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역사 연표..에대해..서~~!!

신라의 역사 연표..에대해..서~~!!

작성일 2005.01.23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신라의 역사 연표에 대해 ..알려줭ㅇ..
대표적으로..임금과 제도 및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내공 최대한...)
예), 발혁거세/석탕해/김알지/내물왕/지응왕/등..~//


#신라의 역사 #신라의 역사 요약 #신라의 역사적 인물 #신라의 역사적 기록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과 역사적 의의 #신라의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신라의 건국 역사 #신라의 삼국 통일 역사적 의의 #신라의 통일 역사 #신라의 미소 역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7년 박혁거세(朴赫居世 : 재위 ~4A.D.), 신라 건국. 왕호 : 거서간(居西干).
157년 신라의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가 왜국으로 건너감.
356년 내물(奈勿)마립간(재위 ~401) 즉위 : 김씨의 왕위 독점 시작.
400년 고구려 광개토왕,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新羅)를 구원함.
418년 신라의 박제상(朴堤上), 눌지의 아우 복호(卜好)를 고구려에서 구출하고 미사흔(未斯欣)을 왜국에서 탈출시킴.
433년 백제와 나제동맹(羅濟同盟)을 맺음.
512년 신라 이사부, 우산국(于山國 : 울릉도)을 정복 : 나무 사자로 속여 항복시키고 해마다 토산품을 바치게 함.
527년 법흥왕, 불교 공인. 귀족들의 반대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이차돈(異次頓) 순교함.
536년 법흥왕, 처음으로 연호를 사용 : 건원(建元).
545년 신라 진흥왕(眞興王 : 재위 540~576), 이사부의 건의를 받아 거칠부(居柒夫)를 시켜 『국사(國史)』를 편찬함.
550년 신라, 단양 신라 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건립.
554년 백제와 관산성 전투(管山城戰鬪) : 백제 성왕 전사함.
555년 진흥왕, 북한산 지역을 직접 돌아보고 순수비를 건립 : 북한산 순수비.
590년 고구려 장군 온달(溫達), 아단성(阿旦城 : 단양 영춘)에서 신라군과 싸우다 전사함.
632년 선덕여왕(善德女王 : 재위 ~647)이 즉위 : 최초의 여왕. 첨성대(瞻星臺) 건립.
645년 황룡사 9층탑 완공.
660년 6월, 나당 연합군이 백제 공격. 7월,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階伯) 전사 : 백제 멸망.
663년 나당연합군, 백제, 왜 연합군을 백강전투(白江戰鬪)에서 대파하고 주류성(周留城)을 함락시킴.
668년 나당연합군, 평양성을 포위 공격하여 보장왕(寶藏王)의 항복을 받음. 당,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설치.
674년 신라, 안압지(雁鴨池)를 만듦 : 연못 속에 산을 만들고 화초와 귀한 짐승들을 기름.
676년 의상(義湘), 부석사를 창건함.
682년 신문왕, 감은사(感恩寺) 완공.
685년 지방 제도인 9주 5소경(小京) 완성.
722년 처음으로 백성들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함.
751년 김대성, 불국사(佛國寺)와 석굴암(石窟庵)을 짓기 시작함.
757년 내외 관리의 월봉제(月俸制)를 폐지 : 녹읍이 부활됨.
771년 성덕대왕 신종(聖德大王神鐘 : 에밀레종)이 만들어짐.
787년 신라 승려 혜초, 당에서 죽음 : 『往五天竺國傳)』
788년 원성왕, 독서 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함.
802년 해인사 창건됨.
822년 김헌창의 난(金憲昌亂) 발생.
828년 장보고(張保皐)의 요청으로 청해진(淸海鎭) 설치. 김대렴(金大廉)이 당에서 차 씨앗을 가져와 지리산에 심게 함.
846년 장보고, 청해진에서 문성왕이 보낸 자객에게 피살됨.
851년 청해진을 없애고 그 주민을 벽골군(전북 김제)으로 옮김.
885년 최치원(崔致遠), 당에서 귀국함.
889년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재정이 고갈되어 주군(州郡)에 세금을 독촉하자 전국에서 봉기가 일어남.
924년 9월, 경명왕이 죽고 경애왕(景哀王 : 재위 ~927)이 즉위함.
927년 9월, 견훤, 신라 수도를 공격 :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敬順王 : 재위 ~935)을 세우고 철수.
935년 경순왕, 고려에 귀부.

이상 http://sinla.urinara.com/ 참조.
----------------------------------------------------------------------------------------------------------
왕위 연표

1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刊) BC57~AD4 박씨 휘는 혁거세
2 남해차차웅(南解次次熊) 4-24 혁거세의 적자
3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24-57 남해차차웅의 태자
4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57-80 석(昔)씨, 다파라국 왕의 아들
5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57-112 유리이사금의 둘째아들
6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112-134 파사이사금의 적자
7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134-154 유리이사금의 맏아들
8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154-184 일성이사금의 맏아들
9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184-196 탈해왕의 아들 구추각간의 아들
10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196-230 벌휴이사금의 손자

11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230-247 벌휴이사금의 손자
12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247-261 조분이사금의 동생
13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261-284 김씨, 김알지의 후손
14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284-298 조분이사금의 맏아들
15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298-310 조분이사금의 손자
16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310-356 내해이사금의 손자, 우로각간의 아들
17 내물이사금(奈勿尼師今) 356-402 구도갈문왕의 손자, 말구각간의 아들
18 실성이사금(實聖尼師今) 402-417 알지의 후손, 대서지이찬의 아들
1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刊) 417-458 내물이사금의 아들
20 자비마립간(慈悲麻立刊) 458-479 눌지마립간의 맏아들

21 소지마립간(炤知麻立刊) 479-500 자비마립간의 맏아들
22 지증마립간(智證麻立刊) 500-514 내물이사금의 증손자, 습보갈문왕의 아들
23 법흥왕(法興王) 514-540 지증마립간의 원자
24 진흥왕(眞興王) 540-575 법흥왕의 동생 갈문왕 입종의 아들
25 진지왕(眞智王) 575-579 진흥왕의 둘째아들
26 진평왕(眞平王) 579-632 진흥왕의 태자 동륜의 아들
27 선덕왕(善德王) 632-647 진평왕의 맏딸
28 진덕왕(眞德王) 647-657 진평왕 어머니의 동생 국반갈문왕의 딸
29 태종무열왕(太宗武列王) 657-661 진지왕의 아들 이찬 용춘의 아들
30 문무왕(文武王) 661-681 태종무열왕의 원자

31 신문왕(神文王) 681-692 문무왕 맏아들
32 효소왕(孝昭王) 692-701 신문왕의 태자
33 성덕왕(聖德王) 702-737 신문왕의 둘째 아들
34 효성왕(孝成王) 737-742 성덕왕의 둘째 아들
35 경덕왕(景德王) 742-765 효성왕의 동생
36 혜공왕(惠恭王) 765-780 경덕왕의 적자
37 선덕왕(宣德王) 780-785 내물왕 10세손, 아버니는 해찬 효방
38 원성왕(元聖王) 785-798 내물왕 12세손
39 소성왕(昭聖王) 799-800 원성왕의 태자 인겸의 아들
40 애장왕(哀莊王) 800-809 소성왕의 태자

41 헌덕왕(憲德王) 809-826 소성왕 동생
42 흥덕왕(興德王) 826-836 헌덕왕 동생
43 희강왕(僖康王) 836-838 원성왕의 손자 이찬 헌정의 아들
44 민애왕(閔哀王) 838-839 원성왕의 증손
45 신무왕(神武王) 839 원성왕의 손자 상대등 균정의 아들
46 문성왕(文聖王) 839-857 신무왕의 태자
47 헌안왕(憲安王) 857-861 신무왕의 배다른 동생
48 경문왕(景文王) 861-875 희강왕의 아들 아찬 계명의 아들
49 헌강왕(憲康王) 875-886 경문왕의 태자
50 정강왕(定康王) 886-887 경문왕의 둘째아들

51 진성왕(眞聖王) 887-897 헌강왕의 여동생
52 효공왕(孝恭王) 897-912 헌강왕의 서자
53 신덕왕(神德王) 912-917 아달라 이사금의 먼 후손
54 경명왕(景明王) 917-924 신덕왕의 태자
55 경애왕(景哀王) 924-927 경명왕의 동생
56 경순왕(敬順王) 927-956 문성왕의 후손 이찬 효종의 아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재위 기간(534~576년)

현재까지 4개가 발견되었다. 북한산비 진흥왕16년(555) 한강유역, 창녕비 진흥왕22년(561) 낙동강유역, 황초령비 진흥왕29년(568) 함경도 유역, 마운령비 진흥왕29년(568)

 

천마총 금관

약 5세기말~6세기 초

높이: 32.5cm, 지름: 20cm

국보 제188호

 

석굴암 본존불

8세기 중엽

연화좌대의 높이: 1.6m, 상면의 지름: 2.72m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된 석굴암에 본존불이 안치되어 있다.

 

성덕대왕 신종

771년(혜공왕 7년)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 무게: 18.9톤

국보 제29호

 

천마총 천마도

5~6세기

가로: 75㎝, 세로: 53㎝, 두께: 6㎜

1973년 경주 황남동고분 155호분(천마총)에서 발견

 

황남대총 금관장식

신라시대

금관 높이: 27.5cm, 지름: 17cm, 무게: 750g, 드리개(수식) 길이: 13∼30.3㎝

국보 제191호

 

황룡사 9층탑

643년(선덕여왕 12)

사적 제6호

 

불국사

통일신라시대

경내면적: 11,7541평

사적 제1호

 

금동제 용머리 당간두

통일신라시대

높이: 65㎝

보물 제1401호

 

포석정

통일신라시대

면적: 7,445㎡

사적 제1호

 

배리삼존불상

7세기 신라

보물 제63호

 

황남대총 유리병

신라시대

높이: 25㎝, 배지름: 9.5㎝

국보 제193호

 

화엄사 사사자 3층석탑

통일신라시대 추정

높이: 5.5m

국보 제35호

 

첨성대

신라시대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

국보 제31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통일신라시대

두루마리 1축(軸)으로 너비 약 8㎝, 전체길이 약 620㎝

국보 제126호

 

석가탑

통일신라시대

높이: 8.2m

국보 제21호

 

진전사지 3층 석탑

통일신라 8세기 후반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

높이: 5m

국보 제122호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통일신라시대

높이: 1.4m

국보 제57호

 

법주사 쌍사자 석등

통일신라시대

높이: 3.3m

국보 제5호

 

제발 체택체택체택체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신라 역사 연표

57년 박혁거세(朴赫居世 : 재위 ~4A.D.), 신라 건국. 왕호 : 거서간(居西干).
157년 신라의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가 왜국으로 건너감.
356년 내물(奈勿)마립간(재위 ~401) 즉위 : 김씨의 왕위 독점 시작.
400년 고구려 광개토왕,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新羅)를 구원함.
418년 신라의 박제상(朴堤上), 눌지의 아우 복호(卜好)를 고구려에서 구출하고 미사흔(未斯欣)을 왜국에서 탈출시킴.
433년 백제와 나제동맹(羅濟同盟)을 맺음.
512년 신라 이사부, 우산국(于山國 : 울릉도)을 정복 : 나무 사자로 속여 항복시키고 해마다 토산품을 바치게 함.
527년 법흥왕, 불교 공인. 귀족들의 반대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이차돈(異次頓) 순교함.
536년 법흥왕, 처음으로 연호를 사용 : 건원(建元).
545년 신라 진흥왕(眞興王 : 재위 540~576), 이사부의 건의를 받아 거칠부(居柒夫)를 시켜 『국사(國史)』를 편찬함.
550년 신라, 단양 신라 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 건립.
554년 백제와 관산성 전투(管山城戰鬪) : 백제 성왕 전사함.
555년 진흥왕, 북한산 지역을 직접 돌아보고 순수비를 건립 : 북한산 순수비.
590년 고구려 장군 온달(溫達), 아단성(阿旦城 : 단양 영춘)에서 신라군과 싸우다 전사함.
632년 선덕여왕(善德女王 : 재위 ~647)이 즉위 : 최초의 여왕. 첨성대(瞻星臺) 건립.
645년 황룡사 9층탑 완공.
660년 6월, 나당 연합군이 백제 공격. 7월,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階伯) 전사 : 백제 멸망.
663년 나당연합군, 백제, 왜 연합군을 백강전투(白江戰鬪)에서 대파하고 주류성(周留城)을 함락시킴.
668년 나당연합군, 평양성을 포위 공격하여 보장왕(寶藏王)의 항복을 받음. 당,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설치.
674년 신라, 안압지(雁鴨池)를 만듦 : 연못 속에 산을 만들고 화초와 귀한 짐승들을 기름.
676년 의상(義湘), 부석사를 창건함.
682년 신문왕, 감은사(感恩寺) 완공.
685년 지방 제도인 9주 5소경(小京) 완성.
722년 처음으로 백성들에게 정전(丁田)을 지급함.
751년 김대성, 불국사(佛國寺)와 석굴암(石窟庵)을 짓기 시작함.
757년 내외 관리의 월봉제(月俸制)를 폐지 : 녹읍이 부활됨.
771년 성덕대왕 신종(聖德大王神鐘 : 에밀레종)이 만들어짐.
787년 신라 승려 혜초, 당에서 죽음 : 『往五天竺國傳)』
788년 원성왕, 독서 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함.
802년 해인사 창건됨.
822년 김헌창의 난(金憲昌亂) 발생.
828년 장보고(張保皐)의 요청으로 청해진(淸海鎭) 설치. 김대렴(金大廉)이 당에서 차 씨앗을 가져와 지리산에 심게 함.
846년 장보고, 청해진에서 문성왕이 보낸 자객에게 피살됨.
851년 청해진을 없애고 그 주민을 벽골군(전북 김제)으로 옮김.
885년 최치원(崔致遠), 당에서 귀국함.
889년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재정이 고갈되어 주군(州郡)에 세금을 독촉하자 전국에서 봉기가 일어남.
924년 9월, 경명왕이 죽고 경애왕(景哀王 : 재위 ~927)이 즉위함.
927년 9월, 견훤, 신라 수도를 공격 :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敬順王 : 재위 ~935)을 세우고 철수.
935년 경순왕, 고려에 귀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자인사 정말 감사합니다

57

삼국시대

신라건국

37

 

고구려건국

19

 

동명성왕사망 유리왕즉위

18

 

백제 건국

AD 8

 

백제 마한 함락

16

 

마한의  주근이 반란  실패

53

 

고구려태조왕즉위

105

 

고구려요동진출

204

 

백제고아왕 즉위

313

 

고구려 낙랑군 멸망

372

 

고구려 불교전래

384

 

백제 불교전래

427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433

 

신라  백제 동맹체결

520

 

신라 율령제정반포 백관의 공복제정

527

 

백제 사비성으로 천도

538

 

고구려 살수대첩

612

 

백제멸망

660

 

고구려멸망

668

통일신라

신라삼국통일

676

 

대조영 발해 건국

698

 

신라 불국사 석굴암 축조

751

 

신라 독서 상품과 설치

778

 

김헌창의

822

 

신라 장보고 청해진 설치

828

후삼국시대

견휜 후백제 건국

900

 

궁예 후고구려건국

901

 

왕건 고려건국

918

 

발해 멸망

 

Bak Hyeokgeose 혁거세 (57 BCE–4 CE)

Namhae Chachaung 남해 차차웅 (4–24)

Yuri Yisageum (24–57) 유리이사금 儒理尼師今 (Kings Yuri to Heurhae bore the Korean title Isageum, an old word for "ruler")

Talhae Isageum 탈해이사금 脫解尼師今 (57–80)

Pasa Isageum 파사이사금 婆娑尼師今 (80–112)

Jima Isageum 지마이사금 祗摩尼師今 (112–134)

Ilseong Isageum 일성이사금 逸聖尼師今 (134–154)

Adalla Isageum 아달라이사금 阿達羅尼師今 (154–184)

Beolhyu Isageum 벌휴이사금 伐休尼師今 (184–196)

Naehae Isageum 내해이사금 奈解尼師今 (196–230)

Jobun Isageum 조분이사금 助賁尼師今 (230–247)

Cheomhae Isageum 첨해이사금 沾解尼師今 (247–261)

Michu Isageum 미추이사금 味鄒尼師今 (262–284)

Yurye Isageum 유례이사금 儒禮尼師今 (284–298)

Girim Isageum 기림이사금 基臨尼師今 (298–310)

Heulhae Isageum 흘해이사금 訖解尼師今 (310–356)

Naemul Maripgan 내물마립간 奈勿麻立干 (356–402) (Kings Naemul to Soji bore the Korean title Maripgan, an old word for "ruler")

Silseong Maripgan 실성마립간 實聖麻立干 (402–417)

Nulji Maripgan 눌지마립간 訥祗麻立干 (417–458)

Jabi Maripgan 자비마립간 慈悲麻立干 (458–479)

Soji Maripgan 소지마립간 炤智麻立干 (479–500)

King Jijeung 지증왕 智證王 (500–514) (Kings Jijeung to Gyeongsun bore the title Wang (the modern Korean word for "king"), with the exceptions noted below)

King Beopheung the Great 법흥태왕 法興太王 (514–540) ("King Beopheung the Great" is a translation of Beopheung Taewang, "Taewang" meaning "great king")

King Jinheung the Great 진흥태왕 眞興太王 (540–576) ("King Jinheung the Great" is a translation of Jinheung Taewang, "Taewang" meaning "great king")

King Jinji 진지왕 眞智王 (576–579)

King Jinpyeong 진평왕 眞平王 (579–632)

Queen Seondeok 선덕여왕 善德女王 (632–647) (Queens Seondeok and Jindeok bore the title Yeowang, meaning "queen")

Queen Jindeok 진덕여왕 眞德女王 (647–654)

King Muyeol the Great 무열대왕 武烈大王 (654–661) ("King Muyeol the Great" is a translation of Muyeol Daewang, "Daewang" meaning "great king")

King Munmu 문무왕 文武王 (661–681)

King Sinmun 신문왕 神文王 (681–691)

King Hyoso 효소왕 孝昭王 (692–702)

King Seongdeok the Great 성덕대왕 聖德大王 (702–737) ("King Seongdeok the Great" is a translation of Seongdeok Daewang, "Daewang" meaning "great king")

King Hyoseong 효성왕 孝成王 (737–742)

King Gyeongdeok 경덕왕 景德王 (742–765)

King Hyegong 혜공왕 惠恭王 (765–780)

King Seondeok 선덕왕 宣德王 (780–785)

King Wonseong 원성왕 元聖王 (785–798)

King Soseong 소성왕 昭聖王 (798–800)

King Aejang 애장왕 哀莊王 (800–809)

King Heondeok 헌덕왕 憲德王 (809-826)

King Heungdeok 흥덕왕 興德王 (826–836)

King Huigang 희강왕 僖康王 (836–838)

King Minae 민애왕 閔哀王 (838–839)

King Sinmu 신무왕 神武王 (839)

King Munseong 문성왕 文聖王 (839–857)

King Heonan 헌안왕 憲安王 (857–861)

King Gyeongmun 경문왕 景文王 (861–875)

King Heongang 헌강왕 憲康王 (875–886)

King Jeonggang 정강왕 定康王 (886–887)

Queen Jinseong 진성여왕 眞聖女王 (887–897) (Queen Jinseong bore the Korean title Yeowang, which means "queen")

King Hyogong 효공왕 孝恭王 (897–912)

King Sindeok 신덕왕 神德王 (913–917)

King Gyeongmyeong 경명왕 景明王 (917–924)

King Gyeongae 경애왕 景哀王 (924–927)

King Gyeongsun 경순왕 敬順王 (927–935)

 

 sorhd냔냔

신라의 역사 연표..에대해..서~~!!

신라의 역사 연표대해 ..알려줭ㅇ.. 대표적으로..임금과 제도 및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내공 최대한...) 예), 발혁거세/석탕해/김알지/내물왕/지응왕/등.....

신라시대 역사연표만들기

... 역사연표만들기를 하는데요. 신라시대 역사에대해 잘... 신라의 역사 57년 박혁거세(朴赫居世 : 재위 ~4A.D.)... 2m의 여래입상이 1구 있다. 둥근 얼굴에 미소가 가득하며...

고려시대10대사건정리!!!!!!!!!!!!!내공100

... 6권), 연표 3권, 지(志) 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과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삼국사기》에 대해 신라 위주로 서술되었다는 점...

방학숙제인데요

... 6권), 연표 3권, 지(志) 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과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삼국사기》에 대해 신라 위주로 서술되었다는 점...

선덕여왕의 주요 업적

제가 방학숙제로 선덕여왕에 대해 조사를 해야 하는데,, 선덕여왕의 주요 업적을 연표로 간단하게 정리해주셨음... (이종욱 지음, [신라의 역사]에서) 예를 들어 김춘추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 이룩한 신라의 역사 전통을 높이 평가하는 시각에서 씌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삼국유사」는 「삼국사기」가 합리적인 사실들을 주로 다룬데 대해서 비합리적인...

우리나라 역사

... 신라의 역사 신라의 수도는 경주 신라의 시조는... 신라는 이런 대가야에 대해 위협과 유화정책을 병행하다가... 연표 연도 성명 연호 설명 668 고구려 멸망. 걸걸중상...

고려에대해서................

고려에대해서 역사신문을 쓸건데 그때일어났던 여러 사건을... 6권), 연표 3권, 지(志) 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과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한국과 중국의 전쟁 역사좀 자세히..

... 정치집단에 대해서는 ‘진국(辰國)’ 또는 ‘중국... 고구려의 역사 연표입니다. 서기 고구려 주변국 BC 37년... 서쪽에 지리산(섬진강)까지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