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시대의특징

철기시대의특징

작성일 2004.03.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철기시대의 특징과시기를
알려주새요~~~~~~~
3월6일까지 숙제임돠~~~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철기 시대의 일반적인 무덤 형태 두 가지는?
→독무덤, 널무덤

2)부여의 왕권이 미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는?
→부족연맹왕국이다. 왕 밑에 마가,우가,저가,구가 가 있었는데
연맹왕국은 지방분권적으로 족장의 권한이 강한 국가이다.
여기서의 부족장은 마가, 우가, 저가, 구가 이다.
덧붙이자면 마가(말) 우가(소) 저가(돼지) 구가(개)는
말, 소, 돼지, 개 를 뜻한다.


3)부여에서 수렵 사회의 전통으로 12월에 열렸던 제천행사는?
→영고

4)신라의 상대등을 대표 하는 합의기구로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한 기구는?
→화백회의: 귀족회의, 국가 중대사를 만장일치로 결정
▶왕권강화,집사부의중시(시중)가 행정 총괄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사회의특징,멸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밝히세요.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고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단군왕검이
건국하였다. 홍익인간이라는 건국이념아래 만주 요령지방과 한반도 서북지방의
부족을 통합해 건국하였다. 기원전 194년인 진.한 의 교체기에
위만이 준왕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 이 때부터 철기문화가 확산되었고
철제 농기구와 무기가 사용되었다.
고조선에는 8개조의 법이 있었는데 지금에는 3개조만 전해지고 있다.
이 법을 통해 고조선이 계급사회, 즉 신분이 존재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 농업과 사유재산을 중시하였고 화폐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은 기원전 108년에 한 무제의 침입으로 왕검성이 함락됨에 의해
멸망하고 말았다.


※고조선 멸망후 세워진 여러 나라의 특징에 대해 조사해 보세요.
고조선이 멸망하고 세워진 나라들의 가장 공통적인 특징은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세워졌다는 것이다.
이에는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한,변한,진한)이 있다.
부여는 부족 연맹 왕국이며, 왕 밑에 마가.우가.저가.구가 가 있고
순장제도의 존재와 흰 옷을 즐겨입었다.
고구려는 5부족 연맹왕국이고 이에따라 왕권이 미약하였다.
무예를 숭상 하며 서옥제(데릴사위제)라는 제도가 존재하였다.
이는 노동력을 중시하던 농업사회였음을 알려준다.
옥저와 동예는 왕은 없고, 군장(읍군,삼로)이 통치하고 고구려에 예속되어
있었다. 옥저에는 민며느리제가 존재했고 가족이 공용으로 묘를 썼다.
동예는 책화와 존외혼이 실행되었으며 무천이라는 행사가 열렸다.
삼한은 모두 제정분리사회이고 정치는 신지,읍차 등의 군장이 맡았으며
종교는 제사장(천군)이 소도에 거주하며 제천 행사를 담당하였다.
삼한은 벼농사가 발달하였고 변한은 특히 철의 생산이 뛰어났다.


※삼국의 성립과정을 알아보세요
고구려: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부여 계통의 이주민과 동가강 유역의 토착민이
건국하였다. 지금 알려진 바로는 주몽(동명성왕,추모왕)이 건국하였다.
고구려는 중국의 침략을 물리치면서 발전했다.
소수림왕 때 불교를 수용하고 율령을 반포했다. 이 때 중앙 집권 국가 체제가
완성되었다. 고국원왕 때는 중국의 전연과 백제의 침략으로 국가적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소수림왕 이후로 성장을 거치기 시작했다.

백제:백제는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이 한강 유역의 위례성에 정착하여
건국했다. 역시 알려진바로는 온조가 건국했다.
일찍히 한강유역을 차지하여 삼국 중 가장 빨리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백제는 고이왕 때 영토를 확장하고 율령을 반포하는 등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근초고왕 때 중앙집권체제가 완성되었고 전성기를 맞았다.

신라:신라는 박혁거세가 세운 나라로 경주 일대의 사로국에서 시작되었다.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쪽의 편중,왜의 침략을 자주 받음에 따라 성장이
느렸다. 내물왕은 중앙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마립간(대군장)이라는 칭호도 사용하였고, 점점 발전해나아가서
지증왕 때는 국호를 '신라'로 바꾸고 '왕'을 사용하는 등 개혁을 했고
법흥왕 때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완성하였다. 율령을 반포하고
연호를 사용했다.
진흥왕 때 전성기를 맞이하여 영토확장과 한강유역을 차지했다.

--------------------------------------
이제 끝입니다. 길어도 이해하세요^^
답변 없음 하지 말아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예

동예라는 나라는 옥저의 남쪽에 있었다. 지금의 함경남도나 강원도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에는 하늘에 제사지내는 무천이라는 행사가 있었 고, 또 책화라는 풍속도 있었다. 책화는 다른 부족의 생활권을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 등의 가축으로 대신 갚게 했던 풍속인데, 부족의 시유 재산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동예의 특산물로는 단궁이라는 활과 다리가 짧은 조랑말인 과하마, 바다표 범의 일종인 반어의 가죽이 유명했다. 활은 예로부터 우리 나라 것이 가 장 성능이 좋았다고 한다. 과마하는 조랑말의 일종으로 인내심이 강해 중국에까지 수출되었는데 , 높 이가 3척(약1m 안팎)에 불과해 과일 나무 아래로 지나다닐 수 있었다 해 서 붙여진 이름이다. 너무 많이 잡아 지금은 거의 없어졌지만, 옛날 동해안에는 바다표범이나 강치, 해달과 같은 동물들이 많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한

우리나라 한반도의 남쪽 지역에는 마한, 진한, 변한이라는 나라들이 있었 다. 이들 세 나라를 묶어서 삼한이라 불렀다. 이들 나라는 정치와 제사를 각각 다른 사람이 했다.

* 신지. 견지 : 정치를 하는 우두머리 중 큰 지역을 다스리는 사람

* 부례. 읍차 : 작은지역을 다스리는 사람

* 천군 : 제사를 주관하는 제사장

* 소도 : 제사를 지내는 장소. 매우 신성한 곳이어서 제사에 참석한 사람이 나 이곳에 들어온 사

람은 죄를 지었다 해도 처벌하지 못했다.

삼한 시대부터는 정치와 종교 생활이 분리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변한은 철기 문화가 대단하여서 나중에 가야로 변화 한다.


옥저

옥저는 고구려의 동쪽 바닷가, 즉 지금의 함경도 지방에 있던 작은 나라 였다. 원래는 고구려와 같이 부여로부터 갈라져 나온 부족이었다. 그러나 동북 쪽에 강성한 고구려가 있어서 북쪽으로부터 발달된 여러 문화를 빨리 받아 들이지 못하여 세력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고 결국은 고구려에 흡수되었다. 왕은 없고, 각 고장을 읍군이나 삼로라는 부족장들이 다스렸다. 옥저는 바닷가에 위치하여 해산물이 풍부했다. 토지또한 기름져서 농사거 잘 되 었다. 이 나라는 다 같이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부족이면서도 고구려와 많은 차 이가 났는데 그 데표적인 것이 결혼 풍속이다. 고구려에서는 결혼할 남자가 여자의 집에 들어가 사는 데릴사위 제도라는 풍습이 있었는데 옥저에서는 반대로, 어린 여자 아이를 데려다가 길러서 나중에 그 집의 아들과 결혼시키는 민며느리 제도가 있었다.


부여

부여는 지금의 중국 만주 지방 일데에서 세력을 폈던 부족국가이다. 기원전 1세기 초에 왕의 명칭을 사용, 중국과 교류하는 등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3세기 말쯤 선비족의 침입으로 쇠약해져 494년 고구려에 흡수되었다. 부여는 다섯 지역으로 나누어 중앙은 왕이 지배하고, 나머지 네 곳은 마가, 우가, 저가, 구가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다스렸다. 이 지역을 사출도라 한 다. 이들 지방을 다스리는 사람들은 대개 한 부족의 우두머리들로 생각되 는데, 부여는 이렇게 서로 다른 부족들이 연맹을 맺어 만든 왕국이었다. 관직의 이름은 가축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 마가 : 말

* 우가 : 소

* 저가 : 돼지

* 구가 : 개

이로써 그 당시 가축을 매우 중요시 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부여 사람들은 농사를 짓기도 했지만 가축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 생계 수단이 었다. 부여의 풍습 중에는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같이 묻는 "순장"이라는 것도 있다.

고구려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부여 계통의 이주민과 동가강 유역의 토착민이

건국하였다. 지금 알려진 바로는 주몽(동명성왕,추모왕)이 건국하였다.

고구려는 중국의 침략을 물리치면서 발전했다.

광개토 대왕때 전성기(5세기경)를 맞이하여 만주벌판 인 중국 땅쪽으로

널히였다. 그리고 으의 아들인 장수왕은 남쪽인 신라와 백제를 침입하였다.

소수림왕 때 불교를 수용하고 율령을 반포했다. 이 때 중앙 집권 국가 체제가

완성되었다. 고국원왕 때는 중국의 전연과 백제의 침략으로 국가적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소수림왕 이후로 성장을 거치기 시작했다.


철기시대의특징

철기시대의 특징과시기를 알려주새요~~~~~~~ 3월6일까지 숙제임돠~~~ㅠ..ㅠ 1)철기 시대의 일반적인 무덤 형태 두 가지는? →독무덤, 널무덤 2)부여의 왕권이 미약하다는 것을...

철기시대의 유물과 유적의 특징

철기시대 유물과 유적의 특징이 뭔가요. 책에는 잘 안나왔더군요 철기시대 유물과 유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철기시대는 철을 이용한 도구와 무기가 생산되어 인류...

국사 수행평가 철기시대의특징

제가 국사 수행평가를 해야되는데요 철기시대의 특징과 무기.농기구.전쟁의 사진들좀 찾아주세요 ㅠ.ㅠ 철기시대에는 중요한 특징이 잇습니다 일단 농기구 농기구는...

철기시대의 특징들과...

철기시대의 특징들을 정리해서 해주시고 우리나라위 철기시대를 알려주세요.제가 채택해드릴게요 내공70걸어놀게요 철기시대 특징 철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등을 섞어 도구를...

철기시대의 특징

철기시대의 특징4대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 몸께서 인류사에 일가견 계신데여 철기시대 특징은여 군대 조직화 되었다는 특징이 있구여 대량 생산, 대량 소비의 특징이...

철기시대가 연도가 언제쯤이었나요?

... 반면에 기원전 9세기에 등장한 에트루리아 문명은 확실한 철기 시대의 특징을 가진다. 영국 제도 영국 제도에서 철기 시대는 기원전 800년에서 시작하여 로마의 침공과...

철기시대의특징?

... 답변입니다 철기시대의 주요 특징 - 벼농사의 발달 : 저수지 축조, 철제 농기구---경제기반 확대 - 청동기의 독자적 발전 :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거푸집---청동기의 의식용...

철기시대와 고조선의 특징

저는6학년인대요 학교숙제로 철기시대와 고조선의 특징좀 급합니다............... hurry up.......... 내공100입니당 빠리요 보시면 바로써주삼 플리즈 너무급합니당......... 이 시대는...

철기시대 나라 특징

ㅠ3ㅜ 학교 숙제,ㅋㅋㅋㅋㅋ 철기시대 나라마다 다 특징이 다르자나요,,. 그것좀,, 안떠서,ㅋㅋㅋㅋㅋㅋ 내공 줌ㅋ 13일 까지!!!!! 철기시대 이기(利器)의 재료로 철을 사용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