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9민주화운동

519민주화운동

작성일 2008.05.1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519민주화운동의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초3학년에게 어울리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원인

1961년 516 쿠테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종신대통령"을 할 목적으로 헌법을 바꾸는 10월유신을 감행하였다. 그러다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김재규가 쏜 총에 맞아 죽는 사건이 일어나게 된다. 독재정치는 마무리 지어졌지만, 여전히 전국은 불안감에 휩싸였고, 결국 박정희가 그랬던것 처럼 또다시 군부가 쿠테타를 일으키는 12.12사태 벌어지게 된다.
이제 국민들은 더욱 참을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진정 이 나라가 민주국가 라면서, 몇사람의 권력을 위해 희생되는 현실을 참을 수 가 없었다. 1980년, 여러 곳에서 국민들이 들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1980년 5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령이 공포 되었고, 18일 피로물든 광주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2) 5.18 민주화운동 과정


일부 정치군인들은 불법으로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80년 5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을 확대하였다. 5.17계 엄확대는 10.26이후 한 걸음 한 걸음 진행되어 온 대다수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다. 신군부는 이미 각 지역에 계엄군을 배치, 자신들의 음모를 드러냈고 광주에서 작전명 '화려한 휴가'를 실행에 옮겼다.

80년 봄. 민주화 열기가 드높던 광주에서는 5월 18일 대학생들을 선두로 비상계엄확대를 반대하는 시위가 전개되었다. 항쟁의 도화선은 5월 18일 오전 10시 전남대 정문 앞에서 최초로 불붙었다.

계엄군의 강경 진압에 쫓긴 학생들은 금남로 등 시내로 이동하여 시위를 전개했다.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시민들까지 곤봉으로 무조건 때리고 강제로 끌고가는 계엄군의 잔인함에 분노한 시민 들은 하나로 뭉쳐 시위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광주시내 고교생들이 시위에 동참했으며, 택시기사들이 주축이 된 20여대의 차량시위대가 도청을 향해 밀려들었다. 계속 왜곡보도만 일삼던 광주 MBC방송국이 불길에 휩싸 였다.

21일, 계엄군은 도청 앞에서 계엄당국의 사과를 요구하던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하여 도청 앞 금남로 일대를 피바다로 만들었다. 이후 시민들은 무장을 시작했고 계엄군에 맞섰다. 항쟁기간동안 광주는 외부와 단절된 고립무원의 도시로 남아 있었다.

시민들은 광주의 참상을 알리기 위해 전남지역 곳곳으로 항쟁을 확산시켜 나가는 한편, 사회 각계인사들로 '5.18수습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계엄당국과 협상을 전개하는 등 사태 수습에 혼신의 노력을 다 하였다. 그러나 27일 새벽, 탱크를 앞세운 계엄군은 항쟁지도부가 최후 항전을 하던 전남도청을 무력으로 진입하였다. 그리고 5.18민중항쟁은 수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열흘에 걸친 그 역사의 막을 내렸다. 민주주의가 압살되는 순간이었다.



3) 5.18 민주화운동 결과


신군부 세력은 5.18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뒤 권력을 완전히 장악했다. 하지만 그 뒤에 들어선 전두환정부는 집권 기간 내내 도덕성과 정통성에서 비난을 받았다. 또한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갖고 있는 주한미군사령관이 광주의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광주 진입을 허용했다는 주장이 일면서 반미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

리하여 1980년대에 대학생들은 몇 차례에 걸쳐 미문화원을 점거하여 광주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물었다. 1988년에 노태우정부가 들어선 뒤 정식으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규정받았고, 사건 규명을 위한 청문회가 열렸다. 1995년에는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책임자들을 구속하고, 사망.부상자에 대한 보상이 정해졌다.

5.18민중항쟁은 불법적으로 집권을 획책하는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선 시민 봉기다. 항쟁기간동안 치안 부재의 상황임에도 금융기관이나 금은방 등에서 절도 한 건 발생하지 않은 수준 높은 시민 정신이 발휘되었다.

또한 헌혈 행렬은 그 끝이 보이지 않았고 어려운 가운데 서로 의지하고 도와주는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었 다. 이런 사실은 5.18 민중항쟁이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초이성적, 초도덕적 투쟁이었음을 증명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민들의 열화와 같은 5·18 진상규명 요구에 의해 80년 당시 신군부 세력들은 법적 단죄를 받았으며 5.18민중항쟁은 유신체제를 계승한 제5공화국 정권의 부도덕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여 끝내 그 체제를 붕괴시키고 문민정부를 탄생시켰으며, 50년만의 여·야간 정권교체를 이루어 내는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

결국 5·18은 과거의 역사적인 민중항쟁을 통해 표출되었던 자주·민주·통일의 전통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 니라 한국현대사에 있어서 민주주의 발전사에 불멸의 금자탑을 세운 민권 투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4) 5.18 민주화운동의 의의


광주민중항쟁은 비록 좌절되었지만, 그것이 우리 역사에 남긴 의의는 너무나 컸다. 광주민중 항쟁은 외세와 일부 정치 성향을 지닌 군부 세력에게 치명적인 도덕적 타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제 5공화국을 정통성을 잃은 정치 집단으로 규정하는 확실한 근거가 되었고, 민족·민주 운동의 정통성을 확립하였다.

광주민중항쟁은 민족 민주 운동에 큰 교훈을 남겼다. 먼저, 분단된 뒤 지금까지 숨겨졌던 외세에 대한 문제, 즉 민족모순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아무리 객관적 모순이 깊더라도 변혁의 운동의 주체 역량이 튼튼히 건설되어 있지 않을 때는 결코 결정적으로 승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하였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원인

1961년 516 쿠테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종신대통령"을 할 목적으로 헌법을 바꾸는 10월유신을 감행하였다. 그러다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김재규가 쏜 총에 맞아 죽는 사건이 일어나게 된다. 독재정치는 마무리 지어졌지만, 여전히 전국은 불안감에 휩싸였고, 결국 박정희가 그랬던것 처럼 또다시 군부가 쿠테타를 일으키는 12.12사태 벌어지게 된다.
이제 국민들은 더욱 참을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진정 이 나라가 민주국가 라면서, 몇사람의 권력을 위해 희생되는 현실을 참을 수 가 없었다. 1980년, 여러 곳에서 국민들이 들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1980년 5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령이 공포 되었고, 18일 피로물든 광주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2) 5.18 민주화운동 과정


일부 정치군인들은 불법으로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80년 5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을 확대하였다. 5.17계 엄확대는 10.26이후 한 걸음 한 걸음 진행되어 온 대다수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다. 신군부는 이미 각 지역에 계엄군을 배치, 자신들의 음모를 드러냈고 광주에서 작전명 '화려한 휴가'를 실행에 옮겼다.

80년 봄. 민주화 열기가 드높던 광주에서는 5월 18일 대학생들을 선두로 비상계엄확대를 반대하는 시위가 전개되었다. 항쟁의 도화선은 5월 18일 오전 10시 전남대 정문 앞에서 최초로 불붙었다.

계엄군의 강경 진압에 쫓긴 학생들은 금남로 등 시내로 이동하여 시위를 전개했다.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시민들까지 곤봉으로 무조건 때리고 강제로 끌고가는 계엄군의 잔인함에 분노한 시민 들은 하나로 뭉쳐 시위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광주시내 고교생들이 시위에 동참했으며, 택시기사들이 주축이 된 20여대의 차량시위대가 도청을 향해 밀려들었다. 계속 왜곡보도만 일삼던 광주 MBC방송국이 불길에 휩싸 였다.

21일, 계엄군은 도청 앞에서 계엄당국의 사과를 요구하던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하여 도청 앞 금남로 일대를 피바다로 만들었다. 이후 시민들은 무장을 시작했고 계엄군에 맞섰다. 항쟁기간동안 광주는 외부와 단절된 고립무원의 도시로 남아 있었다.

시민들은 광주의 참상을 알리기 위해 전남지역 곳곳으로 항쟁을 확산시켜 나가는 한편, 사회 각계인사들로 '5.18수습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계엄당국과 협상을 전개하는 등 사태 수습에 혼신의 노력을 다 하였다. 그러나 27일 새벽, 탱크를 앞세운 계엄군은 항쟁지도부가 최후 항전을 하던 전남도청을 무력으로 진입하였다. 그리고 5.18민중항쟁은 수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열흘에 걸친 그 역사의 막을 내렸다. 민주주의가 압살되는 순간이었다.



3) 5.18 민주화운동 결과


신군부 세력은 5.18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뒤 권력을 완전히 장악했다. 하지만 그 뒤에 들어선 전두환정부는 집권 기간 내내 도덕성과 정통성에서 비난을 받았다. 또한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갖고 있는 주한미군사령관이 광주의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광주 진입을 허용했다는 주장이 일면서 반미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

리하여 1980년대에 대학생들은 몇 차례에 걸쳐 미문화원을 점거하여 광주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물었다. 1988년에 노태우정부가 들어선 뒤 정식으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규정받았고, 사건 규명을 위한 청문회가 열렸다. 1995년에는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책임자들을 구속하고, 사망.부상자에 대한 보상이 정해졌다.

5.18민중항쟁은 불법적으로 집권을 획책하는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선 시민 봉기다. 항쟁기간동안 치안 부재의 상황임에도 금융기관이나 금은방 등에서 절도 한 건 발생하지 않은 수준 높은 시민 정신이 발휘되었다.

또한 헌혈 행렬은 그 끝이 보이지 않았고 어려운 가운데 서로 의지하고 도와주는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었 다. 이런 사실은 5.18 민중항쟁이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초이성적, 초도덕적 투쟁이었음을 증명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민들의 열화와 같은 5·18 진상규명 요구에 의해 80년 당시 신군부 세력들은 법적 단죄를 받았으며 5.18민중항쟁은 유신체제를 계승한 제5공화국 정권의 부도덕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여 끝내 그 체제를 붕괴시키고 문민정부를 탄생시켰으며, 50년만의 여·야간 정권교체를 이루어 내는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

결국 5·18은 과거의 역사적인 민중항쟁을 통해 표출되었던 자주·민주·통일의 전통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 니라 한국현대사에 있어서 민주주의 발전사에 불멸의 금자탑을 세운 민권 투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4) 5.18 민주화운동의 의의


광주민중항쟁은 비록 좌절되었지만, 그것이 우리 역사에 남긴 의의는 너무나 컸다. 광주민중 항쟁은 외세와 일부 정치 성향을 지닌 군부 세력에게 치명적인 도덕적 타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제 5공화국을 정통성을 잃은 정치 집단으로 규정하는 확실한 근거가 되었고, 민족·민주 운동의 정통성을 확립하였다.

광주민중항쟁은 민족 민주 운동에 큰 교훈을 남겼다. 먼저, 분단된 뒤 지금까지 숨겨졌던 외세에 대한 문제, 즉 민족모순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아무리 객관적 모순이 깊더라도 변혁의 운동의 주체 역량이 튼튼히 건설되어 있지 않을 때는 결코 결정적으로 승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하였다

신고

의견 쓰기

re: 519민주화운동

<script> showFlash('count_button.swf', 'kinUp_13_2774860_3', 111, 58, 0, 1, 'n', false, true, true); </script> <object id=kinUp_13_2774860_3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58 width=111 align=middle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object src="count_button.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count=0&maxCount=1&mode=n&swfID=kinUp_13_2774860_3&isMax=false&isClick=true&isLogin=true quality="high" width="111" height="58" name="kinUp_13_2774860_3" id="kinUp_13_2774860_3"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가  10.26사건으로 끝나자

 

한사람이 권력을 갖는 독재가 아닌

 

많은 시민들이 시민이 권리를 갖는 민주화가 올줄 알고 사람들이 기뻐했어요

 

하지만 박정희대통령의 부하였던 전두환과 노태우장군이 군대를 이끌고

 

박정희대통령이 그랬던것처럼 사람들을 힘으로 누르고 독재를 하자

 

광주시민들이 이에 저항했던 사건입니다

519민주화운동

519민주화운동의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초3학년에게 어울리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원인 1961년 516 쿠테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종신대통령...

광주민주화운동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이유가 뭐죠? 자세히 써주세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보호 정책에...

419혁명과 518민주화운동에서 국민이...

419혁명과 519민주화운동에서 국민이 참여한 활동좀 가르쳐주세요 ㅠ_ㅠ 4.19혁명은요. 이승만대통령이 장기집권을 하려고 국회와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대통령관련...

선사시대~8.15민주화 운동 연표

... 넘힘들고 잘 않만들어져서 부탁합니다 선사시대~ 8.15민주화운동까지 연표를... - 529년 : 안장왕(安臧王 : 재위 519~531), 오곡성(五谷城 : 황해도 서흥)에서 백제군을...

519 광주사태가 왜 민주화운동인가요?

교과서에는 민주화운동으로 나와있는데, 왜 내면은 없고 온갖 좋은점만 기록되어있고 민주화운동이라고하는지모르겠어요 5.18은 엄연한 민주화운동입니다. 5....

내공많이역사연표 만들기

... 왕호 사용 512년 신라,우산국 정복 514년 신라,법흥왕이 즉위함 519년 고구려... 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개최 1위를 함 1987년 6.29 민주화 운동...

한국사 연표 좀 알려주세요

... 즉위 519년 고구려 안장왕이 즉위 520년 신라에서 율령이 반포 523년 백제 백제... 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남 1980년 10월 27일 대한민국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

5.18에대해

518에대해알려주세요 그리고 519국립묘지에갔다왔는데 거기에있는 묘비마다 ~년생~년졸... http://hanja.naver.com/hanja?q=%E5%8D%92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서는 '5.18기념문화센터...

고조선부터 현재까지

... 즉위 519년 고구려 안장왕이 즉위 520년 신라에서 율령이 반포 523년 백제 백제... 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남 1980년 10월 27일 대한민국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