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의 행정구역,교통시설의 변화,생산활동의 변화좀 알려주세요,,(내공10...

충주의 행정구역,교통시설의 변화,생산활동의 변화좀 알려주세요,,(내공10...

작성일 2009.04.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동생이 도와달라고 해서 글을 올리는데요,,,

4학년 사회1학기에 나오는 건데, 요점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충주의 현재와 1990년대의 행정구역의 달라진 점과 달라지지 않은점.

*충주의 교통시설의 달라진 점과 달라지지 않은점.

*충주의 생산활동의 달라진점과 달라지지 않은점.

   

 

이 세가지좀 올려 주세요...

       내일까지라 좀 급해요.......

  6시간 뒤에 다시 오겠습니다!!!

 내공 걸어요!1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년도 내 용

B.C 3~4세기경 삼한 중 마한에 속함
A.D 350 백제 근초고왕 5년 백제 영역(낭자곡성,낭자성,화성)
475 고구려 장수왕 63년 국원성 (일명 미을성, 완장성)
550 신라 진흥왕 11년 국원성에 목 설치
557 신라 진흥왕 18년 국원소경으로 개칭
685 신라 신문왕 5년 중원소경으로 개칭
757 신라 경덕왕 16년 중원경으로 개칭, 신라의 중앙표방
940 고려 태조 23년 충주부로 개칭
983 고려 성종 2년 12주 중 하나인 충주목으로 개칭
995 고려 성종 14년 중원도를 설치 절도사 배치
1018 고려 현종 9년 8목 중 충주목 설치
1254 고려 고종 41년 국원경으로 개칭
1277 고려 충렬왕 3년 충주성 개축 때 성벽에 연화를 조각하여 예성
이라 함
1395 조선 태조 4년 충청도로 개칭, 충주에 도감영 설치
1449 조선 세종 31년 충청좌도 우도로 변경,좌감사 배치 (목사 겸함)
1458 세조 3년 충주진영이라 개칭, 충주영장이 8군을 관장함
(8군:단양군,영춘군,제천군,청풍군,괴산군,연풍군,음성군,청안군)
1602 조선 선조 35년 충청도 감영을 공주로 이전
1896 조선 고종 33년 관찰사를 배치, 충청북도 도청소재지가 됨
1908 조선 순종 2년 도청을 청주로 이전, 충주군수 배치
1913 일제시하 군과 면을 폐합함에 충주군 읍내면으로 행정개편
1917 충주군 읍내면을 충주면으로 개칭
1931 충주면을 충주읍으로 승격, 충주군(1읍12면)으로 정하고
충주읍을(4구역:본정,영정,금정,대수정1구.2구)으로 나눔
1956.7.8 충주읍이 시로 승격 되면서 충주시와 중원군으로 분리
1995.1.1 정부의 도농 통합정책에 따라 충주시로 통합


*충주의 시대별 변천사

&&&구석기&&&

$전체: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석기나 뼈연모를 주된 생활도구로 하여 사냥과 식량 채집으로 삶을 꾸리며 이동생활을 하였다. 이시대의 주거 형태는 대부분 자연적으로 형성된 동굴을 이용하거나 강가에서 막집 등을 짓고 집단적으로 모여 사는 경우도 있었다.

$충주지역: 우리지역은 내륙을 관통하는 남한강이 흐르고 주변에 석회암 지대가 널리 발달되어 동굴과 바위를 이용한 구석기 시대의 주거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유적으로는 사기리, 명오리, 금능동, 용탄동, 조동 유적등이 있다. 특히, 남한강 주변의 유적과 연결된 동굴유적은 석기 제작과정과 문화 발달과정을 살필 수 있는 유적으로 강을 낀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 지역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경제적 여건과 편리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여 인간 생활의 시작부터 삶의 터전으로 자리잡게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석기시대&&&

전체 : 기원전 5천년경 고아시아족의 한 갈래가 시베리아, 북만주를 거쳐 한반도에 이주하면서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주민들은 물과 식량 자원이 풍부한 큰 강이나 바닷가에 정착하여 주로 수렵, 어로, 야생 식물의 채집을 생계수단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의 중요한 유물은 토기와 석기로서 신석기시대에 처음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신석기시대 후기에 이르면 일부 지역에서는 조, 피 등의 곡물이 재배되고 돼지 등 동물도 사육하게 되었다

충주지역 : 우리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 움집터가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강안대지에서 신석기 문화층이 발견되고 있다. 유적은 동량면 조동리·지동리·하천리, 산척면 명서리 등 남한강 중류에 분포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 유적은 신석기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토기의 형태와 무늬에서 중서부 지방의 신석기 문화와 많은 공통성을 보이나 굵은 줄무늬 겹아가리 등의 남해안 신석기 문화의 요소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전체: 남한강 상류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충주지방의 선사시대 문화는 하나의 독립된 문화권을 이룬 것은 아니지만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는 각 시대의 문화유적이 그 주변지역과 맥을 같이하여 나름대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우리지역의 민무늬토기 문화를 살펴보면 깊은 바리·구멍무늬토기·골아가리토기·붉은간토기 등을 중심으로 한 동북지방 계통의 문화가 북한강, 임진강 상류와 남한강 중류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새롭게 변화 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다. 한편 서북지방의 팽이형 토기문화는 황해도, 경기도의 연안지방과 해안지방인 예성강, 임진강 하류, 강화도를 거쳐 역시 충주지방으로 흘러 왔다.
 
이러한 동북·서북지방 문화를 흡수해서 새롭게 변화된 경기도, 충청도 지방의 민무늬토기 문화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기형의 토기를 출현시키면서 중부 이남지방으로 전파되었다. 충주지방에서 출토되는 각종 민무늬토기가 차지하는 학술적 가치는 남부지방으로 문화가 변화되는 과정을 살필 수 있어 문화의 지역적 공백을 메꾸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유적으로는 동량면 지동리·사기리·함암리·용교리, 금가면 우러상리·오석리, 가금면 장천리·탑평리 유적 등이 있다. 출토유물로는 붉은간토기·검은간토기·덧띠토기·변형팽이토기·깊은바리형 토기 등 민무늬토기와 바퀴날토기·돌도끼·돌칼·화살촉 등의 각종 석기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충주지역의 선사문화는 남한강변을 중심으로 구석기부터 신석기까지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강을 따라 교통이 열리고 인류가 살기 좋은 제반 조건을 갖추고 취락이 발달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며, 이것이 또한 중원문화의 중심지로서 충주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 볼 수 있다.
    
&&&삼국시대&&&

삼국시대 이전에는 삼한 중 마한의 일부였으나 백제가 성장하여 근초고왕 5년(350년경) 백제의 영역으로 낭자곡성(娘子谷成)으로 불리다가 그 후 5세기 중엽에 고구려가 남하하여 오게되자 백제는 한강변에서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후퇴하게 되었으며 고구려는 중원지방을 석권하게 되었다.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대해 백제는 신라와 나제동맹을 맺고 고구려 세력을 한강유역에서 물리치게 되었다. 이 작전중에 신라는 단양지역을 확보하고 단양적성비를 세워 새 영토의 주민들을 회유하였다. 신라는 이어서 백제가 수복한 한강 상류지역까지 빼앗아 전 한강유역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중원지역은 자연 신라의 장악하에 들어 신라 진흥왕은 557년 국원에 소경을 설치하고 다음해에 중앙 즉 경주의 다음가는 부도(副都)로 삼았다. 또한 통일후 새로 편입된 백제, 고구려의 진호를 목적으로 불사를 일으키며 중앙탑을 세웠다.

이상과 같이 중원지역은 삼국이 번갈아 차지함으로써 삼국의 문화가 재융합되는 특성을 지니게 되어 독특한 중원문화로 나타나게 되었다. 문화유산으로는 중앙탑, 고구려비, 건흥 5년명 금동불, 누암리 고분 등이 있다.  
           
&&&고려시대&&&

고려의 건국 주체세력은 신라의 지배력 약화를 틈타 지방을 지배하고 있던 호족들이었다. 충주지역의 대표적인 호족은 충주유(劉)씨로 유긍달의 딸이 태조 왕건의 세 번째 부인이 되는 등 충주의 위상은 고려시대에도 중부지역의 중심도시로 지속되었다.
 
왕건은 나라를 건국한 후 전국의 주·부·군현의 제도를 도입하는데, 이때 중원을 충주로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 지명이 이어오고 있다. 13세기에는 몽고군의 침입으로 의주와 개경이 함락되는데, 고려는 일단 몽고와 강화를 맺고 돌려 보냈다. 이때 일부의 별동부대가 광주·충주·청주 등 여러성을 공격하였는데 오직 충주만은 충주성을 지키는 노군잡류별초에 의해 끝까지 항진하여 몽고군을 물리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5차 침입(1252)때는 처인성(용인)에서 살리타이를 사살한 김윤후가 충주산성 방호별감으로 재직하면서 몽고군과 70여일 동안 혈전을 벌여 몽고군을 격퇴시키게 되었다. 고종 42년(1255)에는 몽고병이 남쪽을 석권하고 다시 하늘재를 넘어 북으로 돌아가는 길에 충주의 다인철소(지금의 이류면)의 사람들이 몽고군을 물리쳤다. 이러한 사실은 중원인들이 외세로부터 내고장을 지키겠다는 뚜렷한 의식의 발로로 얻어진 결과라 할 것이다.

한편 충주지역은 남한강이 관통하고 있어 강을 이용한 조운이 성하던 곳이다. 고려시대에 13조창 가운데 이 지역에는 덕흥창(德興倉)이 있어 경상도 지역과 충청도 지역에서 거두어 들인 세금을 조운을 통하여 운반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일제시대까지 계속 되었다. 이시대의 문화는 불교 문화를 바탕으로 한 미륵리 대석굴사원, 문숭리의 숭선사지·법경대사자등탑비, 송계의 사자빈신사지석탑, 월광사 원랑선사탑비 등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

세종 31년(1449년)에는 행정구역을 변경하여 충청도라 개칭하고 좌감사를 배치하였으며 세조 3년(1457) 충주진영이라 개칭하고 전국을 7도로 분할하여 충주영장으로 하여금 단양, 영춘, 제천, 청풍, 음성, 천안 등 8군의 군정사무를 관장하도록 하였으나, 선조 25년 임진왜란을 당하자 신립장군은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8천 군졸을 거느리고 왜적과 대적하였으나 애석하게 패전하고 이후 내우외환을 간접적으로 받으면서 충원현 또는 충주목으로 불리어 오다가 고종 33년 행정을 개편하고 지방제도를 개정하여 충주목사를 폐하고 충주는 도청 소재지로 된지 14년 만에 교통불편을 이유로 순종 2년 도청을 청주로 이전하고 충주는 군청소재지로 군수를 배치하였다.
 
%%한일합방 이후 1913년 군면 폐합으로 충주는 충주군 읍내면에 속하다가 1917년 충주면으로 개칭하고 1931년 5월에 지방제도의 개정에 의하여 충주읍으로 승격한 후 해방을 맞이하였으며 일제 침략기에 우리지역의 항일 운동의 시작은 3월 11일 달천리 천주교인이 독립선언서 낭독으로부터였다. 이후 4월 1일 이희갑이 중심이 된 용원장터 만세운동이 전개되었으며 1920년대에 들어 광주학생항일운동의 확산으로 대소원 보통학교 학생들에 의해 또 한번의 만세운동이 전개 되었다.
 
&&&해방이후&&&

해방된 지 12년 만인 1956년 7월 8일 충주읍은 충주시로 승격되고 나머지 지역은 중원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행정구역 변경조치에 의하여 괴산군 상모면이 중원군으로 1973년 7월 1일 이류면 하문리는 괴산군으로 신니면 광월리의 일부는 음성군으로 1987년 1월 1일 제천군 한수면의 사기리·명오리·서운리·포탄리·함암리·호운리는 충주시 동량면으로 1989년 1월 1일 산척면 원월리가 제천군으로 편입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에는 도농통합에 의하여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충주시로 발족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행정구역,교통시설의 변화,생산활동의...

... *충주의 현재와 1990년대의 행정구역의 달라진 점과 달라지지 않은점. *충주의 교통시설의 달라진 점과 달라지지 않은점. *충주의 생산활동의 달라진점과 달라지지...

교통시설생산활동 행정 구역변화

10년간의 광주의 교통시설생산활동 행정 구역변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참고로 전 4학년 입니다. 숙제라서 그래요. 최대한 빨리 답변 부탁드립니당 1945년(단기 4278...

행정구역변화,교통 시설의 변화,생산...

... 제가 서울의연표를 찾는데요,행정구역변화,교통 시설의 변화,생산 활동의 변화를 정확 하게 해주세요 네~~~ 꼭이요 내공10드립니다, 꼭 부탁해요. 혹시 4학년인가요?...

교통시설의 변화, 생산 활동의 변화 좀...

... 원주의 행정구역변화, 교통시설의 변화, 생산활동의 변화 좀 가르쳐주세요!! ㅠㅠ내공 못 드려서 죄송하구요,,그럼 빨리 부탁드릴게요~ 제가 아는 것은 요! 1900년 경...

경남의 행정구역 변화 교통시설의 변화...

... 경남의 행정 구역변화를 연표로 2. 경남의 교통 시설의 변화를 연표로 3. 경남의 생산 활동의 변화를 연표로 오늘 안에 해주세요. 열심이 답변 해주시면 감사내공 +플러스...

행정구역,교통시설, 생산활동의 변화

... 2000~2000년도 서울의 행정구역,교통시설,생상활동의 변화 입니다. 1910년 한성부가... 교통시설은 지하철 1-9호선,분당선,국철,지선버스 300개,간선버스 80개,순환버스 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