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노력이필요한환경문제와해결방안

세계적인노력이필요한환경문제와해결방안

작성일 2007.06.0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세계적인노력이필요한환경문제를살펴보고 해결방안알아보기

라고 알림장에적혀있네요

 

''해결방안과세계적인노력이필요한환경문제''

좀써주세요 자세하게요 내공오랜만에많이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황사 - 원인: 중국의 건조한 지역에서 발생한 미세한 모래와 먼지가 날아 오기 때문

영향: 눈병과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해결방안: 없는듯.. 사막을 없애든지, 바람을 막든지..

 

2. 산성비- 원인: 자동차의 매연, 가정에서 내보내는 가스, 공장의 연기등이 공기 중에 떠있기 때문

영향: 대리석, 금속, 동상 등 을 부식 시켜 원래의 모습을 잃게 한다.

해결방안: 환경오염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

 

3. 오존층 파괴- 원인: 프레온가스가 성층권에 들어가기 때문

영향: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농작물의 수확이 감소 된다.

해결방안: 프레온가스를 적게 써야 한다.

 

4. 산불- 원인: 건조한 계절에 사람들이 버린 담배 꽁초나 불장난 때문

영향: 산이 재로 변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불편을 준다.

해결방안: 산불이 나지 않게 조심한다. 불장난은 하지 않고 담배 꽁초를 아무데나 버리지 않는다.

 

5. 지구 온난화- 원인: 석탄과 석유의 사용이 늘면서 이것 들이 연소한 때에 나오는 이산화 탄소 때문

영향: 지구가 점점 더워 진다.

해결방안: 천연가스를 사용해서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인다.

 

6. 방사능 유출- 원인: 원자력 발전소에서 관리를 잘못하거나 사고 때문

영향: 강이 오염되서 물고기들이  살수 없다.

해결방안: 보관을 잘 하고, 원자력 발전소에서 관리를 잘 한다.

 

여기부터는 영향을 잘 모르겠어요. 원인하고 해결 방안만...ㅈㅅ

 

7. 기름 유출- 원인: 유조선이 침몰하거나, 충돌하여, 관이 터지기 때문

해결방안: 유조선 사고를 예방한다.

 

8. 적조-원인: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고 늘어난 플랑크톤이 많이 죽기 때문

해결방안: 황토를 뿌리거나 플랑크톤이 번식하지 않게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는다.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지식을 총집합 시켜서 열심히 써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현상이란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1800년대 후반 이후, 지구의 평균 온도는 대략 0.7에서 1.4℉ (0.4에서 0.8℃) 상승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2100년까지 2.5에서 10.4℉ (1.4에서 5.8℃) 더 상승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상승률은 과거에 비해 훨씬 더 커진 것이다.


 


지구온난화 현상이란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1800년대 후반 이후, 지구의 평균 온도는 대략 0.7에서 1.4℉ (0.4에서 0.8℃) 상승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2100년까지 2.5에서 10.4℉ (1.4에서 5.8℃) 더 상승할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상승률은 과거에 비해 훨씬 더 커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인간 사회와 자연 생태계가 빠른 기후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생태계란 특정 지역 내에 존재하고 있는 살아 있는 유기체들과 자연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온난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세계 모든 나라가 이를 방지하지 위해 교토 의정서에 합의했다.

(기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인) 기후학자들은 1800년대 후반 이후 지구온난화가 발생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대다수의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이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구의 자연 온실 효과가 촉진되면서 지구온난화가 발생하고 있다. 온실효과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일광, 가스 및 미세 입자들의 복잡한 화학 과정을 거쳐 지구 표면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 중에서 열을 흡수한 가스는 온실가스로 명명된다.

온실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주요 활동들에는 화석연료(석탄, 석유 및 천연 가스 등) 연소와 산림의 난개발을 들 수 있다. 인간은 자동차, 공장, 그리고 각 가정과 사무실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소에서 대부분의 화석연료를 태운다. 그렇게 태워진 화석연료는 화학 분자식이 CO2인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된다.

CO2는 열이 지구에서 우주로 빠져나가는 속도를 떨어뜨리는 온실가스 중의 하나이다. 나무와 그 밖의 식물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에 있는 CO2를 흡수해서 그들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생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 산림의 난개발로 인해 줄어든 CO2 흡수량과 또는 죽은 식물들이 부패하면서 내뿜는 CO2로 인해 CO2 생성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온실가스의 증가가 온도의 중대한 영향을 주지 못하며, 자연 과정을 통해 지구 온난화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자연 과정을 통해 태양에서 방출된 에너지들이 지구에 축적된다. 그러나 대다수의 기후학자들은 태양 에너지가 최근에 발생한 지구온난화에 미친 영향을 미세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2002년, 라르센 B 빙붕의 1,250 평방 마일(3,240 평방킬로미터)이 붕괴된 후 남극 반도 해안을 따라 수천 개의 빙산이 떠 있다.(사진 출처 :나사/지구 관측소 )
계속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심각한 문제들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양 동물 및 식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고, 또한 육상에 살고 있는 동물 및 식물이 다른 지역으로 새 서식지를 찾아 옮겨갈 수 밖에 없도록 만들 수도 있다. 기후 패턴이 변하여 홍수, 가뭄이 발생하게 되고 심각한 피해를 주는 대형 폭풍의 발생 비율이 상승할 수도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할 수도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는 질병이 발병하고,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들 수도 있다.

해양 생물에 대한 위협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산호초와 같은 해양 생태계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높은 수온으로 인해 산호에 심각한 탈색현상(coral bleaching)이 발생할 수 있다.

산호가 탈색되면, 그 색깔과 영양분을 공급하던 조류가 빠져나오게 되면서 점점 하얀색으로 변색되어 간다.

만일 수온이 내려가지 않을 경우, 결국엔 죽게 된다. 또한 상승한 수온으로 인해 바다 생명체에 영향을 끼치는 해로운 질병들이 쉽게 퍼져나가게 된다.

서식지 이동
지구온난화로 인해 동식물들이 자신들에게 맞는 서식지를 찾아 대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대다수의 종들이 자신들이 현재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서 더 이상 생존하기가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많은 꽃식물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추운 겨울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꽃을 제대로 피우지 못하게 될 것이고, 인간이 거주지로 쓰기 위해 땅을 계속해서 개간함으로써 동식물들이 사용할 새로운 서식지가 줄어들거나 아예 남아있지도 않게 될 것이다.

기상 악화
기상 상태가 극심하게 악화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강우 패턴의 변화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홍수와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되고, 허리케인 및 그 밖의 열대성 폭풍들이 더 자주, 더 강력하게 발생하게 될 것이다.

해수면 상승
수세기 동안 지구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남극 서부 대부분을 덮고 있는 빙봉에서 엄청난 양의 얼음이 녹아내릴 수 있다. 그렇게 될 경우, 전 세계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해안 지역들은 홍수, 침식, 습지대 손실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담수지역은 바닷물에 침범 당하게 될 것이다. 높아진 해수면으로 인해 해안 도시, 작은 섬 국가 및 기타 거주 지역들이 바다 밑으로 잠기게 될 것이다.

인간 건강에 대한 위협
말라리아 및 뎅기열과 같은 열대성 질병들이 점점 확산될 수 있다. 여기에 좀 더 강해진 강도로 더 장기간 지속되는 혹서로 인해 더 많은 생명체가 죽어가고 병들게 될 것이며, 또한 홍수와 가뭄으로 인해 기근과 영양실조로 고생하는 지역이 많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농작물 수확량 변화
캐나다와 러시아 일부 지역의 경우 농작물 수확량이 증가하는 혜택을 누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증가한 수확량도 온도가 많이 상승할 경우, 지구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가뭄과 고온으로 인해 감소한 수확량을 비교하여 차감 계산하면 기존의 수확량에 미치지 못할 것이다. 특히 열대성 지역에서는 농작물이 서식할 수 없을 만큼 온도가 상승하여 수확량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다주게 될 것이다.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들이 제안한 2가지 핵심 방법은 (1) CO2 배출 제한과 (2) 탄소 격리를 이용해 대기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거나 이미 대기에 빠져 나가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CO2 배출 제한

CO2 배출을 줄일 수 있는 2가지 효과적인 기술은 (1) 화석연료를 CO2를 배출하지 않는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하거나, (2) 화석연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CO2를 배출하지 않는 대체 에너지원으로는 풍력, 태양에너지, 핵에너지 및 지열 증기가 거론되고 있다. 풍력터빈 장치는 바람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장치들을 이용해서 태양 에너지를 사용 가능한 열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지열발전소는 지열 증기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대체 에너지원들은 화석연료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그 비용을 확실히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탄소 격리는 (1) 지하 지층 혹은 지하수 저장소 및 (2) 살아 있는 식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하 지층 혹은 지하수 저장소를 이용하는 방법은 지하에 지질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층이나 심해 대수층에 산업 활동으로 인해 배출된 CO2를 주입시켜 저장하는 방법이다. 적당한 지하 지층이란 석유나 가스 석탄을 채굴하고 남은 자연 저장소를 말한다. CO2를 이러한 저장소에 주입하게 되면 그곳에 남아 있던 석유나 가스를 더 손쉽게 채굴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얻은 이익으로 탄소 격리에 사용되는 비용을 차감시키는 추가적인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염암층 혹은 산호초로 형성된 지층 또한 탄소 격리에 적당한 장소로 사료되고 있다.

해양은 더 많은 CO2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탄소 격리에 해양을 사용할 경우 발생할 환경 영향을 대해 아직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살아 있는 식물 이용
녹색 식물은 대기 중에 있는 CO2를 흡수해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생성한다. 그들은 수소와 CO2에 있는 탄소를 결합하여 간단한 당분을 생성한 다음, 조직 속에 저장한다. 식물이 죽으면, 부패하면서 CO2를 배출하게 된다. 숲과 심지어 농경지와 같이 수없이 많은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들은 많은 양의 탄소를 보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 인간들은 이 생태계를 있는 그대로 보존 시켜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생태계에 격리되어 있던 탄소가 CO2의 전환되어 다시 대기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1997년 일본 교토에서 160개국에서 온 대표들이 회의를 거쳐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교토 의정서라는 협정서를 채결하였다.

배출 제한 목표
38개의 산업화 된 국가들은 CO2와 그 밖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해야만 한다. 이 제한 규정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유효할 것이며, 각 나라별 각기 다른 배출 제한 목표를 설정해 놓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38개의 나라는 1990년에 각기 나라에서 기록했던 연평균 배출량의 약 95%까지 제한하도록 되어 있지만, 개발도상국에는 이 제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를 통해 이들 산업화된 국가들이 연합하여 개발도상국들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원조하는 움직임들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들이 배출 감소 장치를 구입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이들 중 한 국가가 우수한 배출 감소 장치를 개발하여 협정서에 협의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을 줄였다고 가정해보자. 그 나라는 다른 국가에 배출 감소 장치를 판매하여 다른 나라들도 똑같이 초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다른 프로그램들을 통해 이들 산업화된 국가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량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도상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를 다른 대체 에너지원으로 바꾸도록 원조하여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그 목표량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의정서 승인
(1) 최소한 55개국 이상이 (공식적으로) 비준하고, (2) 이 의정서를 비준한 38개의 산업 국가가 그들이 1990년에 기록했던 배출량의 최소한 55%까지 CO2 배출량을 줄여야만 이 의정서가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 의정서가 미국 경제에 위협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교토 의정서에 반대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는 다른 나라들과 함께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 밖의 나라들, 특히 유럽 연합에 속해 있는 대부분의 나라들은 미국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이 의정서대로 배출량 감소계획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에 동의했다.

2004년까지, 의정서에 포함되어 있는 산업 국가로 분류된 나라를 포함한 100개국 이상의 나라가 이 의정서를 승인했다. 그러나 이 의정서가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혹은 미국이 반드시 승인을 해야만 했다. 그렇게 하여 마침내 러시아가 2004년 11월 이 의정서를 승인하였다. 이 조약은 2005년 2월부터 효력이 발휘되었다.

과학자들은 인류가 온도계를 사용하기 전에 발생했던 지구온난화를 분석하기 위해 나이테, 남극과 그린 랜드에서 추출해 온 빙핵(원통 샘플)과 같은 여러 가지 자료를 연구하고 있다. 여기서 얻은 정보를 통해 지난 1,000년 중 1900년대에 지구의 온도가 가장 크게 상승한 것을 발견하였다.

기후학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해 과거 기후 변화와 미래에 발생할 기후 변화에 대해 분석한다. 먼저 기후 모델 속에 나타나 있는 수학적인 방정식 세트를 이용해 컴퓨터를 프로그램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방정식들은 대기 중의 CO2량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지구 표면 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이러한 요인들이 특정 시간대에 나타났던 데이터 값을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온도 분포도를 나타내준다.

여기서 기후 조건들을 변화시켜서 여러 가지 기후 시뮬레이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
2001년, UN에서 후원하는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간 패널(IPCC)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보고서에 기후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를 발간하였다. 기후학자들은 지난 100년간 자연 변수들이 지구온난화를 일으켰는지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 시뮬레이션을 실험하였다. 첫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기후에 영향을 끼치는 자연 현상과 인간 활동을 같이 고려하였다. 두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자연 현상만 고려하였으며, 마지막 세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인간 활동만을 고려하였다.

그런 다음, 예측되어 나온 결과를 실제로 측정된 온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연 현상과 인간 활동을 동시에 고려한 첫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만 실제 측정 온도에 비슷하게 상응하는 결과가 산출되었다.
또한 IPCC는 2100까지의 온도변화를 예측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간하였다. 각각의 시뮬레이션은 똑같은 자연현상에 각기 다른 인간 활동 형태, 예를 들면, 인간 활동에 의해 대기 중에 배출되는 CO2의 양을 각기 다르게 그 결과를 예측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볼 때,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응급조치”가 있을 수 없다. 온실 가스 배출을 지금 즉시 멈춘다고 하더라도, 이미 대기 중에 배출되어 있는 온실 가스로 인해 2100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것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도로 주변과 주택가 주변의 공기 상태 측정
(1) 도로변과 주택가 주변의 적절한 장소에 한 시간 정도 젖은 흰 수건을 각각 걸어 둔다.
(2) 한 시간 후 흰 수건의 색깔이 변한 정도를 비교하고 기록한다.
(3) 자동차의 배기 가스로 인해 공기가 오염되어 도로변의 흰 수건이 더 많이 변했다.

2. 수중 생물로 우리 마을의 하천 상태 알아보기
(1) 우리 마을에 있는 하천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본다.
(2) 버들치 열목어 가재 등이 살면 1급수이다.
(3) 피라미, 다슬기, 은어 등이 살면 2급수이다.
(4) 붕어, 메게, 미꾸라지 등이 살면 3급수이다.
(5) 실지렁이 등이 살면 4급수이다.

3. 멀리 떨어진 물체가 어떻게 보이는지 측정하기
(1) 멀리 떨어져 있는 산 또는 특정한 건물을 정한다.
(2) 일 주일 동안 특정 물체가 또렷이 보이는 날과 그렇지 못한 날을 측정하여 표를 만든다.
(3) 또렷이 보이지 않는 것은 공기가 오염되었기 때문이다.

4. 주택가의 소음 측정하기
(1)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2) 녹음기를 이용하여 우리 마을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다.
(3) 소음이 심한 곳과 조용한 곳에서 녹음하여 비교해 본다.


소음 문제가 있는 마을의 환경

 

1. 주택가의 소음 측정
(1) 주택가의 소음을 측정해 보자
(2) 준비물 : 녹음기나 소음 측정기, 마을 지도, 시계, 종이, 필기도구
(3) 소음을 측정할 때 주의할 점
    ① 같은 장소라도 시간에 따라 소음의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간을 함께
        나타낸다.
    ② 그 지역의 특수한 상항을 함께 조사하여 기록한다.
(4) 실험 장소
    ① 공사장 주변의 주택가
    ② 공장 주변의 주택가
    ③ 도로와 가까운 주택가
(5) 측정 결과
    ① 공사가 한창 진행되는 오전과 오후에 공사장 주변의 소음이 심하였다.
    ② 공장의 기계 소리가 늦은 저녁까지 계속 들렸다.
    ③ 차들이 많이 다니는 출퇴근 시간에 도로 주변의 소음이 심하였다.
(6) 연구 결과 20세 된 미국인의 청력과 70세 된 북아프리카 수단 사람의 청력이 거의
     같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소음으로 인해 청력이 약해졌음을 보여준다.
(7) 소음은 사람에게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가축이나 식물, 그리고 물건들에게도
     피해를 준다.


대기 오염의 사례

1. 중국의 황사
(1) 황사 현상이란 중국의 건조한 지역에 있는 가는 모래들이 바람에 날려 우리 나라에까지
     오는 현상을 말한다.
(2) 황사 현상으로 인해 우리 나라에서는 매년 봄에 하늘이 온통 누렇게 되면서 많은 먼지로
     뒤덮인다.
(3) 황사는 중국의 공업지대를 거치면서 중금속과 같이 사람 몸에 해로운 물질을 흡수한 채
     이동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4) 황사현상으로 우리 나라의 대기가 오염되고 눈병과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2. 인도네시아의 산불발생
(1) 인도네시아에서 산불이 일어나 대기를 크게 오염시키는 바람에 학생들이 마스크를 쓰고
     공부를 하거나 휴교를 하기도 했다.
(2) 다른 나라에까지 영향을 주어 이웃 나라의 대기가 오염되었다.
(3) 자연적으로 발생한 산불도 넓은 지역으로 번질 경우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3. 원자력 발전소 사고
(1)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로 인해 발전소 건물이 산산조각이 나고 강력한 방사선이
     나와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2) 살아남은 사람들도 암, 백혈병, 빈혈 등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3) 방사능 누출로 인한 오염은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었다.


자연 환경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1. 환경 일지
(1) 환경 일지 쓰기
    ① 일주일 동안 가족들이 한 일 중에서 환경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찾아본다.
    ② 찾은 내용은 어떤 환경 문제와 관련이 깊은지 확인한다.
    ③ 그 행동이 우리 생활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환경 일지에 관련된 생각
    ① 프레온 가스가 들어있는 것들은 사용하지 말아야겠다.
    ② 바다나 산으로 놀러 갔을 때 반드시 쓰레기를 되가져와야겠다.
    ③ 가까운 곳에 갈 때에는 되도록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부모님께 말씀
        드려야겠다.

 

2.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기
(1) 내가 만약 공장주인이라면 정화장치를 설치하여 공장의 폐수를 깨끗하게 해서 흘려
     보내야겠다.
(2) 내가 만약 국회의원이라면 환경문제에 관한 법률을 잘 만들어야겠다.
(3) 내가 만약 환경단체회원이라면 사람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하여야겠다.
(4) 나는 재활용운동을 잘 실천하여 쓰레기를 줄여야겠다.

점수 많이 주세요ㅋㅋ

*세계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는 활동이 필요한 까닭*

 

No.1:환경은 우리와 가장 간접적인 것이며, 우리에게 많은

        자원을 제공해주기 때문입니다.

No.2:환경은 우리 인간에게 가장 소중하며 필요한 산소를

         제공해 주기 때문입니다.

No.3:환경은 동물들의 삶에 터전이며, 만약 환경이 파괴가

          된다면 동물들은 보금자리를 잃어 인간이 사는 곳으

          로 와서 농작물 피해등 인간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입니다.

No.4:환경은 예를 들어 숲같은 경우는 산림욕장등을 만들어

         우리에게 건강이 좋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죄송해요.  소박하지만 잘 이용 해주세요.

세계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는 활동이 필요한 까닭

1. 과학이 많이 발전 되어서 우리는 점점 편안한 생활을 하고 있지만 자연은 손실을 보고 있어서

2. 후손들에게 물려주기위해.

환경오염의 원인

-공장 사업장 등의 생산활동 때문에 대기오염이 된다.

-낚시, 상류의 목장, 행랑객의 쓰래기 때문에 수질오염이 된다.

         문제해결 노력              

- 각각의 사용자의 철저한 사용자 관리

- 관계된 관청의 조사, 검사, 단속을 한다

- 굴민 자체가 환경오염에 관한 지적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

- 상수원 지역 관리자가 수거처리를 한다.

★세계적으로 환경보호가 필요한 까닭★

♡세계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는 활동♡

☆1.그린피스♥

하는 일: 원자력 발전소 건설반대, 동물류 보호 자연보호운동 등을 활동합니다.

☆2.녹색연합

하는 일:녹색 생명운동, 미래 저향력 환경운동 등을 활동합니다.

☆3.환경운동임업

하는 일:갯벌과 철새 보존, 강 되살리기등을 활동한다..

☆4.시에라 클럽

하는 일:반핵 운동, 열대 우림보호등을 활동합니다.

☆5.녹색 당

하는 일: 환경오염 방지 등을 발송합니다.

 

모두 합하여 말한다면:것보기엔 자연과 문명(사람)이 별관련이 없어 보일지도 모르지만 환경이 악화된다면 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 사람들은 질벙으롸 고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카드뮴(Cd: Cadmium)중독(이다이 이다이병)
중금속의 하나로 언제가 아연광에 함께 들어 있다. 함량은 0.01∼0.05%, 청백색의 광택이나고 칼로 베어질 정도로 연하다. 토양 중에도 들어 있고 석탄재나 담배 연기에도 미량이 들어 있다.

내식성이 있어 전기도금, 합성수지 안정제, 물감, 축전지 극판, 텔레비젼 형광판, 저융점 경합금, 축수합금 등에 쓰인다. 광산이나 제련소 등에서 생기는 카드뮴은 하천수를 오염시키고 이것은 다시 어패류, 벼, 콩, 시금치 등에 축적되어 이를 먹는 사람을 중독시킨다. 성인의 카드뮴 중 60%는 쌀과 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의 카드뮴은 출생시엔 0.0001mg인데 이것이 청년기가 되면 30∼50mg으로 늘어난다. 이것은 골격 중의 칼슘의 치환되기 때문이다. 또 담배 연기에도 많이 들어 있다.

카드뮴 중독은 30∼40mg을 경구를 통하여 섭취하면 불쾌감,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만성중독은 기관지염, 폐손상 등으로 나타난다. 급성은 복통까지 일으킨다. 또 신장의 기능에도 손상을 입힌다.

카드뮴 오염의 대표적인 사례는 일본에서 '이다이 이다이병'으로 세계에 널리 알려진 바 있다. 이 병이 발생한 지역은 벼에 카드뮴1250ppm과 아연 2600ppm이 들어 있었다. 조개류는 100∼10001㎍/㎏ 이었다.

WHO는 1일 허용 경구 섭취량을 80㎍으로 정하고 있다. 미국 등의 나라에서는 하루 섭취량을 10∼40㎍으로 보고 있다.

2. 가네미사건(PCB사건)
1986년 3월 일본의 구주 일대에 이상한 피부염에 걸린 사람들이 나타났다. 일본 구주대학에서 원인규명에 나서 11월 4일 "가네미회사"가 사료원료로서 판매한 미강유중에 혼입된 PCB(Poly Chlorinated Biphenyl)에 의한 증상이라고 규명하였다.

같은 해 2월"가네미회사"가 사료원료로서 판매한 "다이그유" 중에 PCB가 혼입되어 있어 일본구주,사국, 중국지방의 닭 50만마리가 사망한 사고가 발생하였다."가네미회사"에서는 라이스오일 탈취공정에서 가열용의 열매체에 PCB를 사용하고 있었고 이것이 가열 파이프에서 누설되어 미강유에 혼입되었다. 그리고 이 공정에서 생성된 미강유 이외의 부산물을 "다이그유"에 혼합시켰기 때문에 닭이 모두 사망하게 된것이다.

가네미의 미강유로 인하여 중독된 사람을 가네미유병환자라고 불렀고 인정 환자는 약1,068명(1971년 8월)이었다. 다수의 미인정환자도 있어 환자수는 3,000∼5,000명 이상 이라고 볼 수 있었다. 1972년 6월까지 인정환자 중 17명이 사망하였다.

3. 다이옥신(Dioxin) 사건
살충제나 제초제에 의한 유해여부는 처음 BHC(Benzene Hexachloride)으로 시작해서 DDD, DDT, PCB 그리고 Dioxin까지 대두되고 있다. 즉 1983년 2월 미국의 St. Louis 근교인Times Beach 지역이 Dioxin에 오염되어 이 지역을 국가에서 매입하여 관장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지역은 피부청결제인 Hexachlorophene 을 제작하는 NortheastPharmaceutical and Chemical Co에서 배출되는 검은 기름 폐기물을 도로상에 살포하기시작하면서 오염되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상기회사는 이 폐기물을 당초에는 연소시켰으나 처리비용 때문에 1971년 폐유처리업자에게 판매하였는데 이 폐유업자는 이 물질을 도로상에 투기하였다.

그후 인근의 말이 75마리나 죽는 일이 생겼으며, 참새가 죽는 일이 생기기 시작하여 이를 분석한 결과 그 원인이 Dioxin으로 알려졌다. 이러한Dioxin 중에서 가장 독성이 큰 물질은 2,3,7,8-TCDD인데 이를 연소방법으로 처리하기위해서는 1,000℃이상에서 2초 이상의 체류시간으로 연소시켜야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있다.

오존처리법에 의해서는 50시간에 97%의 체거효율을 얻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토양내에서는 서서히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Dioxin은하수처리장이나 일반적인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의하여는 처리가 잘 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 도노라(Donora)스모그 사건
미국 펜실베니아 주에 있는 인구 14만명의 소도시인 Donora는 계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도시는 인구는 적지만 많은 산업시설들이 밀집되어 있어 항상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러나, 평상시에도 이른 아침을 제외하고는 늘 짙은 안개가 계곡을 덮고 있었으며 때에 따라서는 온종일 짙은 안개가 겉히지 않을 때도 있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반복되던 1948년 10월 27일부터 4∼5일간에 걸쳐 대기의 이동이 중단된 상태가 계속되면서 이 사건이 일어나게 되었다.대기의 이동이 중단되자 각 공장에서 배출된 여러 종류의 유해가스와 매연, 증기 등이안개와 함께 대기오염을 가속시켜 20여명이 사망하고 6,000여명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킨 바 있다.

5. 디디티(D.D.T)와 환경문제
환경을 파괴하는 과학기술의 대표적인 형태는 합성화학물질이다. 합성물질은 인류의 복지 증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지만, 이들의 상당 부분은 자연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되지 않아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살충제·제초제와 같은 농약,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합성물질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화학약품은 전형적인 오염원이다.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DDT를 예로 들어보자. DDT는 제2차 세계 대전중에 개발된 살충제로 말라리아 모기의 발멸에 탈월하였다. 미국의 클리어 레이크라는 호수에 모기를 없애기 위해 1949년부터 1957년까지 3번 살포하였더니, 이 호수에 살고 있던 농병아리들이 떼죽음을 당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농병아리의 몸에 DDT가 농축되어 있었던것이다.

DDT는 물에 잘 녹지 않고 분해도 되지 않는데, 생물체가 흡수하면 체내의 지방에 축적된다. DDT를 처음 플랭크톤이 흡착하면 상급생물로 전달되며 상급생물일수록 더 많은 양의 DDT를 몸속에 축적하게 된다. 생물농축 때문이다. 이와 같은 먹이연쇄에 따라 DDT를 사용한 적이 없는 에스키모인이나 남극의 펭귄까지도 DDT를 체내에 가지고 있다.

DDT는 간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암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암환자는 정상인보다 25배의 DDT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새들은 DDT 때문에 칼슘대사의 장애를 일으켜 새의 알껍질이 얇아지고 번식력이 낮아진다. 또한 DDT는 해안 지역의 어획량을 떨어뜨린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DDT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5. 러브커넬(Love Canal)사건
Love Canal은 1890년대에 설치가 중단된 운하로 폭이 30m 길이가 1,000m가량 되는Niagara강으로부터 500m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1938년 이전까지는 폐기물을 이 지역에 매립한 것 같지는 않았다.

화학약품을 제조하는 공장은 전기가 맣이 소요되므로 전기값이 싼 Niagara지역에 맣이 설치되었다. 특히 전기가 맣이 소요되는 염소제조회사가 많았다. 1942년 염소제조회사인Hooker Chemical사가 이 지역에 자체 폐기물을 투기하기 시작하였으며 2만 여톤을이 운하 근처에 매립하였다.

매립된 폐기물은 액체, 고체 및 각종 용매로서 염소 400톤, Chlorobenzene2톤Trichlorophenol 200톤, Hexachlorocyclohexane 6,900톤, Dodecyl meracaptan 2,400톤
등이었다.

이 지역에서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이 곳에 학교를 지으려다가 그만두고 일반주택을 짓기 시작한 후인 1978년이었다. 1980년 당시 카터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이 지역에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Love Canal 지역은 오염물질에 의하여 호흡기질환 뿐만 아니라 불구의 신생아 출생등 원인불명의 이상질환이 발생하였다. 러버커넬사건은 미국의 Super Rund법 제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6,런던 스모그 사건
런던은 안개의 도시라고 할 만큼 항상 짙은 안개에 쌓여 있는 도시이다. 런던의 대기오염은 다른 지역과 같이 산업시설이 주요 발생원인은 아니었지만 주로 공장의 배출가스와 빌딩이나, 일반 가정의 난방으로 인한 매연이 주요원인이 되고 여기에 항상 짙게 깔려있는 안개가 이 사건을 더욱 악화시킨 참사였다.

특히 심했던 것1880년, 1892년,1948년, 1952년 등을 들수 있으며 "살인적 스모그" 사건이라는 말이 나올만큼 처참했던 사건은 1952년 12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계속된 스모그현상으로 인하여 일어났다.

주로 노인, 어린이, 환자 등 비교적 허약체질을 가진 사람들을 엄습 했는데 4,000여명 이 급성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하였고, 다음해 1953년 2월까지는 8,000여명으로 사망자가 늘었다. 이와 같은 스모그 사건은 주로 아황산가스와 분진이 안개와 결합하여 일어난 것이다. 런던스모그사건의 전 기간을 통한 사망자 총수는 12,000여명에 달하였다

7.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스모그사건
미국의 서해안에 있는 로스엔젤레스에서는 1954년 8,9월에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해서 회백색연무의 스모그가 발생했다.

이러한 스모그를 광화학 스모그라고 하는데, 광화학 반응이란 빛 에너지와 결부된 화학반응을 말한다. 즉, 광화학 스모그는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발생된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대기중에 떠 있다가 햇빛 중 자외선과 반응하여 2차 오염물질인 오존과 같은 광화학적 산화물을 만들어 대기를 안개가 낀 것처럼 변하게 하는 현상이며, 이산화황이나 먼지 등에 의해 발생된 런던스모그와는 다르다.

광화학스모그가 일어 나면 눈과 목이 따가우며 심할 때엔 눈병과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급성 중독이 일어나면 목숨까지 빼앗아 간다.

8. 마이아미(Miami) 산업폐기물 사건
Miami Drum Services(MDS)사는 Miami시의 동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공업지역으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드럼통을 가져다가 세척한 후에 재생하는 업무를 과거 15년간 수행하여 왔다. 그후 이지역 일대가 각종 용매나 페놀, 그리고 각종 중금속에 오염되었다. 당시 이 회사는 이러한 드럼통을 알칼리용액으로 세척시킨 후에 Lining이 되어있지 않은 웅덩이에 세척수를 처리하고 있었다.

결국 이 지역을 폐쇄시킨 후에 0.8m 깊이로 표토를 파서 Alabama주의 Emelle이라는 곳의 유해물질 처리지역으로 오염된 흙을 운반, 처리하였으며 578톤의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처리시켰다고 한다.

9. 미나마따병(Minamata Disease)
어패류에 축적된 유기수은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신경 질환으로 일본에서는 의료구제법에 의한 공해병으로 알려져 있다. 그 증상은 시야협착, 운동실조, 언어장해, 지작장해 등이다. 기타 청력장해, 보행장해, 정신장해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등 그 병상은 대단히 복잡다양하다.

1950년대 초부터 일본 구마모또 현 미나마따시와 그 주변의 어민들에게 원인 불명의 신경질환 증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956년에는 78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그 중 18여명이 사망했다.

1956년 11월 일본 미나마따병 대책위원회의 연구에 의해서 그 원인이 어패류를 경유한 중금속 중독으로 추정되었으며, 1959년 7월에는 원인물질로서 유기수은설이 나돌았다.

1968년 9월 일본 후생성은 『메틸 수은이 어패류를 오염시킨 것을 명시하고 오염된 어패류를 대량 취식한 사람만이 피해자다』라는 공식입장을 발표하였다.
참고 :1997년 8월 27일 안전선언이 있었음

10. 뮈즈(Meuse)계곡 사건
1930년 12월 벨기에 중남부 뫼즈강(江) 하구(河口)의 공업지대인 뫼즈계곡에서 일어난 대기오염에 의한 중독사건으로 세계 최초의 대기오염 사고로 기록되었다.

같은 해 12월 1~7일 벨기에 전역이 안개에 덮인 현상이 발생했다. 뫼즈계곡은 지형적 특성으로 안개가 공기 순환을 막는 뚜껑 역할을 했는데, 길이 약 24km, 양쪽 높이 약 105m에 이르렀다. 250여 개 언덕이 포함된 그 지역의 주민 6,000여 명이 심한 통증을 호소했는데, 12월 3일과 4일 이틀 동안 60여 명이 사망했고 소도 여러 마리 죽었다.

조사 결과 처음에는 유황산화물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플루오르(fluorine:불소) 중독 분야의 권위자인 로홀름(Kaj Roholm)에 의한 세밀한 역학조사 결과 플루오르화물(fluoride:불화물)에 의한 급성중독이 원인임이 밝혀졌다.

당시 그 지역에 있던 공장 27개 중 15개가 플루오르와 인산염의 원료나 플루오르 혼합물을 원료로 하는 제철, 철공, 유리제조 공장이어서 굴뚝을 통해 다량의 플루오르화물 가스가 배출되고 있었던 것이다.

처음엔 농도가 낮아 인체에 해를 끼칠 정도는 아니었으나 용해성 물질인 플루오르화수소(HF) 같은 가스가 안개와 혼합되어 급성중독을 일으킬 만큼 고농도 상태가 되었던 것이다. 이 사건은 자연상태의 플루오르와 충치예방을 목적으로 수돗물에 첨가되는 플루오르의 영향에 대해 논란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11. 월남전 고엽제 성분
월남전 당시, 1962~1971년 사이에 미군에 의해 67,000 톤의 고엽제가 뿌려졌으며, 그 중 다이옥신의 양은 167 kg로 추정하고 있다. 월남전에 미국인이 290만명이 참전하였으며 그 중 약 5만명이 고엽제인 다이옥신에 노출되어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한국군도 47,872명이고 고엽제 후유증, 후유의증 환자는 1만7200여 명으로 보고 있다.

12. 도로나 사건
미국 펜실바니아주 도노라(Donora)
연도 : 1948년 10월
원인물질 : 이산화황

가. 발생과정 및 원인규명
도노라는 인구 14,000명의 작은 마을이었는데 이 곳에는 철강공장, 황산제조공장, 아연공장 등이 입주하여 있었다. 1948년 10월 26일에 바람이 불지 않고 기온역전현상이 일어나 대기확산이 되지 않아 대기중 이산화황 농도가 0.32∼0.39ppm까지 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도 이에 가세하였다.

나. 피해상황
사망자수는 평상시 보다 15∼20명 정도가 더 많았으며, 전 인구의 43%에 달하는 6,000여명이상이 피해를 입었는데, 이 중 10% 정도는 심한 피해 증상을 나타냈었다. 사건발생 전부터 앓고 있던 환자 중 특히 천식환자의 88%, 심장질환자의 77%, 그리고 만성 기관지염, 만성 폐기종 환자의 79%가 나쁜 영향을 받게 되었다.

13. 욧가이치 사건
장소 : 일본 욧가이치(四日市)
연도 : 1962년∼1963년
원인물질 :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

가. 발생과정 및 원인규명
욧가이시에는 1956년 정유공장 건설을 시작으로 각종 석유화학공장이 들어섰으며, 이 공단은 1959년에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공장 가동 직후부터 주민들은 악취에 시달리고 기침, 천식, 만성기관지염 등 각종 호흡기질환을 끊임없이 겪게되었다. 1960년 10월 욧가이시는 공해방지 대책위원회를 발족시켜 그곳의 대기오염 실태와 주민건강에 관한 조사를 시작하였는데, 조사결과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이 질환의 원인물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공단가동은 중단되지 않았으며, 대기는 계속 악화되어 갔다.

이때 오염이 심한 지역의 이산화황 농도는 오염이 안된 지역의 8배 이상이나 되었고 1시간 측정치의 경우 총 측정시간의 약 3%가 0.5ppm을 초과하였으며, 때로는 환경기준(1시간 평균치 0.1ppm이하)의 10배인 1.0ppm을 넘기도 하였다.

나. 피해상황
1962년-1964년 사이에 대기는 최악의 상태를 보였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피해자만해도 총 1,231명이나 되었고, 결국 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세계적인 환경오염 사건
1. 가네미사건(PCB사건)
2. 다이옥신(Dioxin) 사건
3. 도노라(Donora)스모그 사건
4. 디디티(D.D.T)와 환경문제
5. 러브커넬(Love Canal)사건
6. 런던 스모그 사건
7.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스모그사건
8. 마이아미(Miami) 산업폐기물 사건
9. 미나마따병(Minamata Disease)
10. 뮈즈(Meuse)계곡 사건
11. 산도즈 화학공장 유출사건
12. 산성우 사건
13. 알라바마(Alabama)주 사건
14. 오하이오(Ohio River Park)사건
15. 이따이이따이 병(Itai Itai Bisease)
16. 인도보팔사건
17. 지하수 오염 사건
18. 키안시(Khian Sea)호 사건
19. 키에스 사건(KIES, Kansas Industrial Environmental Services)
20. 케폰사건(Kepone)
21. 트리마일섬 사고(TMI)
22. 테임즈강 오염사건
23. 피시비(PCB) 사건
24. 페놀사건(Phenol)
25. 펜실베니아(Pennsylvania) 사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파괴되어 가는 열대 우림

  * 아마존 강 유역의 열대 우림은, 전세계 동식물의 30%가량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보고'라고 불린다.
그리고 광대한 열대우림에서 배출되는 산소는 지구의 혼탁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이 지역을
'지구의 허파'라고도 불린다.
  * 그러나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무분별한 개발로 지구상의 열대 우림의 반 이상이 사라져 버렸다.
  * 열대 우림의 파괴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잃고 있다.

2. 지구의 온난화 문제

  * 지구 온난화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 기체에 의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는 현상으로 엘니뇨, 라니냐 라고 불리는 기상 이변을 낳고 있다.
  * 바닷물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일어난 태풍, 홍수, 가뭄 등의 기상 이변 때문에 지구촌 곳곳에 심각한 재난이 발생하고 있다.
  * 이미 심각한 상태에 이른 지구 온난화 추세가 계속되면, 21세기 안에 지구의 온도는 2~4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 이로 인하여 홍수, 농사의 어려움, 질병, 해수면 상승 등이 뒤따를 전망이다.

3. 물 부족 문제

  * 유엔은 1993년에 우리 나라를 물 부족 국가를 분류했다. 2004년부터 물 부족이 예상되며.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지금과 같이 물 소비 추세가 계속 될 경우, 2025년이 되면 세계의 3분의 2에 이르는 지역에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댐을 많이 건설하여 낭비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4. 전쟁으로 인한 빈곤 문제

  * 베트남 및 캄보디아에서는 수많은 어린이가 전쟁으로 인한 장애를 겪고 있다.
  * 장애 중에 75%가 지뢰에 의해 다리나 발목이 잘리는 경우라고 한다.

5. 환경 오염의 심각성

  * 산업 발달로 인한 공장 건설과 자동차 수의 증가로 인해 환경 오염이 늘어나고 있다.
  * 가뭄, 대홍수, 대설 등 기상 이볁 현상이 자주 일어나 어려움을 주고 있다.

6. 핵 폐기물 처리 문제

* 지하에 매장된 방사성 폐기물이 주변으로 유출되어 야생 동물, 대기, 지하수, 강물, 토양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세계적으로 함께 노력하고 있다,.

7. 인구 문제

  * 유엔에 의하면 현재의 인구 증가율이 유지되면 세계의 인구는 2050년에 90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여성의 사회 참여, 핵가족화 등으로 출산율은 떨어졌으나, 의료 기술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으로 수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 인구 증가는 식량 부족, 자원 부족, 환경 오염 등 많은 문제를 발생하게 한다.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 개발 도상국의 인구 증가 문제가 특히 심각하다.

8. 기아 문제

  * 매년 생명을 잃는 5세 미만 어린이 1100만명 중에 55%에 해당하는 600만명의 어린이가 영양실조로 목숨을 잃고 있다.
  * 남부 아시아에서는 어린이의 절반 이상이 영양 부족으로 인하여 체중 미달이며, 아프리카에서도 30%의 어린이가 영양 실조 상태이다.
  * 어린이 사망과 영양 실조의 원인으로는 전쟁, 가뭄, 질병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아프리카의 전쟁과 가뭄은 그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나라들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해결방안은 못찾았지만,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태클하지마세요

 T.T

 

답변확정해주세요~~ ♡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도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도서 추천해주세요!... 차원에서 해결 방안을 제안합니다. 3. "지속가능한 삶을... 문제와 해결책을 다루며, 개인과 정부 간의 협력이 필요...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와 해결방안...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와 해결방안 3가지 알려주세요 급해요ㅜㅜ 미세먼지로 인한...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2. 대기 질을 개선하기: 나무를 심거나, 공기 정화 장치를...

오존층 파괴 산불이 주는 영햔과 해결 방안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한 환경문제를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찿으랩니다. 환경문제: 황사, 산성비, 오존층 파괴, 산불 (4개만... 단거 필없) 원인: 위 4개에 대한.. 우리에게 끼치는...

우주개발 환경문제 해결방안 좀...

우주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 해결방안 알려주세욥... 해결하기 위한 일부 방안입니다. 그러나 우주개발은 아직 발전 중인 분야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

도시의 팽창 과정에서 환경문제

... ## 도시의 팽창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와 해결 방안 도시가 팽창하면서 다양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폐수 처리 시스템도 개선되어야 합니다. 첨단 폐수 처리...

도시의 환경문제와 해결 방안

도시의 환경문제와 해결 방안 빨리 찾습니다. 최대한 빨리... 1> 지구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① 한국 국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줄여 주는 일을 하는...

환경문제 해결방안 초6이요ㅠㅠ

초6입니다 급해요ㅠㅠ 내공 30이요ㅠ 환경문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매우 심각한...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개인과 사회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은 소비와 생활 방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