려고여 중1 2학기 수학요점정리 해주세여 내공50 중학교 1학년 2학기 요점정리 메일로 보냈으니 잘 활용하여 열공하세요.

중1 2학기 수학 요점 정리

이번에 시험이 있는데 수학은 꼭 잘보기로 약속을 했는데.. 재일 자신 없어요 ㅠㅠ 요점 정리좀요 ㅠㅠ 질문자인사 감사해요^^ V. 통 계 1. 자료의 정리 도수분포표 자료...

중1~2 수학 요점정리

... 중1부터 중2까지 꼭 필수인 수학요점 정리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중 1-1 는... 또 중학교 2학년은1학기는 계산, 2학기는 도형 문제입니다. 딱히 1학년 기본이...

중12학기수학요점정리

... fermat.co.kr/index/preview_index.asp?campus_key= 생각하는수학 페르마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로그인없이 학년별 요점정리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중 1 2학기 수학 요점정리

진단평가 쳐야되는데 중 1 2학기 문제집을 다 버려가지고 공부 못하는 상황인데 중1 2학기 수학 요점정리 해주세요 ㅠㅠ 내신 관리및 시험 대비 할수 있는 문제도 풀수 있는...

중1 2학기 요점정리

제가중1학생인데요좀있으면기말인데그기간에학원을끊어가지고지금... 쨋든제가원하는요점정리과목은요 사회 : 오스트레일리아 ~ 끝까지 과학 : 배설 ~ 끝까지 수학 : 삼각형의...

중1 2학기 요점정리

... 중1 2학기 요점정리 입니다.. 제가 지금 가지구 있는 문제집은 1.일등급수학 2.오투과학 3.한끝국어 4.한끝사회.. 이렇게 가지고 있구여.. 암기과목인가 하는것도...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요점정리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요점정리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요점정리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요점정리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요점정리 중1 2학기 기말고사 수학...

중1수학 요점정리(2학기)요..

... 이걸못해서ㅠㅡ 혹시 EBS 중1 수학2학기꺼 정리나 요점 되있으신분.. 진짜 부탁드립니다.. 10시30분까지만.. 요점싸이트 이용 하세요 가입안해도 됩니다 http://middle.edup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