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1학기 사회숙제 기후와관련된 용어와뜻

5학년1학기 사회숙제 기후와관련된 용어와뜻

작성일 2007.03.2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목그대로 기후와관련된 용어와뜻..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나라의 기후의 특징

1.사계절이 뚜렷합니다.


2.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매우 큽니다.


여름철과 겨울철 기후의 특징


1겨울에는 육지에서 매 차고 건조한 북서 계절풍이 불어 옵니다.

2여름에는 바다에서 덥고 습기가 많은 남동 계절풍이 불어 옵니다.

3.여름에는 황해안보다 동해안이 시원합니다.

4.여름에는 한강, 섬진강 유역에 비가 많이 옵니다.

5.겨울에는 내륙 지방보다 해안 지방이 따뜻합니다.

6.울릉도는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옵니다.


기후 요소

기온 : 공기의 온도를 말하며, 가장 중요한 기후 요소로 사람들의 생활, 식물의 성장 들에 큰 영향을 줍니다.

강수량 : 비 , 눈, 우박 등이 땅에 내린 양을 말하며, 흐르거나 딸에 스며들지 않고 땅 표면에 고인 물의 양을 재어 나타냅니다.

그 밖의 기후요소 : 습도, 바람, 증발양, 일사량, 일조량도 지역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기의 변동과 수륙(水陸)의 형세에 따라 생기는 조습(燥濕)·청우(晴雨)·한서(寒暑) 등의 현상.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는 기상(氣象)·천기(天氣)·천후(天候)·기후가 있다. 이들은 매우 비슷한 말이며 종종 혼동 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기상은 넓은 의미로 사용될 때는 대기상태나 대기중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어느 시각 또는 시간대 (帶)의 기상상태는 천기라고 하며, 그 시간대는 수분간에서 많아야 2∼3일간 정도이다. 이에 대해 여러 날 동안에 걸쳐 같은 천기상태의 변천 이 계속될 때에는 천후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더 긴 시간(보통 수십 년간)의 대기상태를 종합 한 것을 기후라고 한다. 기후의 정의는 <지구상 의 어느 지점, 또는 지역에서 1년을 주기로, 매년 정해진 순서로 되풀이되는, 출현 확률이 가장 큰 대기의 종합상태>이다. 간단히 생각할 때 기후란 <어느 지방에 고유한 대기의 평균상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기후는 기상이나 천기와 비교하면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올 겨울은 춥다>든지, <금년에는 비가 많다>든지, 또는 <금년은 봄이 늦다>라고 할 때의 판단 기준이 되고 있는 것이 기후이다. 기후의 개념은 인간생활과 결부되어 생겨났다. 수렵이나 어로에서 농업이나 목축업으로 인간생활이 바뀌면서 미리 계절의 변화를 알 필요가 생겨 역(曆)이 만들어졌다. 중국에서는 24절기(節氣) 72후(候)가 고안되었고, 1년을 24등분하여 그 명칭을 역(曆) 안에 기록했다. 입춘(立春)·춘분(春分)·경칩(驚蟄)·하지(夏至) 등이 그것이며 태양의 황도상(黃道上)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이 절기를 다시 3등분한 것이 후(候)이다. 유럽에서는 영어의 climate와 비슷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모두 그리스어의 klinein(기울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태양광선의 기울기 또는 산지사면(山地斜面)의 기울기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의 climate의 의미도 16세기 경에는 위도대(緯度帶)를 의미하고 있어 오늘날의 기후대와 대응하는 것이었다. 이는 그리스어의 klimata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낮의 길이의 차이에 따라 적도에서 극(極)까지를 24개의 Klimata로 나누었다고 전해진다. 기후는 대기의 종합상태이나 형태나 크기를 직접 측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기후를 기상관측기로 관측할 수 있는 일사(日射)·기온·습도·강수량·기압·바람 등의 기후요소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여러 해에 걸친 평균값을 내고 그들을 편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평균하는 기간을 너무 길게 잡으면 그 동안의 연속된 관측자료가 있었던 지점이 불확실해질 뿐만 아니라, 기후변동의 영향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세계기상기구(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의 결정에 따라, 현재는 국내기후에 대해서는 1951년부터 1980년까지의 30년간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기후의 평년값이라 한다. 평년값은 10년마다 그 직전 30년간의 평균값을 취하도록 갱신된다. 대기현상에 있어 대기의 정상상태와는 상당히 동떨어진 상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이상기상(異常氣象)인데, 인간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상기상 재해가 발생하는 일이 많다. WMO에서는 세계 각국의 기상대에서 이상기상 보고를 요구할 때 25년 동안 1번의 확률밖에 일어나지 않은 현상을 이상기상의 기준으로 하였으나, 한국에서는 기상학상 이상기상의 기준으로 평년값에 대응하여 30년에 1번이란 확률로밖에 일어나지 않은 현상을 이를 때가 많다. 근년에 기후변화의 연구가 활발해져 기상관측을 실시하기 이전의 고기후(古氣候)를 복원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런 경우 기후의 추정값은 연대가 멀어질수록 장기간의 평균적 값을 나타낸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기후분류
기후는 그 지점이나 지역에 고유한 것이지만, 어느 정도의 넓이를 가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 문제로 하는 현상이 달라진다. 즉 대상되는 지역의 넓이에 따라 대기후·중기후·소기후·미기후(微氣候)로 분류된다. 이 분류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기후의 규모가 작아짐에 따라 넓이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수직의 한계, 즉 높이도 낮아진다는 점과 기후의 장소에 따른 차이(지역차)를 낳는 원인(기후인자)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기후인자에는 위도·수륙분포·지형·지리적 위치·해류, 식생(植生) 등의 지상피복(地上被覆) 상태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중기후보다 규모가 작은 기후에서는 소규모 지형(특히 고도)이나 지상피복 상태가 특히 중요하며, 위도의 차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정지점이나 지역 기후를 알기 위해서는 그 곳에 있는 관측소의 기후요소의 평균값이나 극값[極値(극치)]을 월별 또는 연도별로 정리한 기후표나 그 값을 지도상에 기입하여 등치선(等値線)을 그은 기후도 등의 기후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후자료가 있는 지점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상대나 측후소(測候所)의 자료만으로는 중기후보다도 규모가 작은 기후현상은 조사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소기후나 미기후와 같이 국지적인 현상은 기존의 관측망으로 파악하는 것은 무리이고 그 때문에 특별관측이 필요하게 된다. 기후를 나타내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다른 장소의 기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기후를 분류하고, 지도상에서 같은 기후에 속하는 지역[氣候區(기후구)]을 구분해 두면 편리하다. 세계의 기후구분은 많은 기후학자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기후의 성인(成因)에 의거한 것과 식생분포와 같이 기후를 단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지표로 잡아 그에 맞도록 경험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유명한 W. P. 쾨펜의 기후구분은 자연식생분포에 대응한 후자의 입장에 선 대표적인 것이다. 기후는 지형 등과 함께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의 하나이며 인간생활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기후환경이라는 입장에서 보면, 기후는 고온·저온과 습윤·건조의 2가지 면이 중요하다. 기후가 습윤한 동아시아를 예로 들면, 고온인 동남아시아에서 저온인 북극을 향해 북상함에 따라 식생은 상록열대우림(常緣熱帶雨林)으로부터 조엽수림(照葉俊林), 상록활엽수림(常緣闊葉俊林)과 침엽수의 혼합림, 또는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혼합림으로 또 나아가 침엽수림으로부터 툰드라, 빙설원으로 바뀐다. 또 적도 아프리카의 습윤기후지역에서 북아프리카 사하라사막의 건조지역에 걸쳐서는 열대우림에서 우록수림(雨緣俊林) 경엽수림(硬葉俊林), 가시숲, 사바나를 거쳐 사막에 이르는 두드러진 식생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연식생과 마찬가지로 농업도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재배식물의 종류나 재배한계·경작한계 등이 결정된다. 지구상의 기후를 지배하는 주요한 에너지원은 태양에서 오는 일사량이다. 일사의 연총량은 위도권과 거의 평행하여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향하여 감소하고 있어 열대·온대·한대의 경계를 남·북회귀선(남북위도 23˚27′)과 극권(極圈;남북 위도 66˚33′)으로 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적도 부근보다도 위도 20˚∼30˚부근에 일사량이 많은 지대가 있는데 이것은 이 부근이 아열대 고압대에 덮여 구름이 적기 때문이다. 기후요소 중에는 기온과 강수량이 특히 중요하다. 기온은 특히 명시된 바가 없을 경우, 지상에서 약 1.5m 높이의 기온을 가리킨다. 지구 전체의 평균기온은 14.3℃로 알려져 있으나, 지상 부근의 기온분포는 일사량에 지배되고 있으므로 크게 보면 위도권과 거의 평행하여 저위도에서 고위도를 향해 차츰 저온이 된다. 그러나 기온분포도를 보다 상세하게 보면 동일 위도상에서도 기온의 지역차가 크다. 특히 해안과 내륙과는 기온의 연교차(최난월과 최한월의 기온차)나 일교차(1일 중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차)가 다르며, 해양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변화가 적은 해양기후가 되고, 내륙에서는 변화가 큰 대륙기후가 된다. 이러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가 대륙도(大陸度)이다. 또 같은 해양에 면한 지역이라도 대륙의 동안(東岸)은 서안(西岸)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커서 여름에는 고온, 겨울에는 저온이며, 이른바 동안기후, 서안기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쾨펜은 최한윌(最寒月) 18℃의 등온선(等溫線)에 의해 열대기후와 온대기후를 구분하고, 최한월의 평균기온 18℃ 이하 -3℃ 이상을 온대기후, 최난월(最暖月)의 평균기온 10℃ 이상이고 최한월의 평균기온 -3℃ 이하를 아한대기후(亞寒帶氣候), 최난월의 평균기온 10℃ 미만을 한대기후라고 했다. 이와 같이 기온은 연평균뿐만 아니라, 최난월과 최한월의 기온도 중요하다. 역시 쾨펜의 기후구분도를 보면 명백하듯이 남반구에는 아한대기후지역이 거의 없다. 이는 아한대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에 육지가 없기 때문이다. 열대지방은 기온의 연교차가 3℃ 이하인 상하(常夏)의 나라로 기온의 연중변화를 거의 볼 수 없으나, 적도에서 고위도 쪽으로 향할수록 차츰 연교차가 커지며 온대지방은 춘하추동의 4계절이 가장 뚜렷하다. 세계 기온의 극값은 파로스(메소포타미아 지방)의 58.8℃(1951년 7월 8일)가 최고 기록이고, 보스토크기지(남극)의 -88.3℃(1960년 8월 24일)가 최저이다. 강수량 분포는 기온분포보다도 복잡하다. 지구 전체의 연평균 강수량은 대략 1000㎜이나 대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의 총량을 강수량으로 환산하면(가강수량이라고 한다) 25㎜에 불과하다. 따라서 지표면에 내린 비나 눈이 대기 속으로 증발하여 구름을 만들고, 다시 비나 눈이 되어 내린다는 물의 순환이 지구 전체에서 1년에 약 40회 반복되고 있다는 계산이 된다. 대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수증기량은 기온이 높을수록 많기 때문에 저위도는 고위도에 비해 강수량이 많고 강수강도(降水强度)도 강하다. 그러나 비나 눈은 대기운동과 관계가 깊기 때문에 상승기류가 있는 지역이 아니면 내리지 않는다. 특히 위도 20˚∼30˚의 아열대 고압대로 뒤덮인 곳은 강수량이 현저하게 적어 초원이나 사막으로 뒤덮인 건조기후가 되고 있다. 지구표면에서 대기에 공급되는 수증기의 84%는 해양에서 증발하고, 나머지 16%가 육지로부터 공급된다. 해양상의 수증기가 육지를 향해 운반될 때 해양에 면해 있는 사면상(斜面上)에서 지형성 상승기류에 의해 비나 눈이 내리는 일이 많다. 세계의 최대 연강수량은 하와이 카우아이섬 와이알레르산의 1만 1684㎜, 최소는 칠레 아리카의 0.8㎜이다. 건조지역은 연간 강수량보다도 증발산량(蒸發散量)이 많기 때문에 생긴다. 증발산량은 기온이 높으면 많아지기 때문에 건조기후와 습윤기후의 경계, 즉 건조 한계는 열대지방에서는 연강수량 750㎜ 정도, 온대지방에서는 400㎜ 정도이다. 강수는 연총량뿐만 아니라 그 계절 배분이 중요한데, 연간 강수 배분이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 지역과 우계(雨季)와 건계(乾季)의 구별이 뚜렷한 지역이 있다. 적도 부근에서는 연중 비가 많이 내리나, 그 외측은 고일계(高日季)후에 연 2회의 우계와 건계가 있는 지역이 있고, 또 그 외측에 늦여름에 1번의 우계가 있고 나머지 기간은 건계인 지역이 있으며, 차츰 우계가 짧아지고 건조지역으로 변해간다. 건조지역의 고위도 쪽에는 편서풍대(偏西風帶)의 온대저기압에 의한 강우지역이 펼쳐진다. 이 지대의 대륙 서쪽에서는 적도 쪽으로 갈수록 우계가 여름에서 겨울로 옮겨간다. 또 내륙부에서는 여름에 집중적으로 비가 온다. 강수량은 일사량이나 기온과는 달리 해마다 변동이 크다. 특히 반(半) 건조지역이나 건조지역에서는 변동률이 크다. 그러므로 기후표에 실린 평년값 이외에 변동률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특히 반건조지역에서는 강수량의 변동이 즉시 농업이나 목축 등에 영향을 미친다. 세계의 적설지역은 남극대륙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북반구에 있다. 빙하나 만년설로 뒤덮인 극지방이나 높은 산을 제외하면 북반구의 넓은 범위가 적설(積雪)로 뒤덮이는 시기는 10월부터 5월까지이다. 적설기간의 장단(長短)은 반드시 최심적설(最深積雪)과는 관계없고, 오히려 기온과 관계가 깊다. 한대지방의 해양기후지역에서는 적설기간이 길며, 북극해 연안에서는 8개월 이상이나 된다.

기후와 인간
기후는 인간생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온다습한 몬순아시아에서는 벼농사가, 건조기후인 서아시아에서는 유목이, 그리고 기후가 온화한 온대기후인 유럽에서는 농업과 목축을 중심으로 하는 농업이 영위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곳 주민의 생활양식이나 주거형태, 기풍(氣風)이나 사고(思考), 문화 등 의식주 전반에 영향을 미쳐 왔다. E. 헌팅턴은 《기후와 문명(1924)》에서 문명이 번영하는 데는 쾌적한 기후가 필요하고 서유럽이나 북아메리카 등은 이에 속한다고 했다. 인간은 기후환경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 그 곳의 기후 환경에 적응하려고 한다. 이것을 기후순응(氣候順應)라 하는데, 예를 들면 3살 이전에 한국에서 열대 지방으로 이주한 한국인의 땀샘수는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한국인보다 약 50%가 많으며 현주민과 거의 같은 수로 증가한다. 인간은 옛날부터 기후에 적응하며 생활해 왔으나, 오늘날에는 농업은 물론 공업·상업·교통·위생·작업능률 등 많은 분야에 관계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후에 적응하는 것뿐만 아니라 목적에 맞도록 기후조절도 시도하고 있다. 실내 냉난방에 의한 온도 조절이나 온실 등이 그 예이며, 토목건축 설계에 그 지방의 기후조건을 고려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행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술의 비약적 진보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확대됨으로써 예기치 않았던 기후변화도 생기게 되었다. 예컨대, 도시기후나 대기오염 등은 그 두드러진 예의 하나이다. 앞으로는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른 기후온난화의 해결 등 보다 곤란한 문제에 대응해나가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후 (氣候 climate)
대기의 변동과 수륙(水陸)의 형세에 따라 생기 는 조습(燥濕)·청우(晴雨)·한서(寒暑) 등의 현 상.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말 에는 기상(氣象)·천기(天氣)·천후(天候)·기후 가 있다. 이들은 매우 비슷한 말이며 종종 혼동 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기상은 넓은 의미로 사 용될 때는 대기상태나 대기중에서 일어나는 모 든 현상을 가리킨다.

5학년1학기 사회숙제 기후와관련된...

제목그대로 기후와관련된 용어와뜻.. 대기의 변동과 수륙(水陸)의 형세에 따라 생기는 조습(燥濕)·청우(晴雨)·한서(寒暑) 등의 현상.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5학년 1학기 사회 기후와 관련된 용어와...

... 오늘 선생님 께서 사회숙제를 내주셨거든요? 그런데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네요 .. 5학년 1학기 사회 기후와 관련된 용어와 뜻 알아보기인데요.. 기후와 관련된 뜻은 5개...

5학년 1학기 사회 기후와 생활요...

계절의 변화와 생활의 관계 계절과 관련된 생활모습 우리나라의 기후의 특징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5학년 1학기 교과서에 있는거 그대로 배껴서 오진 마세요 자세히알려주세요...

5학년 1학기 사회 기후와 생활

5학년 1학기 사회(기후와 생활)에 대하여 질문합니다~~ 밑에 글은 참고입니다.... 만약... 강수량의 특징 에 대하여 알려주세여~~~~ 이 숙제는 오늘 밤까지구요....ㅠㅠ 만약...

5학년 1학기 사회 숙제 입니다.

5학년 1학기 사회 숙제예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1. 황사, 사막화, 산성비, 지구... (3)사막화 기후 변화나 인간 활동으로 인해 토지가 황폐해지면서 생산성을 잃고...

5학년 1학기 기후와 생활 숙제 좀...

... 저는 올해로 5학년이 되었는데요 . 학교에서 이런 숙제를 냈어요 . 1.계절에 따른 기후의 특징과 생활 모습 (1) 봄 (2)... 날씨와 관련된 속담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5....

5학년 1학기 사회 "기후와 생활"

... 이 숙제 해보신 선배님들 부탁드릴께요 오늘안에 해주세요 사회예습...,,,. <봄> 따뜻하여 꽃이 피는 계절 속담: 봄 추위가 장독깬다., 봄비는 쌀비다 <여름> 바다에 피서를 감...

기후와의식주생활(5학년1학기사회)...

우리나라의 기후와 의식주생활에대해 좀 가르쳐주세요 5학년 1학기 사회에 들어있는 문제입니다 자세히는말구요... (3) 바람이 바뀌는 현상을 기온의 변화와 관련지어...

5학년 1학기 사회 1단원...

... 5학년1학기 사회1단원 여로가지모양의집(기후와 지역에 따라) 이렇게 정리해주시고..... 무지 열심히 적었어요 꼭 뽑아주세요 그리고 숙제 잘해가세요!!!^*^ 히... 저도 숙젠데...

100 걸어요! ㅇ_ㅇ (5학년 1학기 사회 숙제)

5학년 1학기 사회숙젠데요.. 내일까지구요 내공 100드려요 산간지역의 특징에서 : 평야나... 3) 대관령 : 지형과 기후의 특성을 이용한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이 활발하다. 1. 평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