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문화재가 뭐뭐 있죠?알려쥬세여..~

경기도 화성시 문화재가 뭐뭐 있죠?알려쥬세여..~

작성일 2006.10.31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기......

경기도 화성시에.......

문화재가,뭐뭐뭐뭐뭐있죠?^^
알려쥬세여~~~~

>ㅂ<

글구......

그 문화재가

있는 소재지도..

좀 알려쥬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답변 부탁하겠숩다/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화성시 동탄 #경기도 화성시 날씨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경기도 화성시청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경기도 화성시 고렴 지층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경기도 화성시 고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용주사 범종

 

종 목 국보 제120호

지 정 일 1964.03.30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면 송산리 188 용주사

시 대 고려시대

 

신라 종 양식을 보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거대한 범종으로, 높이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종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 주는 용통이 있고,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두 발로 힘차게 몸을 들어 올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어깨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있는데, 아래 위 서로 어긋나게 반원을 그리고 그 안에 꽃과 구슬무늬을 새긴 넓은 띠를 두르고 있다. 이 띠는 사각형 모양의 유곽과 한 면이 붙어 있다.

 

4곳의 유곽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연꽃 모양의 유두가 있는데, 남아 있는 것은 1곳 뿐이다. 종의 몸체 앞뒤에는 비천상을, 좌우에는 삼존상을 두었고, 4곳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두었다. 비천상과 삼존상은 모두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으로 옷자락이 가볍게 날리고 있다. 종 입구 부분의 넓은 띠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어깨띠와는 다르게 덩굴무늬를 두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 있다.

 

종 몸체에 통일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조성된 것이라는 후대에 새긴 글이 있으나, 종의 형태와 문양이 그 시대와 일치되지 않아 학계에서는 고려 전기의 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통에 약간 금이 가고 유두가 부서진 것 외에는 보존 상태가 좋으며, 조각한 수법이 뛰어나 고려 종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2.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종 목 보물 제980호

지 정 일 1989.04.10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남양면 북양리 642 봉림사

시 대 고려시대

 

봉림사 법당에 모셔져 있는 목불좌상으로 1978년 불상 몸에 다시 금칠을 할 때 발견된 기록을 통해 고려 공민왕 11년(1362)을 하한으로 아미타불상이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얼굴은 단아하고 엄숙한 표정이며 무게있는 몸은 단정하고 앞으로 약간 숙여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싸 흘러내린 옷은 가슴에서 매는 띠매듭이 사라지고, 3줄의 옷주름이 묘사되어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고려 후기를 대표할 만한 뛰어난 작품이다.

 

3.융릉·건릉

 

종 목 사적 제206호

지 정 일 1970.05.26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면 안녕리 1-1

시 대 조선시대

 

융릉은 사도세자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의 무덤이다.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장헌세자라 하였고, 1899년에 의황제로 봉해졌다. 이때 혜경궁 홍씨도 의황후로 봉해졌다.

 

융릉은 원래 양주의 배봉산에 있던 영우원을 수원의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하였다. 합장릉인 융릉은 병풍석을 세우고 모란과 연꽃무늬를 새겼다. 석등은 전기의 8각형과 숙종, 영조대에 등장한 4각형 석등의 양식을 합한 새로운 양식으로 건릉과 예릉의 기준이 되고있다. 무덤의 석인도 사실적이고 예전에 가슴까지 숙여진 머리가 들려 있어 시원한 분위기를 내며, 문인석에서는 머리에 금관을 쓴 예가 나타나고 있어 19세기 이후의 무덤 양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정조는 현륭원을 마련할 때 온갖 정성을 기울여 창의적으로 만들었다.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와 그의 부인인 효의왕후 김씨의 무덤이다.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많은 인재를 등용하고, 조선 후기의 황금문화를 이룩하였다.

 

건릉은 현융원의 동쪽 언덕에 있었으나 효의왕후가 죽자 풍수지리상 좋지 않다는 이유로 서쪽으로 옮기기로 하고 효의왕후와 합장하였다. 무덤은 한 언덕에 2개의 방을 갖추었으며 난간만 두르고 있고, 그 외의 모든 것은 융릉의 예를 따랐다. 혼이 앉는 자리인 혼유석이 하나만 있으며, 융릉과 같이 8각형과 4각형을 조화시켜 석등을 세웠다. 문무석은 사실적이며 안정감이 있는 빼어난 조각으로 19세기 무덤의 석물제도의 새로운 표본을 제시하였다.

 

4.당성

 

종 목 사적 제217호  

지 정 일 1971.04.15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산32

시 대 삼국시대

 

계곡을 둘러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남북으로 길다란 네모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현재는 동문·남문·북문 터와 우물터, 건물터가 남아있으며, 성의 내벽은 흙으로 쌓고, 외벽은 돌로 쌓았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의 영토로 당성군이라 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게 되자 당항성이라 하고, 바다를 건너 중국과 통하는 길목의 역할을 하던 곳이다. 성벽은 쌓은 벽이 무너져 마치 흙과 돌을 합쳐서 쌓은 것처럼 보이지만, 흙성의 성벽을 돌로 쌓아 올린 흔적이 남벽 쪽에 약간 남아있다.

 

당성이 소재하는 남양지역은 지금은 화성시이지만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으로서, 중국과의 교통로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신라 후기에는 이곳에 당성진을 설치해서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중요시되었던 곳이다. 이곳은 당항성과 관련되는 가장 중요한 유적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5.마하리 백제고분군

 

종 목 사적 제451호

지 정 일 2003.08.29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 산40외

시 대 삼국시대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에 있는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은 1995년 경부고속철도 경기·충청권 구간에 대한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96∼1997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박물관과 호암미술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삼국시대에 이르는 많은 고분이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분의 형태는 널무덤(목관묘), 덧널무덤(목곽묘), 돌덧널무덤(석곽묘)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출토유물은 유리제·구슬·철기류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토기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은 당시의 묘제와 토기의 변천과정, 편년 연구 및 한강유역에 한정되었던 초기백제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6.정용채가옥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24호

지 정 일 1984.01.10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9

시 대 조선시대

 

나즈막한 동산이 둘러있는 명당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고 있는 큰집이다. 솟을대문에 적힌 기록에는 고종 24년(1887)에 문을 세웠다고 적혀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이 문보다 약 50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문은 정면으로 내지않고 북쪽측면으로 내어 언뜻보면 집이 커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50칸이 넘는 큰 규모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이며, 마당의 왼쪽으로 길게 줄행랑채가 뻗어있고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자리한다. 사랑채 맞은편의 마당끝에는 안채로 통하는 중대문이 있다. 중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ㄷ자형의 안채는 앞이 개방된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안방·찻방(과방)이 있고, 오른쪽에 부엌·건넌방·마루를 배치하였다. 특이한 것은 사랑채의 안사랑방 뒤에 있는 골방이 뒷마루를 통하여 은밀하게 안채의 대청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대부 집에서 통상 쓰는 수법이다.

 

길다란 행랑채는 안채와 사랑채의 앞을 가로막아 안마당과 사랑마당을 형성하고 있다. 대문채는 여기에 연결이 되어 있다. 안사람들의 아늑한 생활공간이었던 뒷뜰은 우물과 장독대를 두어 안살림의 옥외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주위에 심은 감나무와 소나무는 뒷산으로 이어져 자연에 파묻힌 아름다운 공간구성을 만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평면형태가 月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모습을 보이는 주택이다.

 

7.정용래가옥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125호

지 정 일 1984.01.10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108

시 대 조선시대

 

1800년대 말에 지은 초가집이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행랑채가 모여 경기도의 전형적인 튼 ㅁ자형의 평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안마당이며, 대문의 왼쪽에 사랑채가 있고 오른쪽에 행랑채가 세로로 길게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사랑채가 마주보이는 곳에 대청과 건넌방을 두고, 꺾이는 왼쪽 아래로 찻방·안방·부엌을 두었다. 대청의 뒷벽에는 왼쪽으로 뒷창을 내고 오른쪽으로 벽장을 만들어서 조상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사당을 따로 두지 않는 민가에서 통상 쓰는 수법이다. 바깥마당은 사랑방 앞으로 터져 있으며 왼편에 헛간채가 있다.

 

전체적으로 이 집은 민가의 격식과 쓰임새를 갖추었던 부유한 농민의 집으로 추정된다.

 

8.수원 고읍성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93호

지 정 일 1986.09.07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산1

시 대 고려시대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고려 때 수원에 읍성으로 쌓았으며, 조선 정조 13년(1789)에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새로운 읍성을 쌓을 때까지 사용되었던 곳이다.

 

본래 낮은 산능성을 이용하여 계곡 아래의 평지까지 에워 싼 형태였으나, 성터의 대부분이 무너지고 남아 있는 부분은 길이가 540m 안팎이다. 흙을 다져 쌓은 것으로 보이는 성벽은 윗부분이 2∼2.5m이고 높이는 4∼5m이며, 동문터와 서문터로 추정되는 부분도 있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1200m쯤 되며 성안에는 2곳의 우물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의 성벽을 자연지형에 따라 복원하여 보면 3,500m쯤 되어 큰 차이가 난다.

 

결국 이 성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져 조선시대까지 읍성의 기능을 하다가 행정조직상의 정비와 무덤의 이장에 따라 너무 좁아지자 사용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9.만년제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161호

지 정 일 1996.07.23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152

시 대 조선시대

 

조선 정조(재위 1776∼1800))는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의 화산 아래로 옮기면서 기존의 수원읍을 현재의 팔달산 아래로 옮겨 새 도시를 조성하였다.

 

새로 이주한 주민들의 안정을 위해 성곽을 쌓을 것을 계획하고 수원의 이름을 화성으로 바꾸었다. 정조는 새 도시 경영을 위한 경제적 기반 확보와 백성들의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둔전(각 궁과 관아에 딸렸던 밭)을 설치하였다. 또한 농사를 위한 관개 용수와 제방 쌓는 일, 상권에 대한 보호, 나무를 심는 식수사업 등 갖가지 정책적인 배려를 베풀었다.

 

정조 21년(1797)에 세운 만년제는 사도세자의 능인 화산 현륭원 바로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수원시 서둔, 서호 등의 시설과 함께 만년제는 정조 당시의 권농정책을 보여 주는 중요한 사적이다.

 

10.정원채고가

 

종 목 경기도 민속자료 제6호

지 정 일 1985.06.28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남양면 송림리 320

시 대 조선시대

 

조선 후기에 지은 살림집으로 원래는 행랑채 등 많은 부속건물이 있었던 큰 규모의 집이었으나 현재는 안채·사랑채·문간채만이 남아 있다. 대문에 쓰여진 기록에 의하면 광무 8년(1904)에 지었다고 되어 있으나 안채는 이보다 이른 19세기 후반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구성은 ㄱ자형의 안채와 사랑채가 가운데 앞마당을 이루는 일반적인 형태로 되어 있지만 안채와 사랑채는 쓰임새에 알맞은 기능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에 건넌방, 서쪽에 안방을 두고 꺾여서 부엌을 두는 경기도 지방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바깥쪽으로 마치 별당처럼 작은 대청과 건넌방을 덧붙여 신·구세대의 공간적인 분리와 살림살이의 편의를 조화시킨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바깥쪽으로 별도의 대문채와 안마당을 두어 남성의 공간을 분리시켰다. 문간채와 ㄱ자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안마당으로 통하는 대문간을 두어 안과 밖을 구별하였다.

 

평면구성이나 구조기법의 변화에서 조선 후기의 건축적 특색을 엿볼 수 있는 건물이다.

 

11.남양향교

 

종 목 문화재자료 제34호 

지 정 일 1983.09.19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남양면 남양리 335

시 대 조선시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남양향교는 조선 태조 6년(1397)에 음덕리 면역곡동에 처음 세웠다고 하며, 고종 10년(1873)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도 이 때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앞쪽에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고, 뒤쪽으로 제사 공간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외 출입구 구실을 하는 내삼문·외삼문, 제사를 준비하는 수복실 등이 있다. 옮겨 지을 당시에는 모든 건물들이 있었다고 하나, 동무·서무·명륜당이 없어졌다가 후에 명륜당만 새로 지었다.

 

대성전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객사처럼 좌우에 날개채를 붙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매우 독특하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이며, 동재와 서재는 기숙사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 전부 알려주었네요. 화성이 지금 많이 발전허고 있어요.유적지도많고요.단 높은산이없을뿐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용주사 범종

 

종 목 국보 제120호

지 정 일 1964.03.30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면 송산리 188 용주사

시 대 고려시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마도 봉림사는 아닐걸요

화성시의 문화유산이 뭔지 알려주세요.

화성시의 문화유산,문화유선의 뛰어난 점 을 알려주세요~내공... 9.금동향로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지 정 일 1972.05.04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 시 대...

경기도에서 대표하는 행사가 뭐죠?...

뭐가 있죠..? 숙제라서.. 알려주셈.. ★ 다산문화제 조선 후기 대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 ■ 문화재 - 정약용의 묘(경기도 기념물 제7호) - 수종사 석조부도(경기도 유형문화재...

내공 겁니다~! 민속놀이는 뭐가 있죠?

민속놀이는 뭐가 있죠? 민속놀이의 이름, 민속놀이의 유래, 민속놀이의 특징, 사용되는 음악까지 다 알려주시는 분께... 대보름에 경기도·충청도 등 한강 이남지방을 중심으로...

성남시 향토답사가 뭐가 있죠????????

... 근데 성남시 향토답사가 뭐가 있는지 잘 몰라서 그런데, 쫌 알려주세요... 15.수내동가옥 문 화 재 명 수내동가옥 지 정 번 호 경기도문화재자료 제78호 소 재 지 성남시...

경기도에 있는 산성에는 뭐가 있나요?

...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22.수원고읍성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93호 지 정 일 1986.09.07 소 재 지 경기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산1 시 대 고려시대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조선시대에서쓰이는궁중악기는 뭐가있죠?

... 있는지 알려주세요ㅠㅠ 자세히 부탁드려요 조선시대... 7)부터는 경기도 남양(南陽)에서 경(磬)에 쓰이는 돌이...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중요무형문화재 및 유네스코...

경기도 문화재

경기도문화재가 뭐있죠? 사진과 그 문화재에 대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되도록... 성으로도 알려져 왔다. 남한산성은 각종 시설이 잘 정비되어 우리나라 산성 가운데...

전라도 지역명이 뭐뭐있죠?

전라도 내 지역명을 전부 알려주세요 예를 들면 전주 익산... 횡성군 경기도 시 : 27개 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하남시, 화성시 군 : 4개 군 가평군, 양평군, 여주군, 연천군...

수원시에 있는 대학이 뭐가있죠??

제가 강원도에 살고 있는데 이왕이면 경기도쪽에 있는 대학교에 가고 싶거든요 좀 알려주세요...... *협성대학교 (http://www.hyupsung.ac.kr/) 화성시 봉담읍 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